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DP deflator and CPI inflations: A Reason of their differences

        허인 ( In Huh ) 한국국제통상학회 2024 국제통상연구 Vol.29 No.1

        소비자물가지수와 GDP디플레이터는 물가상승률을 측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지수들이다. 소비자물가 지수는 품목을 일정하게 고정해 측정하나, GDP 디플레이터는 GDP에 포함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비중이 달라지면 품목의 비중도 변동된다. 그리고 소비자물가 지수는 대표적인 소비자가 소비하는 품목으로 구성되나, GDP디플레이터는 한 국가에서 생산되는 모든 품목이 포함된다. 따라서 두 지수의 차이는 구성 항목의 비중 변동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구성 항목의 차이로 발생한기도 한다. 49개국의 소비자물가와 GDP 디플레이터로 측정한 물가상승률의 상관계수는 IMF의 IFS자료에 따르면 최소 -0.058에서 최대 0.982로서 국가별로 차이가 많았다. 또한 모든 국가에서 두 지수를 측정한 물가상승률이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기간이 존재했다. 소비자물가와 GDP 디플레이터로 측정한 물가상승률의 차이가 나는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GDP 지출 부문으로 구별하여 민간소비, 투자, 정부지출, 수출과 수입 디플레이터의 상승률로 49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을 패널회귀 분석했다. 소비자물가 지수는 민간소비, 투자, 정부지출, 수출과 수입 디플레이터 중 민간소비 디플레이터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다.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패널분석에서는 민간소비, 정부지출, 투자, 수입 디플레이터 상승률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계수를 보여줬다.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에 대한 패널분석에서는 민간소비, 투자, 정부지출, 수출 디플레이터 상승률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계수를 보여줬으나, 수입 디플레이터 상승률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계수를 보여줬다. 소비자물가 지수와 GDP 디플레이터로 측정한 물가상승률의 차이에 대한 패널 분석에서는 수입 디플레이터 상승률이 유일하게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크게 만들었다. 이는 두 지수가 민간소비, 투자, 정부지출, 수출 디플레이터 상승률에 대해서는 같은 방향으로 반응했으나, 수입 디플레이터 상승률에 대해서 반대로 반응했기 때문이다. The CPI and GDP deflator are the two most common choices of inflation measure. The different ways of measuring inflation in CPI and GDP deflator could lead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IMF IFS data of 49 countri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GDP deflator and CPI inflation vary by countr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PI and GDP deflator inflation are from -0.058 to 0.982. We also observe at least one period when the GDP deflator and CPI move in opposite directions in every country. The panel regression of 49 countries' CPI on the expenditure parts deflator inflations yield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stimated coefficients of the private consumption, investments, and import. The panel regression of GDP deflator inflation on the expenditure parts deflator inflations yield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estimated coefficients with private consumption, investment, government expenditure, and exports deflator inflations and a negative estimated coefficient with imports deflator inflation. The import deflator inflation was the only cause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ifference between CPI and the GDP deflator inflations. Since the GDP deflator and CPI respond differently with each other to import price changes, the import deflator inflation increases the difference between CPI and the GDP deflator inflations.

      • KCI등재

        GDP갭 분해기법을 이용한 변동요인 분석

        장영재,Chang, Youngjae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3

        GDP갭(gap)이란 잠재GDP와 실제GDP의 격차로서 산출갭(Output gap)이라고도 한다. 잠재GDP는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를 완전히 활용하여 달성할 수 있는 최대GDP라고 정의할 수 있다. GDP갭은 수요-공급간 불균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물가 및 고용안정을 추구하는 중앙은행들은 정책수행과정에서 GDP갭을 중요한 정보변수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GDP갭을 그간 선행연구에서 사용하였던 필터링 방법에 의해 분해함으로써 GDP갭 변동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Fox 등 (2003)와 Fox와 Zurlinden (2006)에서 사용되었던 Super Smoothe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명목GDP갭을 분해해 본 결과 이론적인 설명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목GDP갭률 변동의 상당부분은 잔차인 총요소생산성으로 설명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최근들어 급격한 기술변화 및 환경변화 등 생산성 변화가 GDP변동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른 나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국내물가의 영향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특성상 교역조건의 변동 역시 상대적으로 명목GDP 움직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GDP gap (also called the output gap) is the difference between potential GDP and actual GDP. Potential GDP is the maximum sustainable output that is achieved when the resources (labor and capital) are used to capacity. Central banks pursuing price and employment stability consider the output gap as an informative variable for monetary policy since the output gap could be regarded as a proxy of demand-supply imbalances. In this paper, the GDP gap of Korea is decomposed following the filtering method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major factors that affect the variation of GDP gap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decomposed series. The analysis results by the Super Smoother algorithm used in Fox et al. (2003)and Fox and Zurlinden (2006) are found consistent with theory. Much of the variation of nominal GDP gap is explained by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gap, which is the change of productivity due to recen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It is also found that variation of terms of trade significantly affects the GDP gap of Korea due to its high dependency on international trade; however, the effect of the domestic price is not negligible like other countries.

