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mprovement Plan of Korea's Free Economic Zone System Regime : A Study on Administrative System

        Eui Hyeon Koh 한국유통과학회 2017 KODISA ICB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usiness Vol.2017 No.-

        Purpose: After Korea's Free Economic Zone System Regime at the 2003, there are many debates about upgrading free economic zone system and supporting systems. But, there are still not enough results until 2013.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new korea's free economic zone system is the one of main korea's new economic development policy at the 21th century. Thus, this paper researches to view the weakness of the past ten years of free economics zone so that korea can expand free economic zone regimes to expan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re are many countries that Free Economic Zone is considered as a economic special zone. By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models, this paper is upgrading recent data and materials from the Center of Free Economic Zones until 2013. At chapter 2, by reviewing the purposes and types of economic special zone, the Free Economic Zone System Regime is why needed. At chapter 3, the Free Economic Zone System Regime is main purposes and analysis of current data. At chapter 4, there are reviews of the first planning of Free Economics Zone System. At chapter 5, the management of committee of Free Economics Zone System has been reviewed and suggests various policies. At chapter 6, S. Korea is needed why Free Economics Zone System and suggests various policies to be review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weak managements of Free Economics Zone System is reviewed by weak investment, delay of development, foreigner's living facilities, benefits of foreign investments, the control tower's policy making decision process, fast process of legal requirements and supporting. independence of Economics Free Zon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local government do not have legal rights of Free Economic Zone's deregulation and investment industries. Thus, this paper suggests the local government is better to have more independent from central government. Also, the independent manage

      • KCI등재후보

        자유지역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방향에 대한 연구

        여기태(Yeo Ki-tae) 한국물류학회 2003 물류학회지 Vol.13 No.2

        동북아시아를 선도하고 있는 한국, 중국, 일본의 경우 동아시아의 물류 거점 역활 선점과 글로벌기업 유치를 위하여 관세자유지역 및 자유무역지역을 포함한 다양한 Free Zone제도를 제정ㆍ도입하여 활성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 Free Zone의 경우 지역적으로 인접하고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는 중국 및 일본의 제도와 비교하여 보아도 경쟁을 주도 할 만한 개발형태 및 시스템 등이 미약하여 사업자체의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물류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하는 통합관리시스템의 경우 초보 구상단계에도 미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Free Zone 지역을 총괄 관리하고 유출입 물동량의 투명한 관리를 위한 Free Zone 통합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 Free Zone 통합관리시스템의 개념적 틀을 완성하였다. The Northeast region where Korea is situated has been playing a crucial role in centering global logistics and production factories together with Southeast Asia. Especially, Korea, China and Japan leading Northeast Asia have made every effort to activate them by enacting and introducing a variety of Free Zone systems including Customs Free Zone and Free Trade Zone in order to preoccupy the role of East Asia's logistical hub and induce global enterprises. Compared to the Free Trade Zones of China and Japan that lie adjacent to and directly compete with Korea, the Free Zone system of Korea has faced difficulties in the undertaking itself because of the weaknesses of development types and systems to lead the relevant competition. In particular, it is immature in conception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guarantee the smooth flow of logistics.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conceptional frame that can desig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the transparent management of the logistical flows in the area of the Free Zone. The conceptional frame presented in this paper is to be applied to the Customs Free Zone and Free Trade Zone which has enforced in Korea.

      • KCI등재

        메타프론티어 DEA를 이용한 국내 항만의 효율성 분석: 항만형 자유무역지역을 중심으로

        최정원,김창수,서영준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22 아태경상저널 Vol.14 No.3

