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위험분석

        이홍재(李洪宰),차용진(車溶振) 한국정책과학학회 201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2 No.3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위험들에 대한 위험인식을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위험요소들의 위험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위험인식 설문을 실시하고, 심리측정 패러다임을 적용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발생가능한 15개 위험에 대해 대학생들은 비교적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4차 산업혁명 위험은 두 개의 요인(알려지지 않은 정도, 통제하기 어려운 정도)을 기준으로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별 위험특성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재4차 산업혁명 위험 대응을 위한 정책적 함의로 위험 내용과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위험관리 전략, 제4차 산업혁명 위험분석 체계 확립, 위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isk percep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isk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risk percep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isks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Using the psychometric paradigm, the survey was conducted to university students. The respondents perceive the fifteen possible risks caus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relatively risky. The risk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a two-factor (“unknown” and “uncontrollable”) and the risk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ive strategies of risk management, the establishment of risk analysis system, and the activation of risk communication based on the risk characteristic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보험제도 변화의 탐색적 고찰

        최인덕 ( Choi In-duck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8 사회보장연구 Vol.34 No.4

        Since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s clearly revolutionizing the way social life opportunity.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technologies change the social risks and social Insurance system in Korea.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investiga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main technologies are AI, Iot, Big-Data, Platform, CPS, Hyper Connected Society etc. These are connected after all and expected to replace the old social systems rapidly. In Social Risk’s aspect, there are two main problems that is income polarization and increase need of cure-care service. In this study would lay ou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Changes in Social Security System. These may result in predictable changes of social insurance system in Korea. First, Basic Income could be introduced at income maintenance system to reduce income polarization. Second, Cure-Care Services could be offered on need of medical and care insurance system by in-kind benefit as UK’s NHS. Two system’s Coverage are citizens to each person. Benefit coverage of Basic Income will be increased from median income’s 6% to median income’s 60% when the system is introduced. Cure-Care service’s definition also will extend to psychological emotion care. These new social security system would find sources of revenue in Robot or social security ear mark tax. The Delivery and Management system may be National Tax Service in Basic Income system and Health-Welfare Service Corporation. So the results, It is desired that would be dealt with the current regulatory review in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Paradigm conversion for de-labourization and reinforcement of human service in Cure-Care Service.

      • KCI등재

        노동시장 변화와 노동자 집단 내 일자리 위험의 차별적 인식: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가 불안정 노동에 미친 차별적 위험

        서용선,이상민 한국산업노동학회 2023 산업노동연구 Vol.29 No.1

        This study defined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isk of jobs, and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as social risks, and demonstrated that such social risks could have a differential impact on workers in the expansion of precarious work and fragmented labor market structure. To this end, this study dealt with these social risks at the level of individual awareness, embodied them as perceptions of future jobs, approached them as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labor market risk, and analyzed them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system and labor market statu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ience of risk in the labor market led to a tendency to view future job perceptions negatively,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and labor systems was also influencing job prospects.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se job risks differed depending on the worker group, and the relatively unstable worker group perceived the impact of technological changes on their jobs more negatively.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status in the labor market was combined with the experience of risk to further exp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job risk. This suggests that the experience of risk in the labor market may also appear in a discriminatory form depending on the status of workers in the labor market. 이 연구는 이른바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된 기술의 진보와 그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가 미치는 일자리에 대한 위험 그리고 코로나19의 대유행에 의한 노동시장 충격을 사회적 위험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사회적 위험이 불안정 노동의 확대 및 분절된 노동시장구조 속에서 노동자 집단에 따라 차별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이 같은 사회적 위험을 개인의 인식 차원에서 다루면서 미래일자리에 대한 인식으로 구체화하여 노동시장의 위험에 따른 인식 차이로 접근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에 대한 인식 및 노동시장 지위를 중심으로 분석을 이어나갔다. 분석의 결과 노동시장에서 위험의 경험은 미래 일자리 인식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으로 이어졌고, 사회 및 노동제도에 대한 인식 역시 일자리 전망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일자리 위험에 대한 인식은 노동자 집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노동자 집단일수록 자신의 일자리에 대한 기술 변화의 영향을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동시장에서의 지위 차이는 위험의경험과 결합하여 일자리 위험에 대한 인식 차이를 더욱 확대하고 있었다. 이는 노동시장에서의 위험의 경험이 노동자들이 노동시장에서 가진 지위에 따라서 기술 변화에따른 일자리 전망 또한 차별적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위험 관리 관점에서 본 규제제도의 고찰