      • KCI등재

        북한 국민소득과 통일경제

        임희정 ( Hee Jung Lim ),김천구 ( Cheon Goo Kim ),김용환 ( Yong Hwan Kim ) 국제지역학회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4

        남북경제비교 및 남북교류 정책 그리고 통일경제에 대한 접근은 북한의 경제규모와 경제구조를 대변하는 국민소득 추정에서 시작된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의 1인당 GDP의 기존추계방법을 소개하고 비교적 자료가 정확하고 이용이 용이한 보건지표를 활용하여 북한의 경제력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HRI 북한 GDP 추정모형’은 보건지표(Health Indicator)를 활용하여 북한 GDP를 추정한다. HRI 추정모형의 특징은 첫째, UN 등 외국의 구 호기관에서 검증된 신뢰도가 비교적 높은 보건지표를 사용한다. 특히 영아사망률 자료를 분 석에 이용하여 장기적인 시계열뿐만 아니라 단기적인 경기변동에 대한 설명력을 높였다. 둘 째, 북한과 경제발전 수준이 유사하다고 평가되는 저개발국가의 개체특성을 고려하여 북한 GDP 추정에 정확도를 높였다. 셋째, 한국은행과 여타 연구에서 사용되는 가격체계가 가진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세계 198개국의 2000~2008년까지 영아사망률과 1 인당 GDP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고정효과(fixed effect) 모형을 활용하여 영아사망률과 GDP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영아사망률외에도 북한의 고유한 국가 특성을 고려하였다. 이를 추정하기 위해 북한이 저개발 국가들과 유사한 특성 가진다고 가정하고 1인당 국민 소득 3,000달러 이하인 100개국 각각의 국가별 특성을 구하여 이 값에 평균을 취한 후 이를 북한의 개체특성이라고 가정하고 추정하였다. 이러한 모델에 근거하여 추정한 결과 2013년 북한의 1인당 명목 GDP는 854달러로 나타났다. The starting point is the estimation of GDP which show the economy scale and economic structure in each country to compare the North and South Korea on economy,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unification. This paper shows existing estimation methods including the method using health indicator to North Korea’ GDP per capita. HRI(Hyundai Research institute)’s Model for North Korea’s GDP estimates is based on the method using health indicat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RI model is as follows. First, the health indicator in the model is reliable variables used in the UN and other international institutions. Especially, the variable infant mortality rate is meaningful in the long-run time series and short-run business cycles analyses. Second, the estimation of North Korea’s GDP/capita is enhanced using the trait of undeveloped countries compared to North korea. Third, HRI model uses fixed effect panel model to get a better estimates of North Korea’s GDP/capita than other institutions. The specialty of the HRI model is that the relationship and the infant mortality rate of 198 countries and GDP/capita during 2000 to 2008 is used in the model. Another contribution is to use trait of 100 countries with GDP/capita $3,000 or less. Based on Hyundai’s ‘Model for N. Korea’s GDP Estimate’, N. Korea’s nominal GDP/capita in 2013 is estimated to be US$854.

      • KCI등재후보

        벤치마킹 방법을 이용한 월별 GDP 추정

        이긍희 통계청 2008 통계연구 Vol.13 No.1

        Since GDP is announced on a quarterly basis, monthly business indicators such as the coincident composite index are more frequently used than GDP. GDP is used to confirm the current business condition. Monthly indicators do not always give the same results as quarterly GD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monthly GDP to grasp the current business condition faster and consistent with quarterly GDP. Monthly GDP is estimated the following two steps; First, preliminary monthly GDP is estimated using the regression model based on three monthly indicators. Second, preliminary monthly GDP is adjusted to make it consistent with quarterly GDP. Monthly GDP are compared with the coincident composite index.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monthly GDP has the same trend of quarterly GDP and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incident composite index. GDP는 분기로 작성되기 때문에 경기분석 시 경기 동행종합지수 등 월별 통계로 우선 판단하고 분기 GDP로 확인하고 있다. 그런데 경기 동행종합지수에 의한 결과는 분기 GDP의 분석 결과와 항상 같지 않다. 이는 두 통계의 작성방법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월별 경기 동행종합지수의 속보성과 분기 GDP의 대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통계로 월별 GDP를 추정할 필요가 있다. 월별 GDP는 다음의 두 단계로 추정되었다. GDP 추계시 활용도가 높고 시계열 길이가 긴 산업생산지수, 도소매판매액지수, 비농림어업 취업자수를 설명변수로 한 통계모형을 구축하여 잠정 월별 GDP를 구하고, 벤치마킹방법을 이용하여 분기 GDP와의 정합성을 확보하였다. 벤치마킹 방법으로 Chow and Lin (1971) 방법을 이용하였다. 월별 GDP의 유용성을 점검하기 위해 경기종합지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월별 GDP는 경기 동행종합지수와 관련이 높으면서 분기 GDP와 정합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GDP를 넘어: 국민후생의 측정지표로서 25개 대안 GDP 비교 · 분석

