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Costs of German Unification: A Reconsideration after 20 Years

        Bernhard Seliger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8 평화학연구 Vol.9 No.4

        The year 2007 marked in Germany an important event 17 years after unification. As the German Statistical Office revealed in February 2008, for the first time after unification the German public budgets (i.e. the central,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s plus social security funds) have been in a structural surplus. Though the deplorable state of East Germany’s economy became visible after the opening of the border, still most politicians and also most economic experts hoped that unification was largely self-financing, by the revenues of privatization. The last communist prime minister of East Germany, Hans Modrow, estimated in early 1990 the East German collective property (volkseigenes Vermoegen) at around 1,6 trill. Ostmark. Even with a realistic exchange rate for the East German mark, this would have been a meant a handy treasure to pay the costs of unification. But the collective property proved to be a phantom. The Treuhand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privatization of East Germany’s companies, alone accumulated debts of 205 bn. Deutschmark, and this does not include any of the infrastructure investment necessary or any of the social transfers necessary to stop mass migration from East to West. In the course of 20 years after unification the East German economy was completely restructured, but at a high price: the costs for unification were and are enormous and still the East-West gap remains considerable, not in consumption, but in production. A transfer economy was established permanently dependent on West German resources. The year 2007 marked in Germany an important event 17 years after unification. As the German Statistical Office revealed in February 2008, for the first time after unification the German public budgets (i.e. the central,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s plus social security funds) have been in a structural surplus. Though the deplorable state of East Germany’s economy became visible after the opening of the border, still most politicians and also most economic experts hoped that unification was largely self-financing, by the revenues of privatization. The last communist prime minister of East Germany, Hans Modrow, estimated in early 1990 the East German collective property (volkseigenes Vermoegen) at around 1,6 trill. Ostmark. Even with a realistic exchange rate for the East German mark, this would have been a meant a handy treasure to pay the costs of unification. But the collective property proved to be a phantom. The Treuhand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privatization of East Germany’s companies, alone accumulated debts of 205 bn. Deutschmark, and this does not include any of the infrastructure investment necessary or any of the social transfers necessary to stop mass migration from East to West. In the course of 20 years after unification the East German economy was completely restructured, but at a high price: the costs for unification were and are enormous and still the East-West gap remains considerable, not in consumption, but in production. A transfer economy was established permanently dependent on West German resources.

      • KCI등재후보

        독일 통일의 교훈과 한반도 통일

        염돈재 한국보훈학회 2012 한국보훈논총 Vol.11 No.2

        독일 통일은 우리에게는 하나의 재앙이었다. 독일 통일 과정과 교훈을 잘못 이해하여 정부정책과 국민들의 통일의식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독일 통일이 브란트의 동방정책, 화해‧협력 정책 때문이라고 생각해 왔으나 독일 통일은 ‘힘의 우위 정책’이 거둔 성과였다. 우리는 흡수통일은 회피해야 할 모델이라고 생각했으나 불가피할 선택일 가능성이 많다. 우리는 통일비용 절감을 위해 북한경제 발전을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북한체제 하에서 경제회생이 어려울 뿐 아니라 통일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는 통일과정에서 독일정부의 실책이 많았다고 생각하여 독일의 실패사례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독일이 저지른 대부분의 ‘실책’은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차선책이었다. 우리는 독일 통일 후유증 때문에 통일을 두려워하고 있으나 독일은 이미 통일후유증에서 완전히 벗어나 세계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는 통일비용 때문에 통일을 두려워하고 있으나 우리는 한국민의 역동성 등 독일보다 유리한 점도 많아 독일에 비해 통일비용을 훨씬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우리가 향유할 통일의 편익은 독일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통일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통일노력을 해 나갈 필요가 있다. The misunderstanding of the process and lessons from the German unification negatively influenced both Korean government policy and people’s consciousness of the Peninsula’s unification. One of the key misconceived perceptions of the Korean people is that the German unification was possible thanks to West Germany's policy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 so-called Willy Brandt's New Ostpolitik. In reality, the German unification was the outcome of the “Policy of Superior Power” with West Germany, exerting power over the East. In addition, Korean people have thought that the German unification model, the so-called “absorbed unification”, is the model which should be avoided, but there is much possibility that the German model would be an inevitable choice for Korea’s unification. Also, Korean people think that South Korea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economy to reduce unification cost. However, the North Korean economy cannot recover due to its deficient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while the Korean people think that the German government has committed many mistakes in the unification process. Nevertheless, most of the “mistakes” were inevitable second choices which the German government could not avoid. Finally, Korean people are afraid of unification costs. However, unified Germany has overcome most of the aftermath of the unification, and has solidified its position as the “Engine of the World Economy”. Moreover, Korean people can enjoy more benefits of unification than German people. Korean people, therefore, should hopefully exert efforts for unification without being afraid of unification costs.

