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DA 수산보조금 논의 현황에 대한 검토

        이재민(Jaemin Lee) 대한국제법학회 2009 國際法學會論叢 Vol.54 No.3

        현재 도하 개발어젠다 협상 맥락에서 수산보조금 협상 역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수산보조금 협상은 고갈되는 세계 어족자원의 보호를 위해서는 각국 정부가 자국 수산업에 제공하는 다양한 보조금을 감축 또는 철폐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국제적 인식에 기초하여 현재의 WTO 보조금 협정에 수산 보조금 관련 부속서를 새로이 추가하는 것을 핵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수산보조금 문제는 각국의 국내 정치 및 사회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이를 둘러싼 각국의 입장 조율은 쉽지 않으며 각 영역에서 회원국간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대립을 타개하고자 2007년 11월 DDA 규범협상 의장은 그간의 수산보조금 협상 내용을 총정리하여 자신의 초안을 회원국에 제시하였고 나아가 2008년 12월에는 협상의 모멘텀을 살리기 위하여 의장은 “수산보조금 협상로드맵”을 다시 회원국에게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규범협상 의장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수산보조금 관련 제반 핵심 이슈에 관한 회원 국간 컨센서스는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안타깝게도 여전히 원점에서만 맴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아마도 의장초안과 로드맵 자체에 내재한 구조적인 문제점에 대한 회원국간 논의가 아직은 부족하였다는 사실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의장초안과 로드맵에 포함된 제안들은 수산보조금 관련 내용을 어떻게든 보조금 협정에 추가하여야 한다는 평면적, 일차원적 고려에만 기초하여 다양한 조항의 추가에만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기존의 보조금 협정 및 여타 WTO 부속협정과의 상관관계를 감안하여 새로이 추가되는 조항들을 기존의 체제와 어떻게 조화롭게 운용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유기적, 체계적인 검토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추후 수산보조금 협상이 의미있는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현재 의장 초안 및 로드맵에 내재하고 있는 이러한 구조적, 체계적인 문제점에 대한 회원국간 진지한 논의가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비 작업이 먼저 이루어진 이후에 세부적인 조항의 구체화 작업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수산보조금 의장초안과 로드맵에 내재한 이러한 구조적, 체계적 문제점들의 몇몇 사례를 지적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준비되었다. One of the main topics being discussed at the Doha Development Agenda (“DDA”) negotiations is the possible introduction of the new norms regarding fisheries subsidies. WTO Members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imminent depletion of the fisheries stocks on a global basis as a result of the fishing overcapacity caused by various subsidy programs of Members, so they decid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new norms to extensively regulate these subsidies. The plan is to introduce a new annex to the current Agreement on Subsidi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 (“ASCM”) in which detailed provisions will be provided for either to prohibit or penalize fisheries subsidy measures of Members. The negotiations for fisheries subsidies have not been easy as this is also one of the areas where many countries possess significant interests and face domestic opposition. In November 2007, summarizing all negotiations thus far, the Chairman of the Rules Negotiating Group of the WTO circulated his own draft for the fisheries subsidies annex as a part of the new ASCM. Although this draft provided a new momentum to continue the negotiation in the future, there seem to be quite a few problems and questions. Particularly, the chairman’s draft seems to contain structural problems, which need to be addressed sooner rather than later if the current fisheries subsidies negotiation is to achieve the desired goal. Some of the problems include: First, the proposed fisheries subsidies annex will have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basic framework of the ASCM, and the new norms in the fisheries subsidies should conform to or consistent with this existing framework. After all, what is to be introduced is an annex that should not depart from the main text of the ASCM. However, there are many instances where suggestions in the annex do not necessarily fit with the basic framework of the ASCM. Second, the proposed fisheries subsidies annex apparently loses sight of the real problem when it is put in actual operation. For instance, the proposed deadline or the mechanism to solve the disputes contained in the annex appear to be based on unrealistic optimism and do not fully account for the reality. These provisions need to be adjusted to reflect the actual situation more accurately. Third, the proposed fisheries subsidies annex also fail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CM (including the newly proposed annex) and other WTO covered agreements, most notably the Understanding on Rules and Procedures Governing the Settlement of Disputes (“DSU”). Many suggestions in the proposed fisheries subsidies annex require parallel changes of relevant provisions of the DSU (and maybe other agreements) as well. However, the fisheries subsidies negotiations have not addressed this problem yet. Nor have the DSU amendment negotiations so far. As such, these negotiations need to proceed in a more coordinated and systematic manner. The introduction of the fisheries subsidies will probably br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omestic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as well. If the introduction of the new annex is the consensus among the Members, it is time for us to evaluate our domestic fisheries assistance policy and initiate the amendment or introduction of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On the direction of fisheries subsidies programs in Korea under fortifying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fisheries subsidies

