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군정기 자치적 소방제도의 도입과 역할

        김상욱 한국행정사학회 2020 韓國行政史學誌 Vol.48 No.-

        When korea was liberated in 1945, military rule by the U.S. military was implemented until 1948. The implementat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served as a transitional stepping stone to the new Republic of Korea from Japanese colonial era. Thus, the fire-fighting system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has also become connection to the next period. Along with the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ization, fire outbreaks sharply increased in the large cities including Seoul and Busan. As the U.S. Military Government considered that the existing fire-fighting system was outdated and inefficient to deal with frequent fire outbreaks, it started a full-fledged reform of the existing fire-fighting system.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government organization, fire-fighting service was transferred to th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Local fire-fighting committees were organized under province governors. Also fire-fighting offices as executive bodies were established nationwide. About 50 extra fire-fighting services were established nationwide although there were only 8 during the Japanese Colonialization Period. As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tended to graft American-style self-governing fire-fighting system into Korean system, fire-fighting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and fire-fighting services were enlarged eve to small districts. As most of the Japanese influential men who had been officials of fire-fighting services returned home after the 1945 Liberation, the leadership of fire-fighting services was vacant. Therefore, ex-police officials or common people who was related with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were appointed as new fire-fighting officers and executives. For those who did not have sense of duty conformed to reduction of fire-fighting organizations. Despite of those problems, introduction of fire-fighting committees, establishment of fire-fighting offices and enlargement of fire-fighting stations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were developmental efforts of the civil engineering department that was in charge of fire-fighting service. Introduction of the self-governing and autonomous system became a basis for the present establishment of fire-fighting offices and self-governing fire-fighting system. 1945년 해방이 되면서 1948년까지 미군에 의한 군정이 실시되었다. 미군정의 실시는 일제강점기에 신생 대한민국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징검다리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에 마련된 소방제도 또한 어떤 형태로든 다음 시기로 연결되거나 영향을 미치는 단초가 되었다. 해방과 함께 서울・부산 등 대도시에는 화재가 급증하였다. 다발하는 화재를 대처하기 위하여 미군정기간 동안 소방활동 및 소방제도는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일제강점기부터 시행된 소방제도가 비효율적이라고 여겼던 미군정은 소방체제의 전면적인 개혁에 착수하였다. 정부기구 개편에서 소방업무를 토목부에 이관하고 중앙과 지방에 소방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소방청도 만들어지면서 전국에 걸쳐 50여개의 소방서가 증설되었다. 이것은 미국식의 자치소방을 한국에 접목하려는 미군정의 의도였다. 신설된 소방서 간부들은 일제강점기 경찰 간부나 미군정과 친교가 있는 우익인물들이 취임하였다. 소방에 대한 사명감이 부족한 이들은 정부의 조직개편에서 소방기구 축소에 순응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미군정기에 추진된 소방위원회 도입 소방청의 설립, 소방서의 증가 등은 매우 긍정적인 시도였다. 이러한 자치적인 소방제도의 도입은 오늘날 소방청의 설립과 자치소방 정착의 토양이 되었다.

