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랙털(Fractal) 자기 유사성(Self-similarity)에 기반한 지오 필릭 건축(Geo-philic Architecture)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

        대 우 항,조택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Fractal is a complex system theory that explains the structure in which things in nature occur in nature. The self-similarity of the fractal means that even if a part of the shape is enlarged, it appears similar to the whole. This characteristic leads to the creation of complex forms by recursing simple shapes on different scales. This fractal formulation is currently being applied to the skin design of architecture as an architectural design method. However, the recent emergence of geo-philic architecture is a formative characteristic that emphasizes continuity with the topography, and this type of architecture also represents the self-similarity of fractals. This feature allows us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things dynamically. By introducing the compositional rules of fractal self-similarity, geo-philic architecture becomes a living entity. This study explores the formative properties of geophilic architecture based on fractal self-similarity. (Methods) This study first summarized the concept of geo-philic architecture and summarized the fractal theory to explain it. Subsequently, the self-similarity of the fractal was analyz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n architectural design. Next, using geo-philic architectural design as the study case, the rules of self-similarity of fractals in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were analyzed. Finally, the fractal self-similarity formative value of geo-philic architecture was analyzed. (Results) Through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study of introducing fractal theory into the architectural design of the geo-philic form had sufficient validity. In this study, the rules for creating topography as a formative element by analyzing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ons from the self-similarity of fractals were revealed, and the formative design method of architecture was derived by changing iterations. Changing scales of fractal self-similarity can produce interesting architectural formative. This process helped us underst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eo-philic architecture. (Conclusion) This study projects the fractal structure of geo-philic as a way to achieve harmony in architectural formative. This could explain the aesthetic integration of fractal and geo-philic architecture. The compositional process of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is a design method and an initiative to integrate architecture into the ecology and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composition rule of fractal self-similarity, the formative value of geo-philic architecture is realized by enabling geo-philic architecture to harmonize with its surroundings on various scales. Therefore, based on the fractal theory, it is expected to provide a design method that can reach a variety of formative through the formative perception of iteration in geo-philic architecture in the future. (연구 배경 및 목적) 프랙털은 자연계의 사물이 발생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복잡계 이론이다. 프랙털의 자기 유사성은 모습 일부를 확대해도 전체와 유사한 모습으로 나타남을 의미한다. 이 특성은 단순한 모양이 서로 다른 척도로 재귀함으로써 복잡한 조형을 생성하게 한다. 이러한 프랙털 조형은 현재, 건축 디자인 방법으로 건축의 표피 디자인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등장한, 지오 필릭 건축은 지형과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조형 특성으로, 이러한 건축 유형 또한 프랙털의 자기 유사성 특징을 나타낸다. 이 특징은 동적으로 사물의 발전을 관찰할 수 있다. 프랙털 자기 유사성의 구성 규칙을 도입하여, 지오 필릭 건축을 생장성 있는 실체로 만든다. 본 연구는 프랙털 자기 유사성에 기반한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 특성을 탐구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먼저 지오 필릭 건축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설명하는 프랙털 이론을 정리하였다. 이어 프랙털의 자기 유사성을 분석하여, 건축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요소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지오 필릭 건축 디자인을 연구 대상으로 디자인 사례에서 프랙털의 자기 유사성이 지오 필릭 건축 조형이 가진 규칙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오 필릭 건축의 프랙털 자기 유사성 조형 가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를 통해 프랙털 이론을 지오 필릭 조형의 건축 디자인에 도입하는 연구가 충분한 타당성을 가졌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프랙털의 자기 유사성에서 지오 필릭 건축 조형을 분석하여 지형을 조형 요소로 구성하는 규칙을 밝히고, 나아가 반복(Iteration) 변화를 통하여 건축의 조형 디자인 방식을 도출하였다. 프랙털 자기 유사성의 척도변화는 흥미로운 건축 조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건축 조형의 조화를 얻는 방법으로 지오 필릭의 프랙털 구조를 투영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프랙털과 지오 필릭 건축의 미학적 통합을 설명할 수 있었다. 지오 필릭 건축 조형의 구성 과정은 디자인 방법일 뿐만 아니라 건축을 생태와 공공 환경에 통합하는 구상이다. 프랙털 자기 유사성의 구성 규칙을 통해, 지오 필릭 건축이 다양한 척도에서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 가치를 구현한다. 따라서 프랙털 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지오 필릭 건축에서 반복의 조형 인식으로 다양한 조형에 이르는 디자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프랙털(Fractal) 자기 유사성(Self-similarity)에 기반한 지오 필릭 건축(Geo-philic Architecture)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

