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자의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 동기가 JOMO에 미치는 영향: FOMO, 사용피로, 단절욕구의 직렬다중매개효과와 나르시시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흔,유희승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광고연구 Vol.- No.13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mechanism by which metaverse platform users escapefrom the perceived negative experience while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To this end, the structuraleffect on JOMO was verified by setting self-expression motivation through metaverse avatars as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ing FOMO, use fatigue, and desire to disconnect as mediating variables.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narcissism was explored between the effects of self-expressionmotivation through metaverse users' avatars on FOMO and JOMO. For this, an online survey wasconducted on 450 users in their teens and 30s of the metaverse platform Zepeto that interact inthe virtual world through avatars.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first, the effect of metaverse users' motivation to expressthemselves through avatars on JOMO was complete mediation by FOMO, use fatigue, and desireto disconne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elf-expression motivation through metaverse users' avatarshad a positive effect on JOMO through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FOMO, use fatigue, and desireto disconnect.Second, the effect of metaverse avatar self-expression motivation on FOMO and JOMO wasstrengthened by narcissism, and the group with high self-expression motivation showed higher FOMOand JOMO than the group with low self-expression motivat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mechanism by which self-expression motivation through metaverse users' avatars reached JOMO through FOMO,use fatigue, and desire to disconnec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and theoretical frameworksare provided that can be used in follow-up studies in terms of user experience in Metaverse, whichis an emerging research field.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자가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하면서 지각하는 부정적인 경험에서 벗어나는 메커니즘을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 동기를 독립 변인으로 설정하고 FOMO, 사용피로, 단절욕구를 매개 변인으로 설정하여 JOMO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메타버스 이용자의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 동기가 FOMO와 JOMO에 미치는 영향 사이에서 나르시시즘의 조절효과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아바타를 매개로 가상세계에서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 이용자 10대-30대 4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메타버스 이용자의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 동기가 JOMO에 미치는 영향은 FOMO, 사용피로, 단절욕구에 의해 완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버스 이용자의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 동기는 FOMO, 사용피로, 단절욕구를 직렬매개로 JOMO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버스 아바타 자기표현동기가 FOMO와 JOMO에 미치는 영향은 나르시시즘에 의하여 강화되었으며 자기표현 동기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FOMO와 JOMO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이용자의 아바타를 통한 자기표현동기가 FOMO, 사용피로, 단절욕구를 거쳐서 JOMO에 이르게 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또한 신생 연구 분야인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자 경험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는 변인의 관계와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미디어 소외의 두려움과 중독의 관계에서 우울과 충동적 이용의 이중매개효과

        박영배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8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compulsive u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MO and addiction in digital media.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 2022 to June 30, 2021, targeting 712 Japa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n University. The multimediated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6 of Hayes (2018).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FOM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addic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effect of on-FOMO on addicti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MO and addi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impulsive use on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FOMO on addiction, it was found that impulsive us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OMO and addiction. Fourt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impulsive us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MO and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we found that there was possible to identify various mediating effects through which FOMO affects addiction through depression and impulsive use, respectively, and through both depression and impulsive use. This suggests that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are needed to alleviate and solve this problem.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미디어상에서 FOMO와 중독간의 관계에서 우울과 충독적 이용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대학교에 유학중인 일본학생 712명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1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Hayes (2018)의 PROCESS Macro model 6을 이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FOMO는 중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둘째, 온FOMO가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우울은 FOMO와 중독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셍의 FOMO가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충동적 이용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충동적 이용은 FOMO와 중독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FOMO와 중독의 관계에서 우울과 충동적 이용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FOMO가 우울과 충동적 이용 각각을 통해 그리고 우울과 충동적 이용 모두를 통해 중독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다양한 매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경감하고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라이브커머스의 효과과정에서 FoMO와 자기해석의 조절효과 : 과시적 소비를 중심으로

