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 무덤 위의 푸른 잔디」에 나타난 자서전적 텍스트성 연구

        윤인선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여성문학연구 Vol.27 No.-

        Goh Jung Hee and her literary understood as tool of social movement. But this perspective is a result of ignorance about wide spectrum of poetry world and experience in her life. This perspective applies to Green Grass on the Grave. But focusing on shamanic rite and language, Green Grass on the Grave has other meaning. Because of shamanic rite has autobiographical narrative of Dangol in problem solving process, they are inscribed cue of autobiographical textuality. For this, this thesis uses conception of J. Silverman’s autobiographical textuality which focuses on the process of forming 'in-between'. This thesis studies cue of autobiographical textuality formed in religious and social dimension in Green Grass on the Grave. In this process, this thesis argues about self formed between Christianity/Shamanism or tradition/religion, and about textual configuration of Goh Jung Hee’s self extended between popular movement/feminism. Goh Jung Hee’s self inscribed in text by literary language generalizes down to poetic language 'mother'. In Green Grass on the Grave, 'mother' is connoted Goh Jung Hee’s experience and contradiction in life and wish about resolution of it by shamanic rite forming by poetry-writing. In other word,'mother' is a literary self of Goh Jung Hee. So, beyond of the message of social movement, Green Grass on the Grave regards as literary autobiography, which has autobiographical textuality formed 'between' life and literary of Goh Jung Hee,using shamanic rite and language. 기존에 고정희를 바라보던 시선들은 고정희의 문학을 주로 ‘사회운동’이라는 편향된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이는 고정희의 삶에 나타난 다양한 모습들과 문학이 지니고 있는 넓은 스펙트럼을 간과하고 몇몇 선험적 어휘로 해석해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고정희 문학을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읽어내려는 노력은 굿의 형식을 한 「저 무덤 위의 푸른 잔디」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하지만 굿의 언어는 문제제기와 해결의 과정에서 단골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전의 다른 작품에 비해 내용적인 면과 형식적인 면 모두에서 온전한 굿의 모습을 띠고 있는 「저 무덤 위의 푸른잔디」에는 사회적 메시지를 넘어서 고정희의 삶에 대한 서사, 즉 자서전적 텍스트성의 흔적들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자서전적 텍스트성’을 ‘/’에서 즉 경계면에서 형성되어가는 과정으로 보는 실버만(J. Silverman)의 논의를 통해볼 때, 「저 무덤 위의 푸른 잔디」에는 삶과 문학을 비롯한 다양한 영역들의 경계면에서 형성되는 고정희의 자서전적 텍스트성과 문학적 자아의 흔적이 각인되어 있을 것이다. 본고는 「저 무덤 위의 푸른 잔디」에 나타난 자서전적 텍스트성의 흔적들을고정희 삶에서 종교적 차원과 사회 운동의 차원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 과정을 통해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에 나타난 무교의 모습은 고정희의 삶에서기독교와 무교, 전통과 종교의 길항작용 ‘사이에서’ 형성된 자아의 흔적으로, 사회운동에 관한 모습은 민중운동과 여성운동의 경계 ‘사이에서’ 확장되는 고정희의 자아가 텍스트에 각인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문학적 언어로 텍스트에 각인된 고정희의 자서전적 텍스트성은 ‘어머니’라는 시어에서 종합된다.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에 나타난 ‘어머니’는 고정희가 경험한 다양한 삶의 모순을 시 쓰기를 통해 형성한 굿판에서 해원하고자하는 고정희의 바람이 담겨진존재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머니’는 고정희가 경험한 현실과 그것을 위로해줄 수 있는 신적 존재의 모습을 통해 고정희 삶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나타내면서 동시에 앞으로 추구해나갈 바람이 담긴 ‘문학적 자아’인 것이다. 따라서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는 굿을 바탕으로 한 민중극과 같이 사회운동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저항시를 넘어서 굿의 언어를 통해 고정희의 삶과문학의 ‘사이에서’ 형성된 자서전적 텍스트성이 담긴 문학적 자서전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들잔디와 금잔디 수집종의 지역별 적응성 및 봉분 실증 평가