      • KCI등재

        학교 통일교육 내용으로서 도덕·윤리 교과의 독일 통일 내용 고찰

        정은선,강구섭 한독교육학회 202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6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se of German unification as content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drawing some polic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Contents of German Unification in school textbooks in terms of its whole structure and details.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Contents of German Unification in the Textbook for Middle School is addres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learning matters with some questionnaires for students. In terms of the substance of the textbook, it is handled mainly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state and condition after German Unification. In case of textbooks for high school, the Contents of German Unification is handled as the primary component and substantial materials more utilized than that of the middle school. In terms of the essence of the textbook being handled, it is mainly emphasized on the contents about the situations of pre-unification process. The aftermath of the study points out that the German Unification as an empirical case, it has to be provided basically stressed on the substance of school textbooks in terms of pre-unification process. This is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after the German Unification for the progress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이 논문은 우리나라 학교 통일교육에서 실증적 사례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교과내용으로서 독일통일 사례의 특성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 통일교육이 주요하게 이뤄지는 교과라고 할 수 있는 중·고등학교 도덕·윤리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독일 통일 사례의 내용을 양적 및 질적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학교 도덕 교과의 통일교육 내용으로서 독일 통일 사례는 일부 교과서에서만 주내용으로 다뤘고, 다수의 교과서에서는 우리의 통일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를 학습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참고자료의 형식으로 다뤄졌다. 질적 측면에서는 ‘통일 이후의 모습 이해’에 대한 내용이 주로 제시되었고, ‘통일 전 단계의 이해’나 ‘통일 과정의 이해’에 해당하는 내용은 개괄적으로 언급하는 수준에서 다뤄졌다.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독일 통일 사례가 주로 주 내용과 참고 자료의 형식으로 제시되며 중학교의 교과서의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있게 다뤄졌다. 질적 측면에서는 ‘통일 전 단계의 이해’ 영역에 대한 내용이 동서독 간 교류, 협력에 관한 사례를 제시하는 형식으로 비교적 비중있게 다뤄졌고, ‘통일 후 모습 이해’ 영역에 대한 내용도 통일의 성과와 문제점을 병행하여 다루는 형식으로 다수의 교과서에서 비교적 비중있게 다뤄졌다. 반면, ‘통일 과정의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은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중·고등학교의 통일 교육이 보다 실증적인 내용을 기반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독일통일 사례 관련 내용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며, 통일 전 단계의 이해, 통일 과정의 이해, 통일 이후의 단계에 이르는 전체 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을 학생의 관점에서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독일통일 사례가 남북통일에 주는 시사점

        성장환 ( Jang Hwan Su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50

        이 논문은 독일통일 사례를 통해 남북통일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독일통일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해 보고, 독일과 한반도의 여건과 독일통일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어 독일통일의 과정을 알아본 후 남북통일에 참고할만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이러한 독일통일 사례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에서 통일과 북한 관련 내용을 이해하고 가르치는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독일과 한반도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다. 전쟁의 유무, 경제상황, 분단원인, 지리적 조건 등에서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평화적 통일을 이룬 독일통일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참고할만한 점을 찾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독일이 통일될 수 있었던 요인으로 첫째, 국제환경의 변화 둘째, 동독주민의 민주혁명 셋째, 지속적인 접촉과 교류협력 넷째, 서독의 국력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독일통일 사례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 남북한 간 접촉과 교류협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둘째, 북한주민이 남한을 동경의 대상국으로 삼을 수 있는 국가를 우리가 만들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주변 네 강국이 남북통일을 지지하게끔 국제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통일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나 갈등을 줄일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eek implication from German unifi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It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and primary factors of German unification, and compares the conditions between Germany and Korea. And it investigates German unification process and lessons from it for Korean unification. This study gives help to teach Korean unification and North Korea in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erman and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war existence, economic situations, causes of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r, and geographical conditions, etc. Nevertheless, the peaceful unification of Germany gives us various helpful points for Korean unification. The primary factors are changes of international circumstances, East Germans` democratic revolution, continuous contact and interchange, and strong national power of West Germany. Finally, implication from German unification is as follows. Firstly, continuous contact and inter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 better understanding are needed. Secondly, strong national power for making North Koreans choose South Korea in the unification process is required. Thirdly, capability of South Korea for making four leading powers support Korean unification is needed. Lastly, thorough preparation for various problems and conflicts in the unification process is needed.

