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긍희 국가통계연구원 2008 통계연구 Vol.13 No.1
Since GDP is announced on a quarterly basis, monthly business indicators such as the coincident composite index are more frequently used than GDP. GDP is used to confirm the current business condition. Monthly indicators do not always give the same results as quarterly GD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monthly GDP to grasp the current business condition faster and consistent with quarterly GDP. Monthly GDP is estimated the following two steps; First, preliminary monthly GDP is estimated using the regression model based on three monthly indicators. Second, preliminary monthly GDP is adjusted to make it consistent with quarterly GDP. Monthly GDP are compared with the coincident composite index.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monthly GDP has the same trend of quarterly GDP and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incident composite index.
김치호,문소상 한국은행 2000 經濟分析 Vol.6 No.1
이 논문에서는 생산함수접근법에 의거 우리나라 잠재GDP를 추정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GDP갭률을 산출하고 인플레이션 압력 정도를 평가하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잠재 GDP는 외환위기 전에는 6~7% 대의 성장률을 유지하였으나 1998~99년 중에는 4%대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설비투자가 크게 부진하여 가용자본량의 증가세가 둔화된 데다 노동시장의 구조변화로 자연실업률이 높아진 최근 경제사정에서 비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잠재GDP를 이용하여 인플레이션 압력평가에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GDP갭률을 분석한 결과 GDP갭률은 경기순환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인플에이션에 2~3분기 선행하면서 3년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의 거시경제정책 운용에서는 이러한 시차구조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
이성욱,이상열,오상훈 한국회계정책학회 2016 회계와 정책연구 Vol.21 No.4
In previous accounting researches, macro-economic variables have been used as control variables which affect on accounting income(macro to micro), howev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ccounting income on the macro-economic variables(micro to macro). GDP is important statistics for the economists or government officials to judge economy conditions and to decide macro-economic policy.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accounting income and GDP. and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is informative to the actual GDP.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is expected to be informative to actual GDP, because accounting income is important components of GDP and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is measured by value-weighted average of cross-sectional accounting income. Secon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is used for estimating actual GDP. Accounting income is disclosed earlier than estimated GDP, so we can expect that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will be used to estimate actual GDP. Third,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on the estimation errors measured by actual GDP minus estimated GDP. If accounting income is informative to actual GDP, but it is not used to estimate actual GDP, accounting income will increase estimation err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 is informative to actual GDP, but it is not used to estimate actual GDP, so accounting income growth increases estimation errors. These results show that economists or government officials need to use accounting income to estimate actual GDP. The value of this study is that it increases the scope of accounting information usefulness from firm level to the macro-economic level. 회계학 분야 연구에서 거시경제 변수는 주로 회계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수로 이용되어 왔지만(macro to micro), 본 연구에서는 이와 반대로 회계이익이 거시경제 변수인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micro to macro). 국내총생산(GDP)은 한 국가의 경제적 성과를 가장 잘 나타내는 요약 통계량으로서, 경제학자나 정책 결정자 등이 이를 기초로 종합적인 경제상황을 판단하고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거시경제지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계이익과 국내총생산(GDP)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총회계이익성장률(aggregate accounting income growth)이 GDP 성장률 확정치에 대해서 정보성(informativeness)을 갖는지를 검증한다. 기업들의 회계이익은 GDP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므로 개별기업들의 회계이익 성장률을 시가총액으로 가중평균 하여 계산한 당기의 총회계이익성장률은 당기의 GDP 성장률 확정치에 대해서 정보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총회계이익성장률이 당기의 GDP 성장률 추정치(분기잠정, 연간잠정)를 산정하는데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회계이익 정보는 당기의 GDP 성장률 추정치(분기잠정, 연간잠정)를 발표하는 시점 이전에 공시되므로, GDP 성장률 추정치(분기잠정, 연간잠정)를 계산하는데 회계이익 정보가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총회계이익성장률이 GDP 성장률 추정오차(GDP 성장률 확정치-GDP 성장률 추정치)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만약 회계이익이 GDP 성장률 확정치에 대해서 정보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GDP 성장률 추정치를 계산하는데 활용되지 않는다면, 총회계이익성장률의 증가는 GDP 성장률 추정오차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회계이익성장률은 GDP 성장률 확정치에 대해서 정보성(informativeness)을 갖고 있으나, GDP 성장률을 추정하는데 회계이익 정보가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해 총회계이익성장률의 증가는 GDP 성장률 추정오차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제학자나 정책당국자들이 GDP 성장률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회계이익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주로 기업수준에서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다루었던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회계정보의 유용성 적용 범위를 거시경제지표인 GDP로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김주일,이세우 사단법인 한국신용카드학회 2020 신용카드리뷰 Vol.14 No.1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GDP growth rate affecting credit card issuance and credit card usage. The analysis period is 19 years from 2000 to 2018. After empir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unit root test, empirical analysis of Granger causality, impact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were performed by VAR