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산함수 하의 FDI의 경제적 효과와 동태성에 관한 이론·실증적 연구

        임형록,김성신 국제지역학회 2023 국제지역연구 Vol.27 No.2

        From the view of resource allocation, FDI can increase global production efficiency by distributing technologies, capital, and such invisible assets as know-hows and management skills. By this virtue, FDI is treated as a strategic pathway to obtain those necessary resources for economic development. In particular, FDI can create production effect for host countries, which contributes to their long-rum economic growth. At the meanwhile, the production effect, embedded within inward FDIs, can develop the business infrastructures of local countries, which can enhance their labor productivity ultimately. Acknowledging this feature, the paper tackles three research topics. First, a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is adapted for demonstrating FDI’s production effect in host countries along to labor productivity whose effect is incurred by business infrastructure enforcement. Second, revoking that FDI can have both a short-term static production effect and also a long-term dynamic one, an infinitely repeated game is established to analyze the sustainability of a FDI oriented production effect. According to main results, the larger the inward FDIs are, the larger the dynamic effects will be created throughout business infrastructure improvement, which supports, by the design of a game model, labor productivity. Third, some empirical works are attempted to test the predictions of the theory model. Most of all, FDIs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host countries, and both groups turn out to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lag effects out of inward FDIs. Between the two groups, the OECD group benefits from business infrastructure enhancement more than the non-OECD group does. FDI는 자원배분적 관점에서 국제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현지국 내 생산효과를 창출해 낸다. 특히나 국제 공급망이 개편 및 구축되는 와중에 FDI는 현지국으로의 외생적인 자본의 투입효과 뿐만 아니라 현지국 내 비즈니스 인프라를 개선시킨다. 또한 노동 생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 점에 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논제를 중심으로 이론적 접근을 시도했다. 첫째, 콥-더글라스(Cobb-Douglas) 생산함수를 이용해 FDI가 비즈니스 인프라의 개선을 통해 발생시키는 생산성 효과를 모형화시켰다. 이를 통해 FDI로부터 현지국 내 경제효과가 발현되는 메카니즘을 구축했다. 본 연구의 이론모형은 자원배분적 관점 하에 중력모형 기반의 실증분석으로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 집중하는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차별점을 갖는다. 둘째, FDI는 단기적인 정태적 효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동태적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는 시각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차를 두고 FDI는 누적되는 생산효과를 발현시켜 현지국의 경제발전을 유도해낸다. 이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무한반복게임(infinitely repeated game)을 도입했다. 그 결과 동태적 관점에서 FDI가 증가할수록 현지국의 생산효과가 장기적인 정(正)의 효과로 발현되고, 비즈니스 인프라의 개선을 통한 노동 생산성의 개선 효과 역시도 발생하게 될 것임이 예측되었다. 이론모형의 예측결과를 검증하고자 실증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이론모형이 예측한 바와 같이 144개국에 달하는 현지국에 투입된 FDI는 현지국의 경제규모 확장에 유의적인 정(正)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동시에 동태성 측면에서 중요한 시차효과 역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OECD 국가들과 비(非)OECD 국가들로 구분해 양자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여부를 밝히고자 추가 검증이 시도되었다. 그 결과 양 그룹 모두에게서 시차효과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OECD 국가들에 비해 비(非)OECD 국가들에게서 FDI의 효과가 보다 단기적으로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양 집단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인프라가 경제성장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OECD 국가들이 비(非)OECD 국가들에 비해 비즈니스 인프라를 통한 경제적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대 중국 FDI 입지결정요인 및 데모효과에 관한 연구

        김대영 ( Dae Young Kim ),이시영 ( Shi Young Lee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2 국제통상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한국 제조업의 대 중국 해외직접투자(FDI) 입지결정요인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구분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특히, 해외입지정보의 불확실성과 관련하여 대기업(중소기업)의 선행된 FDI가 중소기업(대기업)의 FDI입지결정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하여 패널데이터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선 행된 대기업의 FDI는 상대적으로 정보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의미 있는 해외입지 정보로 작용하여 중소기업의 FDI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중국은 전환경제로써 대기업의 FDI는 중소기업 FDI의 불확실성을 낮추어 주는 데모효과(demonstration effect)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대기업의 선행투자는 중간재 생산이 많은 중소기업에게 다양한 사업기회를 제공하고 물류비용을 절감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상대적으로 풍부한 정보력과 자금력을 보유하고 있는 대기업 입장에서는 선행된 중소기업의 FDI가 의미 있는 입지정보가 되지 못하거나 혹은 특정지역으로의 중소기업 투자가 집중되면 대단위 생산시설을 필요로 하는 대기업은 오히려 그 지역을 회피하는 현상을 보인다. 그 외, 기존선행연구에서FDI입지결정요인으로 분석된 시장규모요인, 비용요인 그리고 인프라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은 임금과 인프라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대기업은 인적자원수준과 인프라요인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FDI location in China by Korean small & medium sized enterprises (SME) and large enterprises (LE). We thoroughly explore the sequential FDI decision by SME and LE. We utilize a panel data analysis approach from the data obtained from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The main fining of this paper indicates that the preemptive location decision by LE pulls SME. The main rationale behind this result stems from positive spillover from LE by the resolution of asymmetric information faced by SME. In a transition economy like China, FDI by LE would provide the demonstration effect to SME so that the move by LE lowers uncertainty faced by SME. However, the location decision by SME does not affect the FDI location decisions by LE. We also find that wage rates are an important determinant for SME, whiles the quality of human capital is important for LE. The level of infrastructure significantly affects FDI by SME and LE.

