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질적 동등성에 근거한 유전자변형 벼의 안전성 평가

        조영규(Youngkyu Cho),이정호(Jeongho Lee),윤태현(Taehyun Yun),조용민(Yongmin Jo),오선우(Seonwoo Oh),주용성(Yongsung Jo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6

        유전자변형작물은 기존 작물과 비교하여 비의도적 변화 여부 및 실질적 동등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업적 이용 전에 안전성 평가 심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실질적 동등성’에 기반한 안전성 평가는 GM 작물과 비교작물을 비교하는 단계적 접근 방법으로 수행하는데, 이는 평가하고자 하는 항목에서 비교작물 간에 통계적 차이 혹은 자연변이 범위 내에서의 동등성을 확인하여 판단한다. 예를 들어 안전성 평가항목에서 GM 작물과 대조작물 간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상업화 품종과 비교해서 이들 성분의 함량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자연변이 접근법으로 동등성을 판단하고 결론한다. 추가 분석에서도 GM 작물의 특이성이 발견된 경우, 생물학적 또는 독성학적 분석이 진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GM 작물의 실질적 동등성 평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통계 방법들을 비교 정리하였다. 실질적 동등성 평가를 위한 통계기법 연구를 위해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 벼와 비교작물의 성분분석 자료, 농촌진흥청 작물성분 DB 자료를 이용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GM 작물의 실질적 동등성 평가는 영양성분을 비롯하여 독성, 알레르기성, 영양성 등의 평가항목에서 수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벼의 안전성 평가항목 데이터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와 이론적 내용을 통합하여 실질적 동등성 평가방법의 개선점을 발굴하고 합리적인 통계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Genetically modified crops must undergo safety evaluation approval before commercial use, ensuring substantial equivalence compared to conventional crops. Safety assessment based on 'substantial equivalence' involves a stepwise approach, comparing GM crops with their non-GM counterparts, examining statistical differences or equivalence within the natural variability range for the desired attributes. For instance, i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observed in safety test items between GM and control crops, additional analysis compares them to the commercially available varieties to determine inclusion within their compositional range. Further analysis involves biological or toxicological assessments if difference between GM crops and others are identified. Using data from insect-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rice and its non-GM counterpart, available in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s crop component database, we applied statistical methods for substantial equivalence assessment. The substantial equivalence assessment of GM crops covers various evaluation aspects, including toxicological, allergenic, and nutritional attributes.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rice's nutritional component data, integrating the results with theoretical contents.