        이제희(Lee, Je-Hee) 한국비교공법학회 2020 공법학연구 Vol.21 No.1

        4차 산업혁명은 정보의 수집․결합 확대 및 분석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광범위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면서 법률의 역할이 중요하다. 기존에는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시간이 주어졌지만 이제는 입법의 지연이 새로운 기술의 등장을 저해하거나 피해를 방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 관리가 중요하다. 규제분야의 위험 관리는 장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해 법적 이익을 보호하는 것으로 장래의 예측 가능성이 중요하다. 예측 가능성이 크다면 사전규제 방식의 위험 관리 방식이 적합하다. 예측 가능성이 낮은 경우, 사후규제 방식의 네거티브 규제가 효과적이지만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무규제의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대응체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포지티브 규제에서 네거티브 규제로의 전환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규제샌드박스 등 규제적용 유예제도를 활용해 규제의 경직성을 해소할 수 있다. 규제유예 적용 과정에서 후발기업이 규제자의 선택 편향으로 인해 불공정한 대우를 받는다면 경쟁 축소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규제적용 유예심사의 투명성이 요구된다. 4차 산업혁명의 특징 중 하나가 플랫폼 비즈니스이다.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소비자의 편익을 높인다. 그러나 플랫폼 기업이 특정 시장과 소비자로의 접근을 통제할 수 있어 플랫폼 기업의 행태가 공정경쟁을 저해해서는 안된다. 다만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의 도입에 있어 시장의 변화 가능성과 이들 기업의 혁신 노력도 고려되어야 한다. 글로벌 규범의 변화도 우리 사회에 다가오는 위험인 만큼 글로벌 규범과 상충되는 규범의 검토가 필요하다. 규제정책의 유연성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크지만 규제변화=문제해결이라는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규제 외적인 문제를 규제정책의 문제로 바라본다면 규제의 변화가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문제의 본질을 파악해야 한다. 새로운 서비스의 도입을 위해서는 사회 공감대 형성이 중요한 만큼 사회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공론화 논의 등도 병행되어야 한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which affects the rapid pace of change and a wide range of fields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technologies—the role of law is important. While previously allotted time to respond to changes in society, now, delays in legislation could hampe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or lead to damag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risk management is much greater than before. Positive regulations to risk management are appropriate if they are highly predictable. Where predictability is low, negative regulation is effective as a precondition for a response system to address the unregulated state of the new service. If the transition from positive regulation to negative regulation takes considerable time, the introduction of a regulatory sandbox can address regulatory rigidity.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regulatory suspension transparency of the review is required; if a latecomer is treated unfairly due to the regulator’s choice bias, it may lead to reduced competi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platform business. Various services that utilize the platform enhance consumer benefits. However, the behavior of the platform company should not threaten fair competition because it can control access to specific markets and consumers. The potential for market change and innovation efforts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in introducing regulations on platform companies. Since changes in global regulations are also subject to risk management in our society, a review of regulations that conflicts with global ones is needed.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re is a great demand for the flexibility of regulatory policy, regulatory changes do not solve all problems. Accessing external regulatory issues as regulatory policy issues can cause larger problems and should instead identify the nature of the problem.

      • KCI등재

        경찰의 범죄데이터 활용과 제공 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비식별 형사사법정보를 중심으로 -

        정연대,이윤호 한국경찰학회 2020 한국경찰학회보 Vol.22 No.4

        Although there have numerous requests from organizations, researchers and industries for crime data, the Korean police is still unwilling to provide crime data to the public. This study is written to argue that the provision of crime data reflects the new roles of the police in the modern society which is often characterized by “risk society” or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iscuss the provision of data in line with newly changed perspectives o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Meanwhile, the crime data of the police has been used and provided inconsistently, undemocratically and inefficiently due to the lack of standard, applicable regulations, a responsible department, specialized staffs for data publication. Therefore, it is the time for the police to start discussion on the publication of crime data. This paper suggest several steps to manage the shock while progressing toward the ultimate publication of the crime data: building legal grounds and constraints for data publication, employing a responsible department and specialized staffs, and public communication for social consensus. 경찰의 범죄데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기관과 연구자, 산업계의 지속적인 요구가 있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경찰은 범죄데이터의 제공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범죄데이터의 공개가 위험사회와 4차 산업혁명으로 설명되는 현대사회에서 근본적으로 달라진 경찰 역할의 핵심적인 부분임을 논증하고, 최근 개인정보의 활용에 대한 변화된 시각과 상황의 측면에서 범죄데이터의 공개를 바라본다. 그간 경찰이 관리하는 범죄데이터는 활용과 제공에 관한 기준, 근거, 전담부서, 전문인력이 부재하여, 비일관적ㆍ비민주적ㆍ비효율적 운용이라는 문제점을 가져왔다. 따라서 이제부터라도 범죄데이터의 공개는 경찰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궁극적인 범죄데이터의 공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데이터 제공근거 및 견제장치의 마련, 전담부서 및 전문인력의 운용, 사회적 합의를 위한 소통을 제시하였다.

