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the Global and Regional Institutions: The Case of the UN Development Cooperation Forum and the OECD 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 Adel Bouda ),( Sook Jong Lee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7 국정관리연구 Vol.12 No.2

        This paper is a first attempt to apply the regime complex analysis to the issue area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mainly applied for the study of international trade and environment regimes. We focu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UN Development Cooperation Forum (DCF) and the OECD-led 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GPEDC). Following a synthetic approach combining the realist and institutionalist IOs theories, and drawing also from the literature on the interrelations between global and regional institutions, we tried to relate the strategic actions of state actors, mainly traditional and emerging development cooperation providers, to the dynamic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CF and the GPEDC, and its observed patterns: cooperation, competition and division of labour.

      • KCI등재

        개발협력과 기업의 글로벌 사회적 책임(Global CSR) : 가나 자동차 기술교육센터 ODA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3

        This paper considered for the meaning and role of glob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Global CSR) in a viewpoint of development cooperation and for the future prospects of development cooperation business based in Global CSR. This research is largely divided into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ase studies, and as a whole th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indicators such as socal and economic accountability,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ject, job creation possibility, the quality of jobs. Especially the case study about automotive technical training centre ODA business in Ghana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question 'Global CSR could play a role as job creating mechanism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other words, through this case analysis of Korea's ODA business the Global CSR could contribute substantially to job creation beyond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enterprises in developing countries in terms of the possi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participated private enterprise in developing cooperation process. Through research it was concluded that the Global CSR could be useful as a mechanism to activate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that can be enable to leverage the know-how and finance resources of the private sector in development cooperation. 본 논문은 개발협력에서 기업의 글로벌 사회적 책임(Global CSR)이 차지하는 의미와 역할 그리고 이에 기반 한 개발협력사업의 향후 전망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했다. 연구는 이론적 논의와 사례분석으로 구분되며, 기업의 사회경제적 책무성(accountability), 사업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일자리 창출 가능성(job creation possibility), 일자리의 질(job quality) 등의 지표를 가지고 수행되었다. 특히 가나 자동차 기술교육센터 ODA 사업 사례 분석을 통해 Global CSR을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이 기업의 윤리적 책무성을 넘어 해당국가 내 일자리 창출(job creation)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성을 진단했다. 결론적으로 개발협력에서 민간 기업의 노하우와 재원을 활용할 수 있는 민관협력(PPP) 사업 활성화의 기제로서 Global CSR이 유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사이버범죄 방지를 위한 글로벌 수사협력 체제로의 전환:글로벌 거버넌스 측면에서

        김희영,조준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신안보연구 Vol.- No.170

        제공을 의미한다. 사이버범죄의 위험은 날로 증대하여 그 영향력이 국가비상사태를 초래하는 수준으로 커지고 있다. 사이버범죄는 전문기술자를 포함하여 더욱 조직화되고 있으며, 국가간의 연결을 위한 인터넷의 특성은 사이버범죄를 세계화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국제화된 사이버범죄에 맞서 싸우기 위해서는 글로벌 거버넌스에 의한 글로벌 수사협력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인터폴이나 UN과 같은 국제조직은 지금까지는 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더욱 효과적인 통제는 국제협력 이상의, 민관조직이 모두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필요로 한다. 글로벌 거버넌스는 글로벌 수준의 사이버범죄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국가단위 사이버범죄 대응조직은 한 국가내에서의 수사와 범인검거를 위한 커뮤니케이션과 IT인프라 운영에 국한되지만 국경을 초월한 국가기관간의 협력과 국가수준의 전문가 참여는 심각한 범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 된다. 국제적인 법률 매커니즘은 국가의 협력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조건이 된다. 국가간의 상충되지 않는 세계 공통의 형사법의 개정과 집행이 가장 첫 번째 단계이다. 그리고 국제협약에 의한 상호 협력의 합의가 두 번째 단계인데, 국제기구를 통한 공동선언과 같은 합의는 국가수준의 전문가와 전문기관 혹은 정부기관의 국제적인 협력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 단계는 협력을 위한 IT 인프라와 커뮤니케이션 매커니즘을 통해 효과적인 사이버범죄에 대응하는 단계이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3단계의 사이버범죄 대응을 위한 체제로의 전환방법을 제시한다. The rapid expansion of computer connectivity has provided cyber-space for criminals to offend cross-border. Increasing risk of cyber-crime is so big that the impact is national emergency level. The criminals are evolving to have organization with the special roles and experts. The transnational nature of cyber-crime reflects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To combat with those kinds of international cybercrime, We need to prepare global prevention mechanism based on global governance. The role of multinational agencies such as Interpol and the United Nations has been essential now. But effective control of cyber-crime requires more than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urity agencies. Global governance would be the solution to build the global level cyber-crime prevention. National cyber-crime agency has the role of the communications and IT infra operation to facilitate detection and investigation in the nation region.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national agency and experts has taken a number of significant steps to facilitate cross-border cooperation in international criminal matters. International legal mechanism for cooperation in law is essential. Enforcement and harmonization of law is the first step. And Multilateral agreement and international treaty is the next step for cooperation of the agencies and experts in the nations. At the last step, IT infrastructure and communication mechanism for cooperation with nations are prepared against cybercrime. We propose the 3 steps for global prevention mechanism against cyber-crime in this paper.