        이승준 ( Seungjun Lee ),김지원 ( Jiwon Kim ),구교준 ( Jun Ko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11개 국제기구와 10개의 OECD 국가 및 4개의 도시가 개발하여 사용 중인 25개의 대안 GDP 체계를 그 목적과 배경, 방법론, 지표체계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국민후생 지표로서의 GDP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각각의 지수는 개발된 배경에 따라 고유한 특징을 갖게 되어 삶의 질 측정, 지속가능성의 추구, 또는 사회의 비전 및 정책평가의 기준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진다. 방법론 측면에서 각 지수는 삶의 질이 가지는 다차원적 성격을 반영한 여러 분야의 지표들을 포함하는데, 이들 분야별 지표를 단일 지수로 제시하거나 대시보드 형태로 제시하기도 하고, 모든 지표를 나열해서 보여주기도 한다. 지표체계에 있어서 각 지수는 삶의 질의 핵심 영역을 공통분모로 고르게 반영하고 있으며, 각 지수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독특한 지표들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비교 ·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대안 GDP로서의 새 지수는 시간의 차원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경제 및 후생의 가치를 담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새로운 지수는 국민후생을 대표하며,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북극성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단일지수방식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셋째, 새로운 지수는 지수의 구성영역 측면에서 가사노동, 자원봉사, 시민참여 등 사회 시스템을 유지하고 사회적 가치를 생산하는 비경제 활동을 포괄하여야 한다. 넷째, 새로운 지수는 국민후생의 객관적인(양적) 측면과 주관적인(질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논의는 기존 GDP의 한계점에서 출발해 현재 활용 중인 대안 지수들을 검토하고 방향성을 제시한 것으로, 향후 대안 지수의 개발 과정에서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t a starting point from which to develop an alternative to the GDP system based on its limitations and the existing indices. We examine alternative indices of GDP among 11 international organizations, 10 OECD member countries and 4 citie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The comparison is made based on three criteria: the backgrounds and aims, methodologies and components (sub-indicators) of each index.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each of the 25 indices has more than 1 objective among the 3: measuring the quality of life, pursuing sustainability, and presenting a vision and policy recommendations. Each index also differs in the methodology: some have a single indicator system, while others have a dashboard or a list of all sub-indicators. Lastly, components (sub-indicators) of the 25 indices are classified into universal and unique indicators. Based on the findings, we draw four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to GDP. First, a new index needs to incorporate a time dimension for a sustainable economy and well-being in terms of its aims. Second, building a single indicator system is recommended to make it work as a signpost to a desirable future for human life in terms of a methodology. Third, non-economic activities creating social values need to be considered, such as housework, volunteer work and civic participation in terms of components. Fourth, it is necessary for a new index to measure both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aspects of welfare.

      • KCI등재

        경제성장은 신용카드 사용을 증대시키는가?

