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경』·『서경』의 인격적 천관(天觀) 연구

        이대근(Lee, Dae Keu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神學展望 Vol.- No.196

        유교의 기본 경전인 오경(五經) 중에서도 『시경』·『서경』에는 천(天)에 대한 고대 중국인들의 관념을 알 수 있는 내용들이 풍부하게 담겨 있다. 『시경』과 『서경』에 나타나는 천(天)의 인격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유교에서 절대자를 지칭하는 대표적 호칭은 ‘천’과 ‘상제’이다. 그래서 본고는 『시경』·『서경』에 나타난 천·상제의 성격을 일곱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① 천은 최고신이고, 공경과 제사의 대상이다. 유교 경전에서 천은 유일무이한 최고신이지만 또한 수많은 신들을 거느린 천상의 임금으로, 천에 대한 인간의 자세는 경천(敬天)·외천(畏天)·봉천(奉天)·사천(事天)·제천(祭天) 등으로 표현되었다. ② 천은 조물주이고, 만물의 존재 근원이다. 그래서 인간은 천이 부여한 법칙이나 질서에 따라 삶을 영위해 나가야만 된다고 믿었다. ③ 천은 의지와 감정을 지닌 영명한 존재이다. 천의 인격적 특성은 그의 호의·분노·연민과 같은 감정의 표현과, 전지(全知)한 속성을 통해서 드러난다. ④ 천은 천명(天命)을 내리고 거두는 절대자이다. 나라의 건국, 군주의 임명, 도읍의 건설, 전쟁, 혼인, 수명, 길흉 모든 것이 천명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믿었다. ⑤ 천은 상선벌악의 주재신(主宰神)이다. 천·상제의 권능은 자연현상과 인생만사를 주재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무엇보다도 천은 인간의 선악에 따라 상벌을 내리는 존재로 신앙되었다. ⑥ 천은 기도·탄원·신앙의 대상이다. 『시경』 곳곳에는 긍휼히 여겨달라고 하늘의 이름을 부르며 호소하거나, 슬픔을 토로하는 등의 탄원 시편들이 보인다. ⑦ 천은 도덕·가치의 근원자이다. 천은 또한 내재적이고 도덕적인 존재로서, 인간의 본성이 선한 근거는 바로 천으로부터 그것을 부여받은 데서 확보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천의 속성들은 모두 그 ‘인격성’을 드러낸다. 명말청초(明末淸初)에 중국에 온 예수회 선교사들은 유교 경전을 깊이 연구하던 중에, 『시경』·『서경』 등의 경전에 나타나는 인격신 신앙에 주목하였다. 유교 경전의천 사상에 대한 그들의 새로운 인식은 그들의 적응주의적 선교방법, 곧 보유론(補儒論)의 바탕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T’ien as found in the two books among The Five Classics of Confucian scriptures, namely The Book of Poetry(詩經) and The Book of Documents (『書經』). In Confucianism the absolute being is expressed as T’ien and Shing-ti(Emperor Above). In Korean ‘T’ien’ means ‘Heaven’ and ‘Shing-ti’ means ‘God’. The characteristic of T’ien and Shing-ti in The Book of Poetry and The Book of Documents have been examined under the following seven aspects. T’ien is the supreme God subject to reverence and rite. In Confucian scriptures T’ien is the supreme God and also is the heavenly King who commands other gods. Human attitudes toward T’ien are expressed by reverence, fear, worship. T’ien is the creator and the source of all material being. Because it is thought that the life of Human’s was derived from T’ien, it is believed that one needs to follow the law and order set by T’ien. T’ien is a spiritual being with will and emotion. T’ien’s personal characteristic is revealed in his emotion(kindness, anger, sympathy) and property(all knowing). T’ien is an absolute being that commands with his will(T’ien-ming, will of T’ien). It is believ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 and city, appointment of a king, war, divorce are due to the T’ien-ming(will of T’ien). T’ien rewards good and punishes evil. T’ien and Shing-ti’s power preside over nature and life. Since T’ien is a being who rewards good and punishes evil, one needs to be faithful to him. T’ien is a being subject to prayer, petition and faith. In the Book of Documents there are passages where one calls to heaven for mercy and petition poems expressing sorrow. T’ien is the source of moral values. T’ien is also a immanent and moral being in whom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is rooted. The above attributes reveal the ‘personality’ of T’ien.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the missionaries of the Jesuit Order who came to China studied Confucius scriptures and payed attention to The Book of Poetry and The Book of Documents where one can find faith in a personal God. The awareness of the idea of T’ien as found in Confucius scripture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Jesuit’s adaptionism and theory compliments confucianism. Thus, the Jesuits were able to present God in more familiar way to the Chinese through the concept of T’ien and Shing-ti as found in confucius scriptures.