mod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Granger causality analysis showed that GDP growth had an effect on the number of credit cards, the amount of regular use and installment, and the amount of cash service. Second, the impact response function analysis showed that GDP growth rate affects the number of credit cards, the amount of regular use and installment, and the amount of cash service by credit card up to a certain time difference. Third, GDP growth rate was 2.40%~2.16% in credit card count, 2.21% in general credit card amount, 4.65%~3.08% in credit card installment amount, and 16.11%~29.39% in amount used in credit card cash service. Influential, it supports Granger's causality and ANOVA results. Therefore, the increase of credit card usage is an important factor in GDP growth, and the research results that GDP growth also increases the use of credit car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government's economic policy and credit card company's card policy establishmen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no previous study on GDP growth rate and credit card use. However, the follow-up study will be based on this study. 본 논문은 경제성장이 신용카드 발급과 신용카드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관한 연구로 실증분석 자료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한 GDP 경제성장률과 여신협회에서 제공한 신용카드수와 신용카드 사용금액이며,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18년까지 19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 방법은 기초통계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단위근 검정을 실시한 후에, VAR모형에 의하여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충격반응함수 분석과 분산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결과 GDP성장률은 신용카드수, 신용카드에 의한 일반사용금액과 할부사용금액 및 현금서비스사용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격반응함수분석결과 GDP성장률이 신용카드수, 신용카드에 의한 일반사용금액과 할부사용금액 및 현금서비스사용금액에 일정시차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GDP성장률은 신용카드수에2.40%~2.16%, 신용카드 일반사용금액에 2.21%, 신용카드 할부사용금액에 4.65%~13.08%, 신용카드 현금서비스사용금액에 16.11%~29.39% 만큼 각각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그랜저인과관계와 분산분해 분석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용카드 사용의 증가는GDP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GDP성장률 또한 신용카드 이용을 증대시킨다는 연구결과는 정부의 경제정책과 신용카드회사의 카드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GDP성장률과 신용카드사용액과의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러나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김수현(Soohyon Kim),최창훈(Changhun Choi)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23 동북아경제연구 Vol.35 No.2
중앙은행의 정책, 금융여건 및 경기변동은 독립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잠재GDP 추정방식은 공급 혹은 실물 측면을 독립적으로 고려하고 있어 경기변동을 나타내는 GDP갭 추정에 편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고에서는1996년에서 2011년의 기간중 통화정책과 금융여건을 반영한 다변수필터 방식으로 잠재GDP를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에 따르면 2003∼2005년 당시 잠재GDP 수준은 상당히 하락하였고 GDP갭이 양(+)의 값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경기부양정책이 주로 시행되었는데 이는 기존 잠재GDP 추정방식의 한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본고의 결과는 향후 통화정책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e policies of central banks, financial conditions, and economic fluctuations are not entirely independent; nevertheless, the conventional method for estimating potential GDP has the convenience of considering supply or real factors independently, potentially leading to biases in estimating the GDP gap that represents economic fluctuations. In this paper, we estimate potential GDP using a multivariate filtering approach that incorporates monetary policy and financial conditions during the period from 1996 to 2011.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the level of potential GDP during the years 2003 to 2005 experienced a significant decline, and the GDP gap was observed to have a positive value. Despite this, expansionary economic policies were predominantly implemented during that time,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estimating potential GDP. The findings of this study hold implications for future monetary policy formulation.
장인성(Insong Jang) 한국계량경제학회 2009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20 No.2
미래의 국가 경제규모에 대한 예측은 중장기적 재정계획의 수립 및 평가를 위해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연금개혁 및 장기적 사회복지정책 등의 입안 및 평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질 GDP의 장기 예측을 위해 그동안 주로 사용되어온 생산함수 접근법은 자본스톡의 측정 및 총요소생산성 등의 예측을 위해 종종 현실과 다소 거리가 있는 가정 혹은 대용변수들을 사용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비선형 확정항을 포함하는 자기회귀모형을 통해 장기 GDP 예측치를 구함으로써 불필요한 가정을 줄이는 동시에 불완전한 자료의 이용을 피했다. 단위근 검정과 비선형 확정항의 차수 결정을 동시에 시행하는 단계적 단위근 검정법 적용 결과 한국의 실질 GDP 시계열은 2차 확정추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적 PW-GLS 추정법을 적용한 예측 결과 GDP 성장률은 2013년 4.09%까지 낮아진 후 2050년에는 2.35%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구고령화를 반영하여 예측할 경우 성장률은 더욱 급속히 낮아져 2050년 0.66%에 달하였다. Long-term forecast on the size of future economy measured by real GDP is essential to planning and evaluation of long-term fiscal policy as well as pension reform and design of welfare system. 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the forecast is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which often depends upon noisy measurement of capital stock as well as ad-hoc assumptions for future productivity growth. In this paper, we avoid using them by fitting AR(1) model with non-linear deterministic trend. The problem of testing unit root while determining the order of trend polynomial at the same time is taken care of by applying sequential unit root test. We find that Korean real GDP data has quadratic deterministic trend instead of the often assumed stochastic trend. Iterative PW-GLS forecast shows that Korean GDP growth rate will fall to 2.35% in 2050 while it drops further to 0.66% when the effect of population ageing is incorporated.