      • KCI등재

        Impact of Global Governance on Regional Cooperation The G20 Summit and East Asian Financial Cooperation

        Hyun Seok Yu 한국학술연구원 2019 Korea Observer Vol.50 No.1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global-level governance mechanism on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in East Asia since the G20 Summit was launched in 2008. First, the G20 has not had much impact on East Asian financial cooperation There has been slow but continuous progress in existing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based on the IMF-linked 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 Second, Chinese-led regional financial initiatives have burgeoned as a result of China s dual-track policies on global financial govern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global governance–regional cooperation relationship. First, the relationship varies by the legitimacy and effectiveness of global governance. Second, the leading country s role is crucial in shaping the direction of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and hence, the global governance–regional cooperation relationship. Finally, the relationship is complementary in the case of East Asia. However, with China s new regional initiatives, the global financial architecture will be more fragmented.

      • KCI등재

        개발협력의 다층적 거버넌스와 지방정부의 글로컬ODA: 부산글로벌도시재단 개발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연경심 국립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4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8 No.1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conducting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ely by conceptualizing Glocal ODA. Recently, the global governance of development cooperation has been changed by the presence of various actors and their roles. In a spectrum of changes, it was witnessed that vertical connectivity between global and local aspects in development affairs. COVID-19 ignited horizontal relations for co-existence and solidarity. These were interpreted as multi-level governance which emphasized the role of connecting spatial hierarchy and horizontal relations in development cooperation affairs. Local governments could be an entity to materialize it. This study conceptualized it as Glocal ODA and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ODA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s. And then, it was reached to the implications for local governments on how to satisfy the required actions in the changed atmosphere of development cooperation. Traditionally, development cooperation has been regarded as a sector mainly led by nation states and their central governments. It is aligned with the newly discussed issues of decentralised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study carried out an analytical framework presenting the features of Glocal ODA and investigated the trends and cases of decentralized development co-operation by local governments in overseas countries. In order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domestic local governments, these were compared with the status and cases of ODA condcuted by local governments in domestic areas. As results, domestic local governments were not critically away from the demands of Glocal ODA but still struggling with the limits. Thus, this study proposed three ideas: redefining the roles of local governments as a part of global society beyond domestic aspects, enhancing the intuitions, policies, resources and contents of development cooperation interventions by local government in pursuit of being active players and empowering the systems and capacities of local governments, the development cooperation actors in global society rather than the entity under the guidance of central governments.

