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역에서의 법화신앙 전개

        한지연(Han, Jee-ye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1 No.-

        대승의 신앙형태 가운데 특히 법화신앙은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광범위한 지역에서 성립ㆍ발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법화신앙이라 함은 기본적으로 『법화경』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 신앙형태를 말한다. 그런데 초기 불교전파 및 문화적 변용과정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는 것이 곧 법화신앙일 것이다. 『법화경』내에서 묘사되어지는 상당부분이 이곳 석굴 내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신앙형태를 가늠해볼 수 있는 부분들이 존재하므로 이를 바탕으로 천산남로 상의 법화신앙을 고찰한다. 또한 지금까지 흔히 미록계 경전을 바탕으로 얘기되고 있는 도솔왕생의 문제를 『법화경』에 입각한 미록신앙과의 연관성 문제로 재해석하는 것을 시도해본다. 그리고 이 같은 초기 법화신앙이 지역과 시기 별로 어떤 변화를 가지는가에 대해 문화적 형상화에 입각해 살펴본다. 미륵보살 도상화에서 시대가 흐를수록 점차 이불병좌상이 출현하게 되고, 더불어 경변상도가 나타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현상은 중국 내부로 들어오면서 나타나는 양상이므로 변화양상을 통해 신앙형태의 발전상을 보며, 이를 통해 신앙체계의 견고성을 더해 나아기는 초기 불교전파 및 당시 교류 상황을 짚어본다. 또한 전파경로 가운데 중국 내륙으로 들어오는 바로 직전 관문인 돈황 등의 지역에서 드러나는 법화신앙을 함께 다룬다. 천산남로에서 보여지는 법화신앙은 교류의 측면에서 접근되어져야만 이해되는 부분이 상당수이다. 이에 대한 비교지역을 현 감숙성 지역으로 한정하며 시기 역시 중국 역사 전개에 있어 수당시대 이전까지로 한정한다. 이로써 전파초기의 신앙형태를 법화신앙에 초점을 맞추어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 불교의 변용과정의 단면을 유추해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Of the types of faith in Mahāyāna Buddhism, the faith in the Lotus-Sutra is assumed to have been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wide area from quite early time. The faith in the Lotus-Sutra here basically refers to the type of faith formulated based on the contents of Lotus-Sutra. During the spread of early Buddhism and the appropriation of culture, the faith in Lotus-Sutra appeared most frequently. As considerable parts described in the Lotus-Sutra have been discovered inside the cave and some of them provide clues to estimate the types of faith over time, the paper tries to examine the faith in the Lotus-Sutra on the southern route of Silk Road. The paper will also attempt to reinterpret the issue of reincarnation in paradise, which has been discussed around Sütras about Maitreyanātha, with regard to the Maitreyanātha in Lotus Sūtra. In addition, the paper will also examine how the faith in Lotus-Sutra changed over time, by region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Over time, the image of two Buddhas sitting side by side appears gradually from the iconography of Maitreyanātha Bodhisattva and the image of seeing each other as well. As it appeared during the process of penetrating into China, how it changed will show us the state of development in types of faith. Through this we will investigate the spread of early Buddhism and state of exchange of the time. In addition, among various routes through which early Buddhism were spread, we will deal with the faith in Lotus-Sutra found in areas such as Tunhuang, a gateway to inner China. Most of the faith in Lotus-Sutra discovered in the sourthern route of the Silk Road can only be understood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 We will limit the comparison to the area of Gansusheng and to the period preceding Sui and T’ang dynasty.