        대우항 ( Dai Yuhang ),조택연 ( Cho Taigyo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Fractal is a complex system theory that explains the structure in which things in nature occur in nature. The self-similarity of the fractal means that even if a part of the shape is enlarged, it appears similar to the whole. This characteristic leads to the creation of complex forms by recursing simple shapes on different scales. This fractal formulation is currently being applied to the skin design of architecture as an architectural design method. However, the recent emergence of geo-philic architecture is a formative characteristic that emphasizes continuity with the topography, and this type of architecture also represents the self-similarity of fractals. This feature allows us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things dynamically. By introducing the compositional rules of fractal self-similarity, geo-philic architecture becomes a living entity. This study explores the formative properties of geophilic architecture based on fractal self-similarity. (Methods) This study first summarized the concept of geo-philic architecture and summarized the fractal theory to explain it. Subsequently, the self-similarity of the fractal was analyz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n architectural design. Next, using geo-philic architectural design as the study case, the rules of self-similarity of fractals in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were analyzed. Finally, the fractal self-similarity formative value of geo-philic architecture was analyzed. (Results) Through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study of introducing fractal theory into the architectural design of the geo-philic form had sufficient validity. In this study, the rules for creating topography as a formative element by analyzing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ons from the self-similarity of fractals were revealed, and the formative design method of architecture was derived by changing iterations. Changing scales of fractal self-similarity can produce interesting architectural formative. This process helped us underst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eo-philic architecture. (Conclusion) This study projects the fractal structure of geo-philic as a way to achieve harmony in architectural formative. This could explain the aesthetic integration of fractal and geo-philic architecture. The compositional process of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is a design method and an initiative to integrate architecture into the ecology and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composition rule of fractal self-similarity, the formative value of geo-philic architecture is realized by enabling geo-philic architecture to harmonize with its surroundings on various scales. Therefore, based on the fractal theory, it is expected to provide a design method that can reach a variety of formative through the formative perception of iteration in geo-philic architecture in the future.