      • KCI등재

        국내 우수 연구자의 R&D 국제협력 활동도 분석 연구 : 가사로봇 분야를 중심으로

        유화선,김윤명,양치승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기술혁신학회지 Vol.22 No.4

        With the progres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recent years, the convergence, complexity and segment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intensified,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R & D is becoming more and more active. However, the level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Korea is very low due to low research capacity, closure of R & D ecosystem, and lack of proactive syste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fact, in the evalu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of the country in 2018, the index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tems in Korea was just it of the 29th lowest among 35 OECD countries and thus the level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needs to be improve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ctivities between domestic and global core researchers using the KDD / KM collaborator network analysis technique, which is a big data analysis methodology, as a way to promot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ddition, we have studied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finding cooperation targets for increasing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domestic researchers. The research target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home-working-robotics field which shows the highest market growth rate among the promising industries of robot technology in the future. More specifically, we have identified the statu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networks amo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nowne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home-working-robotics, and analyzed the degree of their activities to derive strategic implications for promo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domestic researchers.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과학기술 융・복합화 및 세분화의 가속화에 따른 R&D 국제협력이 점차 활발해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연구역량 열위, 연구개발 생태계 폐쇄성, 국제협력 대상 능동적 발 굴체계 부재 등으로 인해 국제협력 활동도가 매우 미흡한 편이다. 실제로 2018년 국가과학기술 혁신역량평가에서 우리나라 국제협력 항목지수는 OECD 35개국 중 최 하위권인 29위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나 국제협력 활동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개선방안 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인 KDD/KM 공동연 구자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국내와 글로벌 핵심연구자 간 국제협력 활동 비교・분석을 통해 정 확한 현황을 진단하고, 국내 연구자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해 능동적 협력대상 발굴을 위한 발전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 분석대상은 미래유망산업 로봇 분야 중 가장 높은 시장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가사로봇 분야 를 선정하였다. 가사로봇 분야 국내 및 글로벌 상위 핵심 연구자 간 국제협력 네트워크 현황 및 활동도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연구자의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규범 형성에 있어 지구시민사회의 역할 : OECD 개발원조위원회 원조효과성을 위한 고위급회담 (DAC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을 중심으로

        김의영(Euiyoung Kim),홍지영(Jiyoung Hong)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4 국제관계연구 Vol.19 No.1

        2000년대 들어 빈곤과 불평등의 감소를 위한 노력이 확대되면서 글로벌 차원의 국제개발협력 규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2003년 로마에서 시작된 OECD DAC의 원조효과성 고위급회담의 마지막 회담인 2011년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에서는 전통 공여국 및 원조대상국과 더불어 신흥공여국과 관련 국제기구, 지구시민사회, 지방정부 및 의회, 학계 등 다양한 행위자가 참여하여 협력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특히 부산 총회에서 의제의 핵심이 기술적 측면의 원조의 효과증진에서 포괄적인 개발효과성 담론으로 확대되는데는 2008년 아크라회의 이후 독립적인 행위자로 인정받아 DAC 프로세스에 공식적으로 참여한 지구시민사회의 역할이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일련의 국제회의를 통한 국제개발협력 규범의 형성과 변화에 있어서 지구시민사회의 역할과 그 기여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제2절에서는 국제회의를 통한 지구시민사회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일반적인 이론들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경험적 분석을 위한 근거 틀을 설명한다. 제3절은 국제개발협력 규범의 출현과 확산, 내재화 과정에서의 지구시민사회의 대응을 분석하고 제4절에서는 부산총회의 아젠다 및 회의구조의 변화와 그 결과문서를 분석하여 지구시민사회의 영향력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제5절은 국제규범형성에 있어 시민사회의 기여가 주는 함의를 되짚어보면서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향후 노력을 모색하고자 한다.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norms are highlighted in the 21st century as global community has focused on the reduction of global poverty and inequality. The series of OECD DAC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HLF), started in Rome in 2003 and concluded in Busan in 2011, have cultivated cooperative partnership among various actors such as traditional and emerging donors, recipients countri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global civil society, local government and legislative branch, and academia. Global civil society, participating in HLF process as an official independent actor since Accra, is acclaim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its agenda to a comprehensive ‘development effectiveness’ from the technical issues of ‘aid effectivenes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global civil society in forming and develop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norms through a series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Chapter 2 examines theories presenting the influence of global civil society, focusing on constructivist approach and transnational discursive democracy and explains the reference framework for empirical analysis. The third chapter provides details of global civil society’s strategy in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diffusion, and internaliza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norms. The following chapter discusses the global civil society’s influence on the result of HLF4 by analyzing core agenda, structural changes of HLF4 and its Outcome Document, Busan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The final chapter represents the implications of the civil society’s contribution.