        이철,최상득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17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3 No.4

        We propose some countermeasures needed to cope with fortifying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fisheries subsidies. The government should rigorously select the recipients of fisheries subsidies to ensure that they are not engaged in ineffective projects by resorting to subsidies.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 individual applicant’s application for the subsidies easier by exempting them from the submission of a burdensome feasibility report. As for the strengthening regulatory international movements against the fisheries subsidies, we can consider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One is not to designate and provide prohibitive subsidies in such a way that violates international norms. The other one is to reform the domestic fisheries subsidies system in Korea with the following points considere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fisheries subsidies, which can be categorized as the actionable subsidies, should not be granted to the items that can be exported but to the items that can be used for domestic consumption or processing. In the case of non-actionable subsidies, the subsidies are mainly allowed for promotion of public-sector research and development, region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to new environmental regulations. Thus, the non-actionable subsidies should be designated in the consideration of the allowances for these activities.

      • KCI등재

        On the direction of fisheries subsidies programs in Korea under fortifying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fisheries subsidies

        ( Cheol Lee ),( Sang Duk Choi ) 한국어업기술학회 2017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3 No.4

        We propose some countermeasures needed to cope with fortifying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fisheries subsidies. The government should rigorously select the recipients of fisheries subsidies to ensure that they are not engaged in ineffective projects by resorting to subsidies.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 individual applicant’s application for the subsidies easier by exempting them from the submission of a burdensome feasibility report. As for the strengthening regulatory international movements against the fisheries subsidies, we can consider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One is not to designate and provide prohibitive subsidies in such a way that violates international norms. The other one is to reform the domestic fisheries subsidies system in Korea with the following points considere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fisheries subsidies, which can be categorized as the actionable subsidies, should not be granted to the items that can be exported but to the items that can be used for domestic consumption or processing. In the case of non-actionable subsidies, the subsidies are mainly allowed for promotion of public-sector research and development, region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to new environmental regulations. Thus, the non-actionable subsidies should be designated in the consideration of the allowances for these activities.

      • KCI등재

        On the direction of fisheries subsidies programs in Korea under fortifying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fisheries subsidies

        LEE, Cheol,CHOI, Sang Duk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 2017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3 No.4

        We propose some countermeasures needed to cope with fortifying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fisheries subsidies. The government should rigorously select the recipients of fisheries subsidies to ensure that they are not engaged in ineffective projects by resorting to subsidies.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 individual applicant's application for the subsidies easier by exempting them from the submission of a burdensome feasibility report. As for the strengthening regulatory international movements against the fisheries subsidies, we can consider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One is not to designate and provide prohibitive subsidies in such a way that violates international norms. The other one is to reform the domestic fisheries subsidies system in Korea with the following points considere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fisheries subsidies, which can be categorized as the actionable subsidies, should not be granted to the items that can be exported but to the items that can be used for domestic consumption or processing. In the case of non-actionable subsidies, the subsidies are mainly allowed for promotion of public-sector research and development, region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to new environmental regulations. Thus, the non-actionable subsidies should be designated in the consideration of the allowances for these activities.