      • KCI등재

        모듈러 디자인을 기반한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대우항,조택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모듈화 이론(Modularity Theory)은 최초 경영학 분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초기에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고방식이었으나, 후기에는 일종의 공업 디자인 방법으로 제조업에 많이 응용되었다. 모듈화 이론은 시스템을 여러 단위인 모듈러(Modular)로 나누고, 그 모듈러를 다른 시스템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공업화 건조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듈러는 대규모로 표준화되어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러 디자인(Modular Design)이 지닌 미학적 본질은 표준화와 맞춤화 사이의 연결에 있다. 이 개념은 건축 디자인 분야로도 확장되어 모듈러 빌딩(Modular Building)으로 추진되었는데, 최근 등장한 지오 필릭 건축(Geo-philic Architecture) 조형에서 모듈러 디자인의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지오 필릭건축이 지형과 주변 환경의 조화를 강조하는 '맞춤형 디자인'과 관련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모듈러 디자인을 이론적 기반으로 지오 필릭 건축 조형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해석적 연구와 사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먼저, 모듈러 건축의 발전사와 지오 필릭 건축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한 다음, 지오 필릭 건축 조형과 모듈러 디자인의 융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둘째, 모듈러 건축 발전의 맥락과 관련 이념을 정리함으로써 지오 필릭 건축 조형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양자 간의 응용 범위와 타당성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모듈러 디자인의 영향을 받은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미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셋째, 수집된 디자인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지오 필릭 건축의 모듈러 조형 생성을 도해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듈러 조형 생성 과정을 바탕으로 지오 필릭 건축의 모듈러 조형 특성을 해석하였다. (결과) 첫째, 건축 조형의 요소·단위·조합·질서의 구성 체계가 명확해졌다. 지오 필릭 건축 조형과 모듈러 디자인의 융합이 검증되었다. 둘째, 병치(倂置)·평행 배열·폴딩·착란 중첩 등의 조합형식들이 지오 필릭 건축의 다양한 조형을 생성하는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지오 필릭 건축과 지형의 복잡한 관계를 바탕으로, 모듈러 디자인의 구상은 이 문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셋째, 공간의 가변성, 건축과 경관의 모호성 및 조형의 질서적 미의식을 논술하였다. (결론) 첫째,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 디자인은 모듈러 사유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모듈러 사유는 조형 디자인에 미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듈러는 지오 필릭 건축 조형의 혁신적인 디자인에 대한 참고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듈러 디자인을 도입함으로써 지오 필릭 건축 디자인에 더 많은 영감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modularity theory originated in the field of management, initially serving as a mindset for solving complex problems, but later it found widespread application in manufacturing as a form of industrial design method. The modularity theory involves dividing systems into modular units and arranging them within other systems, a characteristic that became standardized on a large scale with the advancement of industrial construction technology. The aesthetic essence of modular design lies in the connection between standardization and customization. This concept has also extended to the field of architectural design, driving the development of modular buildings. Recently, there has been a trend of modular design emerging in geo-philic architecture, which emphasizes 'customized design' that harmonizes with the terrai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Based on this tre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modular design on the formative design of geo-philic architecture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Methods) Using analytical research and case analysis methods, this study first organized the development history of modular buildings and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geo-philic architecture, and then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ntegration between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and modular design. Secondly, by organizing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modular architecture and related ideologies, the scope and validity of the two were explored by deriving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ative aesthetics of geo-philic architecture influenced by modular design. Thirdly, design c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generating geo-philic architectural modular formatives. Finally, based on the above process of modular formative generation, the modular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eo-philic architecture were interpreted. (Results) Firstly,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architectural formative elements, units, combinations, and orders became clear. The integration of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and modular design was validated. Secondly, combination forms such as juxtaposition, parallel arrangement, folding, and overlapping have becom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generating various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Based on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geo-philic architecture and terrain, the conception of modular design can effectively address this issue. Thirdly, the variability of space, the ambiguity betwee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formative order were discussed. (Conclusion) Firstly, the formative design of geo-philic architecture can incorporate modular reasoning. Secondly, modular reasoning can impart aesthetic characteristics to formative design. Finally, modular design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innovative design in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ore inspiration and direction for geo-philic architectural design by introducing modular design.

      • KCI등재

        특수어미 ‘-느니’의 형태통사론

        김양진 한글학회 2009 한글 Vol.- No.284

        This paper clarifies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onditions of specially classified ending ‘-neuni’ in Korean as well as its general usages. The following is the arguments. First, the usages of ‘-neuni’ can be categorized largely into two: as an ending (sentence‐formative element, ‘-neuni1’) and as a multi-functional substantive-formative element (substantive -formative element, ‘-neuni2’). Second, the ending usages of ‘-neuni1’ can be divided into 1. the final ending usage and 2. the linking ending usage. The one of linking ending has been developed by the arranging and repetitive uses of final ending ‘-neuni1’. Third, substantive‐formative element ‘-neuni2’ can also be divided into the usage of subject‐formative and the usage of adverb formative. The usage of subject formative shows some unique uses, such as formation of comparitive sentences and cleft sentences. Fourth, substantive‐formative element ‘-neuni2’ is distinguished from ‘-neuni1’ in terms that ‘-neuni2’ restricts its preceding stems only to verbs, while ‘-neuni1’ can join the preceding adjectives and verbs. Fifth, comparitive‐sentence formation by subject‐formative usage of substantive‐formative element ‘-neuni2’ have been mixed with sentence‐formative ‘-neuni1’, which mixes the two usages as a whole in contemporary Korean. Sixth, there is ‘-neuni3’ which has same origin but has different historical change with ‘-neuni2’. ‘-neuni3’ builds connected forms with bounded noun, ‘mankeum(만큼)’, and ‘-neuni3’ is different in the respect of choosing allomorphs and generating abbreviated form. 이 글에서는 국어의 특수어미로 분류되는 ‘-느니’와 관련된 형태론적, 통사론적 조건을 밝히고 그 제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논의의 순서에 따라 이 글의 주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느니’의 용법은 용언의 어말어미로서의 용법(문장 형성소, ‘-느니1’)과 통합형 체언 형성소(체언 형성소, ‘-느니2’)의 두 가지 용법으로 대별된다. 둘째, 어미 ‘-느니1’의 용법에는 종결어미의 용법과 연결어미의 용법이 있다. 연결어미의 용법은 종결어미의 용법이 나열, 반복되어 사용되는 환경에서 발달하였다. 셋째, 체언 형성소 ‘-느니2’의 용법은 다시 주어 형성소 용법과 분열문 형성 및 비교 구문 형성과 같은 몇 가지 특이 용법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넷째, 체언 형성소 ‘-느니2’는 선행 어간이 ‘동사’에 제한된다는 점에서 동사, 형용사의 구별이 없이 결합되는 ‘-느니1’과 구별된다. 다섯째, 체언 형성소(‘-느니2’)의 용법 중, 주어 형성소 용법의 비교 구문 형성 등이 문장 형성소(‘-느니1’)의 용법과 혼용되면서 현대 국어에서는 이 두 가지 용법이 다양하게 뒤섞이게 되었다. 여섯째, ‘-느니2’와 기원은 동일하지만 그 역사적 발달이 상이한 형태로 의존명사 ‘만큼’과 통합형을 이루는 ‘-느니3’이 있는데, 이 ‘-느니3’은 ‘-느니2’와 이형태 선택 및 축약형 생성의 과정에서 차이가 있다.