      • KCI등재

        경쟁과 협력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처리 유형의 역할

        김영조(Kim Yeung Jo),송시연(Song Sie Yeoun) 韓國商品學會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1

        According to prior research on competition and cooperation, more positive effect was emerged in the cooperation contexts than in the competition contexts. However, the current research proposed that the effect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depend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yles. In specific, the research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fit between competition-cooperation and global-local process on message persuasiveness and product attitud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t between competition-cooperation and global-local process influenced the message persuasiveness and product attitudes. For the message persuasiveness, in the competitive context, participants rated the ad message as more persuasive in the local process condition than in the global process condition, whereas in the cooperative context, participants rated the ad message as more persuasive in the global process condition than in the local process condition. For product attitudes, in the competitive context, participa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in the local process condition than in the global process condition, whereas in the cooperative context, participa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in the global process condition than in the local process condition. Additionally, it revealed that the effect of the fit between competition-cooperation and global-local process on product attitudes was mediated bymessage persuasiveness. Thus, the current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effect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depend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yles. 경쟁과 협력에 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경쟁적 상황보다는 협력적 상황이 긍정적인 결과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정보처리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경쟁-협력과 글로벌-로컬 프로세스의 일치성이 메시지 설득효과와 제품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경쟁-협력과 글로벌-로컬 프로세스의 일치성이 메시지 설득효과와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경쟁적 상황에서는 글로벌 프로세스 조건에서보다 로컬 프로세스 조건에서 메시지 설득효과가 더 높았으며 협력적 상황에서는 로컬 프로세스 조건에서보다 글로벌 프로세스 조건에서 메시지 설득효과가 더 높았다. 또한 제품태도에서도 경쟁적 상황에서는 글로벌 프로세스 조건에서보다 로컬 프로세스조건에서 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높았으며 협력적 상황에서는 로컬 프로세스 조건에서보다 글로벌 프로세스 조건에서 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높았다. 추가적으로 경쟁-협력적 상황과 글로벌-로컬 프로세스의 일치성이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메시지 설득효과가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경쟁적 상황과 협력적 상황이 정보처리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포스트-2015 개발시대의 분절적 글로벌 개발협력 거버넌스: 유엔개발협력포럼(UNDCF)과 부산글로벌파트너십(GPEDC)을 중심으로

        김태균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5 국제지역연구 Vol.24 No.3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encouraging the formation of complex networking among multi-stakeholders through varieties of global dialogue platforms in order to enter into the post-2015 development era. While UN-centered platforms have been taking leaderships for discussing how to forge the SDGs, non-UN networks also have been working for the same goals even though the latter dealt with almost same agendas and mandates with UN. The overlapping of the two groupings results in the fragmentation of global governance for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Therefore, it is urgent to not only reconstruct the global governance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wake of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in September but also create a new coordination process for institutionalizing an effective and integrative platform and implementation mechanism. For this matter, this study focuses on two crucial global platforms of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Cooperation (UNDCF) and the 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GPEDC), and compare them to detect risks and problems when they are conducting the overlapped mandates. In particular, some policy suggestions will be provided for reforming the current fragmented structure of global governance by applying the Foucaultian governmentality and framing effects onto the UNDCF and the GPEDC. 포스트-2015 개발시대로 진입하기 위하여 국제사회는 다양한 협의체와 포럼을 구성함으로써 그 의도와 상관없이 주요 행위자 간의 복합적인 관계성을 조성하고 있다. UN 중심의 복잡한 협의체가 SDGs 논의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채널로 제도화되고 있는 반면, 非UN 네트워크를 토대로 형성된 다양한 협의체들이 UN과 연동되어 협력하거나 동일한 의제 및 이행기제를 중복적으로 다루면서 발생하는 분절적인 문제들이 목도되고 있다. 포스트-2015 개발시대를 맞이하여 개발협력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의 재구성이 필요한 시기이며, 다양하게 표출되는 대안적 담론과 정책적 제안들을 효과적․통합적으로 제도화하고 추진할 수 있는 조절기제가 구축되어야 하는 숙제가 남아 있다. 여러 협의체들이 지속적으로 중복된 제안과 결과물을 상호 공유하거나 경쟁하고 있지만, 그 중 가장 핵심적인 거버넌스의 플랫폼으로 공진하고 있는 ‘유엔개발협력포럼(United Nations Development Cooperation Forum: UNDCF)’과 ‘효과적 개발협력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GPEDC)’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현재 SDGs를 위한 글로벌 개발협력 거버넌스의 현주소를 이해하고 그 분절적인 위험 요소를 진단한다. 특히,UNDCF와 GPEDC로 대표되는 포스트-2015 개발의제 관련 글로벌 플랫폼의 중복적 분절성이 초래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미셸 푸코의 통치성(governmentality) 관점에서 인식하고 분절적인 구조를 수정․보완할 수 있는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생물다양성협약 이행 지원 프로그램 기획·운영(Ⅵ)

