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Park Min-kyu)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해방기 남한의 대표적인 진보적 민족문학 단체였던 조선문학가동맹(문맹)의 조직적 시운동을 검토하고, 문맹의 시론들을 그 당시 시운동과의 상관성 하에 맥락화하면서 분석, 평가하였다. 특히 문맹의'시부위원회'가 전개한 활동의 궤적에 주목하였다. 시부(詩部)는 46년 2월에 문맹의 결성과 함께 조직되었다. 결성 초기에 시부는 '시의 대중화'를 주요 활동 방향으로 선언하지만, 추상적이고 감정적인 구호에 그쳐 있었다. 이후 시 강연과 시 낭독을 활발히 전개하면서 시 대중화 운동은 구체적인 것이 되어 갔다. 특히 각종 행사에서의 시 낭독은 대표적인 조직적 활동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초창기인 46년 상반기에 시부는 계몽화 운동의 소박한 취지에서 비정치적인 시까지도 다양하게 대중에게 보급하였다. 그러나 46년 중반에 미소공위가 휴회하면서 시 낭독은 대중에게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쪽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정치적 '분노'의 시와 시 낭독이 성행했는데, 김기림은 이를 신인의 육성이란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46년 하반기에 문맹은 잇따른 조직 개편과 대중화 결정서들을 마련하면서 문학대중화 방침을 더욱 강화해간다. 10월 항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활로의 모색을 위해 문화 투쟁을 통한 대중과의 적극적 결속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시인들은 개편된 조직들의 전면에 배치된다. 특히 대중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계몽적 시혜성에서 정치적 연대성으로 변모하게 되자, 문맹의 서울지부 시부 위원장인 김광균이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당시 추진되고 있던 문화공작자 혁신안이 결정적 원인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47년에 접어들어 시부의 시 낭독 행사는 대형화되고 종합예술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시 자체의 낭독에 그쳤던 46년과 달라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시 낭독은 대형 예술제와 문화공작대 등에서 음악, 연극, 무용 등과 협연된다. 이는 시 낭독의 종합예술화를 제안했던 조허림의 시론이 현실화됐음을 뜻한다. 그러나 일차적으로는 대중의 정치적 결집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한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훗날 김기림은 시 낭독의 공과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앞으로 시 낭독이 대중의 전형을 파악해야 하며, 시사적 내용에 치우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하지만 문맹의 활동이 봉쇄된 상태에서 그의 주문은 현실화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organized movement for poetry by Korean Writer's Alliance(Chosŏn-Munhakga-Dongmaeng),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nalyzes and evaluates the poetics of it, contextualizing under the relation with poetry movement of the time.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trajectory of activities developed by the Committee of Poetry Division in Korean Writer's Alliance. Poetry Division was organ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February 1946. At the early period, it announces 'Popularization of Poetry' as an important direction of its activities, however, it ends in an abstract and emotional slogan. Movement for popularizing poetry becomes more detailed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poetry lecture and reciting. Reciting poems in various event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organized activities. In the first half of 1946, Poetry Division introduces various types of poems including nonpolitical ones with the simple purpose of enlightenment movement. However, in the mid-1946,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declared a recess and poem reciting changed into delivering political message to the public. Especially, reciting poems expressing political 'rage' is prevailed and Kim, Gi-rim positively assessed it at the level of fostering new figures. In the second half of 1946, Korean Writer's Alliance intensifies the policy of popularizing literature, carrying out a successive reshuffle and preparing Written Decision for Popularization. It changes the direction toward active unity with the public through culture struggle to seek a way out going through People's Uprising in October 1946. Poets are dispatched in the front line of reshuffled organization. When the viewpoint toward the public changes from the existing enlightening dispensation to political solidarity, Kim, Kwang-gyun, chairman of Poetry Division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Seoul strongly criticizes this. Innovation plan of culture craftsman seems to be the decisive reason for his criticism. Entering into 1947, the scale of poem reciting event of Poetry Division becomes larger and bigger and composite art. It is different from the event of 1946, which ends in reciting poem. From 1947, poem reciting accompanies with music, play, dance and so on at large scale art festival and by the group of culture craftsman. This means that the poetics of Cho, Hur-rim who suggested make poem reciting as a composite art has realized. However, the primary purpose of it was to draw political concentration of the public to the maximum. Later, Kim, Ki-rim said that poem reciting should grasp the stereotype of the public and not be biased to contents of current events, examining merits and demerits of poem rec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However, his suggestion remains as a difficult task to be realized when the activity of Korean Writer's Alliance is blocked.