      • KCI등재

        통일전 독일의 ‘독일문제에 대한 교육지침서’와 한국의 ‘통일교육지침서’ 비교

        김진숙 韓國比較敎育學會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4

        ‘독일문제에 대한 교육지침서’(1978)와 ‘통일교육지침서’(2013)는 통일교육을 위한 서독과 남한의 국가 수준 교육지침서이다. 본 연구는 독일에서 통일전에 교육측면에서 통일을 위한 노력을 대표하는 독일문제에 대한 교육지침서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의 통일교육지침서 등 통일교육의 개선을 위한 쟁점 사항을 도출하고 논의함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독일의 통일교육지침서는 자유, 민주, 민족의 통일교육 이념과 목표를 위해 독일 통일에 대한 선언(agenda)적 내용을 진술하고, 초중고 교육전반에서 그리고 특정교과에서 유의할 점을 기술하였다. 우리나라의 통일교육지침서는 독일의 지침서 내용을 포괄하는 양적 질적으로 체계적인 내용, 관련 문서 및 법령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통일교육을 받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통일의식, 그리고 변화된 한반도의 상황 등은 그동안의 통일교육에 대한 교육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통일 교육에 대한 보다 전문적이고 발전적인 논의, 그리고 통일교육자료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와 자료개발이 필요함을 요구하고 있다. ‘Recommendations for the treatment of the German problems in the classroom(1978)’ and ‘Guidelines for unification education of Korea(2013)’ are national level guidelines for unification of divided nations in West Germanty and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commendations’(short for ‘Recommendations for the treatment of the German problems in the classroom(1978)’) and the ‘Guidelines’(short for ‘Guidelines for unification education of Korea(2013)’) and draw the issues and implication of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Recommendations’, agendas and guidelines of German unification for freedom, democracy and German people in all ove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ing were described. For unification education all the subjects are needed but several subjects, i.e. political education, geography, and German(Language) were stressed. The ‘Guidelines’ has more systematic structure and is related with a large amount of documents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For example, beyond the ‘Guidelines’ there are educational materials and guidebooks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level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German ‘Recommendations’ is more simple than Korean ‘Guidelines’, but it has effectivive messages. Empirically verified results of German Recommendations’ is the real unification of Germany itself. But in Korean situation the fact that the awareness of unificaion that young generaion have is more negative than those of elder people can be pointed out as the negative result of unificaition of education.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multidimensional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Korea. Second, reconceptualiz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needed. Because the young people who have been educated for unification of Korea show negative attitude to unification. Third, more rigorous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needed.