        Korea has designated Free Trade Zone in the port area to facilitate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industry and to create value-added activitie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difference in the efficiency scores of ports with Free Trade Port Zone compared to non-Free Trade Port Zone. By applying the Meta-Frontier DEA methodology, this study evaluates the meta efficiency, group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of five ports with a Free Trade Port Zone and six ports with a non-Free Trade Port Zone. By collecting the data from 2019 and 2020, the number of unloading workers, length of quay, container yard area are selected as input variables, while port throughput is chosen as an output variable. As for meta-efficiency,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ports with Free Trade Port Zone was higher than non-Free Trade Port Zone ports. In addition, there was no technical gap between the meta-frontier and group frontier of Free Trade Port Zone ports.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in the group of ports with non-Free Trade Port Zone was high, but the average meta-efficiency was lower due to the relatively low technical gap. However, in BCC model, the average meta-efficiency score of ports with non-Free Trade Zone was higher than ports with Free Trade Zone. These results might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the cause of inefficiency between the two groups.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for policy improvement to enhance pure technology efficiency for ports with Free Trade Zone and to improve scale efficiency for ports with non-Free Trade Zone.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in 2020 was higher than in 2019. 우리나라는 주요 무역항의 배후단지에 항만형 자유무역지역 지정을 통해 항만 및 수출입 물류 산업의 원활화와 부가가치 창출 효과를 기대해왔다. 본 연구는 효율성의 관점에서, 자유무역지역 지정 항만과 그렇지 않은 항만의 효율성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Meta-Frontier DEA 기법을 적용하여 국내 무역항 중 자유무역지역 무역항 5곳과 일반 무역항 6곳의 메타효율성, 그룹효율성, 기술격차비율을 비교하였다. 해당 항만들의 2019년과 2020년의 자료를 활용하여 항만 하역종사자 수, 안벽 길이, 야적장 넓이를 투입변수로, 항만 처리 물동량을 산출변수로 한 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CCR 모형에서는 메타효율성의 관점에서 자유무역지역 무역항의 평균 효율성 점수가 일반 무역항에 비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유무역지역 무역항의 경우 메타프론티어와의 기술 격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며, 일반 무역항의 경우 그룹 내 평균 효율성은 높으나 기술 격차로 인한 평균 메타효율성은 비교적 낮게 도출되었다. 반면, BCC 모형에서는 일반 무역항 그룹의 전반적인 평균 효율성 점수가 높게 나타나 이러한 결과가 두 그룹의 비효율성 원인 차이에 기인하였음을 분석하였다. 자유무역지역의 항만들은 순수기술효율성을, 일반 무역항은 규모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정책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2020년의 평균 효율성 점수가 전반적으로 2019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 KCI등재

        上海自??多元??解?机制前瞻

        구곤 ( Qu Kun ) 한국법정책학회 2014 법과 정책연구 Vol.14 No.3

        On the basis of elaborating the basic establishment situation about the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and Its legal nature in narrow sense. This paper points out that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form and opening polici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preferential treatment.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turned to create kinds of policies innovation. The paper will focus on construction and innovation of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in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feature of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is geared to international standards as much as possible under the current judicial system. The paper analyzes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dispute of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and Its possible types of disputes, proposes that we should establish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Multiple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aims at coping with the sharp increase of all kinds of disputes happened in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and reducing Its trial pressur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disput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this paper analyzes the requirement of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about the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The paper draw a conclusion: Multiple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in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should be according to Its features towards to provide legal protection and legal services, this protection and services shall be constantly adjust and perfect with the development of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The concrete frame of multiple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in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include court and the lawsuit procuratorate agencies procuratorial mechanism, commercial disputes arbitration system,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commercial joint tribunal and Shanghai culture creative industry mechanism of intellectual property legal services platform mediation center system,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industry association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and multiple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about supporting mechanism in Shanghai Pilot Free Trade Zone.

      • KCI등재

        남한의 경제자유구역 운영경험과 북한에 주는 법적 시사점

        김민배(Kim, Min-B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19 土地公法硏究 Vol.85 No.-