      • KCI등재

        일제시기 광주지역의 화재발생과 광주소방조의 官制的 소방활동

        김상욱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59

        소방조는 개항 이후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이다. 광주소방조는 1907년에 ‘사설의용소방대’로 결성되었는데 일본인들의 점포화재에 대비할 목 적이었다. 광주 중심지인 본정통에서 발생한 화재는 빠른 연소와 거센 화염 으로 인하여 주변으로 연소되었다.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화재는 조선 상인 들이 많은 본정 4·5정목(수기옥정) 점포에서도 화재가 다발하였다. 1911년 10월 서문통에서 화재가 다발하자 재향군인회는 ‘광주공설소방조’ 를 결성하였다. 광주소방조의 활동은 일본인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 한국인 점포에 화재가 빈발하면서 한국인 소방수가 가입되었다. 1933년 ‘광주소방조 규약’이 제정되면서 소방조의 활동은 규약에 근거하여 운영되었다. 광주소방조는 여타 소방조에서 두었던 ‘부장’ 대신 실무적인 계 장을 두었다. 이는 경찰서장의 권한을 집중하여 소방조를 통제하기 위함이었 다. 그러나 지역 자산가들이 소방조에 참여하지 못하면서 소방장비 확충에 기부금 후원을 이끌어 내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경찰서장의 소방조 통제는 3·1만세운동, 소작쟁의, 광주학생운동 등 경찰 보조 활동에 소방조의 동원을 용이하게 하였다. 광주소방조 간부들은 항일시 위 진압과 시가지 경비에 동원된 댓가로 퇴직금, 출동금, 포상에서 우대를 받 았다. 이것은 광주소방조의 官制的 성격을 반영한 것이다. A fire-fighting service was organized to control fire after the opening of ports. The Gwangju Fire-Fighting Service was organized in 1907 as a private volunteer fire-fighting team in order to be prepared against fires at shops of Japanese people. Fires which broke out in Bonjeongtong, the center of Gwangju, spread over neighboring districts due to fast burning and violent flames. In 1930s, fires frequently broke out even at shops of District 4 and District 5(Soogiokjeong) where many Korean merchants did their business. On October, 1911, as a number of fires broke out in Seomunreung, the Gwangju Veteran's Association organized the Gwangju Public Fire-Fighting Service. Its activities were dominated by Japanese people. However, Korean fire fighters were admitted to the fire-fighting service as fires broke out frequently in shops run by Korean people. As the Gwangju Fire-Fighting Articles were enacted in 1933, its activities were based on them. For the Gwangju Fire-Fighting Service, chief clerks took the lead of each duty and systems instead of department chiefs, which was designed to give the police station chief more power to control the fire-fighting service. However, fund-raising to purchase fire-fighting equipment was not active as local businessmen were not allowed to join the fire-fighting service. As the police station chief had strong power to control the fire-fighting service, it was easy to mobilize the fire-fighting service against anti-Japanese activities including as the March 1 Movement, tenancy disputes and the G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Executives of the service received retirement allowances, mobilization allowances and rewards as they were mobilized for suppression of anti-Japanese activities and watchout of towns. It indicates that the Gwangju Fire-Fighting Service was based on a government or official system.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을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윤혜선 ( Hye-sun Yoon ),윤현서 ( Hyunseo Yoon ) 한국무용과학회 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 대상 해피아트테라피(Happy Arts Therapy: 이하 H.A.T.)프로그램의 적용 사례를 통해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을 위한 통합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2018년 8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서울소방재난본부 소속 소방학교와 소방서·119안전센터에서 787명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총 88회 시행된 H.A.T.프로그램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원들을 활용하여 상세하고 심층적으로 보고하는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H.A.T. 프로그램의 구성과정’과 ‘프로그램 참여경험의 의미’ 및 ‘평가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소방공무원 대상 H.A.T.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은 윤혜선(2009)이 개발한 H.A.T.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를 기반으로 소방공무원의 특성을 반영하여 ‘긍정적 대인관계’, ‘스트레스 해소’, ‘자기이해’, ‘심리적 회복탄력성 증진’을 프로그램 내용 구성의 주안점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소방공무원 대상 H.A.T.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운영과정에 참여한 구성원들은 상호 협력 관계를 통해 역할분담과 환경구축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협의하여 운영 체계를 구성하였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H.A.T.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를 범주화하여 분석한 결과, ‘동료 간의 소통 및 유대감 경험’, ‘심리적·신체적 회복의 경험’, ‘자기 이해의 경험’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에서 H.A.T. 프로그램의 평가는 참여 기관 자체 평가자료와 언론보도, 참여자 평가와 운영 구성원의 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평가사항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소방기관의 긍정적인 평가를 확인하였고, 차후 프로그램 운영과정의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을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 및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application plans for integrated art healing program to prevent mental health problems in fire-fighting officers through the application cases of the Happy Arts Therapy(Hereinafter referred to as H.A.T.) program for fire-fighting officers in this study.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process of the H.A.T. program’, ‘meaning of program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evaluation cont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study the H.A.T. program implemented a total of 88 times through a case study method that uses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787 fire-fighting officers at a fire school, fire station, and 119 Safety Center belonging to the Seoul Fire and Disaster Headquarter from Aug. 2018 to Feb. 20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H.A.T. program for fire-fighting officers was mainly drawn a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lieve stress’, ‘self-understanding’, and ‘promote psychological resilien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fire-fighting officers based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H.A.T. program developed by Hye-Sun Yoon(2009). In addition,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ng process continuously consulted in the process of division of roles and environmental construction through mutual cooper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atic operation system for the H.A.T. program for fire-fighting officers. Second, it could be classified into ‘communication and bonding experience between colleagues’, ‘psychological and physical recovery experience’, and ‘self-understanding experience’ as a result of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experience in the H.A.T. program of fire-fighting officers. Third, the evaluation of the H.A.T. program was analyzed focusing on proprietary evaluation data of participating agencies, media reports, participant evaluations, and evaluation data from the operation members in this study. A positive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by the fire institution and a plan to improve the program operation process in the future was explor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seeking effective application of art healing programs and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the mental health of fire-fighting officer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 반응특성 연구