      • KCI등재

        해방기 문화공작대의 의제와 성격

        조은정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1 No.-

        This thesis empirically restored general view of Munhwagongjakdae (the cultural underground activities group)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presented discussions about the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is matter such as the direction of activities of the left-wing artists circles interlinked with political changes, the inner side and move of participatory artists, and the effects and influence of popularization. Federation of Korean Cultural Organization dispatched Munhwagongjakdae to the regions all over South Korea in the mid-1947 when most of progressive activities were outlawed in South Korea and considerable number of artists crossed over into North Korea. The left-wing cultural camp with Korean Writers Alliance as its center, which continuous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popularization movement and discussed the ways of practice, held ‘Joint Celebration General Art Festival’ to break the deadlock through the resumption of the 2nd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The artists, which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4 groups under the slogan of ‘Culture for the People’ and ‘Culture to the People,’ planned composite art festivals for regional people. These events were comprehensive art festivals that included play, movies, music, comic talk, poetry reading, mobile exhibitions, photo exhibitions, etc., and the number of artists who were mobilized was estimated to be more than 150. Beginning with the 1st group that started for Gyeongsangnam-do on June 30, 1947, the groups were dispatched to Chungcheong-do, Gangwon-do, Gyeongsangbuk-do, and particularly in such places as Busan, Daegu, and Daejeon, a considerable number of audiences were attracted with successful performances. However, due to continued censorships and terrors, the festivals were faced with difficulties so that they could be summarized as a history of ordeals, and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also virtually broke down, so they were able to be active only until early August. Such activities of Munhwagongjakdae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s that they were the last and the most active cultural practice that the left-wing cultural camp could choose amid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and that they appealed to national sentiments while reminding people of common memories of national exploita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oppression on artistic activities became clear and the experiences of direct meeting with regional people we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participatory cultural people’s conversion and crossing over into North Korea, but this matter will be supplemented by a separate follow-up thesis. 이 글은 해방기 문화공작대 활동의 전체상을 실증적으로 복원하고 이것과 관계된 여러 가지 문제들-정치적 변동과 맞물린 좌익예술계의 활동방향, 참여 예술인들의 내면과 이후 행보, 대중화의 효과와 영향 등-에 대해 시론적으로 논의를 제출하였다. 조선문화단체총연맹은 남한에서 거의 대부분의 진보적 활동이 불법화되고, 상당수의 예술인들이 월북한 시점인 1947년 중반에 남한의 지방 곳곳에 문화공작대를 파견했다. 해방 이후 지속적으로 문화대중화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천적 방침을 논의해왔던 문학가동맹을 중심으로 한 좌익문화진영은, 2차 미소공동위원회 재개를 통해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공위축하종합예술제’를 개최했던 것이다. ‘인민을 위한 문화’ ‘문화를 인민에게’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총 4개대로 나뉜 예술인들은 지방민들을 위한 종합예술제를 기획했다. 이 행사는 연극, 영화, 음악, 만담, 시낭송, 이동전람회, 사진전 등 각 분야를 망라한 종합적 예술제였고, 동원된 예술인들만 해도 150여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1947년 6월 30일 제1대가 경상남도로 출발한 것을 시작으로 충청도, 강원도, 경상북도에 파견되어 특히 부산, 대구, 대전 등에서 상당한 관객을 유치하며 성공적인 공연을 펼쳤다. 그러나 계속되는 검열과 테러로 인해 예술제는 수난사로 요약될 만큼 난관에 봉착했고, 미소공위도 사실상 결렬됨으로써 문화공작대는 8월초까지 활동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공작대 활동은 정치사회적 정세 속에서 좌익문화진영이 선택할 수 있었던 최후의 가장 적극적인 문화적 실천이었다는 점, 연극공연의 내용이 일제식민지배의 민족 수탈의 공동기억을 환기시키면서 민족감정에 호소한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예술활동에 대한 탄압이 가시화되고 지방 민중들과 직접 대면한 경험은 참여 문화인들의 전향과 월북 문제에 직간접적인 관련을 가지는데, 이는 차후 별도의 논문으로 보완하도록 하겠다.

