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尙州 擎天臺와 시적 공간으로서의 의미

        김승룡 ( Kim Seung-ryong ),최금자 ( Choi Geum-ja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1

        경천대는 낙동강을 끼고 있는 유역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승경지 중 하나로, 과거 경천대 일원은 많은 시인 묵객들이 방문하여 자연의 경관을 노래하거나 시를 읊어 풍류를 즐긴 곳으로 많은 기록이 있다. 수려한 경관 이외에도 임진왜란 때의 명장 鄭起龍(1562-1622) 장군이 젊었을 때 경천대에서 수련을 쌓았던 곳이며, 병자호란으로 인해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청나라 심양으로 볼모로 끌려갈 때, 동행한 雩潭 蔡得沂(1605-1646)가 은거한 곳이다. 경천대는 채득기와의 만남이 있기 전까지는 기우제를 지내는 신령한 곳이나, 아름다운 경관을 지닌 명승지로서만 인식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1636년 병자호란 이후, 채득기가 자천동에 터 잡은 뒤로부터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경천대가 채득기와 함께 인식되었다. 경천대 한시 작품은 첫째, 낙동강을 중심으로 열었던 뱃놀이 문화로 인해 창작된 작품이다. 상주의 낙동강에서 뱃놀이를 하고 시를 창작한 기록은 병진년(1196)에 李奎報에서 임술년(1862)에 柳疇睦까지 666년 동안 총 51회 시회를 가졌다. 이 중에 ‘商山船遊詩會’가 대표적이다. 이 시회는 상주의 제1경으로 알려진 擎天臺에서 배를 띄워 동남쪽의 道南書院을 거쳐 觀水樓에 이르는 30여리의 구간에서 시회가 개최되었고, 1607년부터 1778년까지 171년 동안 총 8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蒼石 李埈(1560-1635)을 중심으로 한 이 선유 시회는 낙강시회의 한 전범이 되었다. 이러한 전통을 이어서 경천대는 문인들의 文會를 위한 공간이었고 특히 船遊의 공간에서 빠지지 않았다. 또한 상주 지식인의 유대관계를 위한 곳으로 이들을 하나로 이어주는 중요한 매개체 즉 소통의 공간이었다. 둘째, 채득기를 회상하고 그의 정신을 담은 작품이다. 채득기가 명·청 교체기에 급박한 위기를 경험했을 때 명과의 의리를 지키고 세상을 피해 은거한 곳임을 형상화하고 있었으며 오랜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이 채득기의 정신이 그대로 녹아 들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경천대가 있는 이곳 상주가 ‘商山’이라 하여 ‘商山四皓’ 같은 덕 높은 은사가 살만한 선비의 고장, 신선의 고을로 일컬어진 것과 상통한다. 특히 상주지역은 낙동강 상류인 안동지역과 전통적으로 밀접한 인맥 관계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퇴계의 제자인 류성룡은 상주에서 제자들을 양성했는데, 그 제자들이 스승에게서 이어받은 선비정신이 일상화하던 지역으로 인식된 것에서 또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Gyeongcheondae is one of the most beautiful scenic spots in the basin along the Nakdong River. In the past, there are records of many poets and calligraphers visiting the Gyeongcheondae area and enjoying the scenery by singing or writing poetry. Aside from its splendid scenery, Gyeongcheondae is the place where the famous general Jeong Gi-ryong (鄭起龍, 1562-1622) trained in his youth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Joseon (1592-1598). It is also the hiding place of Udam Chae Deuk-gi (蔡得沂, 1605-1646) who accompanied Crown Prince Sohyeon and Prince Bongnim when they were taken as political hostages to Shenyang in the Qing Dynasty due to the Qing Invasion of Joseon. In particular, Gyeongcheondae was recognized only as a sacred place for rituals for rainfall or a scenic spot with beautiful scenery until its encounter with Chae Deuk-gi. Then, after the Qing Invasion of Joseon in 1636, after Chae Deuk-gi settled in Jacheon-dong, Gyeongcheondae became widely known to the world and it was recognized together with Chae Deuk-gi. Gyeongcheondae Sino-Korean poetry works are first created because of the boating culture that opened around the Nakdong River. The record of writing poetry while boating in the Nakdong River of Sangju covers a period of 666 years from Yi Gyu-bo(李奎報) in the year of Byeongjin (丙辰年, 1196) to Yu Ju-mok(柳疇睦) in the year of Imsul (1862), leaving a total of 51 poems. According to the record, the ‘Sangsanseon Poetry Party(商山船遊詩會)’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is boating poetry party was held in a section covering a distance of about 30-li from Gyeongcheondae, known as the First Scenery of Sangju to Gwansuru(觀水樓) Pavilion via Danamseowon Confucian Academy(商山船遊詩會) in the southeast, and the party was held a total of 8 times during 171 years from 1607 to 1778. This boating poetry party centered on Changseok Yi Jun (蒼石 李埈, 1560-1635) became a model for the Nakgang Poetry Party. Following this tradition, Gyeongcheondae was a space for literary clubs for literati, especially it was second to none as a pleasure boating space. In addition, it was a sp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Sangju intellectuals, an important medium that connected them together. Second, many literati recall Chae Deuk-gi and leave works that contain his spirit. In other words, when Chae Deuk-gi experienced an imminent crisis during the Ming-Qing transit period, Gyeongcheondae was described as a place where he hid from the world by keeping his faithfulness to Ming. Sangju, where Gyeongcheondae is located, is called Sangsan(商山) so it was compared to “Sangsansaho (商山四皓, The Four Sages of Shang Shan)” where scholars and hermits with high morals and deities deserve living. Sangju is an area with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surrounding Andong area. For example, Ryu Seong-ryong(柳成龍), a disciple of Toegye, trained disciples in Sangju, who recognized Sangju as an area where the scholarly spirit inherited from the master was prevalent.

