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컬리즘과 지역문화연구

        홍순권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6

        The concerns about the local culture have grown rapidly since the local autocracy system began in the early 1990s in Korea. As a reflection of such a phenomenon, the concept of the glocalization or glocalism has widely spreaded so far recently in the academical society of Korea. The ‘glocalization’ is a newly-coined word which was combined with both word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means that the today's world has inclination to develop both the globalization and the localization which are quite different and contradicted each other in appearance.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was used as a business terminology at least before 1990, but it is used now also as a cultural or sociological concept explaining the new phenomenon which happens between the regions(local communities) nowadays. The ‘Hanlyu’(the spread of the Korean styles) is often incited as one of examples which support such a view. The glocalization does not mean the parallel phenomenon of both the globalizaion and localization. It expresses a will to make the new formation of the horizontal rela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networks. In other word, it could be translated into the inter-local rel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ter-national relation. It is generalized more and more rapidly in a few decades. It is a cultural-social phenomenon internationally, but can not be identified with the cutural imperialism. Today the great concern about the glocalism demands the new recognition on the local culture. That is, we have to study and interpretate the local culture new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calism. Because the local culture is not the sub-culture subjective to the national or global culture, but it belongs to its independent category of the local culture itself from the viewpoint of glocalism. In short, the space of glocal cuture explained as a local space and a global space at same time. This explanation of cutural space, so-called ‘the culture glocalism’ is supported by the culture theorist such as Ramond Williams and other theorists on cultural science. There are many examples which explain the glocal phenomenon of culture in the past pre-modern society as well as in modern or post-modern society. Through all the times the best example of the glocal cultural space is the city. As we know, the city has been and is now the symbolic space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t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ill be good examples of the research if we want to study the urban culture as a local culture at this time from the view of the glocalism. So, I suggest the joint research of culture, history, and the other social sciences about the 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hich will help us understand more deeply the phenomenon of the cultural glocalism in the 21th century. 최근 학계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을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보완적 또는 대안적 현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글로칼적인’ 세계화의 중요한 특징은 교류의 주체가 반드시 국가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지역단위 또는 개별 생산단위 주체간의 직접적인 교류가 확대된다는 데 있다. 이는 ‘지역의 자립’과 ‘지역과 지역간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차원 수평적 관계의 새로운 공동체간 관계의 형성이라는 이념적 지향을 담고 있다. 오늘날 글로컬리즘에 대한 관심의 고조 현상은 세계화에 대응한 지역(지방)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도 조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지역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해석에 대한 욕구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은 산업화의 관점에 머물고 있을 뿐, 아직은 ‘글로컬리즘’ 시대에 걸맞은 지역문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새로운 가치의 창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글로컬리즘에 의한 지역문화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글로컬리제이젼을 문화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면, ‘글로컬리즘’이란 인간적 삶의 표현으로서의 문화가 생산되는 공동체로서의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관계망을 의미하는 개념이 된다. 한마디로 ‘세계적인 동시에 자국적인[지역적인] 공간’이 ’글로벌-로컬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의 발전이 바로 ’글로컬리즘 공간‘이다. 이러한 문화 공간을 해석하는 문화이론이 곧 ’문화-글로컬리즘‘이다. 지역문화는 중앙과의 관계 속에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생산과 소비, 그 양자를 매개하는 유통의 문화공간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즉, 글로컬리즘의 관점에서는 민족문화에 있어서 지역문화의 자립화와 국제간 교류(세계화)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민족문화의 범주를 뛰어넘어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우리는 현대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도시문화의 실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도시문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다문화주의 또는 글로컬리즘 시대의 도시화, 즉 지역문화의 이상적 모델을 탐구할 수 있다. 오늘날 도시문화의 특징적 현상인 이주문화, 다문화 또한 글로컬리즘의 해석이 요구되는 지역문화 연구의 주요한 과제이다.