      • KCI등재

        TPP 환경 분야 협상 동향- 수산보조금을 중심으로 -

        박원석,유예리 한국법제연구원 2014 법제연구 Vol.- No.46

        Even though the negotiation on fisheries subsidies started together with WTO DDA in 2001, the conflicting positions among WTO member has prevented them from finding a common ground until April 2014. In the meantime, since the draft TPP text in which five FFG countries under WTO DDA fishery subsidies negotiations have participated include the fishery subsidies in its Environment Chapter, it is important to analyse the scope and approaches for prohibited fishery subsidies and its adverse effect on Korea's future policy for fishery subsidies. Among the TPP participating countries are included four out of the 15 biggest fisheries-producing countries in the world, while the remaining countries also occupy the considerable part of world marine capture fisheries transactions. U.S.A. and some TPP negotiating countries have proposed the control of over-capacity and over-fishing as a means to prevent the distortion of international fisheries transactions and preserve the marine resources. However, Japan argued for the importance of resource management instead of priori prohibiting fishery subsidies with the support from Vietnam and Malaysia. Against these conflicting positions, Canada successfully proposed a compromising suggestion which proposed the limited prohibition of fishery subsidies which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over-fishing. On November 29 of 2013, Korean government set a policy for participating in the TPP Negotiation. As of now, Korea is in the midst of preliminary bilateral consultation in the formal process of expression of intent, preliminary bilateral consultation, declaration of participation, formal bilateral consultation, and approval from existing TPP negotiating countries. Since many FFG countries in the WTO DDA negotiation for the fishery subsidy agreement are also included in the TPP negotiation, Korea's participation in the TPP can invite and attract serious pressure to improve its fishery subsidies, especially the fuel subsidy. The draft TPP text contains the prohibited types of fishery subsidies, notification obligations for non-prohibited fishery subsidies, port state measures to eradicate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etc. This Paper first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fishery subsidy agreement under WTO DDA negotiation, because "catch all"-type wording in the Draft Chair Texts under WTO DDA is found in the draft TPP text. Second, this Paper analyses the scope and fundamental principles of prohibited fishery subsidies under TPP as well as the contents of non-prohibited fishery subsides, such as fuel subsidy which must be notified to the Environmental Committee and other contracting parties. Finally, it suggests Korea's possible negotiating strategies and future policy in this regard. 수산보조금에 관한 협상은 2001년 WTO DDA에서 이미 국제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하지만 2014년 현재까지도 국가들의 의견 대립으로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WTO DDA 협상에서 FFG에 속하는 5개 국가가 참여한 TPP 협상의 환경챕터에 수산보조금이 포함됨으로써 금지수산보조금에 대한 개념과 범위가 향후 우리나라 수산보조금 정책에 끼칠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TPP 참여 국가들 가운데 국제 해면어업상품 생산량 15위 안에 드는 국가가 4개국이나 포함되고, 다른 TPP 국가들도 해면어업상품 교역량에 있어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TPP 협상에서 미국과 일부 TPP 국가들은 국제교역의 왜곡을 방지하고 해양 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일환으로 과잉설비와 과잉어획을 규제할 TPP 규정을 제시해 왔다. 하지만 일본은 과잉어획을 막기 위해서는 보조금을 금지할 것이 아니라 자원관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베트남과 말레이시아가 일본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이에 캐나다가 "과잉어획과 명확히 연관되는 보조금만을 금지하는 제한적 금지를 제안함으로써 합의점을 찾을 수 있었다. 우리정부는 2013년 11월 29일 TPP 교섭에 참가한다는 방침을 정하였다. TPP협상의 참여 절차는 관심표명, 예비양자협의, 참여선언, 공식양자협의, 기존 참여국 승인의 절차를 거치는 만큼, 현재 우리나라는 예비양자협의 과정 중에 있다. WTO DDA 규범협상에서 수산보조금 관련 FFG 국가가 다수 포함되어 있는 TPP에서 수산보조금 논의는 면세유를 비롯한 우리나라 대부분의 수산보조금 정책에 대해 개선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TPP 협정(안)은 금지보조금의 유형과 비금지보조금의 통보의무, 불법어업 근절을 위한 노력 강제 규정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WTO DDA 규범협상에 포함된 수산보조금 협상에 대한 논의동향을 기본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의장초안에서의 금지보조금 관련 Catch All 조항과 유사한 내용이 TPP 협정(안)에서도 보여 지는 만큼 TPP 금지수산보조금 규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TPP 협정(안)의 금지수산보조금의 개념과 범위 이외에도 면세유와 같은 기타수산보조금의 통보의무 및 통보되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 향후 우리나라 수산보조금 정책 방향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WTO 수산보조금 협정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이현택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법학논고 Vol.- No.81