      • KCI등재

        독일통일 15년의 사회경제적 평가와 시사점

        황준성 ( Jun Seong Hwang ) 한독경상학회 2007 經商論叢 Vol.25 No.4

        2007년 10월에 개최되었던 남북 정상회담은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통일에 대한 기대와 분위기를 고조시키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였다. 문제는 향후 통일을 추진할 때, 과연 한반도에서의 통일이 누구를 위한 그리고 무엇을 위한 통일인가를 최소한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보다 앞서 통일을 이룬 독일이 통일된 지 17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많은 통일 후유증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 통일에 관한 충분한 연구와 분석은 향후 한반도 통일시 통일에 대한 학습비용을 줄이고 높은 학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2005년을 기준시점으로 하여 독일 통일 15년의 사회경제적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한반도 통일에 줄 수 있는 일련의 교훈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05년 독일은 통일된 지 15주년을 맞았지만 아직도 통일과 관련된 경제정책의 실패, 천문학적 숫자의 통일비용과 이로 인한 재정적자 및 국가채무의 증가, 동서독 간의 경제적 격차의 심화, 구동독지역의 높은 실업률과 이러한 경제적 문제에 기인하는 동서독 주민 간의 사회ㆍ문화적 갈등의 심화라는 문제점들을 노정시키고 있다. 이러한 통일독일의 문제는 향후 한반도 통일시 그대로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독일통일을 교훈삼아 한반도에서의 통일은 사회경제적으로 효율적인 통일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따뜻한 가슴``으로의 통일을 준비할 필요도 있지만,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냉철한 머리``로의 통일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South-North Korean Summit held in October 2007 played a positive role in raising hopes for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settl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necessary in preparing for the process of Korean reunification to approach it by socio-economically analyzing the question; For whom and why is the Korean reunification needed? The fact that the unified Germany has faced a number of problems, even today, 17 years after German unification, is a good example of why the above analysis is important. Therefore, insightful examination of German unification case and its analysis will help reduce the cost of a Korean unification and bring a learn by doing effect for the future. With this point of view, the study analyzes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last 15 years of German unification, and indicates the lessons and political implication of German integration for integ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garding to the 15th anniversary celebration of the German unification in 2005, many problems have appeared in Germany such as economic policy failure related to unification, the huge costs of unification which resulted in budget deficit and increase in the national debt, growing economic gap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and high unemployment rate in the formerly East German states. These economic problems has caused severe social and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people of East- and West Germany as well.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that these Germany`s problems can appear in the process of Korean unification. Therefore, through the lessons from the experience of German unification we should prepare to accomplish the successful unification, which is a socio-economically effective 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To make this possible, we need to move towards Korean unification not only with warm-hearted but also with cool-headed approach which is more important.

      • KCI등재후보

        독일통일 후 동독주민의 이등 국민 정서 고찰 : 통일교육을 위한 시사점

        강구섭(Kang, Gu Sup) 한국통일교육학회 2020 통일교육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독일통일 후 동독주민 사이에서 확산된 이등국민 정서에 대해 고찰하고 통일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독일통일 후 동독주민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도입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체제에서 그에 적합한 방식의 삶을 영위해야했다. 새로운 삶은 이전 삶의 방식으로 부터 급격한 단절을 가져왔고 이는 동독주민이 통일독일에서 이등국민 정서를 느끼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동서독 주민간의 문화적, 생활 방식의 차이 등에서 비롯된 부정적 선입견, 차별 인식, 사회적 기회로 부터의 배제인식 등은 동독주민의 이등국민 정체성이 강화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독일통일 후 동독주민이 경험한 이등국민 정서는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통일교육에서 북한 관련 내용을 어떠한 관점에서 다뤄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즉, 통일교육에서 북한에 대한 개방적 태도와 인식, 통일의 주체로서 북한에 대한 대등한 관계 인식, 평화를 지향하는 공동의 경험 축적 등을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econd Class Citizens Identity, which spread in East Germany after German Unification. More specially, the study focuses on drawing some polic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After German Unification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System were introduced in East Germany, its people had to implement their own new ways and methods in their everyday life, which were demanded for the new social structure being introduced. The new way of life after German Unification provided the East German lots of advantages such as political freedom, material abundance and others. At the same time, this caused a consequential severance from the previous lifestyle before German unification. It played an ultimate cause for the econd German Identity for east german. Concretely the negative preconception, the feeling of the discrimination in society and exclusion from social opportunity, which were caused by difference in culture and life style between East and West German, strengthened the Second Class Citizen Identity for East German.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Second German Identity for East German provided the basic principle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Case of the Second Class Citizen Identity for East German points out that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has to cover the subject, first, opened attitude and viewpoint to North Korea, second, the perception to equal footing as a main actor for implement of Korea unification, third, mutual experience for peaceful rel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 독일통일과정을 통해서 본 한반도 통일과 사회통합을 위한 교회의 역할 모색

        고영은(Young-Eun Go) 영남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 목회 Vol.45 No.-