      • KCI등재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특징과 그 역사적 의의

        노용필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7 교회사학 Vol.0 No.14

        When we compare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Ch'ŏnju Sirŭi,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and its Annotated Catalog Version one by one, we could learn following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quantity, the former has 314 annotations and the latter has just 149 and also that in terms of their traits, the former has detailed contents and terms for the original text, whereas the latter is no more than the brief summarization of the original text. Thus, in a word, we may say that compared with annotations of Annotated Catalog Version,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had strong tendency of origina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establishing the patterns of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divided by three of ‘A':'explanation of vocabulary’, ‘B:term definition’, ‘C:phrase interpretation', the study learned that it had the tendency of B<C<A and when we calculated mathematical ratio, it turned out as A:B:C=48.1%:13.7%:38.2%≑3.51:1.00:2.79. It implies that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as naturally added with annotators' own points of view. When we integrated and summarized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itself in general, we learned that as its characteristics, the annotations of the same vocabularies and terms were often overlapped even in the same version, and consequently they had the identical, or similar or quite different contents. One of the typical examples of this tendency in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as that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treated 'Fair virtues' and 'Innate talent' repeatedly, apparently suggesting that traditional Confucianism might have been reflected along with their interest in Yangmingism when annotators of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provided detailed annotations while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And this ideological aspect makes the largest characteristic of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Historical significances of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can largely be summarized with four points. First,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could be a decisive turning point for the eventual establishment of 'Catholicism' in Joseon. Second, in-depth research on 'Catholicism' was carried out through learning methods as stipulated in the original text of T'ienchu Shih-i and naturally its translation was done by scholars actively using this learning methods, suggesting the annotation was conducted by themselves through division of work. Third, the firm establishment of ‘Catholicism’ in the country was accomplished by Korean believers not by the Western priests, and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ere also completed principally by Korean believers and as a result, such fact itself may have turned out as an important element materializing 'spontaneity' in the history of Korea's Catholic Church. Fourth,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hich was able to satisfy the desire of Korean Catholics towards Catholic doctrines, could provide the groundwork for Catholicism, namely Catholic Church to expand to diverse social classes including ordinary people regardless of the gender.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의 주석은 주석목록본 《천주실의》의 주석과 비교해서 한마디로 매우 독창적인 측면이 강한 것이었다. 그리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에 자연히 언해자들 자신 나름대로의 독창적인 견해가 곁들여지게 됨으로써 매우 창작적인 측면이 내포되게 되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특징은 주석 자체를 전체적으로 통합해서 정리해놓고 보면, 동일한 편 속에서조차도 동일한 어휘 및 용어에다가 중복되게 거듭 주석을 달았으며, 그래서 그 내용이 혹은 동일하게 혹은 유사하게 혹은 전혀 상이하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를 고려할 때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언해자들이 한글로 언해하면서 상세한 주석을 붙이는 데에는 종래의 전통 유학에 익숙함이 반영되었을 뿐만이 아니라 양명학에 대한 관심도 반영되었을 것임이 자명하다. 그리고 이런 사상적인 면모가 곧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내용상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하겠다. 이와 같은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이 지니고 있는 역사적 의의는 대략 4가지로 꼽을 수 있다. 첫째는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으로 조선에서 ‘천주학’이 비로소 정립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마련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는 이 ‘천주학’에 대한 궁구가 《천주실의》 원문 내용 자체에 명시되어 있는 강학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므로, 자연히 《텬쥬실의》 언해도 이 강학에 극력 참여한 학인들에 의해 행해졌고, 따라서 주석도 이들에 의해 분담되어 붙여졌을 것이라는 점이다. 셋째는 이렇듯이 ‘천주학’의 정립이 서양인 사제가 아닌 조선인 신자들에 의해 이루어졌기에, 언해필사본 《텬쥬실의》의 언해 및 주석도 조선인 신자 주도로 완성됨으로써 그것 자체가 한국천주교회사 속에 ‘자발성’ 구현이 이루어지는 관건이 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넷째는 천주교 신자, 당시의 표현으로는 소위 ‘천주학쟁이’들의 천주학 교리에 대한 갈구를 해소시켜줌으로써 그 가르침에 따라 평등을 지향하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양반·중인·평민·노비를 가릴 것 없이 모든 신분계층에서 ‘천주학’ 즉 천주교가 점차 확산되는 토대가 마련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 KCI등재

        유교와 그리스도교의 하느님 이해

        이대근 신부(Prof. Fr. Daekeun Lee) 신학과사상학회 2017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79

