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D펜의 디지털화에 대한 연구

        김종용(Jong-Young Kim),전병훈(Byung-Hoon J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6

        본 연구는 아날로그 3D펜의 디지털화에 대한 연구이다. 디지털은 항상성과 변형가능성, 결합성, 재생산성 그리고 보관의 편리성 등의 특징이 있다. 이런 디지털 특성과 생산을 융합한 장치가 3D프린터인데 낮은 생산성과 재료, 물리적 특성의 한계로 산업적 활용이 제한적이다. 특히 3D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델링 소프트웨어 및 프린터 장치에 대한 전문기술로 인하여 사용자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의 개선 점이 있다. 이것을 보완한 3D펜은 휴대성과 사용용이성이 뛰어난 반면 디지털화가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디지털화 능력과 사용편이성을 확보하고 프린팅공정 중 유해성 논란이 있는 프린팅 재료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푸드를 결합하여 연구문제와 대안을 도출하였으며 개발한 3D펜을 통하여 디지털화를 실증하였다. 3D펜의 디지털화를 위하여 구조화된 장치를 통하여 아날로그적 3D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특정하고 이 움직임을 공간해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3차원 데이터인 X,Y,Z 좌표값으로 변환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Meshlab v1.3.4을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 장치(푸드펜)을 통하여 청소년 교육 및 시니어헬스케어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igitization of an analog 3D pen. The term digital implies features such as homeostasis, transformability, combinability, reproducibility, and convenience of storage. One device that produces a combination of these digital characteristics is a 3D printer, but its industrial use is limited due to low productivity and limitations with material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use 3D printers, such as better user accessibility owing to expertise and skills in modeling software and printers. Complementing this fact is the 3D pen, which is excellent in portability and ease of use, bu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be digitized.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a digitalization capability and ease of use, and to secure the safety of printing materials that pose controversial hazards during the printing process, research problems and alternatives have been derived by combining food, and digitization was demonstrated with a newly developed 3D pen. In order to digitize the 3D pen, a sensor in a structured device detects the motion of an analog 3D pen, and this motion is converted into 3D data (X-Y-Z coordinate values) through a spatial analysis algorithm. To prove this method, the similarity was confirmed by visualization using MeshLab version 1.3.4. It is expected that this food pen can be used in youth education and senior healthcare programs in the future.

      • KCI등재

        미술치료 매체로써 푸드펜의 미술치료 적용에 관한 연구: 경도 치매 환자를 중심으로

        김종용(Jong-Young Kim),전병훈(Byung-Hoon Jeon) 융복합지식학회 2022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10 No.2

        본 논문은 치매의 예방 및 개선에 이용되는 미술치료에 있어서 미술치료 매체로써 푸드펜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안한다. 치매는 아직 치료제가 없어 예방 및 완화만이 유일한 대안인데, 미술치료는 접근성 및 사용 용이성이 좋아서 치매의 예방과 개선 서비스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미술치료 서비스는 아날로그적 대면 서비스로써 미술치료 전문가에 의존하므로 일반화 및 객관화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근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미술치료 분야도 디지털과의 융합을 통하여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즉 디지털 특성인 항상성과 변형 가능성, 결합성, 재생산성을 이용하여 치매 서비스로써 미술치료를 다양하게 접근하고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치매 관련 서비스의 고도화에 발맞추어, 아날로그-디지털 미술치료 매체로써 푸드펜을 적용하는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로부터 치매에 대한 미술치료의 효과를 파악하고 치매와 관련하여 고도화되고 있는 트렌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매체로써 디지털-아날로그 융합장치인 푸드펜을 미술치료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와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 문제를 도출하고 기존의 미술치료 매체들과의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service using a food pen as an art therapy materials in art therapy used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dementia. There is no cure for dementia, so prevention and alleviation are the only alternatives, but art therapy is generally used because of its accessibility and ease of use. Art therapy service is an analog face-to-face service, 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and objectification because analysis depends on art therapy experts. Recently,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hrough convergence with digital. In other words, various analyzes and advancements are being made using digital characteristics such as homeostasis, transformability, compatibility, and reproducibil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service that applies the food pen as an analog-digital art therapy materials in line with the advancement of dementia-related services. To this end,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dementia were identified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 advanced trends related to dementia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questions on how to apply and analyze the food pen, a digital-analog fusion device as an art therapy medium, were pointed out and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existing art therapy media was analyzed.

      • KCI등재

        키조개(Atrina pectinata) 패주를 이용한 조미 중간수분제품의 제조 및 품질특성

        황영숙,황석민,오광수 한국수산과학회 201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1 No.6

        To develop the high-value added seafood products from a regional speciality seafood, the seasoned dried pen shell Atrina pectinata adductor (SDPA) and seasoned smoke-dried pen shell adductor (SSPA) samples were prepared, and their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quality metrics, and shelf-lif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SDPA and SSPA samples were produced by thawing of frozen pen shell adductor, and cutting it into 6-7 mm slices, hot-air drying (60℃, 20 min) or smoking (110℃, 20 min), seasoning (4℃, 12 h) with seasoning powder (60% sorbitol, 15% sucrose, 16% salt and 9.0% monosodium glutamate), hot-air drying (60℃, 3 h), torching, vacuum-packaging in a laminated plastic film bag, heat treating with hot-water (85℃, 15 min), and cooling. The moisture content of SDPA and SSPA samples was 44.5 and 43.0%, respectively, and the water activity was 0.845 and 0.842. The total amino acids in SDPA and SSPA samples were 20,986.8 and 21,312.4 mg/100 g, respectively, and the major amino acids in both products were aspartic acid,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and arginine. The primary minerals were Na, S, K and P. Incubating tests indicated that the quality of SDPA and SSPA samples was maintained for 30 days of stor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