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상북도 공립학교의 교가・교훈에 대한 성인지적 연구

        김은혜,박은미,박순란,박효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3 여성연구 Vol.117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gender-discriminatory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and improve them in the viewpoint of gender equality. For this purpose, we delved into all public schools’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Gyeongsangbuk-do. The context and content of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were analyzed, with focus o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Then they were analyzed by level and type of school inclu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by year of school found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survey found male-designated expressions such as ‘geona(virile son)’ and ‘hwarang(male soldeir in Silla Dynasty)’ in all levels of schools. Secondly,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were found in the school songs in female schools. Lastly,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appeared in greater frequency in schools established before 2000, compared with those established after 2000. As the resulf of this study, we propose four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gender-discriminatory elements in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Firstly, the Education Office of Gyeongsangbuk-do needs to revise its Gender Equality Ordinance as a way of providing institutional support. Secondly, it i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fice of Gyeongsangbuk-do to provide budget for correcting the gender-discriminatory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It requires a comprehensive program supported by the Education Office to improve the gender-discriminatory content in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this province. Thirdly, it is needed to hold meetings, talk concerts, and exhibits so as to share common grounds of school songs and precept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among the students, graduates, school employees, and parent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draw up guidelines for eliminating gender-discriminatory and human rights-violating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opinions of students, who are the main members of schools, in the improvement of school songs and precepts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Through follow-up research, we intend to propose ways to eliminate gender discrimination elements in Gyeongsangbuk-do public school songs and precepts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the students. 본 연구는 경상북도 753개 공립학교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를 발견하고 양성평등한 관점으로 개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2년 경상북도교육청 소속 753개 공립학교를 전수조사하여 교가・교훈 속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을 기준으로 맥락분석 및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교급에서는 ‘건아, 화랑’과 같은 남성 지칭 표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교유형별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은 여학교 교가・교훈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립연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은 주로 2000년대 이전에 설립된 학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가・교훈 개선을 위한 교육청의 양성평등 조례 개정을 통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교가・교훈개선을 위한 교육청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경상북도 공립학교 교가・교훈의 성차별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상북도교육청 지원을 통한 일괄적 사업 운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재학생, 동문회, 교직원, 학부모회 등의 합의 도출을 위한 학교별 교가・교훈 성차별적 요소 개선 사업이 필요하다. 넷째, 성차별적 요소와 인권침해 요소를 포함한 교가・교훈 수정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양성평등한 교가・교훈 개선을 위해서는 학교 주 구성원인 학생들의 관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관점을 반영한 경상북도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Gender Trouble in Asian American Literature: David Henry Hwang`s The Sound of a Voice

        ( Woo Mi Seong )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2003 영미문학페미니즘 Vol.11 No.2

        Asian American literature appears to have been productive recently and the reception of critics and mainstream American audience has been warm and positive. The issue of gender has kept coming up in relation to Asian American literature, probably because the Asian American writers themselves found their creative inspiration from Asian history, literature, arts, and films. Thus the representation of gender has been somehow trapped within the tradition. David Henry Hwang, one of the most actively writing Asian American playwrights and author of M. Butterfly, which won 1988 Tony Award, produced an opera, The Sound of a Voice, in June 2003. The production consists of two short plays, The Sound of a Voice and Hotel of Dreams, written by David Henry Hwang in 1983. Influenced by Japanese ghost stories and modern Japanese literature and films, both stories tell of the difficulty of human relationships and intimacy between two genders. The Sound of a Voice as a text invites resistant feminist reading with its complex layer of symbols. In theatre, however, gender reality is constituted by the typical binary opposition between two essentially different characters, a man and a woman, and like most melodramas, the major structure of the drama is highly reliant on the heterosexual romantic tension between the two different genders. Since the unbalanced gender reality is embedded in the language and the narrative itself, when presented to the mainstream audience, the drama does not leave much space for resistant reading. Therefore, an act of reproducing a drama highly influenced by traditional Japanese ghost stories might lend itself to a reading of gender reality that is backward and reinforces the binary. In this regard, the play follows the archetypal pattern of narrative meaning in traditional patriarchal spectacle. The surreal allegorical representation of the gender relationship is constrained by the binary structures of gender embedded in the playwright`s own fear of the feminine. The two sets of stories in The Sound of a Voice confer a false sense of legitimacy and universality to a culturally specific, and, in some contexts, culturally oppressive, version of gender identity and also contribute to the heterosexual ideal by intertwining gender identity and sexual orientation. Hwang`s narrative still dwells in the modernist sense that men and women are incommensurably different subjects.