        This research intends to understand the Confucian view of the Absolute Being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fucian and Christian views of the Absolute Being. In Confucianism, the Absolute Being, i.e., the Ultimate Existence, is designated “Heaven” (天) or “Sovereign on High” (上帝), and in Christianity is called “God” (Deus). Confucian and Christian ideology possess the common point of venerating the Ultimate Existence as a personal Absolute Being. If we look at the nature of “Heaven” and the “Sovereign on High” that appears in the Confucian scriptures centered on the Book of Poetry and the Book of Documents, it appears first as the Source of all existence and Creator, and as the Overseer who oversees natural phenomena and all human affairs. Also, as a personal Being who possesses volition, emotions and clear spirit, it appears as an object of faith whom humans honor, fear, serve and to whom they pray. And it appears as an immanent and ethical Being manifesting through human nature at the same time it is a transcendent, overseeing Being. Confucius and Mencius inherited this view of a personal God of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developed it into a theory of self-discipline. Confucius generalized as applying to all people the concept of “the will of Heaven” and “virtue” that originally applied only to rulers, and presented “benevolence” as the duty of serving Heaven and humans. Mencius proposed the path of interior and ethical heavenly works, serving Heaven, by maintaining the original heart bestowed by Heaven and cultivating human nature. The Jesuit missionaries who went to China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excluded the view of the impersonal Ultimate Existence of Buddhism, Taoism and neo-Confucianism, made the Sovereign on High of Confucianism and the God of Christianity coincide, and propagated Catholicism by way of the “theory of complementing Confucianism”. They demonstrated Christianity’s concept of the Lord of Heaven and main doctrine through the Confucian scriptures, introduced the Lord of Heaven as the Great Sovereign and Great Father, and presented the duty of humans toward the Lord of Heaven as “great loyalty and great filial piety”. The Jesuit mission method grounded in the theory of complementing Confucianism gained great results in the Chinese mission, but it had the limitations of not being able to advance in Christianity’s essential truth of revelation and of being inclined toward academic dialogue and intellectual acceptance. Compared to this, we can see that the acceptance of the Catholic Church in Joseon, though it began from the ideology of the Catholic Church complementing Confucianism, its form did not remain there but completely accepted and continued deepening Christianity’s truth of revelation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entrants into the Church. The understanding of Catholic doctrine did not remain simply at the academic and intellectual level but from the beginning shows the distinction of advancing to the spiritual, faith and practical level. Most of all, since the most distinct feature of the faith of the Catholic Church in Joseon was “martyrdom faith”, the faithful of Joseon showed remarkable faith leading to martyrdom because of their human duty toward the Lord of Heaven who is the Great Sovereign and Great Father, and their love for and desire to emulate Christ, even in the midst of severe persecution. This is an entirely different aspect from the acceptance of faith in China of the Lord of Heaven. 이 연구는 유교의 절대자관에 대해 이해하고, 유교와 그리스도교의 절대자관의 상호 소통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유교에서 절대자, 곧 궁극적 실재는 ‘천’(天) 혹은 ‘상제’(上帝)로 지칭되고, 그리스도교에서는 ‘하느님’(Deus)으로 불리워진다. 유교와 그리스도교 사상은 궁극적 실재를 인격적인 절대자로 숭경(崇敬)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시경』과 『서경』을 중심으로 유교 경전에 나타나는 천∙상제의 성격을 살펴보면, 먼저 모든 존재의 근원이요, 조물주(造物主)이며, 자연 현상과 인간만사를 주관하는 주재자(主宰者)로 나타난다. 또 의지와 감정과 영명(靈明)한 지력을 지닌 인격적 존재로, 인간이 공경하고 두려워하고 섬기고 기도드리는 신앙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초월적이고 주재적인 존재인 동시에 인간 본성을 통하여 현현(顯現)하는 내재적이고 도덕적인 존재로서 나타난다. 공자와 맹자는 이러한 유교 경전의 인격적 천관을 계승하여 이를 도덕적 수양론으로 발전시켰다. 공자는 기존의 통치자에게만 적용되던 ‘천명’(天命)과 ‘덕’(德)의 개념을 만인(萬人)에게 해당되는 것으로 보편화시켰고, 하늘 섬김[事天]과 사람 섬김[事人]의 도리로 ‘인’(仁)을 제시하였다. 맹자는 하늘이 부여해 준 본심을 보존하고 본성을 기름으로써 하늘을 섬기는 내적·도덕적 사천의 길을 제시했다. 16세기 후반 중국에 온 예수회 선교사들은 불교∙도교∙성리학의 비인격적, 궁극적 실재관을 배척하고, 본원유학의 상제와 그리스도교의 하느님[天主]을 상통시켜 ‘보유론’(補儒論)적인 방법으로 천주교를 전파하려고 하였다. 그들은 그리스도교의 천주사상과 주요 교리를 유교 경전을 통해 논증했으며, 천주를 대군대부(大君大父)로 소개하고, 천주에 대한 인간의 도리를 대충대효(大忠大孝)로 소개했다. 예수회의 보유론에 입각한 선교 방법은 중국 선교에 큰 성과를 가져왔지만, 그리스도교의 본질인 계시진리로 나아가지 못한 한계와, 학술적 대화·지적 수용에 치우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비해 조선에서의 천주교 수용은 비록 보유론적인 천주교 사상에서 시작되지만, 거기에 머물지 않고 입교한 첫 세대 교인들부터 그리스도교의 계시진리를 전적으로 받아들이고 심화시켜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천주교 교리 이해가 단순히 학적(學的), 지적(知的)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초기부터 영적(靈的), 신앙적, 실천적 차원으로 나아가는 특징이 있었음을 보여 준다. 무엇보다 조선 천주교회 신앙의 가장 큰 특징은 ‘순교신앙’에 있었으니, 모진 박해 속에서도 조선의 신자들은 대군대부이신 천주에 대한 인간의 도리와,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과 모방의 원의 때문에 순교에 이르는 놀라운 신앙을 보여 주었다. 이는 중국에서의 천주신앙 수용과 판이하게 다른 양상이다.