      • KCI등재

        헌법재판소 결정의 형성력

        허완중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8 No.4

        헌법재판소 결정이 확정되면 그 내용과 유형에 따라 확정력과 기속력 그리고 형성력이 생긴다. 이처럼 결정의 내용과 유형에 따라 생기는 헌법재판소 결정의 효력을 본래적 효력이라고 한다. 형성력은 일반 소송법이론을 따르면 형성판결이 확정되었을 때 재판 내용대로 새로운 법적 관계가 생기거나 종래 법적 관계가 바뀌거나 사라지는 효력을 말한다. 형성력은 그동안 헌법재판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제3자에게까지 효력이 미치는 대세효의 대명사인 형성력은 구체적 사건 관련성에 갇혀 있는 확정력(이나 기판력) 및 기속력과 달리 구체적 사건에 매이지 않는다. 게다가 형성력은 사실관계나 법적 상황의 변화(사정변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주관적 권리 구제뿐 아니라 객관적 헌법질서 보장을 기능으로 삼아서 일반적 효력이 요구되는 헌법재판소 결정에 법률요건적 효력과 더불어 적합한 효력으로 볼 수 있다. 형성력은 모든 재판에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판결에만 귀속되는 특별한 효력이다. 즉 형성력은 형성의 소를 인용하는 판결(형성판결)에서만 발생하고 형성의 소를 기각하는 판결을 포함한 다른 판결에서는 인정되지 아니한다. 헌법재판소 결정 중 피청구인을 해당 공직에서 파면하는 결정(헌법재판소법 제53조 제1항), 정당 해산을 명하는 결정(헌법재판소법 제59조), 권한침해 원인이 된 피청구인의 처분을 취소하는 결정(헌법재판소법 제66조 제2항), 기본권 침해 원인이 된 공권력 행사를 취소하는 결정(헌법재판소법 제75조 제3항)이 형성판결에 해당한다. 그러나 법률을 위헌으로 선언하는 결정(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과 제3항, 제75조 제6항)은 형성판결이 아니라 확인판결에 불과하다. 주관적 측면에서 형성력은 해당 심판의 관계인뿐 아니라 제3자에게도 효력을 미친다(대세효). 그리고 주관적 측면에서 형성력은 결정주문에 한정된다. 또한, 형성력은 형성판결이 확정되었을 때 발생한다. When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rendered, it acquires the finality, binding effects and the formability or formative power, depending on its content and type. The effect of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which depends on its content and type, is called the original effect. Pursuant to the general theories of litigation, formative power refers to the effect of creating a new legal relationship or changing or terminating the existing legal relationship as a result of a court decision when a decision of formation is finalized. Formative power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constitutional adjudication. However, the formative power, which is the epitome of erga omnes effect, the effect that expands to the third parties, is not limited to specific cases, unlike the finality(or res judicata) and the binding effects that are tied to individual cases. Moreover, formative power is not affected by changes in facts or legal circumstances (changes in circumstances). In this respect, it can be regarded as an appropriate effect in addition to an effect of legal requisite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which requires general effect by assuring the objective constitutional order as well as providing the relief for individual rights. Formative power is not recognized in every decision, but is a special effect attributed to particular decision. In other words, the formative power occurs only in the judgment (decision of formation) that accepts a complaint for formation and is not recognized in other decisions including the decision to dismiss a case for formation. Among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to dismiss a respondent from the office(Article 53, Paragraph 1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decision to dissolve a political party(Article 59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decision to revoke the exercise of the governmental power that caused the interference with the authority (Article 66,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and decision to revoke the exercise of the governmental power that caused the infringement of fundamental rights(Article 75,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constitute a decision of formation. However, the decision to declare the law unconstitutional (Article 47 (2) and (3), Article 75 (6)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is merely a declaratory decision, not a formation decision. In the subjective aspect, the formative power is effective not only for the parties of the case but also for the third person (erga omnes effect). The formative power is limited to the holding. The formative power also occurs when the formation decision is finalized.