      • KCI등재후보

        두 개의 글로컬라이제이션, 두 얼굴의 글로컬 - 글로컬라이제이션 개념을 배경으로 한 문화콘텐츠 기획의 허와 실

        김성수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0

        ‘Glocal’ is a widely used term now, but it is also a term that defies a precise definition. ‘Glocal’ in its present usage appears to drift between the concept of glocal within globalization and the concept of glocal as a strategic alternative that attempts to go beyond globalization. This drift stems from the tension between the “universal” global culture and the “individual” local culture as well as from the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hybrid. The universal-individual distinction has been with us for 250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Western intellectual history. Recently, ‘Glocal’ is becoming a useful ideology in the planning and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which target global audience. For this reason, people seem to have a fantasy towards the concept of glocal. It is because the concept of glocal makes the planning of global cultural contents easier and also makes it easier to explain globally famous cultural contents in practical terms. From the perspective of hybrid, however, glocal has its challenges. Hybrid glocal cultural contents have to meet greater expectations in terms of the degree of completeness, multiformity, and novelty. This makes it plausible to claim that ‘glocal’ has two faces. ‘글로컬’은 일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정체가 완전하게 규명되지 않은 단어이다. 원래 어떤 단어든 특정 사용자에 따라 또는 이해에 따른 구체적인 사용 선호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며, 여러 복잡한 내용을 함축하고 있는 단어들은 특히 더 그렇다. ‘글로컬’ 역시 예외가 아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글로컬’은 글로벌라이제이션 내에서의 글로컬 개념과 글로벌라이제이션을 넘어서고자 하는 전략적 대안으로서의 글로컬 개념 사이에서 부유하고 있다. 물론 보편-개별 개념은 2500년 서구 지성사와 함께 지속되어온 내용이므로 이 개념을 이용하여 해석한 글로컬라이제이션 개념은 설득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인 글로벌문화와 개별적인 로컬문화 사이의 긴장, 나아가 문화혼종에 대한 이해 상황은 이처럼 글로컬에 대한 두 가지 개념 문제를 만들어낸 듯하다. 필자는 이를 두 개의 글로컬라이제이션으로 규정하고 그 내용을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했다. 또한 이런 상황이 발생하게 된 이유를 문화에 내재된 보편성과 특수성이라는 원초적 문제, 그리고 자국의 특성 및 유리한 면에 중점을 두어 글로컬라이제이션 개념을 자신들의 성향에 맞게 유용하고자 한 점으로 파악해서 논증하였다. 최근에는 이 글로컬 개념으로 인해 한 국가의 문화콘텐츠 제작기조까지 비평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문화콘텐츠 기획에 있어서의 기초적인 플랜도 미리 밑그림을 그려볼 수 있게 되었다. ‘글로컬’이 국제용 문화상품 기획·제작·분석에 있어서 하나의 주효한 이데올로기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한류의 미래 역시 글로컬 개념과 함께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글로컬 개념이 세계상품화를 기획하는데 있어서 보다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고 있으며, 기존의 세계적인 유명콘텐츠들까지 쉽게 설명할 수 있게 해주고 있는 탓이다. 바로 이런 이유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글로컬 개념에 대해 막연한 환상을 갖게 된 듯하다. 그러나 혼종이라는 차원에서 보면 글로컬은 상당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다. 혼종된 글로컬문화콘텐츠는 그렇지 않은 콘텐츠보다 훨씬 더 완결성, 다양성, 참신성에 부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를 두 얼굴의 글로컬로 규정했다. 본고는 글로컬 개념에 대한 양가적 특성 및 가치를 살펴보는데 주안을 두었으며, 향후 어떻게 ‘글로컬’에 접근해야 하느냐와 관련된 몇몇의 논의들을 다루었다.