      • KCI등재

        말라위의 유전자변형 작물 (Genetically Modified Crops) 상업화 타당성에 대한 고찰

        배유진 한국아프리카학회 2018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5 No.-

        Malawi has been promoting the commercializ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GM crops), such as BT cotton, BT cowpea and VR banana, all of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food and cash crops. In recent years, the production of these crops have decreased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drought, flood and climate change. By looking at the importance of these crops and their recent productivity, the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can be justified as it can improve Malawi’s food security. Further, as Malawi has strong biosafety laws and regulation GM crops could potentially be used with minimum negative risks. However,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t usages of these specific GM crops, and biotechnology in general, are often not specified and explained in the country’s key national policies and strategies such as the Malawi Growth and Development Strategy (MGDS) and National Agriculture Policy (NAP). In other words, despite the rapid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it is unclear whether the government fully understand the role of such crops. This is a serious matter as the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will have a direct impact on the productivity of the agricultural sector which is the central pillar of Malawi’s food security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clear role of GM crops to be defined in national policies. This process is more likely to help farmers to understand the needs of the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which will bring about GM crop’s full potential benefit to Malawi’s agricultural sector and overall economic development. 최근 말라위는 유전자변형 작물 (GM 작물) 상업화를 위해 다양한 현장 실험을 진행 중이다. 말라위가 상업화를 위해 지정한 작물은 동부콩, 목화, 바나나이다. 이 작물들은 말라위 내에서 식량자원 및 환금작물로써 각각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최근 5년간 해충과 바이러스 등의 영향으로 생산성이 하락하고 있다. 농업 부문은 말라위의 식량안보 및 수출수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에 동부콩, 목화, 바나나를 포함한 주요 작물들의 생산성 하락은 경제적으로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GM 작물 상업화를 통한 생산성은 향상은 식량안보 뿐 아니라 환경안보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에 합당해 보인다. GM 작물 상업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정책적인 측면에서 GM 작물 상업화가 경제, 농업 부문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이며 사용될 것인지 명확하게 나타나야 한다. 안타깝게도, 말라위의 농가 보조금 지급 프로그램 (FISP), 말라위 성장과 개발 계획 (MGDS), 국가 농업 정책 (NAP)을 분석해 본 결과, GM 작물에 대한 다양한 현장실험이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지정작물의 중요성이나 역할이 명료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지정 작물을 GM 작물로써 상업화하게 된 사유를 밝혀주는 공식적인 문서 또한 찾아 볼 수 없다. 이는 상업화의 경제적 타당성과 정책 사이에 큰 격차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상업화의 성공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말라위의 BT 목화 상업화는 내년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아직까지 상업화가 시작되지 않은 시점에서 현실적으로 가장 시급한 부분은 GM 작물의 역할을 관련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상업화의 타당성 및 정부의 역할을 명료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BT 목화 상업화 시작점과 다른 작물 (예: BT 동부콩) 상업화 시작점 사이에 적당한 기간을 두면서 BT 목화 상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장 ‧ 단점을 파악할 시간을 확보함으로써, 현장 실험이 아닌 상업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경제적 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이런 절차가 이루어졌을 시 농민들이 GM 작물과 상업화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고, 나아가 정부와 지역사회 사이의 책무성을 강화함으로써 향후 말라위의 장기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獨逸 遺傳工學法의 2005年 改正과 그 示唆點 : 유전자변형(GM)작물1)과 전통ㆍ유기농(non-GM)작물의 共存方案 unter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r Koexistenz in der Landwirtschaft

        趙寅成(Cho In Sung, 조인성) 한국공법학회 2006 公法硏究 Vol.34 No.4-2

        본 논문은 최근에 개정된 독일 유전공학법의 본질적인 목적 가운데 하나인 유전자변형생물체 (GMO)의 사용에 있어서 소비자와 생산자 간에 유전자변형(GM)작물 및 전통ㆍ유기농(non-GM)작물의 공존 및 선택의 자유 실현과 관련하여 그 주요내용을 분석ㆍ소개ㆍ비판하고, 우리나라 유전공학 관련법령에 그 시사하는 바를 고찰한 것이다. 유전자변형(GM)식품 및 사료에 대한 표시요건이 규정되어 있는 유럽연합(EU) 역내시장에서 GM작물의 꽃가루가 날아다니면 전통작물을 생산하고 싶은 농민들에게는 경제적인 피해가 나타날 수도 있다. 공존이라는 것은 표시나 순도 기준과 같은 법적 요건을 준수함에 있어 농민들이 GM 작물, 전통ㆍ유기농작물 사이의 현실적인 선택권을 가질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농민들은 자신들이 선호하는 경작방식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미 자신이 구축해 놓은 경작방식을 바꾸도록 강요받아서도 안 된다. 일반 원칙에 따르면 어떤 지역에 새로운 생산방식이 도입되기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그러한 신종방식을 도입한 농민이 다른 작물과의 혼합을 막을 수 있는 조치를 취할 책임이 있다. 공존을 보장하기 위한 관리조치의 개선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 그리고 그에 따른 최선의 경작방식을 때에 맞춰 공유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최우선순위는 이웃 농가 사이의 조화를 위한 조치, 그리고 농가수준의 관리조치에 두어야 한다. 이러한 조치들이 공존을 보장할 수 없음이 증명된다면, 지역 차원의 조치, 예컨대 해당지역에서는 특정 GMO를 경작하지 못한다는 조치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조치는 공존을 보장하지 못하는 특정 작물에만 적용되어야 하며, 적용되는 지리적 범위도 되도록 축소해야 한다. 조치가 시행되는 지역을 넓히는 것은 작물에 따라, 생산방식에 따라 하나하나의 정당한 근거가 있을 때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종자 생산과 작물 생산은 구분해서 판단해야 한다. 새로 개정된 독일 유전공학법의 본질적 핵심사항은 다음과 같다. 즉, (1) GMO의 만성적 우성으로부터 비유전공학농업의 보호, (2) 농업유전공학을 통해 본질적으로 침해가 있는 경우 손해배상요구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명확한 책임규정, (3) GM작물의 연방등록제도는 보다 더 개선된 투명성을 제고한다는 점, (4) GMO 등록에 대해 생태적으로 민감한 지역의 보호를 위한 보다 더 개선된 규정들, 그리고 (5) GMOㆍ종자ㆍ제공자의 생산정보의무와 관련한 우수생산물생산의 유지를 위한 구체적인 규정들은 법적안전성을 가져온다는 점 등이 바로 그것이다.