      • KCI등재

        제품디자인을 위한 조형사고력 학습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정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It is quite frequent that many students arrive at accidental formative products completely different from intended concept at a product design site. The formative thinking ability required in product design is very complex thinking process different from the result intuitively seen; therefore, the thinking ability of a design major student to develop specific intention into a creative product is very essential and it should be learned professionally as an expertise. Accordingly, this study did exploration, development, execution and examination with the study purpose on suggesting a product formative thinking ability learning program. In the exploration study, the importance of product design and the creative formative thinking ability of a designer are emphasized through theoretical contemplation. It has been contemplated and suggested that a designer should have planned, detailed and objective formative thinking ability since product design has the features different from accidental creative formation. In the development study, the issues were found from the planned model production, which was done for 2 years as a model case. Then a planned formative thinking ability learning program, which is different from accidental formation, was developed as an education following the general and basic formation education class. The execution study was the execution of the developed learning program for 15 weeks in a semester with 170 sophomore students, who entered 3-year design major class. The examination study was an unreg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ith study participants and it verified that the learning program has the expected effect. The developed program will help the product design students in learning how to have planned formation inspiration and get formative thinking ability with stepwise formation control as a foundation in learning product design and overcoming the fear and ambiguity on formation plan execution. 제품디자인 교육 현장에서 많은 학생들이 의도한 콘셉트와 전혀 다른 우발적인 조형 결과물에 이르게 되는 것은 매우 빈번하다. 제품디자인에서 요구되는 조형사고력은 직관적으로 보이는 결과와는 달리 매우 복합적인 사고의 과정이기에 전공 학습자에게 특정의도를 창의적 조형 결과물로써 구체적으로 전개하는 사고력은 매우 기본적이고 전문적으로 학습 되어져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 조형사고력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하여 탐색, 개발, 실행, 검증연구를 진행하였다. 탐색 연구에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제품디자인의 조형과 디자이너의 창의적 조형사고력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제품디자인 조형은 우발적인 창작 행위 조형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기에 디자이너는 계획적, 구체적, 객관적 조형 통제력을 지녀야한다는 점을 고찰하고 주장 하였다. 개발 연구에서는 2년간 시범 실시한 계획모형제작학습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보편적인 기초조형 학습 다음 단계의 우발적인 조형 행위와 구별되는 조형교육으로써 계획적 조형사고력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행연구는 개발한 학습프로그램을 3년간 전공에 입문한 대학 2학년 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15주간 실행하였다. 검증연구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진행 후 무기명 설문조사와 느낀 점을 통하여 학습 프로그램의 기대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제품디자인 입문 학생들이 제품디자인을 학습하는데 토대가 되는 계획적 조형 발상과 단계적 조형 통제의 디자인 조형사고력을 학습하고 디자인 조형계획실행에 대한 막연함과 두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기초디자인 교육에 있어 수학적 조형의 가치 제고