      • KCI등재

        글로컬리즘과 지역문화연구

        홍순권 ( Soon Kwon H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6

        최근 학계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을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보완적 또는 대안적 현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글로칼적인`` 세계화의 중요한 특징은 교류의 주체가 반드시 국가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지역단위 또는 개별 생산단위 주체간의 직접적인 교류가 확대된다는 데 있다. 이는 ``지역의 자립``과 ``지역과 지역간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차원 수평적 관계의 새로운 공동체간 관계의 형성이라는 이념적 지향을 담고 있다. 오늘날 글로컬리즘에 대한 관심의 고조 현상은 세계화에 대응한 지역(지방)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도 조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지역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해석에 대한 욕구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은 산업화의 관점에 머물고 있을 뿐, 아직은 ``글로컬리즘`` 시대에 걸맞은 지역문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새로운 가치의 창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글로컬리즘에 의한 지역문화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글로컬리제이젼을 문화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면, ``글로컬리즘``이란 인간적 삶의 표현으로서의 문화가 생산되는 공동체로서의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관계망을 의미하는 개념이 된다. 한마디로 ``세계적인 동시에 자국적인[지역적인] 공간``이 ``글로벌-로컬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의 발전이 바로 ``글로컬리즘 공간``이다. 이러한 문화 공간을 해석하는 문화이론이 곧 ``문화-글로컬리즘``이다. 지역문화는 중앙과의 관계 속에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생산과 소비, 그 양자를 매개하는 유통의 문화공간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즉, 글로컬리즘의 관점에서는 민족문화에 있어서 지역문화의 자립화와 국제간 교류(세계화)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민족문화의 범주를 뛰어넘어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우리는 현대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도시문화의 실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도시문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다문화주의 또는 글로컬리즘 시대의 도시화, 즉 지역문화의 이상적 모델을 탐구할 수 있다. 오늘날 도시문화의 특징적 현상인 이주문화, 다문화 또한 글로컬리즘의 해석이 요구되는 지역문화 연구의 주요한 과제이다. The concerns about the local culture have grown rapidly since the local autocracy system began in the early 1990s in Korea. As a reflection of such a phenomenon, the concept of the glocalization or glocalism has widely spreaded so far recently in the academical society of Korea. The ``glocalization`` is a newly-coined word which was combined with both word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means that the today`s world has inclination to develop both the globalization and the localization which are quite different and contradicted each other in appearance.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was used as a business terminology at least before 1990, but it is used now also as a cultural or sociological concept explaining the new phenomenon which happens between the regions(local communities) nowadays. The ``Hanlyu``(the spread of the Korean styles) is often incited as one of examples which support such a view. The glocalization does not mean the parallel phenomenon of both the globalizaion and localization. It expresses a will to make the new formation of the horizontal rela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networks. In other word, it could be translated into the inter-local rel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ter-national relation. It is generalized more and more rapidly in a few decades. It is a cultural-social phenomenon internationally, but can not be identified with the cutural imperialism. Today the great concern about the glocalism demands the new recognition on the local culture. That is, we have to study and interpretate the local culture new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calism. Because the local culture is not the sub-culture subjective to the national or global culture, but it belongs to its independent category of the local culture itself from the viewpoint of glocalism. In short, the space of glocal cuture explained as a local space and a global space at same time. This explanation of cutural space, so-called ``the culture glocalism`` is supported by the culture theorist such as Ramond Williams and other theorists on cultural science. There are many examples which explain the glocal phenomenon of culture in the past pre-modern society as well as in modern or post-modern society. Through all the times the best example of the glocal cultural space is the city. As we know, the city has been and is now the symbolic space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t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ill be good examples of the research if we want to study the urban culture as a local culture at this time from the view of the glocalism. So, I suggest the joint research of culture, history, and the other social sciences about the 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hich will help us understand more deeply the phenomenon of the cultural glocalism in the 21th century.

      • KCI등재후보

        율곡학의 글로컬 전망 및 구축 연구

        유성선 ( You¸ Sung Se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1 韓國思想과 文化 Vol.104 No.-