      • 사회과학분야의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연구동향과 과제

        김은선(Eun seon Kim) 성균관대학교 무역연구소 2019 Asian Trade Risk Management(ATRM)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 개인과 국가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의 사회과학 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RISS의 키워드 검색을 활용하여 연구의 결과와 동향에 주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은 전체 산업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일된 연구결과가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각 산업별 특성에 따라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와 빅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연구를 통해서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보인다. Recently, all industries in the world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job, and there have been various forums and research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domestic academic researches conducted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as of June, 2019 on the effe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w Technology on individual and national employment, examines the future research area and research trends. For this study,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which is a representative database of domestic academic research data was used to perform keyword search related to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n integrated search after analyzing the results and then th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t focused on a specific field but is related to all industries and whether or not it will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future jobs. Therefore, there are still many research projects on how to respon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each industry sect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lready become a reality in front of us. However, existing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based on the predictive data through surveys or workshops. Now that the verifiable data fro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secured, empirical research based on real data based on Big Data will be possible. Still, the debate over the number of jobs is hot. Therefore, we need to apply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 of data base to examine how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ffects jobs, develop our capacity through risk management, manage risks, and conduct a lot of strategic and policy researches in the future.

      • 자율주행자동차와 긴급피난에 관한 논의

        송기복(Song, Gi-Bok),정용기(Chung, Yong-Ki) 한국안보형사법학회 2018 안보형사법연구 Vol.2 No.1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자동차산업의 발달은 사람이 자동차를 통제하면서 운전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과 결합되어 자동차가 스스로 주변 환경과 교통상황 등을 판단하여 운행하는 자율주행자동차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와 더불어 발생할 수 있는 자율주행자동차의 교통사고에 대한 형법 등 관련법률의 해석과 적용에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자동차의 운행 중에 운전자가 자신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타인의 생명·신체에 대한 법익을 침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운전자는 어떠한 선택을 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에 대해서는 정당화적 긴급피난, 면책적 긴급피난, 부작위범의 특수한 형태의 법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따라서 긴급피난의 법리가 자율주행자동차 운전자, 자율주행자동차 제조사, 자율주행자동차의 프로그래밍 등에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주행자동차 운전자에 대하여 실재로 자동차를 작동시켜 도로교통에 이용하는 행위를 실행행위라고 가정하고 허용된 위험, 정당화적 긴급피난, 면책적 긴급피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허용된 위험의 원리는 자동차 운전자의 불가벌성의 근거로 볼 수 없고, 생명의 균형가능성이 부정되므로 긴급피난도 부정된다고 생각한다. 둘째, 자율주행자동차 제조사의 가벌성은 다른 교통참가자가 희생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시점에서 자동차 운전자에게 구성요건적 결과발생에 대한 고의 또는 과실의 여부에 따라 제조사의 가벌성은 운전자의 가벌성에 대응된다. 또한 교통참가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 운전자의 생명을 침해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과실에 의한 작위범의 성립가능성이 있다. 셋째, 자율주행자동차 제조사의 프로그래밍 행위에 대하여 긴급피난의 성립요건인‘위난의 현재성’은 정당방위의‘급박한 현재성’과 동일한 의미 또는 평행으로 이해하여‘위난의 현재성’이 인정되고, 피난의사를 인정할 수 있다. 상당한 이유(보충성)에 대해서는 제3자를 희생시켜 운전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 유일한 수단인 경우 보충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development of the automobile industry is changing from a method in which a person controls a car to driving to an autonomous driving car age in which Big data, Internet of objects, AI algorithms, etc. are combined operate themselves by judging their surroundings and traffic conditions. A new approach is needed to interpret and apply relevant laws such as the Criminal Law on autonomous driving car that can occur along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driving car. A driver will have to make a choice in a situation where he has to violate the legitimate interests of others lives and bodies in order to protect their own lives while driving a car. A driver will have to make a choice in a situation where he has to violate the legitimate interests of others lives and bodies in order to protect his life while driving a car. For this choice, a special form of law such as a justified emergency evacuation, emergency evacuation exempted from responsibility, and crime of omission may be applied. Therefore, it has been examined whether this law of emergency evacuation can be applied to autonomous driving car users (passengers), autonomous driving car manufacturers, and the programming stages of autonomous driving car. First, for autonomous driving car users, as a result of assuming that the act of actually driving a car and using it for road traffic is an act of execution and examining the applicability of permitted risk, justified emergency evacuation, and emergency evacuation exempted from responsibility, emergency evacuation is also denied because the principle of permitted risk can not be seen as a basis for the non-penalty of car users and the possibility of life balance is denied. Second, the penalty of the autonomous driving car manufacturers corresponds to the that of users depending on the intent or negligence of the constituent outcome to the users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operating the vehicle if another traffic participant is programmed to be sacrificed. In addition, if it is programmed to infringe the life of a car user in order to protect the life of a traffic participan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mmissive crime due to negligence. Third, regarding the programming behavior of autonomous driving car maker, the the present nature of disaster , which is the requirement of the emergency evacuation, is the same meaning or parallel as imminent currentness of self-defence so the present nature of disaster can be acknowledged, and the intention of evacuation can be recognized. For a substantial reason (supplements) supplementary nature would be acceptable if protecting the user s life at the expense of a third party is the only means.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금융법의 과제