      •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김동식(Dong-Sik Kim),황정임(Jung-Im Hwang),김영택(Young-Taek Kim),우영지(Young-Jee Woo),정다은(Da-Eun J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There are many issues related to women’s health. Reproduction is a very important issue for women, because it accounts nearly for half of a woman’s life. Sex is also a critical issue, but is treated as a private realm. Both things are a significant factor for not only women’s current health but also their later health. It is the first wave study for exploring gender inequalities in health, especially focusing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hereafter SRH) in Korean society. SRH is well known to be influenced by gender inequality. Gender hierarchy and norms in Korean society could be involved to SRH between men and women. The study had four purposes as follows: firstly, it was understood that the unequal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in sub-subjects related SRH, such as contraception, sexual intercourse, unwanted pregnancy, abortion and infertility, are presented; secondly, it confirmed the recent trends of patients and medical costs regarding SRH; thirdly, it grasped the gender risk factors of SRH; and lastly, it developed gender issues and policy tasks related SRH according to women’s life. As the results, all subjects related to SRH were clearly shown that women are subordinated to men, and women’s opinions have been ignored in contraception and sexual intercourse. Also, when a woman refuses to have sex, she has had violence by a partner and has experienced an abortion because of her unwanted pregnancy. Women wondered how to prevent contraception and unwanted pregnancies, and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counseling. Male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re caught through prostitution during nightclubs or foreign business trips, but women have been caught by the partner’s affair. Regarding the sanitary pad, many women said they experienced side effects while using it. In the analysis of health insurance data, the number of patients who belong to the SRH related to diseases and the medical expense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ast 10 years. In addition, men and women with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have a higher likelihood of developing reproductive diseases, since then, the risk of chronic illness has also increased. Expert Delphi survey pointed out that there are health issues related to SRH in the life cycle of men and women, which are also related to gender inequality. From the above results, we proposed several policy tasks. First, social structure should be improved as a factor of inequality in SRH.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raditional gender and hierarchical environment, improve gender-based violence culture, analyze specific gender impacts on the legal system and public policy, improve negative and distorted social awareness of women’s sexuality, strengthen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and social environment for correct sex consciousness and healthy gender values, and ensure universal access to SRH services. Second, gender education and monitoring should be strengthened to promote SRH.