        김운한(Woon-Han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5 No.3

        본 연구는 라이브커머스에서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비자의 자기해석과 FoMO의 조절적 영향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MZ세대에 해당하는 일반인 124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독립적인 자기해석 집단에서보다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집단에서 더 큰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높은 준사회적 상호작용인 경우가 낮은 준사회적 상호작용인 경우보다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FoMO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광고태도 점수가 더 높았다. 넷째, 구매의도에 대해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소비자의 FoMO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FoMO가 낮은 집단인 경우가 FoMO가 높은 집단에서보다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따른 구매의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FoMO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과시적 소비성향이 큰 집단이 작은 집단보다 쇼핑중독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라이브커머스의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의 내적, 사회적 동기 요인을 포함하는 몇 가지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self-construals and FoMO on the effect of para-social interaction in live commerce. The results of an experimental study conducted on 124 MZ gener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ara-social interaction on advertising attitude showed a greater difference in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than in the independent one. Second, purchase intention was higher in high para-social interaction than in low para-social interaction. Third, the group with high para-social interaction scored higher than the group with low, and the group with high FoMO scored higher than the group with low advertising attitude. Fourth, for purchase intention, para-social interaction and consumers’ FoMO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the case of the low FoMO group, the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para-social interaction wa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high FoMO group. Fifth, in relation to shopping addiction, it was higher in high FoMO than in low FoMO, and in the group with large conspicuous consumption propensity than in the small group.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nternal factors of consumers should be considered to increase the advertising effects of live commerce.

      • THE EFFECT OF FEAR-OF-MISSING-OUT (FOMO) LADEN INFLUENCER MARKETING ON TRAVEL DESTINATION PROMOTION

        Daisy Lee,Tai Ming Wut,Calvin Wan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23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23 No.07

        Fear of missing out (FOMO) refers to the customer's perception of being anxious for not engaging in an experience. FOMO is an anxiety feeling posi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media usage that one cannot catch up on something important in life. Fear of missing out (FOMO) marketing appeals initiated from social media usage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consumer purchase decisions including choice of destination. Consumers usually browse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ing sites such as forums and reviews in online tourism agents (OTAs) when they make travel decisions. Although FOMO is expected to affect tourists' perception and urgency in making a tourism decision, the use of FOMO-laden message to promote travel destination through different types of influencers has not yet been widely studied. This study fills this research gap by examining the effect of using FOMO laden content to promote travel destination through different types of influencers.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in which different influencers share about a destination using the same FOMO-laden message: (1) travel KOL, (2) tourists who post user-generated-content (UGC), (3) personal friends, and (4) a control condition with the absence of influencer and FOMO message. The 984 respon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Data collected was analysed using PLS-SEM and PLS-MGA. Results indicated that anticipated elation, anticipated envy, and social influence predicted 30.2% variance of FOMO and FOMO explained 31.6% of variance of intention to visit the destination promoted. Multi-group analysis (PLS-MGA) found that exposure to message shared by travel KOL and personal friends significantly strengthen the FOMO feeling of participants resulting in strong intention to visit the destination promoted. UGC posted by tourists showed similar effect as the non-FOMO laden control group and are less significant in driving the FOMO feeling that leads to visit intention.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s into how effectiveness of destination promotion can be enhanced by using FOMO-laden message on social media through influential influencers.

      • KCI등재

        기본심리욕구 불만족과 우울의 관계

        이경진(Kyung-Jin LEE)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4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1 No.2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불만족과 우울 간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두려움(FoMO)이 매개하는지 이와 더불어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기본심리욕구 불만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절효과를 갖는지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기본심리욕구 불만족은 높은 수준의 FoMO를 거쳐 우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FoMO의매개효과가 지지되었다. 둘째, 기본심리욕구 불만족과 FoMO 간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기본심리욕구 불만족이 FoMO를 통해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적응적인상담개입방안 및 시사점을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Missing Out(FoMO)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dis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adjusted effectiveness model was tested to ensure that moderate unco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medium path produces an adjustment effect through the FoMO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dissatisfaction. Firs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dissatisfaction was predicted depression through FoMO, thus supporting the mediation effect of FoMO. Seco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link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dissatisfaction and FoMO.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significant in the path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dissatisfaction leads to depression through FoMO.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unseling intervention pla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암 환자의 FoMO(Fear of Missing Out) 개념분석