      • KCI등재

        한국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 대한불교천태종

        고병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大韓佛敎天台宗)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法華係 敎團). An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summarized the features seen in the dharma lineage(法脈),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eontae Order and religions for Lotus-Sutra.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2, faith in Lotus-Sutra(法華信仰) became popular with the translation of “Lotus-Sutra” in China and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Goryeo Dynasty, faith in Lotus-Sutra was popular in a collective form that can be called the denominational levels, but this form of belief dis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aith in Lotus-Sutra continued as before, but as Japanese Buddhist denominations concentrated on overseas missions, the collective form of the faith was reborn in Joseon. Then, after liberation in 1945, Buddhists who had been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began to create denominations in Korea. In Chapter 3, it was revealed that the features of the history, dharma lineage, major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re mostly aimed at faith in Lotus-Sutra. These features refer to the Guinsa Community's rebuilding of Cheontae Order, the connection between Zhiyi(智顗)-Uicheon(義天)-Sangwol(上月) and founder(宗祖)-establisher(開創祖)-rebuilder(重創祖) as Josa Masters(祖師), and the Cheontae studies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thoughts in Lotus-Sutra(法華思想). In addition, the ritual features mean the practice of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觀音信仰), the continuous recitation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呪誦), and the belief in Josa Master(祖師信仰). According to Chapter 4, there are difference and points of sharing among religions for Lotus-Sutra and between the Chentae Order and them. The Che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them, even if the practice is different. However, considering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oughts in Lotus-Sutra and Tientai doctirines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the Chentae Order has different part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Finally, we can see two aspects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Firstly, the Cheo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This feature has persisted since the entering the quietude of Sangwol in 1974. Next, the Cheontae Order differ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in the practice for the realization of thoughts in Lotus-Sutra. 이 연구의 목적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정을 고찰한 후에 천태종단의 법맥, 사상, 의례 등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천태종단이 법화계 교단들과 어떤 지점을 공유하고, 어떤 지점에서 차이를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다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중국에서 『법화경』이 번역되고 법화신앙이 유행하면서 한국에 전래되어 이어지다가 조선시대에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사라진 과정, 일제강점기에 종래의 법화신앙이 지속되었지만 일본 법화계 교단들이 유입되어 다시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생겨난 상황, 그리고 해방 이후 법화계 교단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이 ‘종파 불교’를 경험했고, 이 경험이 해방 이후에 종파 불교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점, 아울러 1960년대에 천태종단이 등장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천태종단의 역사, 법맥, 주요 사상, 의례 등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대체로 법화사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특징들로는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종의 중창을 표명했다는 점, 천태지의-의천-상월을 종조-개창조-중창조의 구도로 연결했다는 점, 『법화경』을 중심으로 발전시킨 천태교학을 지향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의례적 특징으로 관음신앙의 실천, 관음주송의 특화, 조사신앙의 반영 등을 지적하였다. 이 특징들은 구인사공동체가 관음신앙 중심의 법화사상을 천태교학을 통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점차 형성된 것으로, 법화사상의 구현을 향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법화계 교단들 내의 공유 지점과 차이를 살핀 후, 천태종단과 다른 법화계 교단들 사이에 있는 공유 지점과 차이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천태종단이, 법맥․소의경전․종지․관음신앙과 조사신앙 등 그 방식은 다르지만,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사상적 차이와 함께, 일본 불교의 영향력 측면에서 천태종단이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의 두 가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은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지의-의천-상월’이라는 법맥을 설정하고, 점차 여러 신앙 형태를 관음신앙 중심으로 집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유 지점은 1974년 상월의 입적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다음으로, 천태종단이 법화사상의 구현을 위한 방식에서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상적 차원에서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범주를 대비해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과제이다.