        김주일,이세우 사단법인 한국신용카드학회 2020 신용카드리뷰 Vol.14 No.1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GDP growth rate affecting credit card issuance and credit card usage. The analysis period is 19 years from 2000 to 2018. After empir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unit root test, empirical analysis of Granger causality, impact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were performed by VAR mod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Granger causality analysis showed that GDP growth had an effect on the number of credit cards, the amount of regular use and installment, and the amount of cash service. Second, the impact response function analysis showed that GDP growth rate affects the number of credit cards, the amount of regular use and installment, and the amount of cash service by credit card up to a certain time difference. Third, GDP growth rate was 2.40%~2.16% in credit card count, 2.21% in general credit card amount, 4.65%~3.08% in credit card installment amount, and 16.11%~29.39% in amount used in credit card cash service. Influential, it supports Granger's causality and ANOVA results. Therefore, the increase of credit card usage is an important factor in GDP growth, and the research results that GDP growth also increases the use of credit car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government's economic policy and credit card company's card policy establishmen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no previous study on GDP growth rate and credit card use. However, the follow-up study will be based on this study. 본 논문은 경제성장이 신용카드 발급과 신용카드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관한 연구로 실증분석 자료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한 GDP 경제성장률과 여신협회에서 제공한 신용카드수와 신용카드 사용금액이며,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18년까지 19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 방법은 기초통계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단위근 검정을 실시한 후에, VAR모형에 의하여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충격반응함수 분석과 분산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결과 GDP성장률은 신용카드수, 신용카드에 의한 일반사용금액과 할부사용금액 및 현금서비스사용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격반응함수분석결과 GDP성장률이 신용카드수, 신용카드에 의한 일반사용금액과 할부사용금액 및 현금서비스사용금액에 일정시차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GDP성장률은 신용카드수에2.40%~2.16%, 신용카드 일반사용금액에 2.21%, 신용카드 할부사용금액에 4.65%~13.08%, 신용카드 현금서비스사용금액에 16.11%~29.39% 만큼 각각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그랜저인과관계와 분산분해 분석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용카드 사용의 증가는GDP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GDP성장률 또한 신용카드 이용을 증대시킨다는 연구결과는 정부의 경제정책과 신용카드회사의 카드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GDP성장률과 신용카드사용액과의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러나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GDP 성장률에 대한 회계이익의 정보효과

        이성욱,이상열,오상훈 한국회계정책학회 2016 회계와 정책연구 Vol.21 No.4

        In previous accounting researches, macro-economic variables have been used as control variables which affect on accounting income(macro to micro), howev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ccounting income on the macro-economic variables(micro to macro). GDP is important statistics for the economists or government officials to judge economy conditions and to decide macro-economic policy.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accounting income and GDP. and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is informative to the actual GDP.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is expected to be informative to actual GDP, because accounting income is important components of GDP and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is measured by value-weighted average of cross-sectional accounting income. Secon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is used for estimating actual GDP. Accounting income is disclosed earlier than estimated GDP, so we can expect that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will be used to estimate actual GDP. Third,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on the estimation errors measured by actual GDP minus estimated GDP. If accounting income is informative to actual GDP, but it is not used to estimate actual GDP, accounting income will increase estimation err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is informative to actual GDP, but it is not used to estimate actual GDP, so accounting income growth increases estimation errors. These results show that economists or government officials need to use accounting income to estimate actual GDP. The value of this study is that it increases the scope of accounting information usefulness from firm level to the macro-economic level. 회계학 분야 연구에서 거시경제 변수는 주로 회계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수로 이용되어 왔지만(macro to micro), 본 연구에서는 이와 반대로 회계이익이 거시경제 변수인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micro to macro). 국내총생산(GDP)은 한 국가의 경제적 성과를 가장 잘 나타내는 요약 통계량으로서, 경제학자나 정책 결정자 등이 이를 기초로 종합적인 경제상황을 판단하고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거시경제지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계이익과 국내총생산(GDP)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총회계이익성장률(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이 GDP 성장률 확정치에 대해서 정보성(informativeness)을 갖는지를 검증한다. 기업들의 회계이익은 GDP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므로 개별기업들의 회계이익 성장률을 시가총액으로 가중평균 하여 계산한 당기의 총회계이익성장률은 당기의 GDP 성장률 확정치에 대해서 정보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총회계이익성장률이 당기의 GDP 성장률 추정치(분기잠정, 연간잠정)를 산정하는데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회계이익 정보는 당기의 GDP 성장률 추정치(분기잠정, 연간잠정)를 발표하는 시점 이전에 공시되므로, GDP 성장률 추정치(분기잠정, 연간잠정)를 계산하는데 회계이익 정보가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총회계이익성장률이 GDP 성장률 추정오차(GDP 성장률 확정치-GDP 성장률 추정치)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만약 회계이익이 GDP 성장률 확정치에 대해서 정보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GDP 성장률 추정치를 계산하는데 활용되지 않는다면, 총회계이익성장률의 증가는 GDP 성장률 추정오차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회계이익성장률은 GDP 성장률 확정치에 대해서 정보성(informativeness)을 갖고 있으나, GDP 성장률을 추정하는데 회계이익 정보가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해 총회계이익성장률의 증가는 GDP 성장률 추정오차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제학자나 정책당국자들이 GDP 성장률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회계이익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주로 기업수준에서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다루었던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회계정보의 유용성 적용 범위를 거시경제지표인 GDP로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潛在GDP 및 인플레이션 壓力 측정결과