        본 논고는 COVID-19 Pandemic 이후의 Post-코로나 및 Post-휴머니즘을 준비하는 일단의 율곡학의 글로컬 전망과 구축에 관한 연구이다. 이 논의와 전개는 율곡학의 Glocal이 주체가 되어 제 4차산업혁명 AI시대, 빅데이터, 5G, 정보공간, Metaverse 등의 가상공간을 통한 학술적 가치와 정신사 구축이 소명의식이다. 본 논고의 키워드는 율곡학, 글로컬, 해외한국학, 가상공간, 문화사상 창달이다. 본 논고의 모든 논의의 근거와 화두는 Glocal이다. 논자는 20여년간 50여회 한중한국학 국제학술세미나,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세미나, 율곡사상 국제학술세미나, 유로원아시아재단의 국제학술세미나, 홍천학과 남궁억 대상 등에 주제발제 및 주관으로 참여하면서 Glocal 확장을 키워드로 연구진작을 할 수 있었다. 이는 Post-코로나, Wideu-코로나, Post-휴머니즘 시대에 우리가 확장해야 할 글로컬의 전망이다. 본 논고에서는 율곡학의 Glocal 입장에서 논자가 고민해 온 연구진작의 여정을 시작하였다. 논문의 차제는 율곡학의 글로컬 현황과 과제/율곡학의 글로컬 전통의 현대적 해석/ 율곡학의 글로컬 전망 및 구축이다. 율곡학의 글로컬 연구를 정리하면서 논자는 COVID-19 Pandemic 이후의 Post-코로나 및 Post-휴머니즘에 맞추어 한국을 중심으로 Glocal의 권역 전체를 포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철학을 중심으로 한 Glocal의 문사철을 연구와 통섭할 수 있는 학문후속 세대의 인재 양성이 절실하게 요청되며, 그러한 시대적 요청에 수용하려고 한 것이 본 논문의 목적임을 밝혀 둔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glocal prospects and construction Yulgok studies in preparation for Post-Corona and Post-Humanism after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discussion and development, the glocal of Yulgok Studies is the main subject and it aims to construct academic value and spiritual history through cyberspace such as the AI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ig data, 5G, information space, and metaverse. The key words of this study are Yulgok Studies, glocal, overseas Korean Studies, cyberspace, and development of cultural thoughts. The grounds for all the discussions and the topics in this study are glocal. This researcher was able to carry out a study with a keyword, the expansion of glocal, since I have presented and participated as the host in more than 50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s, including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by Korean-Chinese Korean Studies,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by The Society of Korean & Chinese Humanities, Yulgok Philosophy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by One Asia Foundation, Hongcheon Studies and Nam Gung-eok Award over the past 20 years. This is the prospect of glocal that we need to expand in the era of Post-Corona, With-Corona, and Post-humanism. This study began the journey of research that this researcher has been considering from the glocal point of view of Yulgok Studies. The follow-up study is about the glocal current status and tasks of Yulgok Studies; the glocal a modern interpretation of traditionof Yulgok Studies; and the glocal prospects and construction of Yulgok studies. In summarizing the study on the glocal of Yulgok Studies, this researcher thinks that it needs to cover the whole glocal area, centering on Korea, in line with Post-Corona and Post-Humanism after the COVID-19 pandemic. It is urgently required to nurture new talents who can embrace the ideology, culture, and history of glocal centered on Korean philosophy.

      • KCI등재

        영화 속 영웅을 통해 본 진정한 세계화 : 새로운 전 세계적 영웅(Universal Superheroes)

        조소연(Cho, Soyeon)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0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

        진정한 세계화(glocalization)는 세계화(globalization)의 패러다임을 넘어선 또 하나의 새로운 이 시대의 변화의 물결이다. 강대국 중심으로 세계의 질서가 재편된 세계화는 진정한 의미의 세계화가 될 수 없다, ‘지역적 세계화’라고도 해석되는 Glocalization은 기존 세계화와는 차별성을 가지고 지역적으로 접근하는 국제화를 가리킨다. 이 개념은 ‘국가’라는 단위 보다 ‘지역’의 단위로 해체되어 재조합되는 새로운 ‘국경’을 보여준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국가를 초월하여 활발하게 유통되는 ‘문화콘텐츠’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하나의 사례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 보기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는 문화콘텐츠인 영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영화는 ‘영화산업’이라 독립적으로 불릴 만큼 큰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미학, 철학, 영상학 등의 여러 학문이 녹아들어있는 예술로써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대중들이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예술이자 여가시간 활용의 수단으로도 사랑받고 있다. 새로운 국경의 시대 영화는 어떤 모습으로 변화하였는지 그 모습을 보기위해 영화 중에서도 특히 ‘영웅’을 주인공으로 하는 영웅영화만을 가지고 논의를 전개했다. 영웅영화는 전 세계 최대 영화 공급지라 할 수 있는 할리우드를 대표하는 영화인 동시에, 할리우드가 있는 ‘미국’을 대표하는 미국의 색이 짙은 영화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국민을 대상으로 제작되던 영회는 세계 시장의 범위가 변화함에 따라 관객의 범위가 전 세계인으로 확대되면서 그 영화가 가지고 있던 세계관도 함께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할리우드 영화 속 세계관과 할리우드 영웅영화의 변화를 통해 영화의 진정한 세계화(glocalization)를 보고, 한편으로는 거대공급원이 아닌 지역의 영웅 영화를 통해 ‘수신→발신’이 정형화된 과거의 영화시장이 ‘수·발신↔수·발신’이라는 새로운 모형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영화시장은 ‘일방적인 제작과 소비’의 형태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이러한 변화는 세계화(globalization)의 부작용이라 일컬어지는 ‘문화침략’이나 ‘문화침투’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진정한 세계화(glocalization)를 정착시킬 수 있는 여건의 변화를 보여준다. 그러나 타문화에의 진정한 관심과 올바른 이해 없이는 자칫 왜곡된 문화를 영화 속에 녹여낼 것이며, 그것은 소비하는 관람객들에게 잘못된 문화인식을 심어주게 될 것이다. 이것을 경계하고 글로컬 시대에 맞는 글로컬 문화콘텐츠를 만들어내기 위한 바람직한 자세를 결론에서 간단하게 언급해보고자 한다. Glocalization is a new phase of transition that goes beyond the preexistent paradigm of globalization, which has been based on the hierarchy of dominant nations. On the contrary, glocalization or local globalization refers to internationalization with an emphasis on the uniqueness of local cultures. It demarcates new boundaries which can be drawn by the unit of a region instead of the one of a nation. Cultural content is in the heart of all these changes by being circulated regardless of national boundaries. This essay mainly argue about cinema as the exemplary cultural content that has been appreciated on a worldwide scale. Cinema has been burgeoning into one of the most important modern genres as remarkably as it even has established its own territory called movie industry . In terms of culture, it is not only the most accessible genre but also the highly acclaimed field in which aesthetics, philosophy, motion-applied media aesthetics and other disciplines intermingle with one another. Hero movies are mainly discussed in the essay in order to trace back how cinema has been changed in the era of new boundaries. It is because they represent both Hollywood, the biggest distributor of movies to the world, and the American mentality. Movies are not made at the target of their nation-state citizens any longer; instead, the whole world has become its spectator. The emergence of new type of audience has forced Hollywood movies to reflect different world views from the past. We can see how glocaliz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world views and transformation of heroes in those movies. We can also understand that the hero movies released from local minor distributors schematize a new communication model: it replaces the old linear model of send versus receive with the one of send-receive versus send-receive . The film market can be no longer explained to its full extent with the term of one-way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 fact is a positive clue to indicate that the side effects of globalization such as cultural aggression and cultural penetration have retreated from our culture, and that glocalization will be stabilized in our society thereby. In the conclusion, I will make a short remark on the desirable attitude to produce glocal cultural content that by nature corresponds to this glocal age. The attitude would prevent us from representing another culture on the basis of nonsensical ignorance and prejudice, and from instilling the insalubrious cultural conceptions into audience.