        Fisheries subsidies which lead to overfishing and overcapacity are one of the main causes for depletion of fisheries resources of the world. However, WTO Agreement on Subsidies and Countervailing Duties that regulate trade- distorting subsidies was not designed to adequately address the particular problem that fisheries subsidies create, which is depletion of exhaustible resources shared by all countries. Therefore, the WTO members have discussed the ways to regulate fishery subsidies as a part of the Doha Development Agenda. WTO Agreemen on Fisheries Subsidies (AFS) adopted in June, 2022 at the WTO Twelfth Ministerial Conference is the culmination of such discussions and the efforts by the WTO members. Prohibition of subsidies contributing to 'IUU Fishing' and subsidies regarding 'overfished stocks' form the core of the regulation under the AFS. However, WTO members failed to agree on, and had to exclude the prohibited subsidies contributing to overfishing and overcapacity from the final text, which makes the AFS falling short of a 'comprehensive' regulation of fisheries subsidies. Further weak and limited linkages with relevan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FAO is regrettable, considering the evident importance of active collaboration with such organizations to effectively address this issue. Despite such shortcomings (which should be addressed in the discussions down the road), the AFS is a monumental achievement of WTO, being the first WTO Agreement ever with the main goal of prom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WTO 수산보조금협정에 관한 소고

        배연재(Yeonjae Bae) 국제법평론회 2024 국제법평론 Vol.- No.67

        Negotiations on the norms regulating fisheries subsidies were launched within the WTO framework as part of the Doha Development Agenda in 2001, and have been ongoing for over 20 years. The Agreement on Fisheries Subsidies was finalized at the 12th Ministerial Conference in June 2022. The Agreement is a significant outcome of more than two decades of negotiations on fisheries subsidies. It is the first multilateral agreement to recognize that certain trade policies, such as subsidies, can have harmful impacts on the world’s marine environment, and to address the environmental issue of marine sustainability in the WTO framework by building a harmonized and interrelated relationship among trade,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his is significant because multilateral norms on subsidies are not limited to marine resource sustainability. The WTO Members are currently exploring the appropriate role and function of subsidies in the design of policies to effectively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domestic industries, especially as they face the challenge of combating climate change. This is because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using subsidie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WTO Subsidies Agreement and be subject to countervailing measures, whereas fuel subsidies that are harmful to the environment may not be regulated as they do not meet the specificity requiremen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greement shows that it is possible for the Members to agree on trade norm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response to the negative spillover effects of subsidies. However, the Agreement is limited by its incomplete form, which had to leave out norms relating to subsidies that contribute to overcapacity and overfishing, and special treatment for developing countries. In addition, the Agreement will be ineffective unless comprehensive norms on fisheries subsidies are agreed upon within four years of its entry into force, unless otherwise agreed upon by the Members. However, given that the current Agreement covers significant portion of dangerous situations in which subsidies can harm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at negotiations are currently underway to seek a comprehensive norm, it is possible that a comprehensive agreement could emerge that would encompass the outcomes of more than two decades of fisheries subsidy negotiations.