      • KCI등재

        안정복 · 이규경의 이마두 《천주실의》 인용 양상 비교 검토

        노용필(Noh, Yong-Pil) 한국교회사연구소 2018 敎會史硏究 Vol.0 No.52

        이마두(Matteo Ricci, 1520~1610)의 《천주실의》를 인용하여 저술한 안정복(1712~1791)과 이규경(1788~1856)의 글에 나타난 그 인용의 양상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그럼으로써 이마두의 초기 저술들에 대한 조선 후기 수용의 역사 전반을 심층적으로 조망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삼고자 한 것이다. 안정복은 그의 저술에서 《천주실의》의 내용을 직접 인용한 경우도 있지만 다른 저술에서 재인용한 경우도 있었다. 그 가운데 그 자신의 대표적 천주교 비판 저서로 정평이 나 있는 〈천학고〉 자체에서 《천주실의》를 유일하게 직접 거명하고 그 내용을 인용하였으나, 그 내용을 《천주실의》 원문 전체를 전산 입력 후 검색 기능을 통해 일일이 대조해본 결과 적지 않게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가 있었다. 한편 이규경은 〈척사교변증설〉에서 《천주실의》를 인용함에 있어서 그 양상은 3가지이다. 첫째는 중국 명나라 사조제의 《오잡조》를 인용하면서 《천주실의》를 재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는 이수광의 《지봉유설》을 인용하면서 《천주실의》를 재인용하고 있음이다. 셋째는 정하상의 취조 내용을 인용하면서 《천주실의》의 내용을 재인용하고 있는 게 그것이다. 결국 이렇듯이 이규경은 《천주실의》를 한 번도 직접 인용한 적은 없었다. 비록 그럼에도 《천주실의》의 전체 중에서도 ‘인혼’ 문제의 규명 및 설파에 설정된 제5편 (23)항이 안정복과 이규경의 저술에서 유일하게 공통된 인용 항목이었다. 그리고 이는 특히 그 제3편의 전편에 걸친 핵심 주제가 다름이 아닌 ‘인혼불멸론’이었다는 사실과 직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로써 안정복의 〈천학문답〉 등에서 전면적이면서도 정면으로 행해진 천주교 비판에 있어서나, 이규경의 〈척사교변증설〉에서 ‘척사교’의 실상을 자세히 소개함에 있어서나, ‘인혼’의 불멸 문제를 《천주실의》에서 인용해서 화두의 중심으로 삼았음이 확연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spects of quotation in the writings of An Jeong-bok(1712~1791) and Lee Kyu-gyeong(1788-1856) authored by quoting Matteo Ricci’s(1520~1610) T’ien-chu Shih-i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By doing so, the study sought to use the outcomes as part of work illuminating the overall history of how the late Joseon dynasty accommodated Matteo Ricci’s early books. In his writings, An Jeong-bok sometimes directly quoted the content of T’ien-chu Shih-i and in other times he requoted from other writings. Of these, Cheonhakgo - credited as his representing criticism on Catholic Church - directly mentioned T’ien-chu Shih-i uniquely and quoted its content. As a result of one-by-one comparison of the whole text using search function after putting it into the computer, the study found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and quotations. On the other hand, three aspects were revealed when the study examined how Lee Kyu-gyeong quoted T’ien-chu Shih-i in his ‘Cheoksagyo-byeonjeungseol’. First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Fivefold Miscellany of Xie Zhaozhe during the Ming dynasty. Second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Lee Su-kwang’s Jibong Yuseol. Third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detail of interrogation of Jeong Ha-sang. As such, Lee Kyu-gyeong never directly quoted T’ien-chu Shih-i. Yet, what was in common uniquely in quotations of the writings of An Jeong-bok and Lee Kyu-gyeong was Part 5 Section (23) out of whole T’ien-chu Shih-i - investigating and elucidating the issue of ‘human soul’. And this was directly related with the fact that the argument for ‘Human soul never perishes’ was the central theme throughout Part 3 in particular. So, it’s certain that the issue of immortality of human soul was the central theme of the writings of these two scholars by quoting from T’ien-chu Shih-i whether from An Jeong-bok’s all out and straightforward criticism on Catholicism in his Cheonhak Mundap or from Lee Kyu-gyeong’s detailed introduction to the actual state of ‘Cheoksagyo’ in his ‘Cheoksagyo-byeonjeungseol’.