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levant gender education and information for the healthy sex consciousness cont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establish cooperation channel of school, home and community for this purpose. Additionally, gender education for adolescents and parents should be strengthened and monitoring of distorted sex information and contents for pornography should be enhanced. Third, support for SRH vulnerable groups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is proposal, improved accessibility of counseling and treatment services for abnormal physiological symptoms, cost support for women sanitary napkins and related supplies, strengthen women s empowerment from coercive and violent sexual intercourse by partners, prepare SRH support plan for each life, social class and disability of women, and enlarge the sanitary napkin to cope with emergencies can be alternatives. Ⅰ. 서론 □ 들어가면서 ○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젠더 불평등이 여성과 남성의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가차원의 성평등에 기반한 건강정책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 그 근거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연구의 배경이 되는 ‘한국사회’의 여러 모습 중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사회’ 그리고 이로 인한 ‘일·가정양립사회’에 초점을 두어,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젠더와 건강 연구로 계획됨. 총 3개년(2017~2019년)으로 진행되며, 각 연도별 연구 분야 및 내용은 아래와 같음. □ 1차년도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여성과 남성 사이에 존재하는 건강의 차이는 생물학적 및 사회적 특성의 차이에 기인함. - 사회적 차이로서 젠더는 일반적으로 여성에 대한 불평등과 차별을 의미하므로, 특히 여성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침. ○ 여성의 다양한 건강 이슈 중 성과 재생산은 여성의 생애 전반에 영향을 주는 이슈로서 매우 중요함. 여성의 건강 자율성를 극대화를 위해 성 권리(sexual right)와 제생산 권리(reproductive right)는 함께 고려해야 함. -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줌. 특히 원치 않는 임신과 그로 인한 출산이나 임신중단(낙태)은 더욱 위험한 요인이 될 수 있음. - 모성이 된다는 것은 여성의 삶에서 가장 큰 사건이지만, 최적의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선택되지 않는다면 여성의 건강은 그 순간뿐만 아니라 여성의 나머지 생애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여성의 피임법 선택이 남성의 성적 만족 부합에 따라 달라지고, 안전한 피임 없이 위험한 성 관계를 요구 받으면서 여성의 몸은 남성의 성적 호기심과 즐거움, 대를 잇기 위한 몸으로 전락하게 됨. 결국 많은 여성들이 파트너의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성 요구와 행위로 건강과 안전권이 침해를 받고 있음. ○ 1994년 국제인구개발회의(ICPD)에서 채택한 카이로 행동계획에서는 성과 재생산 건강을 인구통계학적 및 가족계획적 목적과 같은 좁은 관점에서 벗어나 남녀가 모두 임신과 출산을 할 것인지, 그 시기와 빈도를 결정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와 수단을 얻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성·재생산의 건강을 인권으로 인식해야 함을 천명함. ○ 이상의 이유들로 여성의 다양한 건강 이슈들 중에 성·재생산 건강을 1차년도 주제로 정함.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첫째, 우리나라의 성·재생산 건강의 성별 실태를 파악하고, 그것이 미치는 또 다른 건강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함. - 둘째, 성·재생산의 이슈별 젠더 차이와 그것이 젠더 규범 및 위계에 기인하는지 규명하고자 함. - 셋째는 오늘날 한국사회의 성·재생산 건강 및 관련 젠더 이슈들을 발굴하여, 성평등한 성·재생산 건강정책의 방향과 과제들을 모색하고자 함. □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 내용 - 첫째, 국내의 성·재생산 건강정책을 살펴보고, 해외의 관련 정책사례를 검토하여 그 시사점을 얻고자 함(본 연구의 II장). - 둘째, 일상생활 속의 성과 재생산 관련 상담자료를 분석하여, 그 안에서의 젠더 규범 및 위계와의 관련성을 살펴봄(III장). - 셋째, 성과 재생산 관련 질환자와 이들의 진료비 규모의 추이를 살펴보고, 관련 질환의 발생이 지닌 건강위험성을 규명함(IV장). - 넷째, 남녀의 성과 재생산의 시작시기라고 할 수 있는 초경과 몽정에서부터 음란물 접촉과 자위행위, 피임실천과 원치 않는 임신 및 임신중단(낙태) 행위, 그리고 성 매매 감염성 및 재생산(생식) 관련 질환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의 젠더 위계 및 성평등의 기인여부를 확인함(V장). - 다섯째, 남녀의 생애별 성·재생산 건강 이슈 발굴과 관련 정책대안을 도출함(VI장). □ 시사점 ○ 성 건강, 재생산 건강이 여성의 건강증진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 그래서 이들 3개국은 국가차원의 건강전략에 성·재생산 주제를 포함하고 있음. ○ 성 건강과 재생산 건강을 단지 의료적·생물학적 측면을 넘어 여성과 남성의 관계적 맥락으로 넓히고, 그 안에서의 젠더 규범과 위계로 인해 발생되는 특정 성(주로 여성)의 피임과 임신·출산 및 성행위에서의 비자율성이 이들의 성과 재생산 불건강으로 발전되는지 폭 넓은 관점에서 접근함. 또한 이를 위해 근거 기반을 마련하고자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함