        김미애,이지원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2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attributes of FoMO,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ntervention of FoMO in cancer patients. In order to confirm conceptual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by applying the conceptual analysis method of Walker & Avant (2010), 82 previous studies published from 2004 to 2021 were analyzed. The conceptual attributes were relative deprivation, social exclusion, lack of sense of belonging, lack of interaction with others, negative emotions, and the antecedents were a sense of alienation when you miss the flow or when excluded from activities and the desire to connect with others. The consequences of this were increased emotional distress, triggering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nd decreased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e attributes of these FoMO were also confirmed in cancer patient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FoMO in cancer patients. 본 연구의 목적은 FoMO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고, 암 환자에서의 FoMO 개념을 통해 암 환자의 FoMO에 대한 중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Walker & Avant(2010)의 개념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개념속성, 선행요인, 결과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2004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한 국내외 선행연구 중 최종 82편을 분석하였다. 개념속성은 상대적 박탈감, 사회적 배제, 소속감의 결핍, 타인과 상호작용의 부재, 부정적인 감정이었으며, 선행요인은 흐름을 놓치거나 자신이 포함되지 않은 것에 대한 소외감, 타인과 지속적으로 연결되고 싶은 욕구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정신적 고통이 증가하고, 우울, 불안 등 부정 정서가 촉발되며, 삶의 만족감과 자존감이 저하된다. 암 환자에서도 이러한 FoMO의 속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암 환자의 FoMO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디지털 사회의 그림자: FoMO와 소셜미디어 피로도의 관계에서 온라인 상향 사회비교와 소셜미디어 스토킹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박현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4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41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특성-상태 FoMO, 온라인 상향 사회비교, 소셜미디어 스토킹, 소셜미디어 피로도 간의 관계에 대한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3년 3월 1일부터 2023년 3월 30일까지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4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피로도와관련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및 Hayes의 PROCESS macro 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특성-상태FoMO는 소셜미디어 피로도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온라인 상향 사회비교와 소셜미디어 스토킹은 이 두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매커니즘은 온라인 상향 사회비교와 소셜미디어 스토킹이 특성-상태 FoMO를 통해 결국 소셜미디어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기여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셜미디어 피로도에 대한 FoMO의 전체적 효과가 소셜미디어 이용자가 참여하는 활동과 이용을 촉진하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복합적인 상호작용은 다양한 소셜미디어 이용자들 간의 복잡한 관계성에 대한 다각도의 이해와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two types of Fear of Missing Out (Trait and State FoMO), online upward social comparison, social media stalking, and social media fatigue among 400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survey, conducted online from March 1 to March 30, 2023, using SPSS and Hayes’ PROCESS macro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rait-State FoMO directly influences social media fatigue. Additionally, online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media stalking were identified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ypes of FoMO and social media fatigu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both forms of FoMO contribute to social media fatigue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online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media stalking. Overall, the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a nuanced understanding and response to the complex dynamics among various social media users.

      • KCI등재

        FoMO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의 다면적 이해: 글로벌 대학생의 경직적-유연적 문화 차이를 중심으로

        박현지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9 No.1

        본 연구는 글로벌 대학생들의 문화적 차이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이 FoMO(Fear of Missing Out) 경험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와 함께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2023년 3월에 글로벌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온라인 설문조사 데이터를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각 변수 간의 상호작용과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소셜미디어 이용에 따른 FoMO 경험이 문화적 차이와는 상관없이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함에 있어 글로벌 대학생들 간의 국가별 문화적 차이성이 줄어들고, 동시에 문화적 동질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FoMO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의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나, 문화적 차이에 따른 영향력이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경직적 문화와 유연적 문화의 차이로 인해 자신이 사회에서 경험하는 규범의 명확성이 다르게 지각되어 소셜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행동 패턴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서양의 유연적 문화권의 대학생들은 소셜미디어의 이용강도가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이는 소셜미디어의 활발한 이용과 삶의 만족도 간 강력한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반면, 동양의 경직적 문화권의 대학생들은 집단과의 조화를 중요시하며, 타인과의 연결을 통한 사회적 유대감이 삶의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직적 문화와 유연적 문화 간의 차이가 FoMO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이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며, 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글로벌 대학생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경험하는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 문화 간 차이를 고려하여 새로운 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과 다양성 존중, 적응력 향상을 위한 지침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국제적인 교류와 문화 간 이해를 촉진하는 데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use of social media among global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d by cultural differences, affects the experience of FoMO (Fear of Missing Out) and life satisfaction. Additionally, it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social connectedness. Data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conducted in March 2023 with global university students is analyzed using SPSS and the Process macro to explore the interactions and mediating effects among variabl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gardless of cultural differences, the experience of FoMO due to social media use negatively impacts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study reveals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social connected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MO and life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cultural differences. Particularly, university students from Western cultures, characterized by looseness, show that the intensity of social media use significantly impacts life satisfaction, indicating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active social media eng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contrast, university students from Eastern cultures, characterized by tightness, prioritize harmony within groups, where social connectedness with others has a greater impact on life satisfa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diverse roles of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social connectedness across different cultural contexts, providing valuabl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promoting international exchange and cultural understanding.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매개효과

