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음악이 인공지능을 만났을 때 -민요 학습데이터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김병오 한국민요학회 2023 한국민요학 Vol.67 No.-

        It’s fairly common knowledge that music has been transformed by its interaction with technology. Just as the length of music has been drastically shortened in the era of streaming services, music society will undergo another change in the era of AI. Recently, social interest in A.I. has been rising as it has begun to be popularized in earnest. In particular,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large-scale language model (LLM) technology, which has been entering the market with rapid momentum since 2023, has been attracting social attention because it creates creations by crossing the domains of literature, music, and art and improves its performance at a rapid pace. However, it seem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dustry, centered on folk songs, has not yet established an active relationship with this trend.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explore how the ecosyste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ed on folk songs should carry out practices in the rapidly changing technological environment through a review of cases related to AI data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comprehensively building data for AI learning by promoting the Data Dam project in 2020. This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nd experienced the entire process of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music resources into data for AI learning.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problem cases were captured and analyzed to reflectively examine how folk song data can become a more effective resource for AI. Through the case analysis, we examined the value of folk song resources as data for A.I. technology and examined the affinity of folk songs with A.I. among various traditional music. As a result, we concluded that folk songs have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that can be established as the first gatewa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to meet A.I. in the A.I. era. 음악이 기술과 상호작용하면서 변모해 왔다는 것은 우리에게 꽤나 익숙한 통념이다. 스트리밍서비스의 시대를 맞아 음악의 길이가 대폭 짧아지는 양상이 나타났던 것처럼 음악사회는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또다른 변화를 맞이할 것이다. 최근 인공지능의 본격적인 대중화가 시작됨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2023년 들어 빠른 기세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는 대규모언어모델(LLM)기술 기반의 인공지능은 문학, 음악, 미술의 영역을 넘나들면서 창작물을 만들어내고 빠른 속도로 성능 향상을 거듭하고 있어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민요를 위시한 한국 전통음악계는 아직까지 이러한 흐름과 적극적 관계를 맺지 않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민요를 중심으로 한 한국 전통음악의 생태계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기술적 환경 속에서 어떠한 실천을 수행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인공지능 데이터 개발 관련 사례 검토를 통해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정부는 2020년 데이터댐 사업을 추진하면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전방위적으로 구축해 왔다. 데이터댐에는 국악 데이터도 포함되었는데 본 연구자는 해당 사업에 참여하여 우리나라 전통음악자원을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로 개발하는 전 과정을 경험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문제 사례들을 포착하고 분석하여 어떻게 하면 민요 데이터가 보다 효과적인 인공지능의 자원이 될 수 있는지 반성적으로 검토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을 위한 데이터로서 민요 자원의 가치에 대해 검토하였고 다양한 전통음악 가운데 민요가 가진 인공지능과의 친화성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민요는 인공지능 시대에 우리 전통음악이 인공지능과 만나는 첫 관문으로서 자리매김 할 만한 특성과 강점을 지니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국립국악원 민요공연의 역사적 전개

        서인화 한국민요학회 2023 한국민요학 Vol.68 No.-

        As the successor of court music institute during Joseon Dynasty, National Gugak Center began to include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in many different performances after its foundation in 1951. In the early days of the center, popular folk songs from central and Northwestern region were performed more than any other regional folk songs. With the establishment of Folk Music Troupe in 1981, the repertory was expanded into the folk songs from Southwestern region. Around the year of 2000, the center produced musicals based on folk songs from central and Northwestern region, gyeongseodo-sorigeuk, in order to popularize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Later, the musicals of the center were expanded to include Pansori (epic song) and other art songs. Moreover, collaborations with drama, movie, and popular musical have been experimented. Also, song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are sung in Creative Gugak Children’s Song Contest. And Creative Music Troupe in the center performs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in the orchestra and the local branches of the center put local folk songs on the stages. 이 글은 국가 공연기관인 국립국악원에서 민요공연이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국악원은 1951년 개원한 후 조선시대 장악원을 통해 전승된 궁중음악, 정악을 중심으로 민속악을 수용했다. 이후 국악원의 옴니버스식 공연에 민요는 대개 빠짐없이 들어 있었다. 개원 초창기 ‘국악감상회’, 무형문화재 공연에서는 경서도 명창들이 주로 공연했는데, 통속민요와 잡가가 주로 불렸다. 특히 무형문화재 제도 수립 이후, 국악원에서 개최하게 된 무형문화재 공연은 민속악연주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민속악단을 창단하는 계기가 되었다. 1981년 민속악단 창단 이후에는 경서도 단원들의 소리 뿐 아니라 남도민요를 포함하여 민요공연의 폭이 확대되었다. 2000년대 무렵 국악원은 민요를 대중화하고 국악원 민속악단을 국립극장 창극단과 차별화하고자 경서도소리극을 제작했다. <시집가는 날>로 대표되는 경서도소리극은 성황을 이루었으며, 외부 민요계에도 영향을 주어 국악 공연의 다양성을 확대했다고 평가된다. 국악원의 소리극은 경서도소리극으로부터 이후 판소리 등 각종 성악을 포괄하는 소리극과 음악극 방향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현재 국악원 민속악단 단원을 민속악단 초기와 비교할 때 남도 계통 인원만 증가한 것과 일치한다. 국악원은 이러한 인적 구성의 조건 속에서 국악 대중화를 위해 정악과 민속악을 함께 하며 연극, 영화, 뮤지컬 등 다른 장르와 협업을 시도했다. 한편, 서울 국악원의 교육사업과 창작악단 창단 그리고 지역 국악원 개원으로 민요에 기반한 동요, 창작 관현악 공연, 향토민요의 무대화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악원은 개원 이후 국악계의 종가로서 무형문화재 공연과 소리극 개발, 지역 공연 활동으로 민요를 전승하고 보급해 온 것처럼 앞으로도 시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아리랑’을 소재로 한 공연콘텐츠 개발방안 : 전남도립국악단을 중심으로