      • KCI등재후보

        유교의 정치이론과 종교교육적 구현

        崔秉喆 韓國宗敎敎育學會 2002 宗敎敎育學硏究 Vol.15 No.-

        유교의 이론은 언제나 도덕과 윤리를 교육철학 내지는 정치원리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한다. 한마디로 국가공동체를 경영하는 데는 무엇보다 먼저 자신을 수양하고 남을 다스려야 한다는 ‘수기치인’으로 설명된다. 자신의 수양은 바로 학문과 교육이요, 남을 다스린다함은 공동체의 안녕과 번영을 위한 정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국가체제의 정치와 교육은 ‘하늘’(天)이라는 절대개념과 이론적으로 불과분의 관계이다. 여기서는 유교의 정치·교육적 해석과 종교교육적 의미연관을 탐색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유교에서 정치적 공동체 이론과 교육적 개별자 이론을 매개하고 절대적 가치로 설정한 것이 하늘의 개념이다. 정치는 하늘의 뜻을 구현하는 일이며 교육의 핵심도 하늘의 뜻과 합일하려는 이론적 근거이다. 정치와 교육이 하늘이라는 절대적·자연적 존재에 의하여 매개되며 그 도덕성에 의하여 종교성이 구현되는 것임을 말해 준다. 가정의 도에는 먼저 어버이부터 모범이 되는 부도(父道)가 있고, 교육에는 사도(師道)가 있으며, 정치적 구현에는 왕도가 있는 바, 군·사·부(君師父) 일체가 성립된다. 이러한 유교의 공동체 이론은 하늘을 절대적 존재로 인식, 정치와 교육적 합일을 이루며 마침내 종교교육적 구현을 이루고자 하는 변증법적 통일성을 지닌다 할 것이다. Confucian political theory has the idea, ‘T'ien Ming’(天命) thought, that all politial decision are derived from Heaven, the absolute being. As a result King is inaugurated by T'ien Ming that are entirely dependent on ‘people's minds’(民心), we have appreciated. Therefore people's minds are stressed first of all in the ‘political road of king’(王道). In the end the ideal community of nation can be formed just when ‘heaven, people and king achieve trinity(天·王·民 三位一體)’. Then we can see a religional pattern in the relations of undivided national units. But the most important unit of nation is people's mind that can't be easily grasped. Only when king plays a role from his mind that loves his people as beings to be loved just as Mencius already proposed that idea, the emperor can be only by people's minds. Mencius compared the political road of king as ideal system to Confucius' desciples more than seventy following him. This is the new proposal of political paradigm that the ideas of road of king is adjusted to the rela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is systm people choose their king on their own judges just as the desciples choose their teachers. In the meanwhile there are the principles of members to perform the community of nation, which are one of the ideas of road of king, and the form of nation. The former is described on the above, the latter is the form of nation from T'ien Ming which is called nine categories of wide models(洪範九疇) The religional performance of politic affairs and education in Confucianism includes the theory that our problem can be solved by ‘recovering our good nature’(道德性 恢復). In a sense the fact is proved that there is the performance of the unity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through T'ien Ming. In conclusions the absolute value in Confucianism is to realize the concept of T'ien, and politics and education are intermediated by T'ien as the absolute and natural being, and the quality of religion is formed by natural morality. For exemple there is father's way in the family, teacher's way in the education, and the trinity of king, teacher and father for the realization of politics, which represents that there is the dialectic seek of unity in various sides in Confucianis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의 주체인) 近畿南人의 天觀 연구