      • KCI등재

        한국전쟁과 문화(인)의 배치 - ‘적치 90일’의 선전선동사업과 문화공작대 활동

        조은정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This thesis examined the mobilization aspect, particularly, of culture (cultural persons) through Liberation Daily, focusing on the propaganda and agitation campaigns enforced during the period of North Korea’s occupation of the South Korean regions. This period, known as so-called “Enemy Rule 90 Days” is viewed as the process of the signification of the w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nd the cultural and literary activities of the occupation period are discussed. North Kore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paganda campaigns from the early part of the war and carried out omnidirectional and all-out propaganda activities. North Korea built the connection system of propagandists and propaganda bureau and circles projects based on the 5-year cultural projects before the War, and classified and deployed the subordinate organizations and propagandists according to propaganda target objects. Performing art forms were actively utilized for actual propaganda activities, and when they went around the districts in the form of platoons, music and dancing which were advantageous in mobility were mainly used. That’s why the mobilization of cultural artists was prominent, and particularly, literary persons moved to the front and became war correspondent writers or produced propaganda texts on newspapers and broadcasting. Lee Tae-joon and Im Hwa attempted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the war through war correspondent articles and poems and represent it in literature. They secured the justification of the war by signifying Seoul as an abused city. Meanwhile, in the occupation period media, the descriptions of comparisons of the society and art of North Korea with those of South Korea are prominent. They emphasize that the culture and art of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are exemplary and superior and those of South Korea are in a backward state. Particularly, they tried to play up North Korea being right by making South Korean artists tell such composition. The descriptions of comparing North with South were bound to work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were revealed, and while this distinction continued routinely, the meanings of “Enemy Rule” were formed. 이 논문은 북한의 남한 지역 점령통치 기간에 실시된 선전선동사업에 주목하여, 특히 문화(인)의 동원양상을 『해방일보』를 통해 살펴보았다. 소위 ‘적치 90일’로 알려진 이 기간을 전쟁의 의미화가 진행되는 과정으로 보고, 점령기 미디어와 문화․문학 활동에 나타난 특징을 논의한 것이다. 북한은 전쟁 초기부터 선전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전방위적이고 총력적인 선전활동을 실시했다. 북한은 전전 5년간의 문화사업을 바탕으로 선전원-문화선전실-서클사업의 연계 체제를 구축했고, 하부 조직이나 선전원을 선전대상에 따라 분류 배치하였다. 실제 선전활동에 있어 공연예술 형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소대로 편성되어 지방을 순회할 때는 기동성에 유리한 음악과 무용이 중심이 되었다. 그래서 문화예술가들의 동원이 두드러지는데, 특히 문학인들의 경우에는 전선으로 출동하여 종군기자․작가가 되거나 신문․방송에 선전의 텍스트들을 생산했다. 이태준과 임화는 종군기, 시 등을 통해 전쟁의 의미를 해석하고 이를 문학적으로 표상해내는 작업을 시도했다. 서울을 학대받은 도시로 의미화함으로써 전쟁의 정당성을 확보했던 것이다. 한편 점령기 미디어에는 남북의 사회와 예술을 비교하는 서술이 두드러진다. 북한과 소련의 문화예술은 모범적이고 우수한 것으로, 남한의 그것은 후진적인 상태임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구도를 남반부 예술인에 의해 말하게 함으로써 북한이 옳았다는 것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남북의 비교 서술은 어쩔 수 없이 남북의 차이를 드러내는 구조 속에서 작동하였고, 이 구별이 일상적으로 계속되는 동안에 ‘적치’의 의미가 형성되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전쟁과 문화(인)의 배치 -”적치 90일”의 선전선동사업과 문화공작대 활동