        하봉수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2

        The formative expression of using computer is mostly limited to the drawing software. Thus, the expression of objective process is not seen. The aim was to clarify meaning and value of mathematical formative in basic design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critical mind. For this, it considered focusing on a case of having pursued possibility as the art expression by utilizing mathematical methods in creating art. Summarizing this, many artists have performed formative work by discovering general principles in aesthetic form and by applying mathematical rules based on its law. Examining their works, the objective formative thinking is reflected in the middle of the process, which proceeds with sequentially visualizing a rule of expression in a shape by applying mathematical concept. Also, an emergent outcome is elicited by diverse elements and variables, which are applied for expressing a form. Thus, it is considered to play a role of energy source again, which ignites a sense of formativeness. Ultimately, the mathematical formative can be said to be a catalyst, which causes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and concern about scientific technology as well as understanding about mathematical subject, and to be the emergent and objective formative method, which can overcome a problem about originality of becoming problematic in the expression education of focusing on application. Hence, the mathematical formative is thought to be important theme in basic design education of the digital technology era. The aim is to proceed with arranging educational plan in the future as an objective formative method by examining modeling in mathematical subject, which is easy and attractive to students. 컴퓨터를 이용한 조형표현은 대부분 그림그리기 소프트웨어에 한정되어, 객관적인 프로세스의 표현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기초디자인 교육에 있어 수학적 조형의 의미와 가치를 명확히 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예술창작에 있어 수학적 수법을 활용해 미술표현으로서 가능성을 추구한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요약하면, 많은 예술가들이 미적 형태의 통칙을 발견하고, 그 법칙성 위에서 수학적 규칙을 적용해서 조형작업을 해왔다. 그들의 작품을 보면, 형상의 표현규칙을 수학적 개념을 적용해 순차적으로 가시화 해가는 과정 속에서 객관적인 조형사고가 반영되어 있고, 또한 형태표현을 위해 적용되는 다양한 요소와 변수들에 의해 창발적 결과가 도출되어, 그것이 다시 조형심을 촉발시키는 에너지가 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국, 수학적 조형은 학생들에게 수학적 제재에 대한 이해는 물론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촉매제이자 어플리케이션 위주의 표현교육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독창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창발적이며 객관적인 조형수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때문에 수학적 조형은 디지털 기술시대의 기초디자인 교육에 있어 중요한 테마라고 생각되며, 앞으로 학생들에게 알기 쉽고, 매력적인 수학적 제재의 모형화를 검토해 객관적인 조형수법으로서 교육적 방안을 마련해 가고자 한다.