      • KCI등재

        지역, 액티비즘, 페미니즘 - 페미니즘에 기반한 지구지역 액티비즘 -

        고정갑희 ( Kojeong Gaphee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09 여성학연구 Vol.19 No.-

        This article aims to define the meaning of ‘local’ in the ‘Global Age’. In the stream of globalisation, ‘local’ can exist as a resisting or an alternative area, region and space to the present world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 if it avoids its closed circuit. I name this resisting and alternative agency of ‘local’ as ‘glocal activism’. The term ‘glocal’ is the combination of ‘global’ and ‘local’. When I use the term ‘glocal activism’ the glocal' differenciates with the economic ‘glocalisation’ which attempts to control locality through globalisation. This article also aims to define the role of feminism in the ‘Global Age’. Feminism, in its herstory, has been established as a critical thought for the present age. It is an embracing umbrella of the crucial issues of the present age. It encompasses the questions of gender, sexuality, class, race and species. Therefore activism requires feminism and ‘glocal activism’ needs orientation of feminism. Feminism as a thought can support the resisting power and alternatives to global patriarchal discriminations, neoimperialism and neo-liberalism. This kind of feminism can be called ‘glocal feminism’. The instances of the feminism oriented ‘glocal activism’ are domestic workers, irregular women workers, and sex workers movements. At present the domestic labor movement is spreading globally. To make this movement as an instance of glocal activism, to theorize domestic labor as an intimate and irregualr gendered labor is necessary. And to connect the local activism of the domestic labor in each region or country is necessary, too. In South Korea the movement has not been started. Glocal activism of the domestic labor can be a good influence on South Korean situation.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domestic workers, the local movement of irregular workers and the sex workers should be expanded to glocal activism.

      • 글로컬 문화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유제상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5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4 No.1

        Glocalization is an alternative term for ‘globalization’. Glocalization is often used as a background theory in recent cultural studies. The reason is that the culture has an opposite position to ‘global’ unified. And culture includes a ‘variety’. Therefore glocalization form a region called glocal cultural studies. Glocalization covers a variety of destinations, such as space, visualization, publishing, marketing, and (so called) ‘Korean Wave’. However, it is not discussed in more detail above for glocalization meth layer ye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researchers study was recently started to glocalization. Therefore, researchers do not feel the need to gather together glocal cultural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glocal cultures. This analysis will show the importance of glocal cultures.