        김충기,구경아,홍현정,차은지,김종호,( Jun Ga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사업보고서 Vol.2020 No.-

        Ⅰ. 서 론 ❏ 사업 배경 ㅇ 국제사회는 1992년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생물다양성협약을 채택하였고, 협약 이행을 위해 당사국총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제10차 당사국총회(2010년, 일본 나고야)를 통해 『2011-2020 생물다양성 전략계획』을 채택 - 동 전략계획은 2050년까지 생태계를 유지하고 지구 혜택을 지속 향유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2020년까지 달성해야 하는 목표를 제시 - 2019년 기준 목표 달성률은 9.4%로(IPBES, 2019, p.22), 달성률 제고를 위한 정책·과학·기술적 대응, 협력 기반의 이행 체계 마련 등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시기임(김충기 외, 2019, p.2) ㅇ 우리나라는 제12차 당사국총회(2014년, 강원 평창)를 계기로 생물다양성 성과를 공유·확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바, 후속조치(당사국총회 결정·권고문의 국가적반영, 우리나라 주도의 이니셔티브 지원·이행 등)를 지속 수립하고 이행함으로써 협약 당사국, 총회 개최국이자 아시아 선진국으로서의 국가 위상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ㅇ 우리나라는 2018년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19-2023)』을 수립하여 생물다양성 목표 이행을 위한 전략과 실천목표를 이행 중 - 동 전략을 이행함으로써 생물다양성 주류화를 통해 대국민 인식을 제고하고, 생물다양성에 유익한 유인조치를 확대하며, 생물다양성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과학적 지식을 구축하고 정책 협력을 강화하고자 함(관계부처 합동, 2018, pp.10-13, p.25, p.27) - 그러나 생물다양성 주요 논제에 대한 충분한 검토·이행, 재정 확대, 국제협력,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협력 기회 마련이 부족하여 이의 개선이 필요한 상황(김충기 외, 2019, p.2) ❏ 사업 목적 ㅇ 전문성을 바탕으로 생물다양성협약 주요 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의제를 분석하여 대응 기반을 마련하고, 이행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등 국제 동향에 상응한 우리나라 생물다양성협약 이행 증진 방안 마련이 필요 ㅇ ① 생물다양성 국제의제 분석·대응 프로그램, ② 생물다양성 재정 분석 프로그램, ③ 아시아 생물다양성 과학기술협력 프로그램, ④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정책 개발 플랫폼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여 생물다양성협약 이행 증진 및 생물다양성에 기반한 지속가능발전을 도모하고자 함 Ⅱ. 생물다양성협약의 논의 동향 및 시사점 ❏ 생물다양성협약 회의 개요 ㅇ 2020년에 제24차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및 제3차 이행부속기구, 제15차 당사국총회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COVID-19의 전 세계적 유행으로 2021년으로 연기된 상황 - 제24차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및 제3차 이행부속기구 온라인 회의만 9월에 개최 ㅇ 생물다양성협약은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수립을 위해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이행부속기구, 당사국총회와 더불어 개방형작업반을 운영 -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는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관리지표, 목적, 실천목표의 수치 및 기준치 관련 논의를 진행하며, 이행부속기구는 이행 메커니즘, 이행 여건, 이행 보고체계, 생물다양성 주류화 등의 관련 논의를 진행 - 개방형작업반은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비전, 미션, 목적, 실천목표에 대한 논의를 진행 - 당사국회의는 세 기구에서 논의된 사항에 따라 최종적으로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채택 여부를 결정 ❏ 생물다양성협약 회의 주요 논의 내용 ㅇ 제1차 개방형작업반 회의에서는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구조와 구성요소에 대한 포괄적 논의가 진행 -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구조는 배경과 근거, 2050 비전, 2030년 미션 또는 정점목표, 목적, 이정표(milestone), 실천목표와 관리지표, 이행수단, 교차적 이슈, 책임과 투명성 및 이행·보고체계 등의 요소로 구성 -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은 제1차 개방형작업반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2차 개방형작업반에서 논의할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협상초안(Zero Draft)을 마련 ㅇ 제2차 개방형작업반 회의에서는 협상 초안의 각 목적과 실천목표에 대한 당사국의 폭넓은 의견이 개진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협상 초안 수정본(Draft 0.1 혹은 Updated Zero Draft)이 작성됨 ㅇ 제24차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및 제3차 이행부속기구 준비 온라인 회의에서는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협상 초안 수정본의 수정 사항 및 협상초안(Zero Draft)과의 비교·분석 결과가 발표 - 재원 동원의 상호보완 요소로 ① 생물다양성에 유해한 재원 감소, ② 생물다양성협약 목표 달성을 위한 모든 재원에 추가 재원 창출, ③ 재원 사용의 효율성 강화 등이 제시 Ⅲ. 