        Over 70 years have passed after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Until now, the state of divided Korean peninsula has become a burdenous, risky reality to surrounding countrie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 reality as well as an agony to Korean people. Such that,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r has become not only a problem but also a task to be solved for Korean churches. Although much time has passed after the breakup of cold war, but both Koreas have not get out of the mutual confrontation. North Korean 4th nuclear test and rocket launching which have been happened lately caused the closure of G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the shut of both Koreas’ dialogue having been barely kept until then. In order to embrace the problem of divided Korea and to open a new prospect in the unification field, this study intended to seek the direction for South Korean churches to go that they have a long way to go by tracing the tracks of German churches. During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the Germany went through a lot trials and errors and errors of judgement. However, in spite of such errors of judgement, the German eventually accepted the unification between West Germany and East Germany and became a people overcoming the agony of divided country. In spite of the state that Germany was divided into West Germany and East Germany, but German churches in both Germanies kept the conformity and the solidarity, so they took the role as a major subject in the East Germany’s democratization and the German Unification. The churches in East and West German territories recognized themselves as a ‘special community’ each other and accepted, understood each other. It can be said that based on such mutual understanding, West German churches’ support for East German churches and East German churches’ solidarity with the West German churches and their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Church Association substantially contributed in forming the social integration between West and East german people during their unification process. Besides, East German churches took a core role in the composition of organizations of East German society’s democratization and such organizations’ solidarity as well as their peaceful demonstration. And they collected various opinions from social members in various fields through the ‘round-table conference’ and took a major role as the arbitrator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Such activities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at churches took a central role in taking socially public roles, not simply as a worship community. German church’s core role in the social integration during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can give the right answer for question about how today South Korean churches will deal with the matter of Korean Unification. First of all, South Korean churches need to intensify the conformity and the solidar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churches through South Korean churches’ continual exchanges and cooperation. Second, for the North-South Korean churches’ cooperation and exchanges beyond the current political ideology, they need to remain the political neutral position in that there may occur confrontal states and conflicts between Both Koreans depending on the changing security situations. Third, like that East German churches went out of the isolation through its exchange with the World Church Association as well as with West German churches and took an important rple in realizing the German Unification, the North-South Korean churches’ exchange & cooperation in various fields requires their solidarity with the World Church Association.