      • KCI등재

        중국에 대한 FDI가 동아시아 국가에 대한 FDI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백렬,환신강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5 동북아경제연구 Vol.27 No.2

        FDI in China has remarkably grown since 1992 when China adopted the market economy and improved laws and regulations of FDI. Specifically, FDI in China, where the market is large, production resources are plentiful, and labor is cheap, has been substituted for FDI that would be in the East Asian countries. This study, first,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DI origin as well as the states of FDI both in China and in the East Asian countries. Second, the impact of FDI in China on FDI in the countries was empirically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two types of FDI were complementary rather than FDI in China was substituted for FDI in the East Asian countries not only during the entire focal period(from 1993 to 2012) but also during the first half(from 1993 to 2002) and the second half(from 2003 to 2012). Meanwhile, the results present that the complementarity decreased more in the second half than in the first half. In addition, this study distinguished FDI in the five Southeast Asian countries from FDI in Asian newly industrializing economies(ANIEs) such as South Korea, Hong Kong, and Taiwan. The results indicate that FDI in the five Southeast Asian countries is positively correlated to FDI in China during the entire period. On the other hand, FDI in the three ANIEs is positively correlated to FDI in China during the first half and insignificantly correlated to FDI in China during the second half. The results suggest that before China’s affiliation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FDI in China and FDI in the three countries were complementary whereas after the affiliation to the WTO, associated FDI in the ANIEs adjoining China decreased because the investment environment in China improved.

      • KCI등재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국가 간 분쟁에 미치는 영향: 무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참슬,김이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9 국제지역연구 Vol.23 No.4

        This study, which focuses on the relation between FDI and trade, analyzes the effects of FDI on armed conflict. Considering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DI inflows and trade volume, this study argues that the influence of FDI on international conflict should be examined by excluding or controlling for trade. This study finds that FDI significantly reduces international conflict even among the countries that have low levels of trade openness and even regardless with whether the trade variable was included or not. 본 연구는 FDI와 무역과의 상관관계를 통제 혹은 배제 후 FDI가 무력분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FDI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FDI 유입의 증가가 무력분쟁 가능성을 감소시킨다고 밝혔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무역이 무력분쟁 가능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적절히 통제하지 않고 FDI가 무력분쟁 감소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FDI가 1980년부터 2010년까지 165개국을 대상으로 한 계량분석을 통해 FDI의 분쟁억제 효과를 밝혀 FDI와 무력분쟁에 관한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패널로짓분석 결과 FDI의 유입은 투자대상국의 무력분쟁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엇보다 무역개방도가 일정 수준 이하-평균 이하 및 1/3(33% 백분위수) 이하-의 국가들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FDI는 무력분쟁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and Implications for FDI in the Provinces

        김보라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9 유라시아연구 Vol.16 No.1

        Lately, foreign investors have become interested in making direct investment in the Mongolian provinces. One thing that is becoming important given that foreign investors have become interested in making direct investment in the Mongolian provinces in this manner is a study on examining FDI environment of the Mongolian provinces and deriving implications for FDI in the Mongolian provinces based on it. The reason is that, first, this type of study could be significant for foreign investors’ selection of a province to make a direct investment among the Mongolian provinces and second, for that foreign investors develop a way and strategy to make a direct investment in the Mongolian provinces. Furthermore, this type of study could be significant in helping direct investment of foreign investors in the Mongolian provinces be conducted rationally and effectively, through, for instance, the above two ways.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there has been no study on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and implications related to making direct investment therein. However, considering foreign investors’ growing interest in direct investments in the Mongolian provinces and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FDI environment of the Mongolian provinces and implications for FDI based on it, it seems that this type of study is essential. Accordingly, the study aims at examining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and developing implications related to that foreign investors make a direct investment in the Mongolian provinces based on it. In line with this aim, the study, first, developed a theoretical framework to examine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from the perspective of main types of FDI such as market-seeking, resources-seeking, and efficiency-seeking FDI. Thus, it examined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by apply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derived implications related to foreign investors making FDI in the Mongolian provinces based thereon.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found that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have different and distinct environment by each FDI type (market-seeking, resources-seeking, and efficiency-seeking FDI). In addition, it found that there are provinces that have a favorable environment and provinces that have a semi-favorable environment by each FDI type. Second, it derived and suggested five implications related to foreign investors making FDI in the Mongolian provinces based on the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Finally, the study reached a conclusion that foreign investors are able to make FDI in the Mongolian provinces in several ways related to the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 KCI등재