        장석원,성창현,배은지,구준학,윤정호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3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are native turfgrass in Korea. Z. japonica is used throughout the country, but Z. matrella is weak in the cold climate and restricted to the southern areas. Z. matrella has a lot of advantages such as fine leaves, high density and excellent texture, so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for various purpo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verwintering survival of the Z. japonica 10 and Z. matrella 18 ecotypes collected from across the country in Yangju, Eumseong, and Namhae areas from 2014 to 2015. Each of the two species was also selected and compared with the adaptability as grave covering grass in virtual grave mounds of actual size in Hapcheon, Gyeongnam province from 2017 to 2018. All of Z. japonica ecotypes overwintered in three areas, but 38.9, 83.3, and 88.9% of Z. matrella ecotypes in the Yangju, Eumseong, and Namhae areas survived through winter, respectively. The strip-sodded graves with two species were established in May 2017. In both Z. japonica and Z. matrella graves, ground-coverages were over 90% by Korean thanksgiving day’ mowing (Beolcho),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pecies in coverage rates. Survival rates of grave-cover plants of Z. japonica and Z. matrella in the following year with over-wintering were 80% and 28%, respectively. Z. japonica suffered damage in the northern slopes of the grave, but Z. matrella plants suffered with great damage in the northern and western slopes. In green-up timing, Z. japonica was faster than Z. matrella, and the slope of the grave proceeded in the order of south>east>west>north. During the winter season, soil temperatures and moisture in the grave remained low in the order of south>east>west>north slopes. 들잔디와 금잔디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한국잔디이다. 들잔디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사용되지만, 내한성이 약한 금잔디는 남부 지방에 제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금잔디는 세엽, 높은 밀도, 우수한 질감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금잔디의 묘지 잔디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지에서 수집한 들잔디 10 계통과 들잔디 18 계통을 3개 지역(경기 양주, 충북 음성, 경남 남해)에서 2014년-2015년 중에 월동 후 생존율과 그린업 시기를 조사하였다. 또한 2017년-2018년에는 금잔디 1계통과 중엽 들잔디 1품종 밀록 을 경남 합천에서 실제 조성한 가상의 봉분에 피복하여 묘지 잔디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들잔디는 모든 평가 지역에서 월동 후 생존하였으나, 금잔디는 양주, 음성, 남해에서 각각 38.9, 83.3, 88.9%의 개체가 월동하였다. 들잔디와 금잔디 봉분에서는 모두 5월 줄떼 식재 후 9월 추석 전 벌초까지 90% 이상이 피복되어 두 종 사이에는 피복 속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들잔디와 금잔디의 월동 후 생존율은 각각 80%와 28%로 큰 차이를 보였다. 들잔디는 봉분의 북쪽 방향에서 동해를 입었으나, 금잔디는 북쪽과 서쪽 방향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봉분에서의 그린업은 들잔디가 금잔디보다 빨랐으며, 봉분의 남쪽>동쪽>서쪽>북쪽 방향 순서로 진행되었다. 동계 기간 중 묘지의 토양 온도와 수분은 남쪽>동쪽>서쪽>북쪽 순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 KCI등재

        15~16세기 울산지역 주거형식에 대한 연구

        황대일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0 No.38

        Structure and character of living in Ulsan that assessed the date from 15th to 16th century were analyzed, it is search all over character and function by dwelling style on examination written description in records and folk material on the foundation of structure. It might be classified the dwelling style in Ulsan from 15th to 16th century into site of pit-dwelling(mud-wall hut) and ground buildings(grass-roofed, tile-roofed house). As analyzing inside structure by dwelling style, typical style of pit-dwellings in Ulsan from 15th to 16th century was square in flat. It seemed that arrangement for heating and cooking was fireplace. It is characterized pillar placement as non-column. ground building ‘一’ shape in flat. The constructing form for pillar location seemed to be characterize pole-stand type on scale of 2 or 3 partition in front view, 1 or 2 partition in side view. Character of pit-dwelling site might be come in three varieties. The first, residence as group village for the people of the relative lower classes than who lived in grass-roofed, tile-roofed house. The second, site of hut built near a grave by correlation living and grave. The third, inferred temporary residence for hunting and fishing from settlement that was known with producing ruin, excavated remains including of iron arrowhead, fishing net sinker, etc.. It could be come in four varieties that ground building site of character and function. The first residence where was construct for general living. The second, storehouse for use of special purpose that bedroom or storeroom etc. which connected with cattle stable. The third, function of temporary storing place that took dryness etc. for a product or linked site of workshop with producing ruin of porcelain kiln etc. The fourth, site of assembly hall which was constructed for public purpose, there were differences from building of residence, storehouse on arrangement, volume, structure, location to building in village. 15~16세기에 편년되는 울산지역 주거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구조를 바탕으로 문헌에 기록된 기사와 민속자료를 검토하여 주거형식별 기능과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5~16세기의 울산지역 주거형식은 수혈식주거지(土室)와 지상식건물지(草家, 瓦家)로 분류할 수 있다. 주거형식별 내부구조 분석을 통해 15~16세기 울산지역 수혈식주거지의 전형적인 모습은 평면형태 방형이며, 난방․취사시설은 벽로, 기둥배치는 무주식의 특징을 가진 형태로 볼 수 있다. 지상식건물지는 평면형태 ‘一’자형이며, 정면 2~3칸×측면 1~2칸의 규모로 기둥자리 축조형태는 굴립주식의 특징을 가진 형태로 볼 수 있다. 수혈식주거지의 성격은 3가지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하층민의 취락으로 瓦家, 草家 보다는 상대적으로 신분이 낮은 하층민이 거주한 주거이며, 집단의 마을이 확인된다. 둘째, 주거와 분묘의 상관관계를 통한 묘막지이다. 셋째, 임시거주지로 생산유구와 함께 확인되는 취락과 어망추, 철촉 등의 출토유물을 통하여 어로행위나 사냥을 위한 임시적인 거주지이다. 지상식건물지의 기능과 성격은 4가지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일반적인 주거를 목적으로 축조된 주거용이다. 둘째, 특수목적의 용도 즉, 소마구에 딸린 방이나 헛간 등의 용도로 사용된 창고이다. 셋째, 자기가마 등의 생산유구와 관련된 공방지 또는 생산된 물건의 건조 등의 임시저장소의 기능이다. 넷째, 취락 내에서 건물의 배치와 규모, 구조, 입지에 있어서 주거용이나 창고의 건물과는 차별성이 보이며, 공공의 목적으로 축조된 공공집회소이다.