      • KCI등재

        제머리마빡의 전통 연관성과 형성 담론

        허용호 ( Yong Ho He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9

        제머리마빡은 그동안 우리의 인형연행전통 관련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연행이다. 더구나 등장하는 인형의 형태나 연행 방식이 독특해서 흥미로움은 더해진다. 이에 필자는 제머리마빡을 인형연행전통의 맥락에서 검토하고, 현재 제머리마빡을 둘러싸고 있는 담론 양상에 대해 고찰했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인형연행전통의 맥락에서 제머리마빡의 연행 현상을 검토하고, 제머리마빡의 형성 담론을 정리한 것이다. 그 결과, 제머리마빡의 연행 현상과 형성 담론의 양상은 서로 모순적이었다. 이에 필자는 그 모순의 이유를 추론하고, 논의를 마무리 지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 연행되는 제머리마빡은 인형 형태의 측면에서 만석중놀이의 만석중인형과 친연성을 갖는다. 자신의 신체를 칠 수 있는 인형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연행 방식의 측면에서는 지게를 활용한 인형 연행이라는 점에서 백초가장농악과 만난다. 의미 양상 역시잡색이라는 점에서 백초가장농악과 동일하다. 이상의 전통 연관성은, 제머리마빡이 자생적으로 형성되었다기보다는 외부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게 한다. 제머리마빡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시기에 외부 영향 속에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제머리마빡을 둘러싸고 있는 담론들은 그 형성과 관련된 내용들이 주를 이룬다. 제머리마빡의 형성과 관련된 담론은 ‘토착적이고 자생적으로 제머리마빡이 유래되었고, 나름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뛰어난 개인들의 기여가 컸다’로 정리할 수있다. 그런데 그러한 형성 담론은, 인형연행전통을 통해 추론한 제머리마빡의 형성 과정과는 상충된다. 인형연행전통의 문맥에서 바라 본 제머리마빡의 연행 현상에서는 외부영향에 의한 형성 가능성이 나타났다. 반면에 제머리마빡의 형성 담론에서는 자생성을 강조한다. 제머리마빡의 연행 현상과 이를 둘러싼 형성 담론이 어울리지 않고 서로 어긋나고 있다. 자생성과 토착성을 강조하는 제머리마빡 형성 담론은 이른바 전통 민속을 지향한다. 이에 비해 제머리마빡 연행 자체에서는 공공 민속적 속성이 나타난다. 인형연행전통의 맥락에서 살펴 본 제머리마빡 연행 양상이나 2004년 이후의 제머리마빡을 둘러싼 여러사업들은, 제머리마빡이 이미 공공 민속의 궤도에 진입했음을 보여준다. 바로 그 차이 곧, 연행 현상의 공공 민속적 속성과 형성 담론의 전통 민속화 지향의 차이가 모순과 상충의 원인이다. 보다 정확히 표현한다면, 연행 현상과 형성 담론의 모순과 어긋남은 이미 공공민속의 궤도에 들어 선 제머리마빡을 전통 민속화하려는 데서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후 전통 민속과 공공 민속이라는 서로 다른 지향은 상호 충돌을 일으키며 모순된 상황을 만들 수 있다. 혹은 상호 영향을 끼치며 한 방향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그런데 전통을 내세우는 연행들이 흔히 그러하듯, 제머리마빡은 전통 민속으로의 분식이나 치장을 할 가능성이 높다. 그 속에서 외래 영향의 흔적을 지우거나 자생성을 강조하는 장치를 마련해 둘 수도 있다. 물론 갈등이 고조되어 분열이 일어나 어정쩡한 상태에 머물러 버릴수도 있다. 가능성은 여러 방향으로 열려있다. 이러한 제 가능성에 대한 섬세한 고찰이 필요하다. 물론 이는 필자에게 주어진 과제이다. The Jemorimabbak is a performance that we have not dealt with in the tradition of puppet performance of korea. Moreover, the interest grow for its form of puppet and way of puppetry are unusual. Hence I study the Jemorimabbak in the context of tradition of puppet performance of korea, and examine aspects of discourse which surround the Jemorimabbak. To put it concretely, I study the performance phenomenon of Jemorimabbak, and examine formative discourses. As a result, the performance phenomenon of Jemorimabbak and aspects of formative discourses are mutually contradictory. Hence I infer the reason of contradictory, and conclude this study. To summarize the results of study, as follows. The Jemorimabbak which is performed at the present time has similarities with the Mansokjung puppet which appears in the Mansokjungnori. It is similarities in that the puppets hit their own body. The Jemorimabbak meet Pakchogajangnongak in the aspect of performance way. The significance of Jemorimabbak puppets and Pakchogajangnongak puppets are the same, too. It can be said that the Jemorimabbak is built by outside influences, based on the above study of traditional relationships. Discourses which surround the Jemorimabbak are dominated by stories involved in the formation. Discourses which ar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Jemorimabbak can be summmed up as follow: the Jemorimabbak was autochthonously formed, and has a long tradition, exceptional individuals have contributed to the autochthonous formation of Jemorimabbak. By the way, the performance phenomenon of Jemorimabbak which is inferred from the tradition of puppet performance of korea and the aspects of formative discourses are mutually contradictory. There are possibility of outside influences in the performance phenomenon of Jemorimabbak. On the other hand the formative discourses of Jemorimabbak emphasize an autochthonous. The formative discourses of Jemorimabbak aim for a traditional folklore. By comparison, the performance phenomenon of Jemorimabbak is revealed a property of public folklore. the performance aspects of Jemorimabbak which is studied in the context of tradition of puppet performance of korea and several projects which is going on since 2004 are revealed that the Jemorimabbak goes into a orbit of public folklore. For that very reason: in other way, the contradictory is caused by a gap between ‘the property of public folklore which is revealed in the performance phenomenon of Jemorimabbak’ and ‘the traditional folklore-aim of formative discourses which surround the Jemorimabbak’. To put it concretely, the contradictory between the performance phenomenon and the formative discourses is caused by a traditional folklore-aim of the Jemorimabbak which already goes into a orbit of public folklore.