        김광희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3 콘텐츠 문화 Vol.3 No.-

        ‘아리랑’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아리랑’은 기본적으로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를 포함한 후렴구와 가사로 이루어진 노래 군을 가리키며, 지역마다 독특한 ‘아리랑’이 전승된다. ‘아리랑’의 노랫말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단순하면서도 문학적인 가사와 음률 덕택에 즉석에서 지어 부르기, 따라 하기, 함께 부르기 등이 쉽다. ‘아리랑’은 인간 창의성, 표현의 자유 등을 존중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아리랑’은 영화, 뮤지컬, 춤, 문학작품 등 다양한 예술분야의 주제로 활용되고 있다. ‘아리랑’은 이러한 연유로 2012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본 연구는 ‘아리랑’의 가치와 특성을 알아보고 각 지역의 아리랑 콘텐츠 활용사례 및 정부의 지원정책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남도립국악단’의 ‘아리랑’을 소재한 공연콘텐츠 개발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전남도립국악단’은 시설투자 보다는 ‘아리랑’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아리랑’ 활용 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에 초점을 맞춰 나가야 한다. 공연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방안으로는 첫째 ‘아리랑’ 브랜드 개발, 둘째 ‘아리랑’ 공연프로그램 개발, 셋째 ‘아리랑’ 학술조사 및 아카이브 구축, 넷째 ‘아리랑’ 교육프로그램 마련, 마지막으로 남북이 공감할 수 있는 ‘아리랑’ 프로그램 개발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실증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의 ‘아리랑’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면서 많은 지원정책과 계획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 같은 계획이 국가적인 이벤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말의 성찬(盛饌) 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아리랑’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관계기관의 지속적인 지원과 국민적 관심이 끊이지 않도록 모두가 노력해야한다. "Arirang" is Korea’s one of the most well known traditional folk songs. It is a song that uses "Arirang, arirang, ara-ri-yo" in its chorus and lyrics. Depending on the different regions of Korea, each distinctive regional "Arirang" has been inherited down. The lyrics of "Arirang" deal with a variety of different subjects. Due to its simple and literary lyrics and melody, it is very easy to ad-lib the song, easy to sing after hearing it once, and also very easy to sing as a group. The characteristic of "Arirang" is that it respects the creativity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of one individual. Moreover, "Arirang" is dealt and applied in various movies, musicals, dances, and literature pieces. For the above reasons, "Arirang" was register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2012. This report deals with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Arirang." It will look at the practical usage examples of “Arirang” contents according to each region and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Through this, it is targeted to provide development methods for the ‘Jeollanamdo Provincial Gugakdan“ using “Arirang” as the performance content. “Jeollanamdo Provincial Gugakdan” must focus on developing “Arirang” related program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Arirang” applied programs rather than focusing on facility investment. For the development method of performance contents programs, the below have been provided. First, to develop a brand of “Arirang.” Second, to develop “Arirang” performance programs. Third, to establish an academic research and archives for “Arirang.” Fourth,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on “Arirang.” Last, to develop an “Arirang” program that can be well acknowledged by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near future, a practical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hrough a more in-depth research. Many policies and support plans have come up after “Arirang” was register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NESCO. In order for this plan to be successful and not be a rain in the parade that can often be seen in national events, there needs to be development-distribution of a lot of different programs using “Arirang.” Also, everyone has to work together so that the related agencies’ continuous support and public interest does not fade a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