      • KCI등재

        WTO 水產補助金 協商動向과 韓國 水產補助金 制度改善 方案

        박민규(Min-Gyu Park) 대한국제법학회 2005 國際法學會論叢 Vol.50 No.2

        지속가능한 개발은 ‘미래 세대의 필요에 따른 능력에 대한 타협 없이 현재의 필요에 따른 개발’을 말한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천연자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환경의 능력을 초과하는 사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지구상의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중점을 둔다.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는 개인으로부터 국가, 국제기구에 이르기까지 행위, 정책, 관행의 변화가 필요하다. 수산보조금 보조금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일본, 대만을 제외한 거의 모든 나라가 보조금은 나쁘다는 전제를 가지고 논의를 하고 있다. 2004년 11월 6개국 제안서와 수산보조금에 대한 연구논문은 예외 없이 세계 수산자원의 75%가 남획 또는 고갈되었다는 FAO의 수산자원동향에 관한 보고서를 인용하고 있다. 수산보조금에 대한 이러한 국제적인 동향은 수산보조금이 이러한 자원고갈의 유일한 원인처럼 취급하여 수산보조금을 희생양으로 취급하려는 경향마저 있는 것 같다. 수산자원의 고갈에 관한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생각해 보면 수산자원 고갈의 가장 큰 원인은 세계 인구증가와 소득증대로 인하 수산물의 소비증가에 기인한 어획량의 증가이다. 그리고 기후변화와 환경파괴도 수산자원고갈의 중요한 원인이다. 물론 어획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자원관리가 적절하게 되면 자원고갈을 방지할 수 있다. 수산보조금이 수산자원 고갈에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는 것은 아니겠지만 WTO 및 다른 국제 수산 기구에서 논의되고 있는 만큼 중요한 요소는 아니라는 점이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현재의 이용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계속 이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현재의 개발과 이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협상에서 현재의 필요에 따른 이용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 할 것이다. 향후 우리정부가 수산보조금 협상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WTO/DDA 협상은 중반을 넘어서고 있는 시점에서 협상목표를 명확히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을 정부는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내 제도개선을 서둘러야 한다. EC와 미국 등은 CTE에서 보조금이 논의되기 시작한 1990년 후반부터 국제 제도를 개선해 왔다. EC의 경우 공동어업정책을 마련하여 보조금액을 계속해서 줄이고 있으며 특히 금지보조금으로 분류될 수 있는 보조금은 한시적으로 지급하고 있다. 그리고 보조금은 직업 재교육 관련 예산, 안전ㆍ위생을 위한 예산 등을 중심으로 재편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면세유 제도를 개편하여 기존의 세법에 규정하고 있던 사항을 도로관련 법령에 규정하였다. 즉 휘발유등에 부과되는 세금을 목적세로 전환하여 특별기금에 편입하였고 기금은 도로의 건설ㆍ유지ㆍ보수 등 특별한 목적에만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때 어선ㆍ항공기는 도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류에 부과되는 목적세를 면제하도록 법에 규정하고 있다. 미국은 이러한 제도개선을 마치고 OECD에 보조금을 통보할 때 면세유를 수산보조금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우리의 수산 제도를 개정 내지 개선함에 있어서 유의를 해야 할 것은 우리나라 연근해의 수산자원이 고갈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정부에서 여러 대책을 실행하고 있지만 어획량과 수산자원을 계속 줄고 있다. 국내의 여러 이해관계 때문에 개선이 되지 않았던 부분은 DDA 협상이라는 외부의 힘에 의하여 제도 개선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수산업법을 포함한 현재의 많은 수산자원 관련 제도는 일제 강점기와 6-70대의 개발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이러한 제도는 자원을 이용(exploitation)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보존이나 지속적 이용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는 미흡하다. 따라서 우리의 후손들도 수산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the fisheries subsidies issues and its history in the GATT and WTO. The WTO SCM Agreement has been concerned with distortions in world trade that act adversely against national trading partners. However, WTO/DDA fishery subsidies negotiation have been more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rather than trade concerns. This is because most of the support for applying trade-law disciplines to the fisheries trade comes from resource conservationists, not trade diplomats. Submissions from 「Friends of Fish」 group are heavily influenced from those conservationists and biased since they think fishery subsidies are a significant or main part of the world fishery related problem. They insist that trade ministers in Doha, Qatar, in November 2001, included fishery subsidies on the WTO negotiating agenda to respond the need for urgent action to confront an unprecedented crisis of depletion facing the world's fisheries. However they ask the WTO to overstep the bounds of its trade-related mandate. The primary and direct concern of trade disciplines of the WTO is to eliminate distortions in trade law not to preserve resources. Much of the motivation to reduce subsidization comes from resource and environment factions may suggest that the problem be addressed directly in fisheries management and other non-trade fora. Subsidies in and of themselves are value-free. Whether they are good or bad must be determined in the context of circumstances,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goals which the government is attempting to implement. A program that stimulated the building of new vessels twenty years ago might be out of date, but on the other hand might be seen as helpful if its focus were converted to stimulating the acquisition of new safety equipment, or gear that reduces bycatch. It must be emphasized that subsidies are not necessarily "evil." Some subsidies can serve a useful social purpose, such as subsidies for furthering the preeminent social goal of improving human safety: while others may contribute only marginally or even detract from the stated or implied social goal. In the last chapter this paper identifies some of the principal issues Korea will have to consider to lead successful results on fisheries subsidies negotiation. Korea should not dismiss the possibility of conscripting trade law into the fisheries campaign. And it is true that certain subsidies are in clear violation of the trade laws and we are over-harvesting the living marine resources. Korea should act before conclusion of DDA to help foster a larger, more valuable catch in the long-term, and protect the environment.