김명기(Myung Kee Kim),백웅기(Ehung Gi Baek) 한국경제연구학회 2012 한국경제연구 Vol.30 No.1
본고는 자기회귀시차분포모형과 시간분해기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월별 GDP를 생산과 지출의 양 측면에서 추정하고 경기판단의 중심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생산 측면의 6개 산업과 지출 측면의 6개 구성항목을 추정한 다음 연쇄가중법으로 합산하여 생산 GDP와 지출 GDP를 시산하였다. 시산한 월별 GDP의 순환변동치를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와 비교해 본 결과 월별 GDP가 동행지수에 비해 경기변동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때문에 경기 판단의 중심지표로서 활용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stimates monthly GDP considering both the output and expenditure side using the state space methods dealing with the temporal disaggregation. We adopt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ADL) model with the exception of the agricultural branch. The chain-linked total monthly GDP results from the aggregation of the disaggregated estimates for the six industries of the output side and the six components of the expenditure side of GDP. The detrended indicator of monthly GDP and Cyclical Component of Coincident Index(CCCI) clearly show that monthly GDP signals the business fluctuation much better than CCCI. The estimated monthly GDP should be emphasized and used as a core indicator in judging the peak and trough of the business cycle in Korea.
산업별 GDP 중요도 비교 분석: 식의약 산업 부문 GDP를 중심으로
김소혜 ( Sohye Kim ),김진민 ( Jinmin Kim ),김재영 ( Jaeyoung Kim ),강병구 ( Byung-goo Kang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1 지식경영연구 Vol.22 No.4
국가의 경제적인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 중 하나는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이다. GDP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각 산업의 경쟁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식의약 산업 관련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GDP 내의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타 산업과의 비교를 통해 식의약 산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식의약 산업은 국내 산업 중 산업의 범위가 넓고 국민의 삶에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또한, 갈수록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근래에는 COVID-19라는 감염병의 확산으로 인해 식의약 산업에 속하는 바이오 분야가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식의약 산업의 경쟁력이 갈수록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산업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 식약처는 식의약 산업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지만, 체계화 된 GDP 비중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다른 산업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는 산업인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식의약 산업의 GDP 비중을 구하고 타 산업과 비교해보고자 한다. 식의약 산업 부문 GDP를 구하는 과정에서 시점별로 통계자료 내 수치가 통일되지 않는다는 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부분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준이 되는 통계자료를 정하고, 총부가가치와 산업별 생산액, 매출액, 부가가치액 등을 사용하여 식의약 산업 부문 GDP를 추정하였다. 다른 12개 분야 산업들과 비교하였을 때, 식의약 산업 부문 GDP는 제조업의 GDP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였고, 결과적으로 식약처 산업이 국내 산업 중에서도 국가 경제력에 많은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을 나타냈다. Gross Domestic Product(GDP) is affected by the economic power of each industry. Therefore, using statistical data related to the food and drug industry, we trie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GDP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on the domestic economy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industries.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has a wide range of industries among domestic industries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people. In addition, human lifespan is increasing, and recently, due to the spread of an infectious disease called COVID-19, the bio sector belonging to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is in the spotlight. Attention is needed to the industry as the competitiveness of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rovides statistics on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but does not provide a systematic share of GDP. Sinc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how influential the industry i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is study attempts to obtain the share of GDP in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and compare it with other industries. In the process of obtaining GDP in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sector, there was a difficulty in that the figures in statistical data were not unified by time poin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statistical data as a standard are determined. The GDP of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was estimated using total added value, production, sales, and added value by industry.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s GDP ranked second after the GDP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national economic power among domestic industries.