      • KCI등재

        초기 중국불교사에서 『法華經』 연구와 법화신앙의 형태

        최은영 韓國佛敎硏究院 2013 불교연구 Vol.38 No.-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studies of the Lotus Sutra and the related forms of faith around Bodhisattvas within the sutra in the early history of Chinese Buddhism, mainly on the basis of the Gaosengchuan(高僧傳), as a way to situate the role of the Lotus Sutra in that period. The result might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 with the permanent staying of the Buddha nature in the judgment and class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doctrines, the Miafalianhuajing(妙法蓮華經) by Kumārajīva should be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than the Zhengfahuajing (正法華經) by Dharmarakṣa. For the phrase "fuzhijian" (佛知見), which is mentioned in relation with Buddha nature by the early Chinese Buddhist Scholars, appears only in the Miafalianhuajing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is version is mainly used by the subsequent commentators. Although the Srimala Devi Sutra (勝鬘經), the Mahāparinirvāṇa Sutra (涅槃經), and the Daśabhūmika Sutra(十地經) were also translated as the sutras containing the doctrine of Ekayāna, from the fact that the Lotus Sutra is mentioned as the representative scripture of the Ekayāna thought in later times, the circulation of the Lotus Sutra is ascertained as having caused a great reverberation in the doctrinal dimension. Second, the Bodhisattvas of Maitreya, Samantabhadra, and Avalolitesvara, who were worshipped as the objects of faith in the early Chinese Buddhism, are all depicted conspicuously as to their role and relevance in the Lotus Sutra. The monks' form of faith in the Gaosengchuan is ascertained to have not been explained in other separate sutras containing the appearance of Bodhisattvas. Therefore, the Lotus Sutra is ascertained to have consistently influenced on the aspects of faith as well as of doctrine since the early period of Chinese Buddhism. 본 논문은 초기 중국불교에서 『법화경』 이 차지하는 위치를 자리매김하기 위한 작업의 한 방법으로, 『고승전』을 중심으로 『법화경』 연구 상황과 『법화경』에 나오는 보살을 중심으로 한 신앙형태를 살펴본 연구이다. 초기 중국불교학자들에게 佛性과 관련되어 언급되는 佛知見은 『묘법연화경』에서만 나오는 용어이며, 이후 주석가들이 활용한 것도 구마라집의 『묘법연화경』이다. 또한 『고승전』, 『출삼장기집』을 볼 때 一乘說을 담고 있는 『勝鬘經』, 『涅槃經』, 『十地經』 등이 한역되어 있었지만, 후대에 一乘思想을 대표하는 경전으로 『법화경』을 언급하게 되는 점으로 볼 때, 사상적인 면에서 『법화경』의 유행은 큰 반향을 낳았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초기 중국불교에서 신앙의 대상이 되었던 미륵보살, 보현보살, 관세음보살은 모두 『법화경』에서 그 역할과 관련성이 두드러지게 묘사되었다. 『고승전』에서 승려들에게 신앙되었던 형태는, 同名의 보살들이 등장하는 다른 단행본 경전에서는 설명되지 않는 내용도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구마라집의 『묘법법화경』은 중국불교사에서 초기부터 사상을 넘어 신앙적인 측면에도 꾸준한 영향을 주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역사적 성립과 발전-본문불립강(本門佛立講), 영우회(靈友會)의 역사적 전개와 교의(敎義)에 대한 일고-