        우리나라는 1998년 외국인투자지역, 2000년 자유무역지역, 2003년 경제자유구역 등 외국인투자에 대해 특례와 지원을 제공하는 경제특구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2003년 인천, 부산・진해, 광양만, 2008년 황해, 대구・경북, 새만금, 2013년 충북, 동해안권 등 현재 총 8개 구역이다. 총면적 309.73㎢(국토의 0.31%)로 개발이 완료된 구역은 전체면적의 22.96% (66.77㎢, 30개 지구)이며, 개발이 진행 중인 구역은 전체 면적의 54.34% (157.2㎢, 37개 지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과 인천의 경제자유구역의 현황과 운영 경험 그리고 당면한 과제들에 대해 우선 검토를 한다. 이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중국의 창지투(长吉图)와 북한의 라선 지역에서 운영될 경제자유구역이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 향후 남한과 중국 그리고 북한 등이 함께 협력하여 창지투와 라선의 경제자유구역에 투자하고, 상호협력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점들에 유의하여야 하는가. 남한과 북한,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일본 등이 환 동해권의 신 경제축으로 창지투와 라선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거나 참여하는 경우 제도와 법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가. 이러한 점들과 관련된 과제들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북한, 몽골, 러시아, 일본 등 인접 국가들의 법률들에 대해 심도 있게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경제자유구역법제, 외국인투자법제, 노동자의 권리, 기술의 지원과 보호, 세제와 관세, 출입국과 비자, 주거와 주택, 의료보험제도, 외국인학교 제도, 종교적 배려, 문화적 공간 배려 등에 대해 공통적인 적용기준과 예외적 기준을 통일적으로 정비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한 제도적 장치와 그를 보장하는 법률이 없다면 해외자본과 주요 기술자와 R&D 인력 그리고 기업들은 이미 그것들이 보장된 국가나 검증된 지역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라선과 창지투를 중심으로 한 환동해권의 신경제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제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기술과 자본의 변화가 어떤 기준으로 움직이는가를 직시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움직이는 자본과 기술 그리고 인재의 이동패턴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경제자유구역은 성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법률과 제도 속에만 존재하는 경제자유구역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북한이 남한의 경제자유구역의 운영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전략을 적절히 수립하고, 이를 적극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South Korea is currently in operation for eight Free Economic Zones. As of October 2017, South Korea has installed and operated eight free economic zones nationwide. The total area is 309.73㎢ (0.31% of the land) divided into 96 development districts. The developed area is 22.96% (66.77㎢, 30 districts) of the total area. The area under development is 54.34% (157.2㎢, 37 districts) of the total area. In particular, the untapped area is 22.7% (95.81㎢, 26 districts). This study examines to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free economic zones in South Korea and Incheon. And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ore of the operation of the Free Economic Zone, Status of Foreign-invested Compani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Free Economic Zone. Based on this, I want to analyze possibilities and future of China s Chang-Ji-Tu, North Korea’s Rasun and the East Sea. In the future, if the Free Economic Zone is developed in these regions, what will you learn and what should I refer to. To become a successful economic free zone, what should be taken into aspects of the system and the law, and so on, I would like to present it as an important implication. In conclusion, the role of lawyers is very important.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review of legal system for China, North Korea, Mongolia, South Korea, Russia, Japan, etc. Lawyers need to work together on the following laws: Free Economic Zone Legislation, Foreign Investment Legislation, Labor Rights, Support and Protection of Technology, Tax and Customs, Immigration and Visa, Housing, Medical Insurance System, Foreign School System, Religious Care, and Cultural Consideration.

      • 濟州國際自由都市와 經濟特別區域의 外資導入制度의 比較檢討

        송석언 한국기업법학회 2002 企業法硏究 Vol.11 No.-

        Korea has established several types of Special Economic Zones such as Duty-free Zone, Free Trade Zone, Foreign Free Investment Zone, Exclusive Foreign Industrial Complex and Free International City. Recently, Korean Government published the programmer of establishing a new type of Special Economic Zone and makes progress for law-making. This study aims to comparison on foreign investment system of Special Economic Zones and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Generally speaking, Special Economic Zone means the area which enjoy greater flexibility in introducing foreign capital and technology, and operating economic cooperation overseas, foreign investors are entitled to receive certain preferential treatment. Especially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means a space that deregulates economic activities and grant several preferential treatment in order to introduce foreign capital and goods, allow free access of foreigners to Jeju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and the quality of life of Jeju. The feature of Special Economic Zone is foreign investment zone. But the feature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is nat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 So the most difference of two zones is tax benefits in foreign investment system. In conclusion, I should try to improve the law and system for expediting and promoting the programme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including JFIC operating mechanism and device for introducing foreign investment.