      • KCI등재

        GM작물에 대한 공중의제 확산을 위한 연구

        김욱,이남영,김종미 한국공공관리학회 2012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6 No.4

        생명공학기술은 21세기의 국가경쟁력과 경제성장의 핵심이며, GM작물은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GM작물은 높은 경제성과 다양한 혜택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증폭되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로 인한 위험성이 부각되면서 일반국민들의 정책참여 확대와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궁극적 수혜자인 동시에 피해자인 일반국민들이 GM작물에 대한 공중의제의 확산이 매우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인지의 변화과정과 요인에 대해서 2011-12년간 시계열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정도와 수준의 변화가 거의 없고, 응답자의 70%가 GM에 대해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GM작물 인지정도는 GM작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 두 요인은 GM작물의 실용화 필요성에 대한 의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바람직한 공중의제의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국내 생태계에서 주요 GM작물과 근연종 간의 자연 교잡 가능성

        육민정,김도순 한국잔디학회 2022 Weed & Turfgrass Science Vol.11 No.4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and their relatives is the first gateway for introgression to the ecosystem and consequent environmental risk. Therefore, we review the related information on transgene flow from GM crops to their relatives in the Korean ecosystem, such as introduced traits,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endemic relatives, and the gene flow occurrence of major GM crops. Besides non-GM cultivars, wild soybean, seven Brassicaceae species, and weedy rice are distributed nationwide in Korea. The maximum gene flow rate from GM to wild soybean was reported at 0.292%. The maximum gene flow rates from GM oilseed rape to Brassica juncea and Brassica rapa were 0.076% and 1.2%, respectively. The hybridization rate from GM to weedy rice was generally less than 0.05% but ranged up to 4.2%. Because there are no wild or weedy relatives of GM maize and cotton in Korea, the gene flow to their relatives is expected to be relatively low. Our review suggests that the transgenes of GM soybean, oilseed rape, and rice can be introgressed into their cultivated, wild or weedy relatives by pollen-mediated gene flow, and may persist in the ecosystem depending on the fitness of the hybrid progenies. 본 연구는 주요 GM작물의 유전자이동에 의한 환경위해성에 대한 이해와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수행되었으며, 세계 4대 GM작물인 콩, 유채, 옥수수, 면화 및 국내 주곡 작물인 벼의 도입형질, 생식 특성, 교잡가능 근연종 및 국내 분포하는 근연종과의 교잡율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고찰하였다. 콩은 국내 원산인 작물로서 일년생 야생종인 돌콩이 전국적으로 자생하고 있으며, 국내 포장조건에서 GM콩과 돌콩 간 교잡은 최대 0.292%이었다. GM 유채는 종간 교잡이 가능한 갓, 양배추 및 배추와 속간 교잡이 가능한 모래냉이, 소래풀, 서양무아재비 및 무 등 7종의근연종이 국내에서 재배 또는 자생한다. 국내 농업환경 조건에서 수행한 실험에서 GM유채와 근연종 간 최대 교잡율은 갓, 배추에서 각각 0.076% 및 1.2%에 달하였다. GM벼는 교잡이 가능한 재배벼가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으며, 잡초성벼가 자생한다. 야외 포장에서 GM벼로부터 잡초성 벼(앵미)로의 유전자 이동율은 대체로 0.05% 미만이었으나, 최대4.2%의 교잡율이 보고되기도 하였다. GM옥수수 및 면화는 국내에 교잡 가능한 야생 근연종이 분포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유전자이동에 의한 생태계 침투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적으로 GM콩, GM유채, GM벼의 경우 도입유전자가 국내 생태계에 분포하는 근연 재배종, 야생종 또는 잡초종으로 이동 가능하며, 교잡후대종의 적응성에 따라 국내 생태계에 지속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전자조작벼 상용화의 법적 문제