        외국인투자기업의 수익성 및 생산성에 대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성봉 한국질서경제학회 2017 질서경제저널 Vol.20 No.4

        This study analyses the determinants for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firms, foreign invested companies in Korea. A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issues of economic effects of FDI in Korea have dealt with only limited variables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also limited variables of foreign invested companies, this study encompasses various indicators regarding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performance and determinant variables, such as ‘experience of operations in Korea,’ ’the country of FDI origin,’ ‘industry sectors based on technology,’ ‘foreign investor’s share ratio,’ and ‘tax incentive for FDI.’ By analyzing foreign invested firms with FDI amounts over US$ 500,000 in Korea from 1998 to 2006 with random-effects GLS regression models, this study reveals following results on the determinants for performances of FDI firms in Korea: Firstly, regarding experience of operations in Korea, long experienced foreign invested companies showed lower performance in value-added to total assets. Secondly, regarding the country of FDI origin, the Japanese invested firms in Korea show better performances in profitability, while they showed worse performances in value-added per employee and value-added to total assets. Thirdly, regarding industry sectors, mid-low technology manufacturing industries indicate better performances in profitability, while high technology manufacturing industries show better performances in value-added to total assets, but worse performances in value-added to sales. Fourthly, FDI firms with more than 50% of foreign investors' share show better performances in value-added to total assets and value-added to sales as well. Fifthly, FDI firms receiving tax incentives from the Korean government showed better performances in profitability, but worse performances in productivities than foreign invested companies, which are not receiving tax incentives. After providing appropriate explanations for most of all empirical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o the Korean government the FDI policy reform recommendations in preparing FDI targeting strategy and in improving the FDI incentive system. Firstly,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for making the Korea's FDI targeting strategy. The priority to attract could be given to the potential foreign investments with more than 50% of foreign shares, because this type of foreign invested companies showed better performances in terms of productivity. However, regarding the investing countries to be the major FDI target, we need more elaborated research in the future, as this research result showed mixed performances in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among foreign invested companies from different investing countries. Secondly, this research results could be also utiliz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improve the tax incentive system for FDI. As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foreign invested companies which are getting the tax incentive from the Korean government, showed better performances in profitability, but worse performances in productivity, we could assume that the tax benefits provided to the foreign invested companies can only increase the profit of those incentive beneficiary firms, probably not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tax incentive for FDI and do the reform of the tax incentive. 본 연구는 외국인직접투자의 우수한 경영성과를 결정짓는 외국인투자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실증분석하고 있다. 제조업 외국인투자기업을 대상으로 수익성과 생산성 지표를 성과변수로 하여, 외국인투자기업 특징을 국내 사업경험, 투자국, 업종, 지분율 형태, 조세감면여부 등 다섯 가지를 결정요인을 선정하여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각 요인별 실증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사업경험의 경우 수익성 지표에서는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던 반면, 생산성 지표 중 총자본투자효율의 경우 음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보였다. 둘째, 투자국에 따른 영향에서는 수익성 지표에서는 일본계 투자기업이 우수한 성과를 보인 반면, 노동생산성 지표인 1인당 부가가치에서는 낮은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총자본투자효율의 경우에는 북미계 및 일본계 투자기업이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조업의 업종에 따른 영향과 관련, 수익성 지표에서는 중저위기술업종이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부가가치율의 경우 고위기술업종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으며, 총자본투자효율에서는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넷째, 외국인투자 지분율 형태의 영향과 관련, 수익성 지표에서는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던 반면, 생산성 지표에서는 50%를 초과하는 투자지분율 외국인투자기업이 부가가치율과 총자본투자효율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세감면혜택의 영향과 관련, 수익성 지표에서는 조세감면혜택을 받은 외국인투자기업이 우수한 성과를 보인 반면, 생산성 지표에서는 조세감면혜택을 받은 외국인투자기업이 부가가치율과 총자본투자효율에서 낮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를 토대로 외국인투자 유치전략 수립방안 및 외국인투자 조세감면제도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외국인 직접투자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검토와 시사점