      • KCI등재

        A Research on the Enhancement of the Hosting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s Free Trade Zones

        Lee, Hak-Loh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20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1 No.4

        한국은 외국인투자 유치와 수출 증대를 위하여 50년전인 1970년대 마산, 익산(이리) 수출자유 지역을 설치, 운영하여 왔다. 30년이 경과한 2000년대 초에 수출자유지역은 관세지역과의 통 합을 거쳤고 2020년 현재 산업단지형 7개 지역, 항만형 5개와 공항형 1개를 포함하면 총 13개 자유무역지역이 운영되고 있다. 1994년 WTO 출범 이후에 무역과 투자에 관한 국제규율이 강 화되었고 EU 등에 의한 한국의 조세피난처 지정 논란 등으로 한국의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한 조세 지원 인센티브도 축소되게 되었다. 경제적 효과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미국, 일본, 대만 등 세계 각국은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하여 토지, 재정 및 금융 지원 등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으며 최근의 보호무역주의 극복을 위한 일자리 창출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다. 한국 정부도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외국인투자의 유치를 위하여 공장 용지 제공, 재정 지원 및 각종 규제 완화 등을 시행해 오고 있다. 이 연구는 외국인투자와 수출 증대를 위하여 운영하고 있는 자유무역지역의 경제적 성과를 산업단지형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한다. 결론적으 로 정부의 인센티브만으로는 자유무역지역에 대한 외국인투자 유치가 증가하기 어렵다고 평 가한다. 정부는 외국인투자를 “유치(hosting)”하기 위해서 정부의 현금지원제도, 신성장동력 및 선도기업 육성등 각종 기술개발 및 산업정책, 관련 세제 혜택, 중소창업기업 정책, 국가균형발전 정책, 무역정책 등을 총동원하여야 한다. 특히 Invest Korea(KOTRA)의 주도하에 국내기업들과 전후방 연관을 가진 외국인투자기업을 인근 자유무역지역에 유치하도록 적극 노력하여야 한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ways to enhance the hosting of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n Korea’s seven Free Trade Zones(FTZ). Research methodology : Comparative studies are applied to Korea’s three Special Economic Zones(SEZ) of FTZ, Free Economic Zones(FEZ) and Foreign Investment Zones(FIZ) to examine the performances of the Korea’s FTZ and efficacies of the present policies for the attraction of FDI in the Zones.. Results : No differentials are found between the three SEZ regarding the performances of FDI. The Zones in the Capital metropolitan areas show much greater scores for FDI than the Zones situated in the rural areas. Conclusions : Market forces play dominant roles in the flow of the FDI in the Zones. The Korea’s FTZ and FEZ are public funded SEZ for FDI. To address the intended FDI targets, more aggressive policy tools such as Advanced Enterprise Policies, Regional Strategic Industrial Policies and Trade Promotion Policies including trade credit and insurance schemes. Invest Korea’s more active role are desired to host FDI in FTZ.

