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금강 하구역 해수 및 표층퇴적물 내 미량금속 분포 특성

        정혜령,이연정,최동한,나공태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2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5 No.2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race metals in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s were investigated in the Geum River Estuary. Concentrations of Co, Ni, Cu, Zn, and Pb in seawater and sediments tended to decrease from inside of the Estuary to outer sea, showing distinc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July survey, where precipitation was relatively high, the mean concentrations of these metals in dissolved phase and total suspended particles (TSS)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urveys, indicating that terrestrial- and runoff-derived trace metals were discharged from Geum River. However, trace metal concentrations in surface sediments were higher in the September than in July. The mean particle size of sediments was 131.6 μm, and large particles were present compared to other sampling period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fine particle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were removed to the outer part of Estuary due to the discharge of Geum River. The overall contamination level of trace metals in TSS and surface sediments was very low, and there was a good positive correlation among trace met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charge through the Geum River Bank due to precipitation rather than the pollution source existing around the Geum River Estuary is a factor that mainly affects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본 연구에서는 금강 하구역의 해수 및 표층퇴적물 내 미량금속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해수 및 퇴적물 내 Co, Ni, Cu, Zn, 및 Pb의 농도는 하구 내측에서 외해역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하구역 내측의 미량금속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뚜렷한 지역적 차이를 보였다. 강수량이 많았던 7월 조사에서 이들 해수 중 용존 형태와 입자형태(총부유물질) 내 미량금속의 평균농도는 다른 조사시기보다 높아, 금강 하구둑 방류로 인한 육상기인 입자와 및 비점오염원에 기인한 미량금속이 유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층퇴적물의 경우, 7월 조사의 평균농도가 다른 조사시기에 비해 낮은 특징을 보였다. 7월 조사에서 퇴적물 입도의 평균은 131.6 μm로 다른 시기에 비해 큰 입자가 퇴적되어 있었다. 따라서 금강 하구둑을 통한 담수의 방류로 인해 하구역에서는 세립한 입자가 외해역으로 제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부유물질과 퇴적물 내 미량금속 오염도는 낮았으며, 미량금속 원소들 간의 좋은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 결과는 금강 하구역 주변에 존재하는 오염원(장항제련소, 군산 국가산업단지)보다는 강우로 인한 금강 하구둑을 통한 담수 유출의 강도가 금강 하구둑의 미량금속의 시·공간 분포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금강하구둑 축조 전ㆍ후의 지형 및 흐름특성에 관한 연구

        신문섭(MOON-SEUP SHIN),배기성(KI-SEONG BAE),강신중(SHIN-JUNG KANG),김재형(JAE-HYOUNG KIM) 한국해양공학회 2006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0 No.3

        The estuary has a very complex coastline and bottom topography. Before the close of floodgate, the Keum river estuary was deposited with sediment from the Keum river, created bythe construction of the Keum river estuary dike. So, a periodical dredging is necessary to assure water depth for boat entry and departure to Kunsan port. The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nge of tidal current of M2tide and the topography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at the Geum River estuary dike. The change of water depth is investigated by digitizing the sea map (No.305) of Kunsan port, which was edited by National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The calculated co-range and co-tidal charts of M2tide before the dike construction are similar to the observed ones. Therefore, the amplitude and phase after construction at Geum River estuary dike increases compared to before construction at Geum River estuary dike. The scour occurred in the A-A'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