        이정수 한국상사법학회 2021 商事法硏究 Vol.40 No.3

        클라우스 슈밥이 처음 제창한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개념은 의미가 불명확하고, 아직 종래의 산업혁명과 동일한 차원에서 논의할 수 있는지에 대해 반론이 적지 않다. 하지만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테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 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으로서의 제4차 산업혁명이 사회, 경제적으로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여기에 금융도 포함이 됨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측면에서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 변인과 결과, 그에 따른 금융의 변화 및 금융법의 과제에 대해 금융업, 금융시장, 금융규제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첫째, 금융업에 있어 제4차 산업혁명은 비금융업과 금융업 사이의 융화와 금융업 내부의 경계 무너짐 현상을 가속화할 것이다. 비금융업의 금융업 진출과 관련해서 금융법적으로는 금산분리 원칙이 문제되는데 이해상충, 위험전파, 경제력 집중의 세가지 측면에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살폈다. 한편, 플랫폼 비즈니스의 금융업 진출은 제조에 대한 판매 우위 상황에서 금융업 내부 경계를 붕괴시킬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판매와 광고의 구분, 업무위탁 등 금융법적 과제가 제기되며 장기적으로는 금융법의 판매기능의 종합적 규제로의 전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금융시장에 있어 제4차 산업혁명은 은행 중심의 지급결제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편의성을 극대화한 핀테크기업의 지급결제시장 진출은 예금을 바탕으로 한 은행 중심 시스템에 위기요소이다. 역사적인 요인으로 지급결제를 은행의 업무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경제시스템의 중핵을 이루는 요소라는 측면에서 지급결제업무를 수행하는 전자금융업자에 대한 규제를 어떻게 설계할지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거래수단의 등장이라는 측면에서 자본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알고리즘 거래와 같은 새로운 거래수단은 종래의 정보의 비대칭이 아닌 수단의 비대칭이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나아가 제4차 산업혁명의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는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포용적 금융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그와 함께 은행의 공공적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셋째, 금융규제에 있어 제4차 산업혁명은 위기이자 기회가 될 것이다. 우선, 제4차 산업혁명이 내포하고 있는 기술성, 속도성, 복잡성은 민간부문에 비해 정부부문에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기존 금융규제방식이 한계에 도달하고, 그에 따라 금융규제의 역할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규제실패의 가능성도 고민이 필요한 영역이다. 한편, 위험기반규제나 행위자규제는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보완이 필요하다. 종래의 위험측정방식은 알고리즘 거래와 같은 새로운 거래수단으로 인해 무력화될 수 있고, 인공지능이나 알고리즘의 발달은 행위자규제로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기술들은 금융당국 입장에서 새로운 규제수단을 제공한다. 레그테크, 섭테크에 대한 논의를 주목할만 하다. 금융법적으로는 원칙중심규제, 자율규제기구에 대한 위임가능성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