        윤기엽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and Reiyukai(靈友會) affiliated to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modern Japan. Now Japanese new religions are estimated to be above two thousand, the believers in new religion reach 10-20 percent of entire population in Japan and a half of them are believers of Lotus-Sutra group. Therefore, Japanese new religions, especially Lotus-Sutra group is the section which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isting state of Japanese religions. And the Honmon butsuruyuko and Reiyukai were representative of Lotus-Sutra group in the period of Japanese new religions’ appearing and booming. The Honmon butsuruyukou succeeded to Happhong school(八品派) or Nichiruyu(日隆)’s followers, and Soka Gakkai(創價學會) which prospered in the postwar era succeeded to Hugi school(富士派) or Nikko(日興)’s followers.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was founded by Nagamachi nissen(長松日扇) in 1857, worshiping Nichiren(日蓮) as the founder of Nichirensyu(日蓮宗) and Nichiruyu(日隆) as the founder of Happhong school. Nagamachi nissen leaving the Happhong school’s priesthood tried to return the former state of the faith in Lotus-Sutra and reform the religious body through the Honmon butsuruyukou. Because the Honmon butsuruyukou emphasized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asserted that diseases could be cured and poverty overcame only by reciting Namumyouhorengekyou(南無妙法蓮華經). And stressing on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refused the authority of priests who attached to importance to afterlife, and asserted a religious body managed by general believers. The Reiyukai(靈友會) was founded by Kubo kakutaro(久保角太郞) and Kotani kimi(小谷喜美) in 1924. Kakutaro, a believer in the Sutra of Lotus,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establishing the creative belief which combined Shamanism with the faith in the Sutra of Lotus. And Kimi(喜美) who became the Shaman after extreme asceticism devoted herself to the propagation of the Reiyukai depending on spiritual skill. The Reiyukai flatly denied the priests’ existence, and asserted that family and nation would enjoy happiness only by taking care of ancestors. It also have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of the Sutra of Lotus by general believers’ taking care of ancestors, and put great stress on believers’ being engaged in missionary work, and made them execute ethical norms, Seikou(正行). Though the Honmon butsuruyukou and Reiyukai was all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by general believers, the one headed toward moderate reformation as a pioneer and the other was very aggressive in pursuing the propagation, taking a reformer stand. 본고는 일본 신종교의 한 부류인 법화계 신종교에 속하는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를 고찰한 글이다. 현재 일본의 신종교 교단은 2,000여개 이상으로 추정되고, 신자수는 일본 전체 인구의 10∼20%에 이르며, 또 그 절반 이상이 법화계 신종교의 신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본의 종교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신종교 특히 법화계 신종교는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법화계 신종교’란 법화경의 신앙전통과 그것을 재해석한 니치렌(日蓮)의 사상을 계승한 신종교의 한 부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신종교의 발생과 붐이 일던 시기(幕末∼昭和前期)에 법화계 신종교를 대표하는 교단으로서 본문불립강은 니치류 문류(日隆門流)인 팔품파(八品派)를 계승하고 있다. 또한 전후(戰後)에 크게 발전한 창가학회는 닛코 문류(日興門流)인 부사파(富士派)를 계승한 일련정종(日蓮正宗)의 재가단체이다. 본문불립강(후에 本門佛立宗)은 니치렌을 종조로 하고, 니치류를 문조(門祖)로 하여 나가마츠 닛센(長松日扇)이 1857년 쿄토(京都)에서 창시한 재가신도 모임(講)이었다. 팔품파(本門法華宗)의 승려였던 닛센은 환속 후 본문불립강을 열어 법화신앙의 본 정신으로 돌아가 타락한 교단을 개혁하고자 했다. 본문불립강에서는 현증이익(現證利益)을 강조하여 나무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를 암송함으로써 질병을 다스리고,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가르친다. 본문불립강의 현증이익의 강조는 내세의 가치를 중시하는 승려의 권위를 부정하고 재가자 중심의 신앙활동을 주장하게 된다. 영우회는 1924년에 쿠보 카쿠다로(久保角太郞)와 코타니 키미(小谷喜美)가 창시한 법화계의 재가교단이었다. 법화신자인 카쿠다로는 법화신앙과 샤머니즘적인 전통을 결합한 독자적인 신앙을 확립하여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혹독한 수행을 거친 후 영능자(靈能者)가 된 키미는 영술(靈術)을 이용해 포교활동을 적극 펴나갔다. 영우회는 승려의 존재를 부정하며 각 개인이 가정에서 선조공양을 행함으로써 가정과 국가가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재가자의 선조공양을 통해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는 영우회는 신자의 포교활동을 중시하여 가정모임의 성격인 법좌(法座)활동을 펴고, 윤리규범인 정행(正行)을 준수하도록 한다.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모두 니치렌의 사상을 계승한 혁신적인 법화계 재가교단이지만, 본문불립강이 선구적인 위치에서 온건한 개혁을 지향했다면, 영우회는 보다 개혁적인 입장에서 적극적인 포교활동을 전개한 교단이었다.