      • KCI등재

        규제자유특구제도의 현황 및 법제 개선방안 연구

        고영미 한국경영법률학회 2021 經營法律 Vol.31 No.4

        Under Korea's existing legal system, there were cases where new technology startups were delayed due to lack of permits or regulations suitable for new technologies or products, or difficulties in applying existing standards and requirements. Therefore, the need to innovate existing regulations to demonstrate and commercialize new services and products using new technologies without restrictions on regulations was highlighted in order to enable and encourage innovative business attempts by the private sector. In particular, comprehensive negative regulatory transformation and regulatory innovation of start-ups and venture companies were cited as prerequisites that must be addressed for preemptive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rocess, the introduction of the Regulation-Free Special Zone was promoted as an institutional way to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while promoting deregulation to foster new businesses and new technologies. The Regulation-free Special Zone was introduced in a way that revised the existing “Special Act on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 without enacting new laws, and the introduction of new laws was promoted. The existing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 centered on local projects was established, and the existing “Special Act on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 was revised with the name “Special Act on Regulation-Free Special Zone and the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 The revision of the “Special Act on Regulation-Free Special Zone and the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 established “Regulatory Sandbox Zones” named “Regulation-Free Special Zones” that supports testbeds for innovative growth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 In order for the designation of special regulation-free zones to continue and for the special regulatory zone projects to produce good results, it is necessary to quickly identify regulations that companies feel the need for reform in new technologies and new markets and set customized sandboxes for each company's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Regulators should promptly disclose those improvements to prevent unnecessary regulatory sandbox applications, rapidly discover new products and services that require regulatory sandbox support, success in the market, and actively communicate with relevant business operators. Given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regulatory sandboxes is to improve laws and regula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uccess of regulatory sandbox systems is determined not only by economic improvements in the innovative industry but also by continuous innovation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n order to ensure effective legal and regulatory readjustmen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progress of regulatory improvement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including consistently revie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three sets of regulatory reforms from the application stage of the Regulation-Free Special Zones 우리나라의 기존 법제도 하에서는 신기술 또는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허가·기준이 존재하지 않거나, 기존 기준·요건을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여 신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시장 진출이 지연되는 사례가 발생하여 타국과 비교하여 개발 속도가 늦어지는 상황이었다. 때맞추어 민간 분야에서의 혁신적 사업의 출시를 가능하게 하고 이를 장려하기 위해서는 규제의 혁신을 통하여 신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상품 등을 규제의 제약 없이 실증하여 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업 친화적 규제환경의 조성이 강하게 요구되었다. 특히,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전환과, 창업·벤처기업 규제혁파는 4차 산업혁명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선결요건으로 지목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사업·신기술의 육성을 위한 규제 완화를 도모하면서 지역의 균형발전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으로 규제자유특구의 도입이 추진되었다. 규제자유특구는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지 않고 기존의 「지역특화발전특구에 대한 규제특례법」을 개정하는 방식으로 도입되었다. 기존의 「지역특화발전특구에 대한 규제특례법」은「규제자유특구 및 지역특화발전특구에대한규제특례법(“지역특구법”)」으로 명칭 변경과 함께 전면 개정되었다. 지역특구법으로의 개정을 통하여 향토사업 중심의 기존의 “지역특화발전특구”와 구별되는 “규제자유특구”가 신설되었는데, “규제자유특구”는 신사업 창출 등 혁신성장 및 국가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신서비스·신사업의 출시를 위한 테스트베드 등을 지원하는 ‘규제 샌드박스’특구이다. 규제자유특구제도는 지역특구의 지정 및 운영을 통하여 지역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규제특례 등을 적용함으로써 지역의 자립적이고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구축하여 국가균형발전과 지역의 혁신적이고 전략적인 성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기술한 바와 같이「규제자유특구 및 지역특화발전특구에대한규제특례법(“지역특구법”)」을 통하여 입법화되었다. 규제자유특구의 선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규제사유특구사업이 좋은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신기술·신시장 분야에서 기업들이 개혁의 필요성을 느끼는 규제가 무엇인지 신속히 파악하여, 각 기업의 특성과 실정에 맞는 맞춤형 규제 샌드박스를 설정해 줄 수 있어야 한다. 규제기관은 특정 규제의 개선이 이루어지는 경우 개선 사실을 지체 없이 공개하여 불필요한 규제 샌드박스 신청을 방지하고, 규제 샌드박스 지원이 필요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의 신속한 발굴과 성공적인 샌드박스 실험, 시장에서의 성공, 그리고, 관련 법령의 효과적인 정비를 위하여, 적극적인 자세로 관련 사업자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에 힘써야 한다. 규제 샌드박스의 궁극적인 목적이 법·규제의 개선임을 고려할 때, 규제 샌드박스 제도의 성공 여부는 혁신산업 분야의 경제적인 수치 향상뿐만 아니라, 관련 법·규제의 지속적인 혁신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법·규제 정비를 효율적으로 담보하기 위해서는, 규제자유특구의 신청 단계부터 규제혁신 3종 세트의 이행상황을 일관성 있게 검토하는 등 규제개선 진행상황 등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 上海自贸区司法保障制度之建设