        김미현,이근매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4 임상미술심리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PITR 그림의 반응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미 술치료 투사적 검사 사용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에 소재하는 소방서의 소방공무원 중 267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PITR 그림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으로 설문지를 신뢰 도 분석 하고 변수들 간의 관련성 정도를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소 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PITR 그림 검사의 반응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에 따른 PITR 그림 검사에서 스트레 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반응특성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일반적 특성과 PITR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은 유의미 하지 않았다. 셋째,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PITR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은 소방조직 내 역할관계를 제외한 소방직무특 성, 소방조직 내 동료관계, 소방조직 내 경력개발, 소방조직 내 문화요인, 소방조직 내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PITR 그림 검사가 소방공 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고 변별하는데 유용성을 입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sponses characteristics of the PITR(Person In The Rain). by the job stress of fire-fighting officers and to provide the material for the use of the projective drawing test. The objects of the research were 267 fire-fighting officers who work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by the degree of job stres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basic form-43) and PITR were used as the research tools. SPSS Windows 18.0 was used for analyzing the reliability to make sure stability, consistency and objectivity of the collected date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rection and relevance between the variables. To figure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to see the differences in the PITR response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stress of fire-fighting officers, t-test, One-way ANOVA were enforc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stress group and low-stress group in the PITR response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job stres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ire-fighting officers with the PITR responses characteristic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evances between the fire-fighting Officers’job stress and the PITR responses characteristics in the duty special quality, the colleagueship career development, culture factors and the factors of job stress in fire station. All the result suggest that PITR test is valuable to measure and distinguish the stress of fire-fighting officers and it could be used as a baseline date of the projective drawing test.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가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안치순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3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들의 PTSD가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PTSD와 신체 및 정신 건강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근본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PTSD에 대한 이론 및 선행연구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바 탕으로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들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강원소방본부 산하 16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수된 설문지에 대한 편집과정을 거쳐 유효 설문지 총162부를 SPSS Win 22.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소방공무원의 PTSD는 그들의 신체 및 정신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방공무원에 대한 사회적 지지 는 PTSD가 신체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일정부분 완화하고 조절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함의는 첫째,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 트레스를 완화하고 회복시켜 줄 수 있는 조직 및 제도적 장치, 예컨대 위기상황 스트레스 관리팀의 설치 및 운영, 전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등이 필요하고, 둘째, 소방공무 원의 PTSD가 신체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망에 대한 관심과 활성화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fighting officers’ PTSD and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especi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e purpos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all the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which was distributed to 200 fire-fighting officers working at 16 fire stations in a Kangwon-do. And a total of 162 usable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ver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fire-fighting officers’ PTSD had a serious effect on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Second, it showed that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fire-fighting officers’ PTSD and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is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there's a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to prevent or palliate the fire-fighting officers’ PTSD, for example the establishment of a 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team,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etc. Secondly, there’s an urgent need for the activation of social support networks to buffer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fire-fighting officers’ PTSD on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 스트레스 치유에 관한 경험 연구