      • KCI등재

        우담 채득기의 경천대 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

        이유진 ( Yoo Jin Lee ),김수진 ( Soo Jin Kim ),심우경 ( Woo Kyung S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선비인 우담 채득기가 경영한 경천대 일원의 산수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경영과 자연경물에 대한 명칭부여는 동시대 지식인들의 자연관 형성에 투영되었을 뿐 아니라 정원문화의 유행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우담 채득기는 경북 상주의 낙동강변에서 은거하며 산수를 경영하고, 유유자적하는 삶을 살고자 하였는데, 그가 경영한 경천대 28경은 성리학적 절의와 충절의식에 입각하여 자연경물에 이름을 붙이고 자신의 미의식을 현실화하는 등 산수경영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세부적인 경관의 명칭으로는 크게 ``대명의리와 충절``, ``신선사상`` 그리고 풍유와 소요자적 삶에 따른 ``산수경영의지``, 마지막으로 ``학문탐구`` 등을 상징하였다. 또한, 경천대 일원의 28경처 중 특별히 10가지의 경관을 선택하여 자신이 실제 소요하거나 유희했던 장소를 중심으로 소상팔경의 경관어휘인 시간과 계절 그리고 기상의 변화를 서정적으로 노래하고 있는데, 이는 자연환경의 변화를 통한 소우주의 섭리를 이해하고자 한 당시의 산수경영의 유행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담 채득기는 자신이 은거한 경천대 일원의 산수경영을 명·청 교체기라는 조선의 상황을 비유하여, 자연의 경물에 이름을 붙이고, 또 암울한 사회를 극복하고자 노력한 것은, 그가 평소 강조한 의리와 절개라는 조선선비들이 가져야 할 덕목을 가치 있게 내세운 성리학적 자연관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made on the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 which is shown at nature management around Gyeongcheondae managed by Udam Chae Deug-gi, scholar in Joseon dynasty. Naming the nature management and natural features not only reflected on the formation toward the view of nature by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but influenced on the fashion of garden culture. Udam Chae Deug-gi dwelt in the riverside of Sangju, Kyungbuk as the characteristics of hermitage and managed landscape and had a willing to live a life free from worldly cares. The Gyeongchundae 28 landscapes, which was managed by himself, represent that natural features are named on the basis of neo-confucian principle and loyalty and he imposed symbolic meaning on landscape management by practically translating his aesthetic consciousness to reality; the name of detailed landscape is largely ``loyalty to Ming dynasty and to king`s order and loyalty``, ``Taoism`` and ``Management will of landscape`` by the life of metaphor and enjoyment, and symbolizes ``Searching for learning``. In addition, by selecting 10 out of 28 landscapes around Gyeongcheondae, lyrically describing the landscape by representing the change of time, season and the climate which is the scenic term of Great 8 Sosang views in fashion at that time focusing on the place he strolled or enjoyed watching himself; it can be seen that such moves are related with the landscape management in fashion in order to understand microcosmic providence with the change of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Udam Chaedeug-gi is regarded as the neo-confucian view of nature for which any value scholars in Joseon dynasty have to own - ``loyalty`` and ``integrity`` - he usually emphasized himself to name the natural features and overcome the darkness of society comparing the landscape management around Gyeongchundae he lived a life free from worldly cares to the situation of Joseon dynasty when a transition times between Ming and Chung comes from Chin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