        한다정,김빛나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7 No.3

        Fear of missing out (FoMO) refers to the desire to stay continually connected with what others are doing because they are afraid of missing the flow or not being included. Although FoMO has been recently proposed as a widespread phenomenon within social media, there has been few empirical research by which mechanism FoMO leads to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ddic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oM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 total of 51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showed that FoMO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arental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as fully mediated by FoMO.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stable attachment might contribute to SNS addiction through FoMO, especially in case of peer attachment. Lastly,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은 흐름을 놓치거나 자신이 포함되지 않을 것이 두려워 남들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계속 확인하고 싶은 욕구를 의미하며, 특히 소셜미디어 분야에 널리 퍼져있는 현상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지금까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SNS 중독과 밀접한 변인으로 조명되어 왔으나, 어떤 경로를 거쳐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SNS 중독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청소년의 애착과 SNS 중독경향성 사이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총 517명의 중고등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관련 척도들이 포함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부모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 및 또래와 애착이 안정적이지 않다고 느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아지며, 또래애착의 경우 이러한 관계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설명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의 이론적, 실용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행동활성화체계가 청년기 밈 콘텐츠 사용 동기에 미치는 영향: 감각 추구와 고립 공포감의 이중 매개효과

        신해인,서경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6

        본 연구에서는 행동활성화체계(BAS), 감각 추구, 고립 공포감(FoMO) 및 청년기 밈(meme) 콘텐츠 사용 동기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행동활성화체계와 밈 콘텐츠 사용 동기 간의 관계에서 감각 추구와 고립 공포감의 이중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19세 이상 35세 미만의 남녀 성인들이었으며, 이중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4.2 모델6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행동활성화체계는 감각 추구, 고립 공포감 및 청년기 밈 콘텐츠 사용 동기와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감각 추구와 고립 공포감도 청년기 밈 콘텐츠 사용 동기와 정적 관계가 있었다. 청년의 감각 추구는 고립 공포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중 매개모형에서는 행동활성화체계와 밈 콘텐츠 사용 동기 간의 관계에서는 감각 추구와 고립 공포감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하지만 이 모형에서 BAS에서 FoMO로 가는 경로와 감각추구에서 밈 콘텐츠 사용 동기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젊은 성인들의 행동활성화체계가 밈 콘텐츠 사용 동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감각 추구는 고립 공포감을 통해서만 밈 콘텐츠 사용 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sensation seeking, fear of missing out (FoMO), and young adults’ motivation to use meme content. It examined the roles of sensation seeking and FoM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 and their motivation to use meme content. Participants were 233 male and female adults between the ages of 19 and 35 who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PROCESS Macro 4.2 Model 6 was used to analyze a double mediating effect. Results revealed that BA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nsation seeking, FoMO, and motivation to use meme contents in young adulthood. In contrast, sensation seeking and FoMO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ivation to use meme content. Additionally, young adults’ sensation seek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FoMO. In a double mediating model,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nsation seeking and FoMO on BAS and motivation to use meme contents was significant. However, in this model, a path from BAS to FoMO and from sensation seeking to motivation to use meme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young adults' BAS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tivation to use meme contents, and sensation seeking may only influence motivation to use meme contents through FoM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