남춘호(Nam, Choon Ho),문장순(Moon, Jang Soo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8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남성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개인·가족적 적응과 사회적 관계, 경제상황 요인이 국적·영주권 취득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들이 출신국의 경제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본 연구는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자료 중 국적·영주권을 취득하지 않은 결혼이민남성 933명을 대상으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출신국의 경제적 상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낮은 집단이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높은 집단보다 국적 취득할 의향이 높다. 이에 출신국의 GDP가 한국 대비 높음/낮음으로 집단별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낮은 집단에서는 가족적 적응요인(자녀 최저나이, 배우자 만족도), 사회적 관계요인(사회활동모임, 차별경험), 경제적 상황 요인(평균임금)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높은 집단은 통계적 분석모형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낮은 경우는 집단적인 경향이 나타나는 반면 출신국 GDP가 한국보다 높은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결혼이민남성의 경우 출신모국 경제상황에 따른 다각적인 정책적 검토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mographic factors, individual/family adjustment,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situation factors of marriage immigrant men on the intention of marriage immigrant men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or permanent residency. This paper also examines whether these influences depend on the economic level of the country of origin. This study conducte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933 marriage immigrant men who did not acquire Korean nationality or permanent residency status i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As a result,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country of origin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marriage immigrant. That is, the group which GDP of the country of origin is lower than that of Korea is more willing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or permanent residency. For this reas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group subdivided by GDP of the country of origin in comparison with that of Korea. The result of the analysis has shown that the groups, whose GDP of their country of origin is lower than that of Korea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family adjustment factors (minimum age, spouse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 (social activity group,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economic situation factors (average wage). On the other hand, statistical analysis model is not suitable for groups with higher GDP than that of Korea. In other words, the case that the GDP of the country of origin is lower than that of Korea shows a collective tendency, but the opposite case is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fferentiated politic approaches to marriage immigrant men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ir countries of origin.
김기호 한국은행 2007 經濟分析 Vol.13 No.3
Since GDP is announced on a quarterly basis, the data frequency of GDP is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other major macro variables published on a monthly basis. Therefore, the utility of GDP in judging the economy swiftly is in reality not high. In terms of data utility, the utility of GDP is low as well. If GDP is used, the other monthly data must be converted into quarterly data, and the result is a reduction to one-third of the total number of observations. Meanwhile, considering that the Bank of Korea determines its call rate policy on a monthly basis, it is essential to grasp the monthly GDP trend. Such policy-based demand can also be resolved by estimating monthly GDP. In this paper, monthly GDP is obtained by using monthly information data such as the IPI (Industrial Production Index) and the WRSI (wholesale and retail sale index), which are substantially connected with GDP. To acquire monthly GDP, this paper suggests applying the unobserved component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that can utilize mixed frequency data in estimation directly, without extra procedures for data transformation (monthly to quarterly). In order to judge whether monthly GDP is estimated appropriately, this paper compares actual quarterly GDP with estimated quarterly GDP based on the final monthly GDP estimates. The RMSPE (root mean square percentage error) of this estimated quarterly GDP shows around 0.01. The final monthly GDP is produced by combining two individual monthly GDP figures (one estimated using the IPI and the other by the WRSI) and then benchmarking the combined figure, and it is then compared to the actual quarterly GDP. The RMSPE of the final monthly GDP is close to 0. Meanwhi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lagged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estimated monthly GDP and the cyclical component of the CCI (Coincident Composite Index) are high and significant, and the estimated monthly GDP leads CCI by approximately one to three months. 단일 변수로서 경기를 가장 잘 나타내는 변수로 GDP를 들 수 있다. 그런데 GDP는 분기 1회 발표되기 때문에 실업률, 물가 등과 같은 월간으로 발표되는 여타 주요 거시변수에 비하여 자료생성주기가 상대적으로 길다. 이로 인해 경기를 신속하게 판단하는 데 있어 GDP의 활용도가 높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한편 자료활용이라는 관점에서도 GDP는 활용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GDP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월별 자료를 분기자료로 전환하여야 하므로 관측치 수가 1/3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통화정책레짐으로 물가안정목표제도가 도입되어 한국은행이 콜금리 변경 등을 월단위로 결정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GDP의 월별 움직임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요구는 월별 GDP를 추정․산출함으로써 충족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DP와 연관성이 높은 산업생산지수와 도소매업판매액지수 등의 월별 정보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GDP를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관측주기가 상이한 자료를 별도의 자료변환 과정없이 직접 추정에 활용할 수 있는 상태공간 오차수정모형을 제안하였다. 동 모형은 월별 GDP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변수간의 공적분관계 즉, 장기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월별 GDP가 적절하게 추정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추정된 개별 월별 GDP로 부터 분기 GDP를 복원한 후 이를 실제 분기 GDP와 비교해 보았다. 추정된 분기GDP는 표본 내에서 모두 RMSPE 기준으로 1% 내외의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추정된 개별 월별 GDP가 보유한 정보를 결합한 후 보정과정을 거쳐 종합적인 월별 GDP를 산출하여 실제 분기값과 비교해 본 결과 표본 내의 RMSPE 값이 거의 0에 가깝게 나타났다. 한편 추정된 월별 GDP와 경기동행지수의 순환변동치간의 상관계수와 시차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 및 1~3개월 정도 유의한 선행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추정된 월별 GDP가 경기의 움직임에 대해 상당한 정보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