        김종선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 depth the experiences regarding the healing of stress that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the job performance of fire fighting officers. For this, by having seven incumbent fire fighting officers a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had been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experiences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Colaizzi, the 17 topic bundles, 5 subcategories, and 3 categories were derived.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ly, it appeared that the stress resulting from the job performance in the diverse processes of solving the petitions experienced as the obsessive anxiety, feeling of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 etc. Secondly, it had appeared that fire fighting officers show the strong feeling of pride and sense of calling regarding the job performance, but their dread regarding the life after the retirement was high. Thirdly, it appeared that such stress were offset and healed through the positive experiences, including the professional vocation, companionship and support by the family, etc. Because the high job stress gets developed into the continuous and complex physical problems and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t shows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the healing with only the professional calling, companionship and support by the family. As such, for the healing of stress that takes place in the job performance by fire fighting officers and not just fo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s that are related with the job, but for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this research arrived at the point of the suggestion that the operations of the complex and systematized supporting programs, including the strengthening of vocation and companionship, emotional support by the family etc., must be carried out.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이 직무수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치유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7명의 현직 소방공무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개별적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의 경험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17개의 주제묶음과 5개의 하위범주와 3개의 범주화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양한 민원해결 과정에서 직무수행에 따른 스트레스가 강박적 불안, 우울감, 수면장애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수행에 대해 강한 자부심과 소명감을 보이지만 퇴직 이후 삶에 대해 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스트레스는 직업적 소명의식과 동료애, 가족의 지지 등의 긍정적 경험으로 상쇄되고 치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높은 직무 스트레스는 지속적이고 복합적인 신체적 문제와 정서적·심리적 문제들로 발전되어 직업적 소명이나 동료애, 가족 지지 만으로는 치유에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 치유를 위해 직무 환경개선 뿐만이 아니라 심리·정서 지원과 직업소명의식과 동료애 강화, 가족의 정서적 지원을 위해 복합적이고 체계화된 지원프로그램 운영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경력탄력성의 관계: 직무효능감의 매개효과

        한혜경,김갑숙 한국화재소방학회 2019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the job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career resilience of fire fighting offic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1 Jeju Island local fire fightingofficers.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job stress scale, career resilience scale and job effica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job stress and the career resilience and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job efficacy,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correlation between the job efficacy and the career resilience. Second, the job efficacy of fire fighting officers was foundto have a perfect mediation effect on the job stress and the career resili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job efficiencyas a mediator to cope with job stress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improving the career resilience of fire fightingofficers. Finally,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 ar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경력탄력성의 관계에서 직무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한 4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151명이며, 연구도구는 직무스트레스(SPSS) 척도, 경력탄력성 척도, 직무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경력탄력성, 직무효능감과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직무효능감과 경력탄력성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직무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경력탄력성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매개자원인직무효능감은 소방공무원의 경력탄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1876 - 1920년 서울지역의 화재발생과 경성소방조의 활동