      • KCI등재

        WTO에서의 수산보조금 논의동향과 대응전망

        權賢淏(Hyun Ho Kwon) 대한국제법학회 2004 國際法學會論叢 Vol.49 No.2

        현재 세계무역기구(WTO)는 ‘도하개발의제’(DDA)의 각 분야별 협상을 진행 중이다. 특히 동 협상은 규범분야에서 수산보조금에 대한 WTO규범을 명확히 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협상을 포함하고 있다. 수산보조금에 대한 논의는 WTO에서의 협상 이전에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UN식량농업기구(FAO) 및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등 다양한 국제기구와 지역기구에서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WTO를 제외한 국제기구 및 지역기구에서의 수산보조금 논의결과는 국가들의 수산보조금 부여행위를 규제하거나 통제할 구속력 있는 합의나 결정이 아니며, 국가들을 구속하는 강제력 있는 규범체제를 설정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다자간 무역체제에서 WTO는 강제적 규범에 기초하여 운영된다는 점에서 수산보조금 논의의 중요성을 갖는다. WTO에서 이루어지는 수산보조금에 대한 논의는 향후 WTO규범으로서 국가들의 권리와 의무를 규율하게 될 중요한 통기를 제공한 다. WTO에서의 이번 협상은 그 결과에 따라 국가가 향후 부담해야 하는 ‘규범’을 만들어 가는 중요한 과정이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DDA협상의 일환으로 규범협상그룹에서 진행 중인 WTO의 수산보조금 논의를 검토하고, 이에 따른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WTO규범에서 인정되는 보조금 규범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문제가 되는 수산보조금의 성격과 규율방안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WTO에서 이루어지는 수산보조금 논의를 주요 국가들의 제안서를 통해 분석한다. 지금까지 미국과, 뉴질랜드 등 소위 Fish Friends Group은 수산보조금의 철폐 내지 축소를 주장하며, 수산보조금의 특성 및 경제적 구조상 동 보조금을 특별한 보조금으로서 별도로 다루어야 한다는, 소위 ‘부문별접근법’(sectoral approach)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와 일본 등은 기존의 WTO 보조금협정으로도 수산보조금 문제를 충분히 다룰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분야의 보조금과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는 ‘일반적 접근법’(general approach)을 주장한다. 이러한 국가들의 주장은 자국의 보조금 체계나 관련 업계의 이익 등을 고려한 결정이다. 현재까지 WTO 회원국들은 수산보조금의 규제방법에 대하여 가시적인 논의의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가들의 움직임은 수산보조금에 대한 규제에 Fish Friends Group의 입장이 점차 반영되는 듯한 변화가 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WTO에서의 논의는 규범적 측면에서의 접근으로 협상결과에 따라 WTO 회원국이 새로운 규범체제에 종속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 협상과정에서의 국가들의 논의는 자국의 이익을 대표할 수밖에 없는 정치적 협상과정이자 동시에 규범형성 의 과정이다. 이제 WTO 수산보조금 규제논의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은 보다 국익을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대응방법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향후의 협상과제는 수산보조금의 접근방식에 대한 협상이 아닌 구체적인 수산보조금의 분류 문제에 맞추어 국내 수산보조금의 분류문제를 준비하는 과정 등 내부적인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까지 보조금 지급을 통한 국내 수산업의 경쟁력 유지 관행이 외부적인 환경변화의 충격을 흡수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부적인 구조조정도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부 관계부처와 업계, 학계 및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며 향후 협상과정에서 국가 이익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This article is focused on international regulation of fishery subsidies in the WTO rules negotiations, one of the WTO DDA (Doha Development Agenda) negotiations. In fact, reduction or abolition of fishery subsidies has been already discussed in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OECD, the FAO and so on. However, the on-going discussions in the WTO have a big difference in that reduction or abolition of fishery subsidies is related with trade. Until now, WTO Members from the Fish Friends Group such as the USA and New Zealand have proposed reduction or abolition of fishery subsidies and the so-called 'sectoral approach,' which means fishery subsidies must be treated as special subsidies. On the other hand, Korea and Japan have claimed the so-called 'general approach' which means fishery subsidies must be treated also like other subsidies under the WTO Agreement on Subsidi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 Thus, there has been no tangible accomplishment on the issue of fishery subsidies yet. However, these days, there is a trend of change reflecting the proposal of the Fish Friends Group,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refore, the government of Korea must endeavor to find a way to maximize national interest in the WTO rules negotiations on fishery subsidies. In addition to the issue of approach to fishery subsidies (sectoral or general approach), there must be domestic preparations, especially classification of domestic fishery subsidies. Moreover, restructuring or adjustment programs must be devised and introduced in order to buffer and reduce the impact of liberalization, consequently leading to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in Korean fishery.