      • KCI등재

        근대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역사적 성립과 발전 -본문불립강(本門佛立講), 영우회(靈友會)의 역사적 전개와 교의(敎義)에 대한 일고-

        윤기엽 ( Ki Yeop Yoon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본고는 일본 신종교의 한 부류인 법화계 신종교에 속하는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를 고찰한 글이다. 현재 일본의 신종교 교단은 2,000여개 이상으로 추정되고, 신자수는 일본 전체 인구의 10~20%에 이르며, 또 그 절반 이상이 법화계 신종교의 신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본의 종교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신종교 특히 법화계 신종교는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법화계 신종교`란 『법화경』의 신앙전통과 그것을 재해석한 니치렌(日蓮)의 사상을 계승한 신종교의 한 부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신종교의 발생과 붐이 일던 시기(幕末~昭和前期)에 법화계 신종교를 대표하는 교단으로서 본문불립강은 니치류 문류(日隆門流)인 팔품파(八品派)를 계승하고 있다. 또한 전후(戰後)에 크게 발전한 창가학회는 닛코 문류(日興門流)인 부사파(富士派)를 계승한 일련정종(日蓮正宗)의 재가단체이다. 본문불립강(후에 本門佛立宗)은 니치렌을 종조로 하고, 니치류를 문조(門祖)로 하여 나가마츠 닛센(長松日扇)이 1857년 쿄토(京都)에서 창시한 재가신도 모임(講)이었다. 팔품파(本門法華宗)의 승려였던 닛센은 환속 후 본문불립강을 열어 법화신앙의 본 정신으로 돌아가 타락한 교단을 개혁하고자 했다. 본문불립강에서는 현증이익(現證利益)을 강조하여 나무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를 암송함으로써 질병을 다스리고,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가르친다. 본문불립강의 현증이익의 강조는 내세의 가치를 중시하는 승려의 권위를 부정하고 재가자 중심의 신앙활동을 주장하게 된다. 영우회는 1924년에 쿠보 카쿠다로(久保角太郞)와 코타니 키미(小谷喜美)가 창시한 법화계의 재가교단이었다. 법화신자인 카쿠다로는 법화신앙과 샤머니즘적인 전통을 결합한 독자적인 신앙을 확립하여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혹독한 수행을 거친 후 영능자(靈能者)가 된 키미는 영술(靈術)을 이용해 포교활동을 적극 펴나갔다. 영우회는 승려의 존재를 부정하며 각 개인이 가정에서 선조공양을 행함으로써 가정과 국가가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재가자의 선조공양을 통해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는 영우회는 신자의 포교활동을 중시하여 가정모임의 성격인 법좌(法座)활동을 펴고, 윤리규범인 정행(正行)을 준수하도록 한다.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모두 니치렌의 사상을 계승한 혁신적인 법화계 재가교단이지만, 본문불립강이 선구적인 위치에서 온건한 개혁을 지향했다면, 영우회는 보다 개혁적인 입장에서 적극적인 포교활동을 전개한 교단이었다.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and Reiyukai(靈友會) affiliated to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modern Japan. Now Japanese new religions are estimated to be above two thousand, the believers in new religion reach 10-20 percent of entire population in Japan and a half of them are believers of Lotus-Sutra group. Therefore, Japanese new religions, especially Lotus-Sutra group is the section which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isting state of Japanese religions. And the Honmon butsuruyuko and Reiyukai were representative of Lotus-Sutra group in the period of Japanese new religions` appearing and booming. The Honmon butsuruyukou succeeded to Happhong school(八品派) or Nichiruyu(日隆)`s followers, and Soka Gakkai(創價學會) which prospered in the postwar era succeeded to Hugi school(富士派) or Nikko(日興)`s followers.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was founded by Nagamachi nissen(長松日扇) in 1857, worshiping Nichiren(日蓮) as the founder of Nichirensyu(日蓮宗) and Nichiruyu(日隆) as the founder of Happhong school. Nagamachi nissen leaving the Happhong school`s priesthood tried to return the former state of the faith in Lotus-Sutra and reform the religious body through the Honmon butsuruyukou. Because the Honmon butsuruyukou emphasized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asserted that diseases could be cured and poverty overcame only by reciting Namumyouhorengekyou(南無妙法蓮華經). And stressing on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refused the authority of priests who attached to importance to afterlife, and asserted a religious body managed by general believers. The Reiyukai(靈友會) was founded by Kubo kakutaro(久保角太郞) and Kotani kimi(小谷喜美) in 1924. Kakutaro, a believer in the Sutra of Lotus,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establishing the creative belief which combined Shamanism with the faith in the Sutra of Lotus. And Kimi(喜美) who became the Shaman after extreme asceticism devoted herself to the propagation of the Reiyukai depending on spiritual skill. The Reiyukai flatly denied the priests` existence, and asserted that family and nation would enjoy happiness only by taking care of ancestors. It also have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of the Sutra of Lotus by general believers` taking care of ancestors, and put great stress on believers` being engaged in missionary work, and made them execute ethical norms, Seikou(正行). Though the Honmon butsuruyukou and Reiyukai was all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by general believers, the one headed toward moderate reformation as a pioneer and the other was very aggressive in pursuing the propagation, taking a reformer stand.