      • KCI등재

        문화콘텐츠 인력양성사업 성인지 예산 분석

        양민석(Min-Suk Yang),유정미(Jeong Mi Yoo),이재경(Jae Kyung Lee)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9 여성연구 Vol.76 No.-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인력양성 정책에 투여된 정부예산을 성인지 관점으로 분석한 것이다. ‘정책 영역의 성불평등구조 파악’, ‘성별 예산수혜 경향분석’, ‘예산배분의 성별 규칙이 성불평등 구조에 미치는 영향’, ‘성평등한 예산 배분을 위한 제안’, ‘제안에 대한 검토’로 분석단계를 설정하고 분석을 전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이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양성정책 예산을 배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동하고 있었다. 남성이 많이 참여하는 사업은 1인당 수혜액의 크기가 커서 양질의 예산이 투여되는 반면에, 여성이 많이 참여하는 사업의 경우는 수혜자에게 돌아가는 예산 규모가 크지 않음으로써, 예산의 질적 배분은 성별화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 예산 배분에는 콘텐츠 산업 인력구성의 성불평등 구조에 대한 개선이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아서, 콘텐츠산업의 불평등 구조인 ‘문화산업인력의 여성화’, ‘경력구조의 남성중심성’, ‘이중적 직무구조의 성차별성’을 개선하기보다는 답습하고 강화하는 효과가 컸다. 콘텐츠산업은 새롭게 주목받는 신성장산업이고, 젊은 인력이 다수 포진하고 있으며 여성의 선호도가 높은 산업이다. ‘문화산업인력의 여성화’는 콘텐츠산업의 특징이자 불평등 구조의 하나이다. 때문에 인력양성을 위한 예산배분이 인력의 성별 배치구조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콘텐츠산업이 목표하는 인력양성의 과제를 달성하기 어렵다.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양성정책을 수립하고 예산을 배분하는데 있어서 인력구성의 성별 특징을 고려하고 성평등한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public expenditure used for culture contents specialists programs from a gender perspective. It consists of “analysis of gender inequality structures of the culture contents industry”, “gender-disaggregated benefit incidence analysis”, “evaluation of budget distribution effect of gender inequality” and “suggestion for a gender equality strategy”. We discovered through analysis that gender has had an impact on the budget distribution of the policy. The programs in which men mostly participated had more qualified budget because in these programs the size of benefit per person was bigger than others. Contrarily, the programs in which the rate of women participation was higher distributed much less benefit to participants. It shows that budget distribution was gendered. In the process of budget allocation, the gender inequality structure of the industry wa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the result of distribution repeated and strengthened the gender inequality structure, “feminization of culture contents labor”, “male-dominated career development”, and “gender division of labor”, rather than weakened them. The culture contents industry is the new industry expected high growth, and is involving young work force and has the high level of favor from young women. “The feminization of culture contents labor” is both a distinctive feature and one of inequality structures. Accordingly, if the government does not consider gender in the policy formation and budget distribution, it cannot effectively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policy. A gender perspective nee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culture contents training programs and their budgets.