      • KCI등재

        독일통일과정에서의 환경법제 통합과 시사점

        한상운 ( Sang Un Han ) 한국환경법학회 2013 環境法 硏究 Vol.35 No.2

        남북한의 휴전상태에도 언젠가 실현될 통일이후에 북한지역의 환경오염 심각성은 한민족 모두의 부담이기 때문에 북한의 환경문제는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끊임없는 관심의 대상이다. 현재 입수 가능한 자료들을 분석해 볼 때 북한도 심각한 환경문제에 당면하고 있다. 통일한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보전을 위한 법제도적 대비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국가적 과제이다. 현재까지 남북한 상호간의 환경과 관련한 구체적 협력사례는 없다. 북한당국이 폐쇄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한 북한의 환경문제와 현황에 대해서는 확인할 길이 없지만 언젠가 실현될 통일에 대비하여 환경법적 시각에서 가능한 시도를 멈출 수 없다. 환경법적으로 통일에 대비하여 가능한 시도 중 하나가 독일이 통일하는 과정에서 환경법제 통합을 어떻게 하였으며 그로부터 대한민국이 얻을 수 있는 것을 사전에 검토하고 그 결과에 따른 대비책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1990년 10월 있었던 역사적인 독일의 통일을 통하여 동서독간의 환경협력과 환경법제 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구서독의 행정 및 환경법 체계는 통일 이후 단기간에 동독으로 이전되었으나 구동독의 중앙집권적 행정은 지방 분권화된 새로운 행정체계에 적응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환경정책 통합과정에서 양국가간의 이질성은 원만히 극복되지 않았다. 구동독지역에 지원하는 막대한 비용 때문에 통일독일의 경제가 위기를 맞았지만 사실상 환경보전과 환경보전대책을 수행할 전문인력에 대한 투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구동독이 서독과 동일한 수준의 환경질로 개선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시간과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했다. 동독의 생태재건 방법에 있어서 통일 독일은 서독의 선진적인 환경법제를 동독에 이식하고 앞선 기술과 자본을 이용하여 서독의 환경수준에 동독을 맞추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통일 후 10여 년간 통일독일의 환경통합은 구동독 지역에서 기존에 존재하던 오염을 제거하는데 집중되어 있었다. 임시대책이었지만 대기, 수질, 토양오염 영역에서 상당한 환경개선 효과가 있었다. 독일의 환경통합은 서독의 환경기준을 동독에 철저하게 적용하지 못한 점, 예방적·통합적 환경정책을 실시하지 못한 점 등이 있다. 동서독의 환경통합은 양 지역의 객관적인 환경격차를 기술적으로 해소하는 선에 그쳤을 뿐, 동독지역을 생태적으로 건전하게 재구조화하고 긍정적으로 발생하는 파급효과를 서독이 다시 흡수하는 형태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독일의 통일은 다른 나라의 통일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이 아니다. 남북한의 상황을 살펴보더라도 통일독일의 상황과 많은 면에서 다르다. 그러나 독일의 환경통합과정을 검토함으로 한반도의 통일에 있어 발생할 시행착오를 피하고 우리에게 적절한 대안을 찾을 수 있다. 이 글은 독일이 통일하는 과정에서 환경법제 통합을 어떻게 하였으며 그로부터 대한민국이 얻을 수 있는 것을 사전에 검토하고 그 결과에 따른 대비책을 살펴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North Korea`s environmental problem is a endless interesting issue because its seriousness will be burden of all after the unification despite of the truce. Analysis of currently available data viewed North Korea is facing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Unificated Korea`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law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e the most important national challenge. There are no specific cooperation examples about environment between two Koreas so far. Although there is no way to confirm the North Korea`s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as long as they stick to the closure policy, we have to try in environmental legal perspective. One of possible attempts in environmental law is a preparation that examine how German make a integration in unification and get something from that case. In this article, in October 1990 after the historic unification of Germany, check up specific efforts for environmental law`s integration and present suggestions. Old West Germany`s administrative and environmental law system was transmigra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Old East German centralized administration needed a lot of time and efforts to adapt to decentralized new administrative system so it was not easy to overcome heterogeneity between two countries. Because of huge costs to support Old East German area, the economic crisis hit unified Germany but actually investments in expertise to do environmental conservation. It needed much time and continued investments to improve Old East Germany be a same level of West Germany. In East German ecological reconstruction manners, unification of Germany implanted East German advanced environmental legislation to East Germany and used advanced technology and capital. For 10 years after unification unified German integration of the environment concentrated on removing pre-existing contaminations. It was a temporary measuremen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air, water and soil pollution. German environmental integration did not apply West German environmental standards to East German and did not implement proactive, integrated environmental policies. Both East and West German integration of the environment eliminated objective environmental gaps but did not proceed to restructure East region ecologically soundly and absorb positive effects. The unification of Germany is not a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other countries` unification. It`s differ from German unification in many aspects. However reviewing the process of German environmental integration, we can avoid trial and error and find a suitable alternative. This article have a importance to examine how Germany integrate environmental legislation and get some suggestions applied to Korea.

      • KCI등재후보

        Die deutsche Militärvereinigung als zukünftiges Modell für die koreanische Halbinsel

