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해와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김종엽(Kim, Jong Yup)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4

        “세월호 참사”는 우리의 관습적 이해를 넘어서는 하나의 사건이다. 이런 경우 우리는 새로운 이해를 향한 강한 욕구를 느낀다. 하지만 이해의 과정은 사건성을 부인하려는 이데올로기적 개입에 직면할 수 있다. “세월호 참사”에서도 그것의 사건성을 억압하려는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부인이 작동했다. 이 논문은 이런 부인 기제를 사익스와 마차의 논의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세월호 참사”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그것이 엄청나게 트라우마적이었다는 것이다. 그것이 뜻하는 바는 사건의 의미를 추구하는 주체가 피해자, 가해자, 관찰자로 분화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관찰자가 피해자와 동일시하는지 아니면 거리를 두는지가 매우 중요한 이데올로기적인 계기가 된다. 현재적 혹은 잠재적 가해자에 의한 이데올로기적 개입은 관찰자가 피해자에 대해 느끼는 공감과 책임을 분리하고 피해자 집단을 사물화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된다. 세월호 참사 이후 점점더 공공연해져간 “막말”은 이런 “분리”와 “사물화”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런 막말과 그것에 입각한 퍼포먼스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과 공통 의미의 생성을 가로막는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발휘하기도 했다. Sewol disaster is an event that exceeds our conventional frame of understanding. In that case, we come to have a strong need of new understanding. But the pursuits for it can be confronted with the ideological interventions which try to deny eventuality as such. Actually, there have been various ideological denials to suppress the eventuality of Sewol disaster. This paper tries to analyses these mechanisms of denial according to the model proposed by Sykes and Matza’s famous article, “Techniques of Neutralization.” Another important aspect of Sewol disaster is the fact that it is tremendously traumatic. It means that the subjects seeking meanings of the event are likely to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victims, wrongdoers, and observers. And it comes to be a very important ideological moment if the observers identify themselves with or keep their distance from victims. There are two modes of ideological interventions by manifest or latent wrongdoers. The one is to split observers from the compassion and responsibility for victims, the other is to induce them to reify victims. “Hate speeches” toward the victims of Sewol disaster have been more and more openly and vulgarly expressed. That can be interpreted as a symptom for ideological interventions to considerably succeed in leading observers to “splitting” and “reification.” Hate speeches and some “hate performances” have another ideological effect to prevent people from construction new understandings and common-sense about Sewol disa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