        김상옥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2 서울학연구 Vol.- No.89

        본고는 개항 이후부터 1920년까지 서울지역 화재발생과 경성소방조의 소방활 동을 살펴보는 것으로 한다. ‘소방조’는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인천·부산·군 산 등 개항장에서 활동한 화재를 진압하는 조직이었다. 경성소방조는 1889년대 남산부근에 거주한 일본인들에 의하여 결성되었다. 소방조를 이끌었던 간부들은 초창기 본정통에서 장사를 하던 상인들이었다. 경성소방조원들은 화재진압 및 야간에는 순찰활동을 하면서 서울지역의 일본인들의 안전을 지키는 경찰보조 역 할도 담당하였다. 청일전쟁 이후 일본인들이 서울의 남쪽과 용산지역을 장악하면서 이곳은 서 울의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화재가 다발하면서 소실액도 증가하였다. 경성소방 조는 일본인 거주지역에 출동하여 화재를 진압하였다. 일본상인들이 영업하는 남대문통은 물론 군부대가 있는 용산지역까지 진출하면서 경성소방조는 서울 대 부분의 화재에 출동하였다. 경성소방조는 서울지역의 화재가 다발해지면서 상비소방대를 설치하였다. 상 비소방대는 일본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남대문, 용산 소방조에 설치되었다. 상비 대는 최신 자동차 펌프를 보유하였는데 소방활동은 일본인 위주로 활동하였다. 소방수에 대한 훈련도 실시하여 봄·가을 화재진압훈련에 치중하였다. 아울러서 화재예방활동 및 소방강습도 실시하였다. 경성소방서는 소방펌프자동차 및 소방 호스 그리고 소방장비를 확충하여 훈련하였다. 경성소방조는 경찰보조 역할도 하였는데. 초창기 일본인에 대한 적개심이 강한 한국인들로부터 일본인들을 보호하였다. 야간에는 거주지를 순찰하기도 하였 다. 경성소방조의 이러한 순찰활동은 용산에 일본인 군부대가 설치되고 통치권 이 확립될때까지 지속되었다. 경성소방조의 활동은 1925년 개서돤 경성소방서의 바탕이 되었다. 1933년 소방조가 폐지되어 경성소방서에 흡수될 때까지 경성소 방조는 서울지역 화재대응의 대부분을 담당하였다.

      • KCI등재후보

        재난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강민완 ( Min-wan Kang ),김형석 ( Hyeong-seok Kim )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16 한국융합과학회지 Vol.5 No.1

        Purpose: As fire fighting officers`` disaster response situations are riddled with extreme anxiety and danger, rapid behavior responses and exact judgment have a vast effect on the individual``s outcome related to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and disaster response. However, if there is a problem in the organization``s culture in terms of communication, which is based on the behavior and the judgment of the member of the organization, this could pose a negative effect on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and in the long term cause the member to leave the organization. Methods: As such,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ol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effects the individual``s disaster maintenance competenc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a fire fighting officer``s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 resul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shor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isaster maintenance competence, is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ire fighting officers. Seco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Thir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 fire fighting officer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As such,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emphasized. In addi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of the fire fighting officers, it was proposed that an appropriate evaluation system and reward system by instituted. In the same light, it was proposed that training programs to strengthen competence in communication be instituted.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공상관리제도에 대한 실증연구

        권설아(Seol A Kwon),오명근(Myeong Keun Oh),이주호(Ju Ho Lee),이민규(Min-Kyu Lee),박상호(Sang Ho Park),현승효(Seung Hyo Hyeon),류상일(Sang Il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3

        재난현장의 극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소방공무원들의 공무상 부상빈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는 공상에 비하여 공상승인이나 관련 절차는 복잡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 측면에서의 근무환경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공상관리제도에 대한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소방공무원들의 공상관리제도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실증분석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상에 대한 경험 빈도가 타 직군에 비해 높다. 둘째, 공상신청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셋째, 공상승인 시 자부담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실태분석을 토대로 공상관리제도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요인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상신청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공상신청 심의 시 고위험 제반사항 고려가 필요하고, 공상관리제도 운영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공상자 혜택 및 지원사업 확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공상제도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보상 관련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공상관리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피해 예방 및 대처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공상신청 행정절차의 간소화 및 공상자 혜택 및 지원사업 확대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하고, 아울러 기관장의 관심 및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frequency of official injury of fire-fighting officers exposed to an extreme situation in disaster area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spite of increase of injury, procedures of injury approval are complex, so the working environment of fire-fighting officers is very poor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This study was, therefore,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for fire-fighting officer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system for those in Busan city. The finding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injury experienced by them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occupations; second, application for injury is not actively made; third, fire-fighting officers should bear the expense if injury is approved. On the basis of such an analysis on actual conditions, an analysis on policy factors for improving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shows; first, various high-risk matte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view of application for injury, for improvement factors of the application for injury, while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benefit and support project for injured officers, for operation improvement factors of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and the compensation act should be improved, for the improvement factors of the injury system. Second, it is urgent to develop damage prevention and coping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he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application for injury and the extension of benefit and support project for injured officers should be realized as soon as possible, moreover, the enhancement of directors interest and support is also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