      • KCI등재

        젠더평등원칙 확립을 위한 EU법의 구조와 특징 -젠더 스테레오타입 해소를 중심으로-

        채형복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2 江原法學 Vol.69 No.-

        Gender stereotypes are biased perceptions, preconceived notions or prejudices that people have about sex and sex roles. Sex and sex roles are gender, and biased perceptions, preconceived notions or prejudices about sex or gender are stereotypes. Gender stereotypes based on biased perceptions about sex or gender cause serious problems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The EU paid attention to the negative effects of gender stereotypes that justify discrimination and reinforce inequality from the beginning of the internal market. If the gender stereotypes are left unresolved, it will have a negative impact that hinders european integr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eventually activates the function of the internal market and generates positive effects that expand and deepen integration. Considering these effects, the EU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Gender Equality Strategy 2020-2025」 from March 5, 2020. The Treaty of Lisbon and the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 require the guarantee of gender equality in all areas of EU activity. What is the reason that the EU has various provisions to realize a gender-equal Europe in the basic treaties? Because it does achieving gender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ccording to changes in gender relations by eliminating traditional gender stereotypes. To realize the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the EU has established and is operating the European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EIGE)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젠더 스테레오타입이란 성, 성별 및 성역할 등에 대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편향된 인식, 선입견, 편견 내지는 고정관념이라고 할 수 있다. 성, 성별, 성역할 등은 젠더이고, 성에 대한 편향된 인식, 선입견, 편견 내지는 고정관념은 스테레오타입이다. 성 혹은 젠더에 대한 편향된 고정관념에 바탕을 둔 젠더 스테레오타입은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집단과 집단 사이에 심각한 차별과 불평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EU는 역내시장 초기부터 차별을 정당화하고, 불평등을 강화하는 젠더 스테레오타입이 가진 부정적 효과에 주목하였다. 만일 젠더 스테레오타입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방치하면, 유럽통합을 저해하는 부정적 영향으로 작용한다. 젠더평등원칙의 확립은 결국 역내시장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통합을 확대·심화시키는 긍정적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 점에 착안한 EU는 2020년 3월 5일부터 「젠더평등전략 2020-2025」을 수립하여 실시하고 있다. 리스본조약과 EU기본권헌장은 EU의 모든 활동 영역에서 남녀평등의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리스본조약을 비롯한 기본조약에서 EU가 젠더평등유럽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조항을 두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전통적인 젠더 고정관념을 철폐함으로써 젠더 관계의 변화에 따라 남성과 여성 간 성 평등을 달성하는 것이 유럽사회의 발전은 물론 미래세대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젠더평등원칙을 실현하기 위하여 EU는 독립기구의 하나로 유럽젠더평등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 KCI등재

        스포츠 사회학 : 여자 필드하키 선수의 성역할 갈등과 성역할 정체성 변화

        임수원(ImSuWon),임미정(ImMiJeong),송은주(SongEunJu) 한국체육학회 2004 한국체육학회지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ender-role expectation and gender-role conflict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and the effect of these experiences on the change of gender-role identity.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re students of A, B, C girls's high schools which are enrolled on the list of the Korea Hockey Association. Fifteen players are chosen. Their age is 17-19, and their career is 3-6 years.As results shows that the female field hockey player has two different gender-role expectation. They expected traditional gender-role socialization in daily life. But in sports, they expected musculinity. When they play game, players and managers forget the fact that they are female, and also they expect to do a tough and aggressive behavior like male. It is said that they feel bored and lose the self-confidence about sport when they play a game with femininity. On the contrary, when they play games with rough offence and excessiveness, they are proud of themselves and feel the sense of accomplishment. The female field hockey players stated that they felt the gender role conflicts in the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aspects. They must have the features such as aggression and strength in sport situation, but they are expected to do a feminine behaviors according to the internalized gender-role expectation and socialization in the ordinary life. So they felt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flicts. Managers or coaches rewarded female hockey players for their wild and aggressive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y punished female players experience for their weak and passive behavior. As they have played wild and aggressive hockey for 5~6 years, their gender-role identity has been changed from traditional feminine gender-role identity to masculine gender-role identity.