      • 세계무역기구(WTO) 수산보조금 협정의 발효와 국내적 이행에 관한 소고

        민영훈(Young-Hun Min),주종광(Jong-Kwang Joo),문정환(JungHwan Moon) 한국해양교통학회 2022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ritime Transpor Vol.1 No.1

        수산보조금을 국제통상협정을 통해 금지해야한다는 논의가 21여년의 협상 끝에 수산보보조금 협정으로 마련되었다. 수산보조금 협정 상 금지되는 보조금은 불법어업과 남획된 어종에 대한 어획물에 대한 보조금인데, 불법어업에 대한 판정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기국에 대한 역할 뿐만 아니라 부족한집행력을 보완할 수 있도록 협정에 항만국에 대한 확장된 조치 또는 협력 조항 등을 추가하는 등 항만국에서 실효성있는 조치가 가능하도록 검토 및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금지되는 WTO 수산보조금에 관한 구체적인 범위가 협정상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보조금 정책과 방향이 WTO 수산보조금의 금지 범위에 적극적으로 반영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불구하고 WTO 수산보조금 협정과 우리나라의 원양산업발전법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국내법의 적극적인 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향후 WTO 분쟁해결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2차적 피해를해소하고 IUU어업국이라는 부정적인 국가 이미지를 탈피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last June, the WTO MC 12 has made the millstone where the MC 12 adopted the WTO Agreement on Fisheries Subsidies for prohibiting subsidies on overcapacity fisheries, and overfishing, and eliminating subsidies on IUU fishing. It still remains “instrument of acceptance” of the protocol of the Agreement on fisheries Subsidies, but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and the WTO secretariat are calling WTO members to deposit their instruments of acceptance. For its operation, two-thirds of WTO members need to deposit them at the WTO. Korea is one of the major fishing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Norway and others and so enforcement of this agreement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Korean fishing industry, especially distant shipping. On the basis of the Distant Water fisheries Development Act of Korea, the Korean government is supporting its distant shipping industry in terms of policy support, subsidies, consulting and others. The WTO subsidies agreement has not specified and detailed which fisheries subsidies of the agreement will include governmental support as the prohibited subsidies. In this lin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be able to implicate the Korean policy to the agreement in terms of extent of the Korean subsi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