      • 명작품의 조형성 연구

        오춘란 동아대학교 조형연구소 1999 조형연구 Vol.- No.5

        Human beings have Tried to establish physical and mental worlds by way of philosophy and science. But they have also endeavored to seek the unity of their own worlds in time and space by resorting to art. Based on this historical fact, I intend to reveal the essence of spatial art. The unified simplicity and dynamics of the universe and nature are well expressed in human physiology, and psychology, which again tums alive in the formative at of humans. That is a visual expression called a circle. We can see, therefore, the inevitable formative structure between the universe and beings in nature. The history of fine arts, starting from an individual's emotional work and blooming into the artistic and universal values, accounts for the sympathy with the universe. In this respect, We can identify the basics of the formative art in contemporary works by finding the criterion in the masterpieces of Renaissance classicism. Visual analysis shows, an in [plate 1-27], that all the visual objects end in lines (horizontal, vertical, diagonal, and circular) in the plane of a square. Of course, these geometrical lines are merely advisable standards, not absolute ones. The talent of an artist knows what to do with the lines and determines a masterpiece after all. Here, some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art is not simply a person's own activity, but coincides with human nature. Second, the essesce of formative art lies in uniting all visual elements, achieving a simple structure, and expressing the sense of dynamic life. Third, well-made fine arts begin from one's inner world, go through a medium of objects, and result in a new artistic space which can be shared among all humankind, Fourth, to identify the nature of formative art is to provide the criterion for art creation or appreciation by staying faithful to the language of formativeness. In sum, philosophical thinking is quite necessary as the source of modern formative art seeming unnatural is nature. Then, we can rightly the artistic aspects of today's artists as part of a certain direction. In this age when the extremes meet together, we might have to take both to oriental philosophy of nature and the western viewpoint of nature. This will be one of the ways to seek the direction of a new art. True artists, as scientists do, see another look of nature and make use of it in order to create some pioneering masterpieces.

      • KCI등재

        가상현실의 현존감을 활용한 입체조형 교육 방법 제안 -스케일 감각 향상을 위한 실험내용을 중심으로-

        이영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The goal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ing education is to develop a sense of modeling for students majoring in design at university as well as flat-dimensional modeling. Since Bauhaus, which is called the beginning of design education, students are received 3D formative education through repetitive practice accompanied by exploration of physical materials. As technology advances and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s are established,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be explored in ways other than manual methods. The sense of scale was intended to be studied intensively as a formative principle related to the size and u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3D formative education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without space-time constraints,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sense of scale and understanding of formativeness.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3D formative educa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were investigated, and cases applied to the university curriculum were examined. Combining virtual reality with 3D education, project was selected and modified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converge the existing physical modeling method and digital production method through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Students recorded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documented their experiences, and shared among participants. It was effective by combining the 3D formative program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rough the process of touching and experiencing objects directly through virtual reality, students evaluated that it was helpful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formativeness, sense of scale, and sense of spac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nd prepare a research foundation to discuss various directions applicable to 3D formative education. 입체조형 교육은 평면조형과 더불어 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조형 감각을 키우는 것을목표로 한다. 디자인 교육의 시작이라고 불리는 바우하우스 이후로 학생들은 물리적 재료 탐구를 동반한 반복적인 실습을 통해 입체조형 교육을 받는다. 기술 발전과 디지털 교육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수작업 방식 이외의 방법으로 입체조형 교육이 탐구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 중에서도 제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조형의 규모와 사용성과 관련된 조형원리인 스케일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고자하였다. 이 연구는 시공간 제약이 없는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입체조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스케일 감각의 향상 및 조형의 이해도 향상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문헌 고찰을 통해 입체조형교육에 대한 배경과 목표를 살펴보고, 가상현실의 매체적 특성과 가상현실을 적용한 대학 커리큘럼의사례를 조사하여 적용 가능한 디자인 원칙을 정리하였다. 가상현실과 입체조형교육을 결합한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1학년 학생들과 실험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물리적인 모형제작 방법과 가상현실의 적용을 통한 디지털 제작 방법을 융합하였으며, 학생들은 실험한 과정을 녹화하고, 경험에 대한 문서를기록하며 실험 참가자들 간의 경험을 공유하였다. 입체조형 프로그램과 가상현실 기술을 결합한 프로젝트는 효과적이었다. 가상현실 속에서 직접 사물을 만지고 체험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조형에 대한 이해와 스케일 감각, 그리고 공간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적관점에서 가상현실의 특성을 이해하고 입체조형 교육에 적용 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을 논의 할 수 있는 연구 기반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