        김은진 한국경영법률학회 2017 經營法律 Vol.27 No.2

        In 20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one of our government, announced the plan of commercializing genetically modified rice(GM rice). After then, there were lots of public protests. Even though RDA explained GM rice would be used not for agricultural use but for industrial use, public still worried about potential risk of GM rice. There are some reasons. Firstly, rice is our major crop. 54% of crop land in the country is rice paddy and rice is main food. Secondly, GM rice in issue is 2nd generation GM with special function. Until now, GM crops are connected with agricultural chemicals. In future, GM crops move to functional crop, such as rice containing improved resveratrol as active ingredients. Thirdly, it is the first approval of producing GM crop in the country. Therefore, we must prepare more specific standard before producing GM rice. There is no general guideline for socio-economic consideration of GM crops. However, guidelines for socio-economic consideration are prepared if we have a plan to produce GMOs because producing GM crops is totally different from importing, In addition, not only health but also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safety assessment is included in guideline, as well. 그동안 GMO는 안전성에 관한 우려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직접 생산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입GMO를 사용하는 가공식품 등에서 문제가 되어왔다. 그러나 2015년 9월 농촌진흥청이 GM벼 상용화 계획을 발표하면서 GMO에 대한 우려는 국내에서도 직접적인 문제가 되었다. 더욱이 지난 7월에는 산업용이라는 명분하에 화장품용 GM작물의 생산이 승인되었다. 아직까지 상품화하지는 않았지만 이미 상업적 생산이 승인된 만큼 곧 상품화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그 결과 국내에서는 많은 시민사회단체가 전국적인 조직까지 만들면서 GMO의 상용화를 반대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논란은 이번 발표가 다음의 몇 가지 문제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첫째, GMO 작물이 국민의 주곡인 벼이기 때문이다. 둘째, 상용화발표에 따른 GMO가 2세대로 일컬어지는 기능성이기 때문이다. 셋째, 재배용이 아니라 산업용이라는 이유로 안전성관리를 위한 절차가 생략되기 때문이다. 국민의 주곡은 섭취량이 많은 만큼 달리 취급해야 한다. 예컨대 바이오안전성의정서에서 정하고 있는 사회/경제적 고려는 이런 점에서 단순히 ‘고려’대상이 아니라 적극적인 심사항목이 되어야 한다. 이는 앞으로 벼뿐만 아니라 밀 등의 주곡에서는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다. 또한 기농성 GMO에 적합한 안전성평가방식도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안전성평가는 1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주로 농약과 관련한 것이었다. 그러나 기능성은 농약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효능에 초점을 맞춘 것이기 때문에 그에 적합한 안전성평가방식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산업용을 재배용과 구분하여 안전성관리를 하는 것 역시 개선되어야 한다. 이미 실험과정에서도 얼마든지 유출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진 이상 산업용이 노지 재배용이 아니라는 이유로 노지재배에 필요한 절차가 생략되어서는 안된다. GMO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성관리이다. 기존의 안전성관리제도로는 현재 상용화의 대상이 된 GM벼, 즉, 기능성이며, 주곡이며, 또한 직접 생산용인 GM작물을 관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에 맞는 안전성관리제도가 전제되어야 한다. 안전에 관한 확신이 없는 과학기술과 그 결과물에 대한 관리는 아무리 철저히 해도 장기간의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GM벼 역시 그에 관한 관리제도가 선행될 때까지 상용화를 중단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rade growth in modern biotech crops: An evidence from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송우용,성봉석 한국유통경영학회 2011 유통경영학회지 Vol.14 No.6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have increased trade of GM soybean and GM corn between major export and import countries based on their trade performances, from 1996 (the first year the crops were cultivated commercially) to 2009, by conducting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CMS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MSA, the commodity composition effects are twisted, showing the negative (1996-2003) and positive (2003-2009) results in GM soybean trade, and vice versa in GM corn trade. However, in total, both increase in the exporting countries' competitiveness and demand expansion in importing countries led to trade growth of GM soybean and GM corn between the countries on a bilateral base except in a few cases. The reasons behind the increase seem to be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s: cost-saving farming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of GM crops led by GM technique, pro-biotech policies by the major exporting countries, social acceptance formed spontaneously within the importing countries and bounded social acceptance led by the international institutional context,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have increased trade of GM soybean and GM corn between major export and import countries based on their trade performances, from 1996 (the first year the crops were cultivated commercially) to 2009, by conducting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CMS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MSA, the commodity composition effects are twisted, showing the negative (1996-2003) and positive (2003-2009) results in GM soybean trade, and vice versa in GM corn trade. However, in total, both increase in the exporting countries' competitiveness and demand expansion in importing countries led to trade growth of GM soybean and GM corn between the countries on a bilateral base except in a few cases. The reasons behind the increase seem to be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s: cost-saving farming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of GM crops led by GM technique, pro-biotech policies by the major exporting countries, social acceptance formed spontaneously within the importing countries and bounded social acceptance led by the international institutional context,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 KCI등재