        이대근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8 가톨릭신학 Vol.0 No.13

        조선 후기에 천주교 수용이 이루어진 사상적 기반에 대해서는 아직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단지 단편적이고 표피적인 이해에 머물고 있다. 본고는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의 주체인 근기남인의 天觀을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후일 천주교의 천주사상을 수용하는데 어떤 매개적 기능을 하게 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근기남인의 학문적 연원은 퇴계 이황에게서 시작된다. 퇴계는 당시의 성리학자들이 ‘天’을 철학적이고 사변적인 원리로 인식했던 것과는 달리, 이를 살아서 스스로를 드러내는 절대자로 공경의 대상으로 여겼다. 그리고 인간의 내면적 경건성, 즉 '敬'을 가장 중요시하였다. 17세기 후반 퇴계학파 안에서 ‘근기남인’이란 지류가 발생하였다. 그들은 성리학이 아니라 원시유학 정신의 회복을 지향하는 독특한 학풍을 형성하였다. 그들은 당시의 주류였던 성리학의 무신론적 풍조와는 달리, 천을 초월적이고 인격적인 절대자로 공경하는 종교적 세계를 지향하였다. 본고에서는 17세기 근기남인의 대표적 학자인 허목과 윤휴의 천관을 살펴보았다. 허목에게 있어서 천은 만물을 창조하고 다스리며, 인간의 생명 및 길흉화복을 주관하는 神이다. 항상 아래를 굽어보고 있으며, 백성의 애원 호소를 듣고, 착한 자를 상주고 불의를 미워하는 神이다. 그는 하늘과 사람은 하나의 기운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인간이 아래서 잘못을 저지르면 그 징표가 하늘에서 나타난다고 하여, 경외심을 가지고 하늘의 뜻을 살필 것을 강조하였고, 인간의 도덕적 노력을 중요시하였다. 윤휴는 유교의 경전들을 朱子와는 다르게 독자적으로 해석하여 당시 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윤휴의 천 사상 역시 고대 유교 경전들의 종교적 태도를 계승한 것이다. 윤휴는 그의 저서 곳곳에서 天을 보다 인격적인 호칭인 ‘上帝’로 호칭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상제는 단지 철학적 연구의 대상이 아니라, 만민이 공경하며 섬겨야 할 종교적 대상이었다. 그는 언제나 어디서나 상제가 자신 앞에 현존함을 의식하며 살아야 함을 강조하였다.윤휴는 인간이 자기 마음을 수양함에 있어서, ‘愼獨’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고 가르쳤다. 신독이란 아무도 안 보는 곳에서도, 아무도 모르는 자기의 마음 속 깊은 곳에서도, 상제를 마주 대하는 것처럼 경건한 마음가짐을 지니는 것을 말한다. 그는 신독 여부에 의해서 군자와 소인이 갈라진다고 하면서, 신독의 마음가짐을 지닐 때만 진실한 구도자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허목과 윤휴, 이들이 지녔던 천 사상은 18세기 근기남인들에게 계승되어 더욱 구체화되었고, 18세기 말 천주교의 천주사상이 이 땅에 주체적으로 수용되는 데 중요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studies on the foundations of the Catholic which could be acceptedspontaneously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ien(the heaven) thought of Keunki-namin plays into the acceptance of the modern day Tienzu(the God). Keunki-namin’s academic origin derives from Toigye Yi Hoang. He saw T'ien an absolute being exposing himself alive despite other scholars of Chu-tzu Learning regarded it as a philosophical and speculative principle. And, he considered internal sanctity as the most important one. In late 17th century, Keunki-namin come form the school of Yi Hoang as a branch. They had extraordinary school features working toward healing of the spirit of the ancient Confucianism, not the Neo Confucianism one. Unlike Chu-tzu Learning underlies atheism, they looked forward religious world as respecting Tien as a transcendentally and morally absolute being. This study looked to the ideology of Tien, represented by two famous scholars of Keunki-namin, Huh Mok & Youn Hyou in 17th century. For Huh Mok, Tien is God who creates and governs the world, and supervise thelife of human being and happiness and misery. That is God who always look down and listen to the people’s supplication and gives the prize for the good and hates the injustice. He emphasized the human being’s moral endeavor and believed that if a human being commits any wrongdoing on the earth, then a sign would appear in the sky. Youn Hyou’s Tien ideology also reflected the religious attitude of ancient confucianism scriptures. He called Tien in his texts as more personal designation, ‘Shing-ti’. To him, Shing-ti is not merelyfor philosophical study, but is regarded as the object of religiion which every people must obey and respect. He emphasized that in anywhere people must live with awareness of Shing-Ti is always in front of him/herself. He taught that there is no better than ‘keepping from being alone’ in order to improve one’s mind. ‘Keeping from being alone’ means having devout mental attitude as if seeing Shing-ti face to face where no one can see, in one’s deep mind where nobody knows. He believed that having such a state of mind was the only way to become a member of academia. Hur Mok, and Yoon Hyu's philosophy resonates in 18C Keunkinamin and has forme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allowing late 18C Tien-zu of Catholicism to take place a key belief.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의 주체인) 近畿南人의 天觀 연구