      • KCI등재

        논문(論文) : 고려 후기 『법화경(法華經)』 영험담(靈驗譚) 유포와 그 의의; 『해동법화전홍록(海東法華傳弘錄)』을 중심으로

        김영미 ( Young Mi Kim ) 이화사학연구소 2012 梨花史學硏究 Vol.0 No.45

        Cheonchaek(天책) edited the Haedong Beophwa-jeonhongnok(The Eastern Sea``s Record of the Stories Inspired from the Lotus Sutra) and recorded the miracle stories related to the Lotus Sutra at the time when the war with Mongolia was near the end. This is compared with the fact that the Hongzan fahua zhuan(弘贊法華傳), which was edited in China, was distributed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main characters of Goryeo miracle stories are wholly the then officials or ex­officials, monks, local officials, wealthy landowners, and the most powerful man``s wife, and ordinary people are not included. This is relevant to the fact that Cheonchaek handed the Haedong-jeonhongnok out to the officials like Jang-yong Lee(李藏用). That is to say, the major class of readers was the officials and monks. Accordingly, in the activities for faith, there are no practices chanting the names of Avalokitesvara-bodhisattva or Amitabha Buddha. Those are the miracle stories resulted mainly from the copying, recitation and explanation of the Lotus Sutra. And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White Lotus Society we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among the readers. It is because Cheonchaek pushfully urged the officials to be engaged in the Society. And he may have anticipated the wide distribution of the miracle stories through them. It was because of the then urgent social necessity that Cheonchaek edited the miracle stories inspiring the faith based on Lotus Sutra. It was intended to give consolation to and instill religious passion into the people who were suffering from the three calamities (三災) of war, famine and infectious diseases through telling them the miracle stories which their neighbors experienced. We can recognize this from the fact that Cheonchaek thought that the war was due to their karma and said that the Buddha and bodhisattvas would surely help them if they performed some activities for faith seeking for piety and miracles.