      • 성평등입법과 Gender-Mainstreaming

        김선욱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法學論集 Vol.12 No.1

        Korea has tried to amend discriminatory laws and improve unequal realities between women and men since 1980. As the results of legislative efforts, legal and institutional equality was achieved somewhat but gender-based inequality still remains in every areas of society. Gender-Mainstreaming, emphasized in 4th World Conference on Women, Beijing 1995, is recently adopted into policies in Korea. In this article, I analyse legislative changes that promote to transform Gender-Mainstreaming in only women-policies into Gender-Mainstreaming in all national public policies. And I focus on Gender Impact Assessment System(Women Development Act, 2002), Gender-Budget System(National Finance Act, 2006), Gender-Statistics System(Statistics Act, 2007) and the Review Standard of Legislation(2006) in th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In conclusion, our task is to actualize Gender-Mainstreaming in the lawmaking process by adapting to gender perspective in government public policies. 한국은 1980년대 이후 성차별적인 법의 개정과 성불평등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입법적 노력을 꾸준히 시도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입법적 노력의 성과로 법과 제도상의 평등은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사회 각 부문에서의 현실에는 아직도 많은 불평등이 남아 있다, 몇 가지 주요 지표를 보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아직 50.3%이고, 직종별로 살펴보면 사무직, 판매직, 서비스직에 편중되어있으며, 전문가 및 고위관리직의 비율은 여전히 낮다. 또한 여성근로자의 평균임금은 남성의 63.4%이다. 이러한 여성의 상황은 UNDP에서 매년 발표하는 여성권한척도(GEM : Gender Empowerment Measure)에서 잘 나타나고 있는데, 2006년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75개국 중 53위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1995년 제4차 북경 세계여성회의 이후 강조되고 있는 Gebder-Mainstreaming(성주류화)은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정책적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그동안의 성평등입법을 개관해보고 Gender-Meainstreaming으로의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최근의 몇 가지 입법적 변화를 분석하고 이들의 Gender-Meainstreaming의 효과를 다룬다. 즉, 여성발전기본법 개정(2002)으로 도입된 성별영향제도, 국가재정법 개정(2006)으로 도입된 성인지예산제도, 통계법 개정(2007)으로 도입될 성별통계생산, 그리고 법제처 법령입안심사기준(2006)의 성인지 법령심사를 다루면서 이러한 새로운 제도가 효과적으로 되기 위한 입법에서의 성주류화 과제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Gender Empowerment in South Korean Development : Lessons for Foreign Aid

        KIM, EUN MEE,LEE, JAE EUN 이화여자대학교 국제통상협력연구소 2011 Asian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Vol.12 No.1

        South Korea's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20th century had in its core women's employment in labor-intensive export industries. This paper examines Sou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lens of women's employment and gender empowerment. Although women's empowerment was not part of a goal of South Korea's development, large mobilization of women in the exporting light manufacturing sector eventually led to women's empowerment. Using OECD/DAC's guidelines on gender mainstreaming and gender equality, the paper examines how the South Korean experience can provide an alternative to women's empowerment in developing countries. We conclude that there has to be greater sensitivity to address gender-related issues including gender-mainstreaming and gender-sensitive budgets in order to help women attain economic as well as political empowerment in development cooperation.

      • 북한사람들의 성역할 특성과 가치관: 탈북자 자료

        정진경 한국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1 No.2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re the only available subjects today for an empirical study of gender role characteristics and gender egalitarianism of the North Koreans. One-hundred and fifty North Korean defectors, both female and male, and ages ranging from 14 to 62, answered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orean Sex Role Inventory and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The results revealed that North Koreans are more gender-typed in their gender rol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South Koreans.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emininity scores than men, and 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sculinity scores than women, whereas South Korean data do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With regard to gender egalitarianism, North Koreans showed more conservative attitudes compared to South Koreans, and men were more discriminating than women. The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however, were greater for women than men, and it was attributed to the rapid value changes towar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South Korean women. A close look at the items that North Koreans strongly agreed to showed a tendency to express progressive attitudes mostly on formal and institutional issues, and to show conservative attitudes on personal and private issu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age,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on the gender role characteristics and gender egalitarianism of the North Korea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탈북자들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북한사람들의 성역할 특성과 가치관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14세에서 62세까지의 남녀 탈북자 150명에게 성역할 특성을 측정하는 검사(KSRI)와 남녀평등의식을 측정하는 검사(KGES)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북한사람들은 남한사람들에 비해 성역할 측면에서 더 성전형화된 성격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사람들이 남녀간에 남성성, 여성성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에 비하여, 북한사람들은 남녀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 여성이 여성성이 더 높고 남성이 남성성이 더 높았다. 남녀평등의식의 측면에서는 남한사람에 비하여 더 보수적이고 남성중심적인 가치관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남성이 여성보다 더 보수적이었다. 가정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의 영역에서 남성이 유의미하게 더 보수적이었고, 교육생활 영역에서만 차이가 유의미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남한사람과 비교했을 때, 남성들간의 차이보다는 여성들간의 차이가 훨씬 더 컸는데, 이는 남한여성들의 가치관이 진보적으로 변화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북한사람들은 사회제도나 공적 조치에 대한 태도의 표명에서는 성평등적인 가치관을 표명하는 한편, 남녀의 바람직한 성격과 행동, 몸가짐이나 개인의 사생활 영역에 대해서는 매우 성차별적인 가치관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외에도 연령, 학력, 결혼상태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에 따른 북한사람의 성역할 특성과 남녀평등의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앞의로 연구에서 다루어야할 주제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교재의 성차별적 요소 연구