      • KCI등재

        고정희 굿시의 재매개 양상 연구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를 대상으로-

        장서란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서강인문논총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dium between Goh Jung Hee’s gut-poetry (shamanic rite poetry) through re-mediation, and to clarify the participation significance of gut-poetry based on this. Goh Jung Hee’s gut-poetry re-medias the medium of “gut” with the medium of “poetry” in the literary transformation of “gut” instead of “representation of gut”. This is a poetic strategy as a literary transformation. Goh Jung Hee has “objective” as a gut’s proposal of solving problems. For this reason, gut-poetry is in gut's form of progress and linguistic conventions, which makes gut’s medium for a person as described above. However, gut-poetry shows a difference from gut in that adjusts not the power of “God” but the power of “people.” This starts with the goal of “actual solutions” that solve problems through the power of people, rather than “symbolic solutions” that solve problems through the power of God. Therefore, gut-poetry’s bonpuri (tracing to God’s origin) in Green Grass on the Grave, the bonpuri of “people” is presented first from “God” and the direct problem-solving ability of “God” is absent. Gut-poetry’s narrative has the principle of solving problems by the power of “people”, which creates muthos for solving problems. It also closes the gap between the ritual(symbol) and the present(reality) by introducing actual political and historical problems. Furthermore, not only sitigim (symbolic action) but also the actual action of the revolution will be presented and then dewpuri will proceed. This is a poetic strategy for achieving a actual solution by accepting the gut’s form. By having gut's ritual feature, gut-poetry seeks purpose and direction. Also b y transforming gut’ form, gut-poetry produces the “humam” as the subject for solving a problem. Further, by extending the gut of the field through the medium of poetry, it broadens the scope of the participants and thereby has the significance of solving the current problems. 본고의 목적은 재매개 개념을 통해 고정희 굿시의 간매체성과 이를 통해 달성되는굿시의 참여적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고정희 굿시는 단순히 굿의 재현이 아닌 굿의 문학적 변용으로서의 시적 전략이다. 고정희는 문제 해결이라는 굿의 ‘목적성’을 전유한다. 이를 위하여 굿시는 굿의 진행 형식과 언어적 관습을 따르며, 이는 독자로 하여금 굿의 매체성을 상기하도록 한다. 그러나 굿과 달리, 굿시에서는 ‘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 ‘신’은 ‘사람’ 을 협력하게 함으로써 인간 해방을 촉구하는 정신적 기반으로서 존재하며, 굿시에 있어 진정한 해결자는 ‘사람’으로 제시된다. 이는 신의 힘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상징적 해결’이 아닌 사람의 힘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 해결’을 꾀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된다. 굿시는 굿의 제의성을 전유함으로써 시에 목적과 방향을 부여하며, 굿의 양식을 변용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주체로서의 ‘사람’을 생산한다. 나아가 시의 매체성을 통하여굿의 현장성을 확장함으로써 참여자의 범위를 넓히며, 이를 통하여 현실 문제의 해결을 꾀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