      • KCI등재

        『묘법연화경』의 믿음[śraddhā · prasāda · adhimukti] 연구 - 구마라습 역본과 케른본(KN本)의 믿음 용례를 중심으로 -

        청진스님(김청진) 한국선학회 2024 한국선학 Vol.- No.67

        믿음은 종교적인 측면뿐 아니라 심리학, 철학 등에서도 중요하게 다룬다. 믿음은 확신으로 굳어지면 긍정 또는 부정의 요인이 된다. 불교에서의 믿음은 맹목적이라 보다는 믿고 이해하는 이지적인 면이 많다. 본고는 『묘법연화경』의 믿음[śraddhā · prasāda · adhimukti] 용어를 중심으로 전개한다. 구마라습이 번역한 『묘법연화경』과 케른본의 전체 28품 가운데 20품 이상에서 언급된다. 신(śraddhā)은 삼보에 귀의할 때 생기는 정신작용으로 『묘법연화경』의 내용이 진실하고 참된 말임을 강조할 때 쓰인다. 징정(prasāda)은 청정(淸淨)과 정신(淨信)의 의미로 용례는 많지 않다. 신해(adhimukti)는 불법에 대해 온전히 이해하여 의심이 없는 결심과 의욕을 드러내는 말로 사용된다. 『묘법연화경』의 믿음의 대상은 당연히 부처님의 말씀이지만, 『묘법연화경』의 일체의 진실한 모습을 여실히 아시는 일체지로서의 위신력이 잘 드러난다. 그러나 제법실상에 대해 믿음을 가지는 것이 핵심이다. 여기에 모든 중생들이 여래의 똑같은 성품을 지닌 존재로 성불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 『묘법연화경』의 믿음이다. Faith is important not only in religious aspects, but also in psychology and philosophy. When faith is solidified into certainty, it becomes a factor of positivity or negativity. Faith in Buddhism is often intellectual, believing and understanding rather than blind. This study focuses on the terms faith [śraddhā, prasāda, adhimukti] in the Lotus Sutra. It is mentioned in the Lotus Sutra translated by Kumarajiva and in more than 20 of the 28 articles in Kern[KN本]. Śraddhā(信) is a mental action that occurs when you return to the three treasures, and is use to emphasizes that the words of Budda is ture and sincere so ones have to believe and understand them. Prasāda(澄淨) means pure faith and clear and calm, and there are not many examples of its use. Adhimukti(信解) is also used to express the unquestioning determiantion or confidence, inclination or desire by understanding thoroughly the Buddism. The article of faith in Lotus Sutra is the words fo Budda, and the prestige power of Budda is empahsized who knows the true identity of people, but the key is what we have faith true reality of all phenomena. It is the faith of Lotus Sutra that all people can be the Buddist as the being of the same nature as the Budda.

      • KCI우수등재

        미륵사와 서동설화

        李乃沃(Lee Ne-Ogg) 역사학회 2005 역사학보 Vol.0 No.188

        King Mu (r, 600~641), the 30th king of Baekje, established Mireuksa Temple. The temple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for the origin of Korean stone pagodas.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Mireuksa temple and the Maitreya cult. However, throughout the temple place of Mireuksa the stone pagoda was especially emphasized. This is also dated from the foundation of the Mireuksa temple when a Buddha triad came out of a pond. It can be also connected to the idea of making a pagoda for the Buddha from the Lotus Sutra. The fable of Seodong was composed with a number of Buddhist symbols. Seodong was very poor from a low social status, but he was born with the energy of a dragon. In this premise, there is a clue that Seodong was granted a great mission that he should make a great Buddhist temple named Mireuksa and transmit the precept of the Buddha. Seodong married Princess Seonhwa, a daughter of King Jinpyeong (r. 579~632) the 26th King of Silla. This fact reflects an ardent Buddhistic belief in the Seodong fable. Moreover, this fable can be created because Baekje was the center of the Maitreya cult in those days. At that time,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Silla was represented by replacing and sublimating a high dimensional Buddhistic symbol. Cutting his hair to meet Princess Seonhwa is a Buddhist symbol of seeking for a doctrine. Seodong was a hero who had a superior ability before he married Princess Seonhwa. However, he was nearly relegated to the role of a stupid man after he met Princess Seonhwa who symbolized Mireuk Seonhwa. Meeting Princess Seonhwa can be the symbol of a mystic experience where Seodong was converted as a bodhisattva. The success of Seodong was accomplished by the assistance of Princess Seonhwa and Master Jimyeong who symbolized Maitreya and the Lotus Sutra. So a human autonomy was reduced and a heteronomy was expanded by a handling of the religious messiah like Buddha. Baekje Buddhism kept a character that depends on the external power. This feature was then universally expressed to the religious symbol and art of Baekje. In the Seodong fable, the poverty and lowliness Seodong took the throne and finally founded a large scale Buddhist temple named Mireuksa and accumulated virtuous deeds. This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ideal that anyone can become a Buddha. The Seodong fable has a connection with an universal character of Baekje Buddhism. Baekje Buddhism started from the idea that that all living things have Buddha nature. This presents a prospect that anyone can attain buddhahood. All these characterize Baekje Buddhism, which are represented in the Seodong fab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