        이대근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8 가톨릭신학 Vol.13 No.-

        조선 후기에 천주교 수용이 이루어진 사상적 기반에 대해서는 아직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단지 단편적이고 표피적인 이해에 머물고 있다. 본고는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의 주체인 근기남인의 天觀을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후일 천주교의 천주사상을 수용하는데 어떤 매개적 기능을 하게 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근기남인의 학문적 연원은 퇴계 이황에게서 시작된다. 퇴계는 당시의 성리학자들이 ‘天’을 철학적이고 사변적인 원리로 인식했던 것과는 달리, 이를 살아서 스스로를 드러내는 절대자로 공경의 대상으로 여겼다. 그리고 인간의 내면적 경건성, 즉 敬 을 가장 중요시하였다. 17세기 후반 퇴계학파 안에서 ‘근기남인’이란 지류가 발생하였다. 그들은 성리학이 아니라 원시유학 정신의 회복을 지향하는 독특한 학풍을 형성하였다. 그들은 당시의 주류였던 성리학의 무신론적 풍조와는 달리, 천을 초월적이고 인격적인 절대자로 공경하는 종교적 세계를 지향하였다. 본고에서는 17세기 근기남인의 대표적 학자인 허목과 윤휴의 천관을 살펴보았다. 허목에게 있어서 천은 만물을 창조하고 다스리며, 인간의 생명 및 길흉화복을 주관하는 神이다. 항상 아래를 굽어보고 있으며, 백성의 애원 호소를 듣고, 착한 자를 상주고 불의를 미워하는 神이다. 그는 하늘과 사람은 하나의 기운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인간이 아래서 잘못을 저지르면 그 징표가 하늘에서 나타난다고 하여, 경외심을 가지고 하늘의 뜻을 살필 것을 강조하였고, 인간의 도덕적 노력을 중요시하였다. 윤휴는 유교의 경전들을 朱子와는 다르게 독자적으로 해석하여 당시 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윤휴의 천 사상 역시 고대 유교 경전들의 종교적 태도를 계승한 것이다. 윤휴는 그의 저서 곳곳에서 天을 보다 인격적인 호칭인 ‘上帝’로 호칭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상제는 단지 철학적 연구의 대상이 아니라, 만민이 공경하며 섬겨야 할 종교적 대상이었다. 그는 언제나 어디서나 상제가 자신 앞에 현존함을 의식하며 살아야함을 강조하였다.윤휴는 인간이 자기 마음을 수양함에 있어서, ‘愼獨’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고 가르쳤다. 신독이란 아무도 안 보는 곳에서도, 아무도 모르는 자기의 마음 속 깊은 곳에서도, 상제를 마주 대하는 것처럼 경건한 마음가짐을 지니는 것을 말한다. 그는 신독 여부에 의해서 군자와 소인이 갈라진다고 하면서, 신독의 마음가짐을 지닐 때만 진실한 구도자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허목과 윤휴, 이들이 지녔던 천 사상은 18세기 근기남인들에게 계승되어 더욱 구체화되었고, 18세기 말 천주교의 천주사상이 이 땅에 주체적으로 수용되는 데 중요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studies on the foundations of the Catholic which could be acceptedspontaneously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ien(the heaven) thought of Keunki-namin plays into the acceptance of the modern day Tienzu(the God). Keunki-namin’s academic origin derives from Toigye Yi Hoang. He saw T ien an absolute being exposing himself alive despite other scholars of Chu-tzu Learning regarded it as a philosophical and speculative principle. And, he considered internal sanctity as the most important one. In late 17th century, Keunki-namin come form the school of Yi Hoang as a branch. They had extraordinary school features working toward healing of the spirit of the ancient Confucianism, not the Neo Confucianism one. Unlike Chu-tzu Learning underlies atheism, they looked forward religious world as respecting Tien as a transcendentally and morally absolute being. This study looked to the ideology of Tien, represented by two famous scholars of Keunki-namin, Huh Mok & Youn Hyou in 17th century. For Huh Mok, Tien is God who creates and governs the world, and supervise thelife of human being and happiness and misery. That is God who always look down and listen to the people’s supplication and gives the prize for the good and hates the injustice. He emphasized the human being’s moral endeavor and believed that if a human being commits any wrongdoing on the earth, then a sign would appear in the sky. Youn Hyou’s Tien ideology also reflected the religious attitude of ancient confucianism scriptures. He called Tien in his texts as more personal designation, ‘Shing-ti’. To him, Shing-ti is not merelyfor philosophical study, but is regarded as the object of religiion which every people must obey and respect. He emphasized that in anywhere people must live with awareness of Shing-Ti is always in front of him/herself. He taught that there is no better than ‘keepping from being alone’ in order to improve one’s mind. ‘Keeping from being alone’ means having devout mental attitude as if seeing Shing-ti face to face where no one can see, in one’s deep mind where nobody knows. He believed that having such a state of mind was the only way to become a member of academia. Hur Mok, and Yoon Hyu s philosophy resonates in 18C Keunkinamin and has forme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allowing late 18C Tien-zu of Catholicism to take place a key belief.