        배안석 한국통일전략학회 2012 통일전략 Vol.12 No.3

        Nearly 22 years were flowed after German unification. meanwhile many rearchpapers and books about that were publisched. Now research about militaryunification rearched to a time, to concentrate deapt in stead of wideness. German militaryunification takes it's seat as major researchpart under researchpartsfor German unification. In order to make research for German militaryunification, above all research about NVA should be preceded. NVA was lethagic, that was through Bundeswehr absorbed. This lethargy was due to spritual combat power und identity of soldier in NVA. this weakning of spritual combat power was connected with social life before enter the army and lack of royalty for motherland. substance, NVA to command, not military high command, but SED. dictaterialnees of SED came to abhorrence of member of NVA. NVA sank into panic at militaryunification. Colsing od NVA was such as igonrance about each other. it was severe in case of other services forces. NVA was a tool for combat and soldiers in NVA were on standby for mobilization on isolation from familylife. closing of NVA was connected to a lack of information od Bundeswehr. this part came to a obstacle of militaryunification. Attention point of German unification is long constant peaceful contact under civil group and organization between West and East. this could be a foundation for unification. another attention point s were that there were no armed conflikt invasion guerillas from East German. these facts could be a element of peaceful military unification. Budeswehr contributes to as combines troops a worldpeace. military power afer ideological conrontation converts to a overcoming crisis, antiterrorism, Budeswehr executes mission as policetroope of UN. main sending countries are afghanistan, on waters of somalia, Kosovo. On these Districts wurden about 8.000 sended. Maintenance of public order, support for civil raise status of Germany in WEU, EU, NATO. Foundation for militaryunification between Sotouth and North can be layed through militaryunification. big difference for military unification stays between North and South. But if problems on cases of German are researched, preparation group in the future can the material for militayunification. for example on the point, that Bundeswehr Komanndo Ost was late built, we can find easily that advance preparation is more important. as German unification came unexpectedly, unification on korean peninsula too can be come unexpectedly. 독일통일이 된지 거의 이제 22년이 흘렀다. 그동안 독일통일에 관한 많은 논문이 독일과 아직 분단국인 한국에서 출간되었다. 이제 독일의 통일에 관한 연구는 깊이를 더해가야 할 시점에 있다. 이런 가운데 독일군사통합은 독일통일의 여러 분야 가운데에서// 남북한 군사통합에 대비한 주요 연구분야로 자리잡고 있다. 독일군사통합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독군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동독군은 독일연방군에 의해 흡수통합된 무기력한 군이었다. 이러한 무기력이 내재된 데에는 동독군 장병의 정신전력과 동독군의 정체성에 기인한다. 동독군 장병의 정신전력이 약화되었던 것은 군입대전의 사회생활과도 결부되어 있으며 국가에 대한 충성심의 결여에도 기인한다. 동독군을 지배한 것은 동독군 지휘부가 아니라 SED였으며 SED의 전횡은 일반 동독군인들의 증오의 대상이 되었다. 동독군은 군사통합이 되던 시점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공황상태로 빠져들었다. 동독군의 폐쇄성은 동독군 서로를 잘 알지 못하는 정도였으며 타군의 경우는 더욱 알지 못하였다. 동독군은 전투를 수행하기 위한 도구였으며 그들은 가족생활을 제대로 누리지 못할 정도의 대기상태에 있었다. 동독군의 폐쇄성은 연방군에 정보의 부재로 이어졌으며 이런 부분은 군사통합의 장애로 이어졌다. 독일통일은 분단이후 오랜 동안의 단체, 기관, 민간 차원에서 지속되어 온 평화적인 접촉이 주목된다. 이러한 평화적 접촉은 통일의 밑거름이 되었다. 또 다른 주목할 부분은 양 독일이 분단 상태 동안 군사충돌이 없었으며 특히 동독에 의한 공비의 침투와 같은 민간인 살상 행위가 없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이런 부분이 독일민족이 하나라는 생각에 쉽게 도달할 수 있었던 부분이며 독일군도 충돌 없이 통합될 수 있었던 요소이기도 하다. 군사통합 후 독일군은 통합독일군으로서 세계평화에 기여하고 있다. 독일분단 이후 냉전 상태의 이데올로기 대치에 배치된 군사력을 분쟁지역의 위기 극복, 테러방지, 국제 경찰군으로서 유엔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파견국은 아프가니스탄, 소말리아 해역, 코소보 등 여러 지역이며 이러한 여러 지역에 미국 다음으로 많은 8천 여 병력이 파견되어 있다. 이러한 분쟁 지역의 치안유지와 지역주민의 지원, 대 테러활동은 통합독일군이 유럽과 나토에서 위상을 높이는 역할이 되고 있다. 독일은 중부유럽, WEU, EU에서 제고된 위상을 누리고 있으며 특히 나토회원국과의 공동의 군사활동과 구성으로 유럽과 시계의 안전에 기여하고 있다. 독일군사통합을 통해 장차 남북한 군사통합의 간접적인 초석을 다져나갈 수 있을 것이다. 동독군과 북한군이 다른 것처럼 동서독의 군사통합과 남북한의 군사통합은 커다란 차이점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독일군사통합에서 드러난 문제점 축적해 나간다면 장차 군사통합 준비단과 같은 기구에서 참고 될 수 있을 것이다. 연방군 동부지역 사령부가 늦게 창설되고 동독군에 대한 연방군의 정보부재가 실제적인 군사통합의 지연 요소였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독일통일이 독일인도 예상치 못하게 급작스럽게 도래하였듯이 장차 남북한 통일과 군사통합은 언제라도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다는 사실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고는 남북한 미래의 군사통합에 대한 서술이 아닌 동서독 군사통합의 연구에서 수평적인 면 보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