생물다양성 재정 분석 ❏ 정부 생물다양성 지출 실적 ㅇ 최근 10년간(2009~2018년) 정부의 생물다양성 지출 총액은 27조 4,565억 원으로 정부의 생물다양성 지출 실적은 증가 추세임 - 2018년 기준 정부의 생물다양성 지출액은 3조 54억 원으로 2009년 대비 29% 상승 ㅇ 2018년 기준 지역별 전체 예산 대비 생물다양성 지출 비율은 0.2~1.5%(특별·광역시 0.2~1.5%, 광역도 0.4~1.5%)로, 생물다양성 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낮은 수준 ㅇ 환경가치를 고려한 환경보호 예산, 특히 생물다양성협약 이행을 위한 지출 규모의 증액·개선이 필요 ❏ 생물다양성 부담금 운영 실적 ㅇ 최근 10년간(2010~2019년) 생물다양성 부담금 부과·징수 총액은 21조 5,474억원과 19조 1,324억 원으로, 생물다양성 부담금 운영 실적은 증가 추세임 - 2019년 기준 부과·징수액은 1조 8,100억 원과 1조 5,869억 원으로, 10년 전 대비 각각 22%, 16% 증가 ㅇ 생물다양성을 위해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부담금은 생태계보전협력금, 개발제한구역 보전부담금, 해양생태계보전협력금으로, 이들이 생물다양성 부담금 내 차지하는 비율은 최근 10년 기준 18%(부과액)와 16%(징수액), 2019년 기준 17%(부과액)와 15%(징수액)에 불과한 수준 ㅇ 생물다양성 재정의 확대 조정, 생물다양성에 유익한 유인조치 개발·적용, 생물다양성에 부정적인 인센티브의 제거·개혁 필요 ❏ 생물다양성 공적개발원조 실적 ㅇ 최근 5년간(2014~2018년) 생물다양성 ODA 지출 총액은 153백만 달러로 OECD DAC 회원국 대비 지원 실적이 저조하며 시기·지역별 변동성이 큼 - 2018년 기준 생물다양성 ODA 지출액은 34백만 달러이며, 전체 ODA 대비 생물다양성 ODA 지출 비율은 1.8%로 그 실적은 저조한 수준 - 최저개발국 및 농업(27%)·임업(14%)·어업(10%) 위주의 ODA가 진행되고 있어 효과성이 떨어짐 ㅇ 생물다양성 ODA 사업의 다양화, 타 분야와의 통합을 통한 생물다양성 ODA 재정확대, 개발협력전략 수립 시 생물다양성 프로그램의 사전 기획·검토·논의, 국제개발 협력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으로의 반영이 필요 Ⅳ. 국내외 네트워크 기반 구축 및 교류 ❏ 국가간 생물다양성 과학기술협력 ㅇ 중국 난징환경과학원과 한(제주도)·중(운남성 시솽반나) 생태관광 및 생태계서비스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20년 12월 협동 온라인 워크숍을 개최하여 연구 과정과 결과에 대한 경험 교류 및 양 기관 협력 방안 논의 진행 ❏ 국내 생물다양성 이해관계자간 교류 및 협력 ㅇ 2020년 2월, 생물다양성 가치가 높은 백령도 지역이 직면한 생태·문화·경제 이슈에 대한 논의 및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환경부, 학계,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이해관계자 포럼을 개최하여 의견 교류 및 협력의 장 마련 ㅇ 2020년 10월, Post-2020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수립 동향에 대응한 주요 의제별 대응 및 전략 방향 모색을 위해 환경부 및 유관기관이 참여한 정책워크숍을 개최하여 심도 깊은 논의의 장 마련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ㅇ 지난 6년간 ① 생물다양성협약 주요 국제회의의 의제별 주요 쟁점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대응 방향을 구축하였고, ② 생물다양성 재원 흐름 분석 도구를 개발하여 국가생물 다양성전략 이행을 지원하였으며, ③ 국외 유관기관과의 양자 협력 및 ④ 우리나라 유관기관·전문가와의 협력 하에 정책 개발 플랫폼을 기획·운영하여 생물다양성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확대하는 등 생물다양성협약 이행을 지원하였음 ㅇ 생물다양성 국제의제 분석 프로그램 운영으로 지난 6년간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이행부속기구 회의의 주요 의제를 분석하고 국제 동향을 파악하여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 점검,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수립, 생물다양성협약 국가보고서 작성,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대응을 지원 -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의 수립 방향 설정, 생물다양성 관리지표 개발, 이행 평가기법 개발, 실효성 평가 방법 개발 등 국가생물다양성전략-관리지표-이행 평가-실효성 평가를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 ㅇ 생물다양성 정책 개발 플랫폼 프로그램 운영으로 지난 6년간 생물다양성 정부 재정지출 현황, 생물다양성 부담금 운영 현황, 생물다양성 ODA 승인·지출 현황 등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재정 현황을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국제의제 및 국가목표 달성을 위한 기반을 구축 - 생물다양성 주류화, 원인·수익자 부담 원칙의 확립, 생물다양성 가치를 반영한 기존재정의 운영 내실화, 생태계서비스 지불제의 도입·확대 등을 통해 충분한 재원을 확보하고, 확보된 재원은 생물다양성협약 취지에 부합하는 주목적 사업에 적극 활용하며, 생물다양성 훼손을 유발하는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에 대한 단계적 삭감 및 폐지가 필요 ㅇ 생물다양성 과학기술협력 프로그램 운영으로 지난 6년간 17개 부문의 국가간 과학기술협력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중국과 