        천강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4 국제법무 Vol.6 No.2

        中国(上海)自由贸易试验区改革需要司法的有力保障。但是按照上海自贸区设立的法律依据之《总体方案》的规定,上海自贸区的“先行先试”期间为二至三年。由于中国的立法程序比较严谨和费时,因此有关自贸区的立法必然具有相对的滞后性。于此情形下,如果人民法院坐等制定法的完善,则必然会阻碍改革进程,不能向自贸区建设提供有力的司法保障。因此,人民法院在为自贸区提供司法保障的过程中,应当更新司法理念,处理好法的安定性与妥当性、法律与政策、市场自治与国家管制、营业自由与交易安全的关系,为自贸区改革提供安全的法律环境。人民法院应当解决处理自贸区案件中出现的诉讼程序和机制建设问题,并研判各种即将面临的实体法律问题,明确司法政策,形成有益的自贸区司法经验,从而实现中国政府在上海首先设立自贸区的目的,即通过“先行先试”,为中国的下一轮自贸区设立提供可复制、可推广的有益经验。 The reform of China (Shanghai) free trade zone needs to be secured by a relevant legal framework. However, the free trade zone will initially only be a trial for two to three years, as per the “Overall Plan” which is the legal base for the construction of Shanghai Free Trade Zone. Due to the strict and time-consuming of legislative procedures in China,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legal framework for the free trade zone would be lagging. Under this circumstance, if the court system waited for all legislations being established, the development of free trade zone would lack any legal protection. As a result, the process of the free trade zone reform might well be blocked. Therefore, the current legal system needs to be adaptive to the new environment; to strive a balance between the resistivity and effectiveness and between the market autonomy and nation control, as well as business freedom and transaction security. In doing so would provide effective legal protection in the free trade zone. The priority for the legal system is to address new legal issues that require legal reform in the free trade zone. Only then could the free trade zone be successfully set up.

      • 상해자유무역구 사법보장제도의 구축

        천강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4 국제법무 Vol.6 No.2

        중국(상해)자유무역시범구 개혁은 사법의 유력한 보장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상해무역구 설립의 법적 근거인 ‘총체방안’의 규정에 따르면, 상해자유무역구의 ‘선행실시’ 기간은 2년에서 3년이다. 중국의 입법절차가 비교적 엄격하고 상당한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자유무역구 관련 입법은 상대적으로 지체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약 인민법원이 제정법의 개선만을 기다릴 경우, 개혁의 과정을 저해할 것이고, 자유무역구 건립에 필요한 유력한 사법보장을 제공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인민법원이 자유무역구를 위한 사법보장을 제공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법이념을 새롭게 하고, 법적 안정성과 타당성, 법률과 정책, 시장자치와 국가통제, 영업자유와 거래안전의 관계를 적절하게 처리하여 자유무역구 개혁을 위한 안전한 법률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인민법원은 자유무역구 안건과 관련한 소송절차와 기제확립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하고, 앞으로 직면할 실체법률문제를 연구 및 판단하여야 하며, 사법정책을 명확히 하고, 유익한 자유무역구 사법경험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중국정부가 상해에 처음으로 자유무역구를 설립한 목적을 실현해 나가야 한다. 즉 ‘선행실시'를 통하여, 중국의 다음 자유무역구 건립을 위한 복제가능하고 보급가능한 유익한 경험을 제공해야만 한다. The reform of China (Shanghai) free trade zone needs to be secured by a relevant legal framework. However, the free trade zone will initially only be a trial for two to three years, as per the “Overall Plan” which is the legal base for the construction of Shanghai Free Trade Zone. Due to the strict and time-consuming of legislative procedures in China,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legal framework for the free trade zone would be lagging. Under this circumstance, if the court system waited for all legislations being established, the development of free trade zone would lack any legal protection. As a result, the process of the free trade zone reform might well be blocked. Therefore, the current legal system needs to be adaptive to the new environment; to strive a balance between the resistivity and effectiveness and between the market autonomy and nation control, as well as business freedom and transaction security. In doing so would provide effective legal protection in the free trade zone. The priority for the legal system is to address new legal issues that require legal reform in the free trade zone. Only then could the free trade zone be successfully set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