        김치호,문소상 한국은행 2000 經濟分析 Vol.6 No.1

        이 논문에서는 생산함수접근법에 의거 우리나라 잠재GDP를 추정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GDP갭률을 산출하고 인플레이션 압력 정도를 평가하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잠재 GDP는 외환위기 전에는 6~7% 대의 성장률을 유지하였으나 1998~99년 중에는 4%대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설비투자가 크게 부진하여 가용자본량의 증가세가 둔화된 데다 노동시장의 구조변화로 자연실업률이 높아진 최근 경제사정에서 비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잠재GDP를 이용하여 인플레이션 압력평가에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GDP갭률을 분석한 결과 GDP갭률은 경기순환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인플에이션에 2~3분기 선행하면서 3년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의 거시경제정책 운용에서는 이러한 시차구조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결혼이민남성의 국적·영주권 취득 의향

        남춘호(Nam, Choon Ho),문장순(Moon, Jang Soo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8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남성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개인·가족적 적응과 사회적 관계, 경제상황 요인이 국적·영주권 취득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들이 출신국의 경제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본 연구는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자료 중 국적·영주권을 취득하지 않은 결혼이민남성 933명을 대상으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출신국의 경제적 상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낮은 집단이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높은 집단보다 국적 취득할 의향이 높다. 이에 출신국의 GDP가 한국 대비 높음/낮음으로 집단별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낮은 집단에서는 가족적 적응요인(자녀 최저나이, 배우자 만족도), 사회적 관계요인(사회활동모임, 차별경험), 경제적 상황 요인(평균임금)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높은 집단은 통계적 분석모형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낮은 경우는 집단적인 경향이 나타나는 반면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높은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결혼이민남성의 경우 출신모국 경제상황에 따른 다각적인 정책적 검토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mographic factors, individual/family adjustment,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situation factors of marriage immigrant men on the intention of marriage immigrant men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or permanent residency. This paper also examines whether these influences depend on the economic level of the country of origin. This study conducte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933 marriage immigrant men who did not acquire Korean nationality or permanent residency status i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As a result,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country of origin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marriage immigrant. That is, the group which GDP of the country of origin is lower than that of Korea is more willing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or permanent residency. For this reas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group subdivided by GDP of the country of origin in comparison with that of Korea. The result of the analysis has shown that the groups, whose GDP of their country of origin is lower than that of Korea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family adjustment factors (minimum age, spouse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 (social activity group,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economic situation factors (average wage). On the other hand, statistical analysis model is not suitable for groups with higher GDP than that of Korea. In other words, the case that the GDP of the country of origin is lower than that of Korea shows a collective tendency, but the opposite case is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fferentiated politic approaches to marriage immigrant men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ir countries of origin.

      • KCI등재

        비선형 추세를 이용한 한국의 실질 GDP 장기 예측

        장인성(Insong Jang) 한국계량경제학회 2009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20 No.2

        미래의 국가 경제규모에 대한 예측은 중장기적 재정계획의 수립 및 평가를 위해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연금개혁 및 장기적 사회복지정책 등의 입안 및 평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질 GDP의 장기 예측을 위해 그동안 주로 사용되어온 생산함수 접근법은 자본스톡의 측정 및 총요소생산성 등의 예측을 위해 종종 현실과 다소 거리가 있는 가정 혹은 대용변수들을 사용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비선형 확정항을 포함하는 자기회귀모형을 통해 장기 GDP 예측치를 구함으로써 불필요한 가정을 줄이는 동시에 불완전한 자료의 이용을 피했다. 단위근 검정과 비선형 확정항의 차수 결정을 동시에 시행하는 단계적 단위근 검정법 적용 결과 한국의 실질 GDP 시계열은 2차 확정추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적 PW-GLS 추정법을 적용한 예측 결과 GDP 성장률은 2013년 4.09%까지 낮아진 후 2050년에는 2.35%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구고령화를 반영하여 예측할 경우 성장률은 더욱 급속히 낮아져 2050년 0.66%에 달하였다. Long-term forecast on the size of future economy measured by real GDP is essential to planning and evaluation of long-term fiscal policy as well as pension reform and design of welfare system. 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the forecast is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which often depends upon noisy measurement of capital stock as well as ad-hoc assumptions for future productivity growth. In this paper, we avoid using them by fitting AR(1) model with non-linear deterministic trend. The problem of testing unit root while determining the order of trend polynomial at the same time is taken care of by applying sequential unit root test. We find that Korean real GDP data has quadratic deterministic trend instead of the often assumed stochastic trend. Iterative PW-GLS forecast shows that Korean GDP growth rate will fall to 2.35% in 2050 while it drops further to 0.66% when the effect of population ageing is incorpo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