괄목할 만한 협력체계를 구축 - 생물다양성협약의 지속 이행 및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대응을 위해 과학기술협력 주제를 보다 확장할 필요가 있음 ㅇ 생물다양성 정책 개발 플랫폼 프로그램 운영으로 지난 6년간 국내외 연구기관 및 지역사회(시민단체, 지역주민 등) 중심의 협력·교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다양한 성과를 도출 - 지역사회와 직접적 연계가 가능한 프로그램 기획·운영이 필요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정책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생물다양성 정책 통합 개발 플랫폼 구축이 필요 ㅇ 2019년 기준 『2011-2020 생물다양성 전략계획』 목표 달성률이 9.4%임을 감안한다면(IPBES, 2019, p.22), 생물다양성 국제의제 분석·대응 프로그램, 재정 분석 프로그램, 과학기술협력 프로그램, 정책 개발 플랫폼 프로그램의 지속 운영이 필요 ㅇ 이와 함께 생물다양성 교육·홍보 프로그램, 민간(개인, 기업) 활동(지속가능한 이용) 유도 프로그램, 이익 공유 프로그램, 남북 협력 프로그램 등을 종합 기획·운영하여 생물다양성협약, 『2011-2020 생물다양성 전략계획』,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이 성공적으로 이행될 수 있기를 기대 Ⅰ. Introduction ❏ The target achievement rate of the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 -2020 was 9.4% as of 2019 and it is time for paradigm shifts in policy,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advanced implementation of this plan. ❏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implement follow-up measures continuously to share and spread our achievements in regard to biodiversity as a party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a host country of CBD Conference of Parties (COP), and an advanced Asian country. ❏ Therefore, we planed and operated the following programs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CB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biodiversity; ① the analysis and response program on the global biodiversity agenda, ② the financial analysis program for biodiversity, ③ the biodiversity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program, and ④ the biodiversity policy development platform program. Ⅱ. Trend of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CBD and Its Implications ❏ Because of the global COVID-19 pandemic, only the First and Second Open-ended Working Group on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and the Special Virtual Session for SABSSTA-24 and SBI-3 were held this year. ❏ At the First Open-ended Working Group on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comprehensive discussions on the topics such as the structure and components of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were conducted and the ‘Zero Draft’ of this framework was prepared. ❏ At the Second Open-ended Working Group on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a wide range of opinions on goals and targets of the ‘Zero Draft’ were shared and the ‘Updated Zero Draft’ was prepared based on these opinions. ❏ At the Special Virtual Session for SABSSTA-24 and SBI-3, the amendments to the ‘Updated Zero Draft’ and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Zero Draft’ were announced. Ⅲ. Analysis of Biodiversity Finance ❏ The total expenditure budget of the government for biodiversity during the past ten years (2009-2018) was 27,456 billion KRW. The government’s biodiversity expenditure has been on the rise but this amount took up only 0.2-1.5% of the total government expenditure budget as of 2018. ❏ The total amounts of biodiversity-relevant charges imposed and collected during the last ten years (2010-2019) were 21,547 billion KRW and 19,132 billion KRW.