      • KCI등재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역사학

        최갑수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硏究 Vol.- No.57

        세방화(世方化) is a korean translated word for 'glocalization' as a compound word of 'global localization'. What is doing the history of glocalization? For me as historian, glocalization is a method of study as well as an object of study. 1) Glocalization is equivalent of globalization as a historical entity. So the history of glocalization is exactly a history of globalization. But it examines closely the heterogeneity and variety, not the unilaterality and homogeneity of the globalization. After all, it means a multifaceted approach to globalization. 2) Also, the history of glocalization demands to consider two aspects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ogether. Though all the historical phenomena do not comprise these two aspects as synchrony, I can discover new features of many modern revolutions through the problématique of glocalization. Because a revolution could be seen really as a shortcut pathway to modernity, we can discern the influences which revolutionaires' strategies of appropriating and 'localizing' the contents of revolution had given to the historical processes of modernity in the form of the revolution. To sum up, here I propose a new approach as an analytical means, which would be called as the Studies of Revolutions in terms of Glocalization. ‘세방화’(世方化)란 ‘glocalization’의 번역어인데, 이는 ‘global localization’의 합성어이다. 세방화의 역사학을 한다는 것은 무엇을 행하는 것일까? 역사가로서 필자는 세방화를 연구주제이자 연구대상인 동시에, 연구의 관점이자 방법으로 본다. 1) 세방화란 역사적 흐름에서는 ‘세계화’에 다름 아니다. 따라서 세방화의 역사학이란 곧 세계화의 역사학을 말한다. 하지만 그것은 후자와는 달리 세계화의 일방성이나 동질성을 찾기보다는 비균질성과 다양성을 규명한다. 결국 세방화의 역사학이란 세계화에 대한 풍성한 접근을 뜻한다. 2) 아울러 세방화의 역사학이란 ‘세계화’와 ‘지방화’의 두 측면을 함께 고려할 것을 요청한다. 모든 역사현상이 이런 두 측면을 공시태로 함께 아우르고 있지는 않지만, 필자는 19-20세기의 혁명들은 세방화의 문제의식을 통해 접근하여 새로운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고 본다. 사실 혁명은 근대세계에서 근대성을 속성(速成)으로 이룩해내는 지름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는데, 우리는 혁명이라는 근대성의 형식 속에서 혁명가들이 그 내용을 전유하여 ‘지방화’하는 전략이 역사과정에 미친 영향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여기선 결국 일종의 가설을 제시하는 셈인데, 그것을 세방화의 혁명학(革命學)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 [A 2.5] 딥러닝을 활용한 특허 수명 예측 분석

        최재웅,정병기,윤장혁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7 한국시뮬레이션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특허의 기대 수명은 특허 가치 평가에서 필수적인 추정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특허 수명은 전문가의 정성적인 평가나 과거 경험에 의존해 평가되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이렇게 추정된 수명은 급변하는 다양한 기술환경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특허의 수명을 평가 할 수 있는 계량적인 모형을 제시한다. 1)대량의 미국 만료 특허로부터 수명과 연관된 지표를 추출하고, 2)특허 유지료 납부 데이터로부터 특허의 수명을 계산하여, 3)딥러닝을 활용해 특허 수명 예측 모형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계량화된 특허 수명 예측 모형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초기 특허에 대한 객관적인 수명평가가 가능하다.

      • KCI등재

        Directions for Glocalization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 Sang Ho Han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14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19 No.1

        This paper theorizes the concept of glocalization as a wavicle of globalization and glocalization, and suggests lobalization as its future directions for English education in Korean EFL context. The paper begins with discussion of wavicle as non-dualistic Zen Buddhist representation of wave-particle continuity of matter which has been in use since the New Physics movement of 1920`s. This wavicle logic representing itself as both A and B as complement to the mechanistic classical view of either A or B, is applied to discussion of glocalization. The study points out that glocalization as expansion from globalization has been framing the mind-sets of ELT professionals in a value-neutral, autonomous mechanism where effectiveness is pursued at the cost of value and human integrity. In an effort to redress this unbalanced practice of glocalization, the author argues as much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local sensitivity as on global awareness. Master`s way, or the Beginner`s mind approach to teaching English is introduced as an example of this inclusive glocalization, Finally, the concept of lobalization is proposed as possible future directions for gloc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