        조은정 ( Eun Jung Cho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이 논문은 북한의 남한 지역 점령통치 기간에 실시된 선전선동사업에 주목하여, 특히 문화(인)의 동원양상을 _해방일보_를 통해 살펴보았다. 소위 ‘적치90일’로 알려진 이 기간을 전쟁의 의미화가 진행되는 과정으로 보고, 점령기 미디어와 문화·문학 활동에 나타난 특징을 논의한 것이다. 북한은 전쟁 초기부터 선전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전방위적이고 총력적인 선전활동을 실시했다. 북한은 전전 5년간의 문화사업을 바탕으로 선전원-문화선전실-서클사업의 연계 체제를 구축했고, 하부 조직이나 선전원을 선전대상에 따라 분류 배치하였다. 실제 선전활동에 있어 공연예술 형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소대로 편성되어 지방을 순회할 때는 기동성에 유리한 음악과 무용이 중심이 되었다. 그래서 문화예술가들의 동원이 두드러지는데, 특히 문학인들의 경우에는 전선으로 출동하여 종군기자·작가가 되거나 신문·방송에 선전의 텍스트들을 생산했다. 이태준과 임화는 종군기, 시 등을 통해 전쟁의 의미를 해석하고 이를 문학적으로 표상해내는 작업을 시도했다. 서울을 학대받은 도시로 의미화함으로써 전쟁의 정당성을 확보했던 것이다. 한편 점령기 미디어에는 남북의 사회와 예술을 비교하는 서술이 두드러진다. 북한과 소련의 문화예술은 모범적이고 우수한 것으로, 남한의 그것은 후진적인 상태임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구도를 남반부 예술인에 의해 말하게 함으로써 북한이 옳았다는 것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남북의 비교 서술은 어쩔 수 없이 남북의 차이를 드러내는 구조 속에서 작동하였고, 이 구별이 일상적으로 계속되는 동안에 ‘적치’의 의미가 형성되었다. This thesis examined the mobilization aspect, particularly, of culture (cultural persons) through Liberation Daily, focusing on the propaganda and agitation campaigns enforced during the period of North Korea`s occupation of the South Korean regions. This period, known as so-called “Enemy Rule 90 Days” is viewed as the process of the signification of the w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nd the cultural and literary activities of the occupation period are discussed. North Kore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paganda campaigns from the early part of the war and carried out omnidirectional and all-out propaganda activities. North Korea built the connection system of propagandists and propaganda bureau and circles projects based on the 5-year cultural projects before the War, and classified and deployed the subordinate organizations and propagandists according to propaganda target objects. Performing art forms were actively utilized for actual propaganda activities, and when they went around the districts in the form of platoons, music and dancing which were advantageous in mobility were mainly used. That`s why the mobilization of cultural artists was prominent, and particularly, literary persons moved to the front and became war correspondent writers or produced propaganda texts on newspapers and broadcasting. Lee Tae-joon and Im Hwa attempted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the war through war correspondent articles and poems and represent it in literature. They secured the justification of the war by signifying Seoul as an abused city. Meanwhile, in the occupation period media, the descriptions of comparisons of the society and art of North Korea with those of South Korea are prominent. They emphasize that the culture and art of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are exemplary and superior and those of South Korea are in a backward state. Particularly, they tried to play up North Korea being right by making South Korean artists tell such composition. The descriptions of comparing North with South were bound to work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were revealed, and while this distinction continued routinely, the meanings of “Enemy Rule” were formed.

      • KCI등재후보

        광복기 요산 김정한의 문학 활동 연구(1)

        이순욱(Lee, Soon-wook)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7

        제도로서 부산 지역의 문학사회가 본격적으로 형성되어 가던 광복기는 요산 김정한의 문학적 생애에서 가장 정치적으로 사유하고 실천했던 시기다. 또한 굴욕의 경험이라 스스로 괄호를 친, 이른바 절필기이기도 하다. 이 글은 광복기 요산 김정한의 삶과 문단 활동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시기 서울에서 조직된 문화단체가 자신의 허락도 없이 마음대로 이름을 올렸던 것과 달리, 부산ㆍ경남 지역에서 그의 사회 운동과 문단 활동은 자신의 정치적인 이념에 기초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광복기의 격랑 속에서 요산은 배달학원 강사, 건국준비위원회 경남지부와 경남해방운동자구원회 산하의 연극단체 희망좌, 경남 인민위원회에서 문예부문을 담당했으며, 신탁통치배격 부산시위원회 조사연락부 위원, 조선예술동맹 부산지구협의회 위원장, 삼남문학회 회원, 조선문학가동맹 경남도위원장 겸 부산지부장, 조선문화단체총연맹 경남도연맹 부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지역의 명망가 문화인으로서 좌파 문화전선을 구축하여 대중 계몽과 민주임정 수립을 전취하기 위한 조직 활동을 치열하게 전개해 나갔던 것이다. 광복 직후부터 공위 재개와 해체에 이르는 시기까지 그는 부산ㆍ경남 지역 좌파 문학사회와 예술단체의 핵심인물이자 매체 발행인이었으며, 문화운동의 최전선에 서 있었던 셈이다. 우파문단으로의 문단재편이 가파르게 이루어진 단정 수립 이후에는 이러한 조직 활동이 문제되어 반동문화인으로 규정되었으며, 그가 주도하던 매체 『문화건설(文化建設)』 또한 발행을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결국 부산ㆍ경남 지역을 거점으로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에 대한 열망을 표출했던 좌파 문학인 김정한은 문화운동의 날개를 꺾인 채 국민보도연맹에 가입함으로써 혹독한 전향의 계절을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글쓴이는 요산문학을 네 시기로 구분하여 논의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문학의 정치성을 가장 치열하게 표출했던 광복기를 ‘요산문학 2기’로 규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