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se charging systems has been improving but the actual money used directly for biodiversity accounted for only 17% (imposed) and 15% (collected) as of 2019. ❏ The total amount of biodiversity ODA expenditure during the past five years (2014-2018) was $153 million, with poor performance of support. The effectiveness is low as ODA is being conducted mainly to support agriculture (27%), forestry (14%), and fishing (10%) of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Ⅳ. Construction of Biodiversity Cooperation Networks and Exchange of Experiences ❏ In February 2020, we held a stakeholder forum to discuss ecological, cultural, and economic issues of Baengnyeong Island which has a high biodiversity value and prepared countermeasures wi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cademic community, and civic groups. ❏ In October 2020, we held a policy workshop for dealing with major agenda items of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and set the strategic directions wi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 In December 2020, we held a South Korea-China joint seminar on ecosystem services and nature reserves management with the Nanjing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s where we exchanged research experiences and enhanced cooperation. Ⅴ. Conclus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 For the past six years (2015-2020), we have continuously operated programs for analyzing and addressing the biodiversity agenda, analyzing the biodiversity finance, cooperating scientifically and technically on the biodiversity-related research, and establishing the biodiversity policy development platform. Various achievements are as follows: ㅇ We analyzed main agendas of CBD COP, SABSSTA, and SBI, identified global responses to these, and suppor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Third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of South Korea, the establishment of the Fourth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of South Korea, the publication of the National Report on CBD, and the government’s response to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ㅇ We established the basis for achieving global agendas and national goals by regularly grasping the financial status of biodiversity in South Korea, including government expenditures on biodiversity, biodiversity-relevant charges, and biodiversity-related ODA. ㅇ We conducte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operation among Asian countries in 17 sectors and especially established a remarkable cooperation system with China. ㅇ We established a network of cooperation and exchange centered on research institutes and local communities. ❏ We look forward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BD, the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the Fourth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of South Korea, and the Act on the Conservation and Use of Biological Diversity by comprehensively operating the following programs in addition to existing programs: education program, public relations program, program to induce the green activity in private sector, program to share benefits resulting from the biodiversity utilization, and inter-Korean coopera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