        이금영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6 No.-

        This paper analyzed gender discriminatory factor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more desirable Korean textbooks in which the values of gender equality and diversity are resp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this end, a total of 40 textbooks in 3 typ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cluding <Sejong Korean>(2022) were analyzed for language materials and visual materials such as illustrations and photos in the textbooks, and what gender-discrimination factors appeared by textbook and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en and women were generally balanced in the frequency of characters and the number of utterance sentences in the dialogue, except for the advanced level of male-oriented <Yonsei University> textbook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t imbalance depending on the textbook or level in the frequency of gender conversations, and in the frequency of initiating & leading conversation. In the dialogues, all three types of Korean textbooks did not consistently show typical differences in male and female speech act described in previous studies, but it was confirmed that some speech acts of men and women were not balanced by level. In terms of conversation topic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textbooks revealed gender stereotypes and imbalances by showing differences in conversation topics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textbooks did not show such standardized differences, but showed an imbalance centered on female speakers in most topics. The <Yonsei University> textbooks showed typic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opics related to ‘social’, but women were biased in topics related to ‘individual’. In the analysis of gender occupations and activity types, typical gender stereotypes and imbalances were also confirmed. The gender occupation and activity types were classified into 12 categories each. Imbalance and gender stereotypes were observed, with differences ranging from approximately 1.5 to 14 times in 6 categories for gender occupation and 6 categories for gender activity types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9 and 10 categori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12 and 11 categories of <Yonsei University>, respectively. In addition, other typical gender stereotypes and gender -separated thinking were confirmed, such as the standardized expressions of men and women's characteristics, appearance- oriented expressions for women, representation or invisualization of either gender, and cosmetic discrimination. Such gender discrimination elements of Korean textbooks are a kind of potential curriculum that allows foreign learners to unconsciously learn such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men and women. Therefore, for gender-equ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sent equal and balanced data that does not reveal gender discrimin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void a mindset that separates men and women, contrast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prevent the representation, visualization, and subordination of either man or woman. Instead, we should aim for a gender-neutral approach that embra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이 논문은 세계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양성평등과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보다 바람직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을 위해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성차별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세종 한국어 (2022) 등 3종의 교재 총 40권을 대상으로 교재 내 모든 언어 자료와 삽화, 사진 등의 시각적 자료를 분석하여, 교재별 그리고 등급별로 어떠한 성차별적 요소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화문에서의 성별 등장인물의 빈도 및 발화 문장 수는 남성 편중의 <연세대> 고급을 제외하고 대체로 남녀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성별 대화문 빈도와 대화 개시 및 주도 양상에서는 교재나 등급에 따라 다르게 불균형이 나타났다. 대화문의 화행에서는 세 교재 모두 선행 연구에서 기술된 전형적인 남녀 화행상의 차이가 일관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등급별로 일부 남녀의 화행이 균형 있게 구성되지 못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화문의 주제에서는 <서울대> 교재가 가장 정형화된 남녀 간 대화 주제의 차이를 보여 성 고정 관념과 불균형을 드러낸 데 비해, <국어원> 교재는 그러한 정형화된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주제에서 여성 화자에 편중된 불균형을 보였다. <연세대> 교재는 ‘사회’ 관련 주제에서는 전형적인 남녀 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개인’ 관련 주제의 ‘남-우세’ 주제에서는 여성 편중 현상을 보였다. 또한 성별 직업 및 활동 유형을 각각 12개로 분류하여 그 빈도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국어원>은 각각 6개, <서울대>는 9개와 10개, <연세대>는 12개와 11개 유형에서 약 1.5~14배의 차이를 보이는 불균형과 성 고정 관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정형화된 남녀의 특성 표현이나 여성의 외모 중시 표현, 남녀 한 성의 대표화나 비가시화 양상, 겉 포장적 차별 등 전형적인 성 고정 관념과 성 분리적 사고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