      • KCI등재

        成人을 위한 天命思想 人性敎育 考察

        김수일 한국성인교육학회 2014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7 No.3

        In this essay, we will discuss the identity against adults who faced the desperation and identity crisis. we will also discuss the concept of God in Confucianism and its educational functions. We find that Confucius turned the absolute dignity of Heaven to the idea that Heaven is the immanent being and urged individuals to be morally aware, as well as affirming the factor of the personal Heavenly God as the object of faith. This Confucian concept of God shows that the personal God (Lord-on-High) in ancient China was depersonalized, and came down to the human world. The God in Confucianism takes part in the human society and the worldly order, however limited. In other words, it can work with 'jen 仁', the order of human inside, and 'Li 禮', the consideration of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as the adaptation with no tension between Man and God, and between Man and society. It shows that Confucianism which communicates with something focuses on this worldliness and rationalism as its features. 자포자기와 정체성의 위기에 처해있는 성인들에 대하여 정체성을 확보하고 자신감 있는 삶의 자세를 갖게 하기 위하여 동양고전의 “知天命”을 통한 天思想 人性敎育을 통해 그 해결책을 살펴본다. 인성교육의 구체적 내용은 각 시대와 사상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그 공통적 함의는 참된 인간에의 지향이라고 하겠으며 이것은 先秦 儒家의 天觀에 잘 드러나 있다. 공자 천개념의 사상적 출발은 고대 上帝信仰에서 비롯되어 周代의 정치적 天命思想을 거쳤다. 공자의 천관은 초월적인 면을 무시하지 않으면서도 인간의 자각적 노력 또한 경시하지 않았다. 공자는 인간 주체의 善과 德性의 잠재적 가능성에 대한 신념을 강조했다. 맹자의 천관은 내적인 윤리적 측면에서는 인간 心性의 내면을 추구하여 人間本性의 善함을 天에 根源시키고 있다. 천명은 人性의 내적 근거가 되며, 性善은 천명에 기초한 인정(仁政)과 혁명의 명분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가의 천관은 인격적 완성과 연결된다. 이는 先天的 道德의 가능성으로 시작하여 인격의 완성을 指向處로 하는 자발적 감수성으로 발전했으며 이러한 人性敎育적 함의가 바로 동양의 천관에 함축되어 있다.

      • KCI등재후보

        유가 신관의 종교교육학적 지평

        崔文馨 韓國宗敎敎育學會 2003 宗敎敎育學硏究 Vol.16 No.-

        종교교육의 구체적 내용은 각 종교의 신념과 교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그 공통적 함의는 성스러움에의 지향이라고 하겠으며 이것은 선진 유가의 신관에 잘 드러나 있다. 공자 신개념의 사상적 출발은 고대 상제신앙에서 비롯되어 주대의 정치적 천명사상을 거쳤다. 공자는 전래돼 오던 신앙의 대상으로서 인격적 천신의 요소를 긍정하면서도 천의 절대적 권위를 개인의 윤리적 자각의 촉구하는 내재적 의미의 천개념으로 전향시켰다. 공자의 신관은 초월적인 면을 무시하지 않으면서도 인간의 자각적 노력 또한 경시하지 않았다. 즉 초월성과 내재성, 자율성과 타율성의 융합적 성격을 갖는다. 공자는 인간 주체의 선과 덕성의 잠재적 가능성에 대한 신념을 강조했다. 맹자의 신관은 외적 측면과 내적 측면의 두 가지로 나타난다. 외적인 정치적 측면으로는 『시』·『서』를 중심으로 주대의 천명 정치사상을 민본과 혁명의 근거로 통치자에게 왕도정치(인정)를 제시했다. 또 내적인 윤리적 측면에서는 인간 심성의 내면을 추구하여 인간본성의 선함을 천에 근원시키고 있다. 천명은 인성의 내적 근거가 되며, 성선은 천명에 기초한 인정(仁政)과 혁명의 명분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가의 신관은 인간 개개인의 종교적 완성과 연결된다. 이는 선천적 도덕의 가능성으로 시작하여 인격의 완성을 지향처로 하는 자발적 감수성으로 발전했으며 이러한 종교교육적 함의가 바로 동양의 신관에 함축되어 있다. In this essay, we will discuss the concept of God in Ancient China and its religious functions. We find that Confucius turned the absolute dignity of Heaven to the idea that Heaven is the immanent being and urged individuals to be morally aware, as well as affirming the factor of the personal Heavenly God as the object of faith. This Confucian concept of God shows that the personal God (Lord-on-High) in ancient China was depersonalized, and came down to the human world. The God in Confucianism takes part in the human society and the worldly order, however limited. In other words, it can work with 'jen 仁', the order of human inside, and 'Li 禮', the consideration of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as the adaptation with no tension between Man and God, and between Man and society. It shows that Confucianism which communicates with something focuses on this worldliness and rationalism as its fe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