        폴리드나바이러스 유래 CpBV-ELP1 발현 담배의 내충성

        김은성,김용균,Kim, Eunseong,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1

        폴리드나바이러스(polydnavirus: PDV)는 일부 내부기생봉에 공생하는 이중나선형 DNA 바이러스 분류군이다.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CpBV)는 프루텔고치벌(C. plutellae)에 공생하는 일종의 PDV이다. 프루텔고치벌은 어린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유충에 기생한다. 기생 초기에 발현하는 CpBV-ELP1 유전자는 혈구세포에 세포독성을 발휘하면서 기주의 세포성 면역을 억제하여 기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유전자를 담배 식물에서 발현하여 해충에 대한 경구독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재조합 CpBV-ELP1 단백질이 배큘로바이러스 발현시스템을 통해 합성되어 세포배양액에 분비되었다. 수거된 세포배양액은 일련의 단백질 분리과정(ammonium sulfate 단백질 분획, size exclusion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을 통해 CpBV-ELP1 단백질을 분리하는 데 이용되었다. 분리된 rCpBV-ELP1 단백질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혈구에 대한 뚜렷한 세포독성을 보였다. CpBV-ELP1은 파밤나방 5령충에 대해서 혈강 주입하여 살충력을 나타냈고, 엽침지법을 이용하여 경구독성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pBV-ELP1 유전자를 CaMV 35S 유전자 프로모터와 opaline synthase 유전자 전사종결신호를 갖는 pBI121 벡터에 클로닝하여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세균에 형질전환을 유도하였다. 형질전환된 세균은 담배(Nicotiana tabacum Xanthi)잎에 감염하여 캘러스를 유도하게 하였고 이후 차세대(T1)를 확보하였다. T1 세대 담배는 파밤나방에 대한 해충저항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pBV-ELP1 유전자가 형질전환작물을 통해 해충방제에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Polydnaviruses (PDVs) are a group of double-stranded DNA viruses symbiotic to some endoparasitoid wasps.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CpBV) is a PDV symbiotic to an endoparasitoid wasp, C. plutellae, parasitizing young larvae of Plutella xylostella. An early expressed gene, CpBV-ELP1,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rasitism by suppressing host cellular immunity by its cytotoxic activity against hemocytes. This study aimed to test its oral toxicity against insect pest by expressing it in a recombinant tobacco plant. A recombinant CpBV-ELP1 protein was produced using a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and secreted to cell culture medium. The cell cultured media were used to purify CpBV-ELP1 by a sequential array of purification steps: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and ion exchange chromatography. Purified rCpBV-ELP1 exhibited a significant cytotoxicity against Spodoptera exigua hemocytes. CpBV-ELP1 was highly toxic to the fifth instar larvae of S. exigua by injection to hemocoel. It also showed a significant oral toxicity to fifth instar larvae of S. exigua by a leaf-dipping assay. CpBV-ELP1 was cloned into pBI121 vector under CaMV 35S promoter with opaline synthase terminator. Resulting recombinant vector (pBI121-ELP1) was used to transform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The recombinant bacteria were then used to induce callus of a tobacco (Nicotiana tabacum Xanthi) leaves and subsequent generation (T1) plants were selected. T1 generation tobacco plants expressing CpBV-ELP1 gave significant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S. exigua larv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pBV-ELP1 gene can be used to control insect pests by constructing transgenic cr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