        이두환 한독사회과학회 200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3 No.2

        This paper examines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by scrutinizing various empirical studies for developing countries to find significant factors and draw some implications.Conclusive evidence supporting the newly held view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has been start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o called non traditional factors such as cost, trade barriers, and incentives is not surprisingly hard to come by. However it is also notable to look at the increasing role of non traditional factors. The less regulations imposed on the administrative bottlenecks and trade activities is more helpful and valid to make decision on FDI, coupled with less entry restrictions.The determinants of incremental FDI will be influenced largely by the information searching cost and switching cost. The empirical results shows that the additional measures such as affiliate profitability, affiliate operation size and majority ownership to affiliate, are significant to incremental FDI. Host market profitability, social-political stability and incentive, have less influence on incremental FDI than initial FDI.These results imply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FDI policy aiming at the facilitating various administrative restrictions generally triggered by the hard regulations and induce the FDI based on the high value added industry for Korea.

      • KCI등재

        FDI결정요인 및 FDI와 경제성장의 관계

        최원익 ( Won Ick Choi ) 국제지역학회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4

        FD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FDI와 경제성장의 관계는 어떻게 정립해야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어서 본 고는 기존의 연구들을 이론적 그리고 실증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분류하면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이슈들을 조명함으로써 미래의 연구자들에게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해외에 투자하고자하는 기업이 수평적 FDI를 하고자 하는지 아니면 수직적 FDI를 하는지에 따라 FD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달라질 수 있으며, 투자시기, 현지국의 정치경제상황, 인프라수준, 현지국의 각종제도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또한 FDI유입과 경제성장의 관계에 대해서는 양방향의 인과관계, 일방향관계, 그리고 이들 사이에 아무런 인과관계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상존해 있다. 본 고는 특히 실증적 분석의 결과가 왜 학자들마다 다른지 그 이유를 조명함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연구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re are continuous debates about what the determinants of FDI inflow a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inflow and economic growth. This research tries to give the direction of research by considering and classifying the existent theories and empirical analyses and lighting up the issues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The determinants of FDI can be different according as corporations invest abroad for horizontal FDI or vertical FDI and they are investment time, host country``s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the level of infrastructure, host country``s various systems and all the sort of things. There are three directional research resul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inflow and the economic growth: bidirectional causality, one direction and no relationship. Especially, this research tries to present the paradigm of the research field by focusing on the reason that each research gives different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 FDI 순유입과 금융시장의 발전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ASEAN 주요 5개국을 중심으로

        최돈승 ( Don Seung Choi ),조장희 ( Jang Hee Cho ) 텔코경영연구원(구 국제무역경영연구원) 2020 텔코 저널 Vol.8 No.-

        본 연구는 ASEAN 주요 5개 국가 -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을 대상으로 1990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여 FDI의 순유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 과정에서 금융시장의 발전 정도에 따라 그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특히 19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가 발생한 이후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구조가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였기 때문에 1999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1990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한 분석 결과에 의하면 FDI 순유입은 경제성장에 유의한 양(+)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융시장의 발전은 경제성장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다만, 두 변수의 상호작용 변수는 경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1999년 이후의 자료를 사용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FDI 순유입과 경제성장은 여전히 유의한 양(+)의 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금융시장의 발전과 경제성장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FDI 순유입과 금융시장의 발전의 상호작용 변수는 경제성장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FDI 순유입은 경제위기의 발생여부와 관계없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금융시장의 발전은 경제성장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금융시장의 발전이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하기보다 경제가 성숙할수록 금융시장의 규모 또한 크기 때문에 경제성장률이 체감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변수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1997년 경제위기가 발생한 이후 FDI의 순유입은 금융시장이 발달할수록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효과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FDI net inflows on economic growth by using ASEAN 5 countries(Thailand, Malaysia, Indonesia, Philippines, Vietnam) 1990-2017 data. And this paper considers the role of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net inflows and economic growth. In addition, we used subsample from 1999 to 2017 because East Asian countries have the sudden economic changes after East Asian economic crisis in 1997. As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FDI net inflows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though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influences negatively in economic growth. However, the interaction variable of FDI net inflows and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grow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by using data since 1999,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but FDI net inflows and economic growth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as ever. The interaction variable of FDI net inflows and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has th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growth. Thus, the positive effect of FDI net inflows on economic growth become strengthen by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market after 1999 economic crisis.

      • KCI등재

        OECD 국가와 비OECD 국가의 양자간 FDI 결정요인 분석

        이종하,이준원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6

        This paper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bilateral FDI, using panel data on 120 countries over the periods 2001-2014. In order to ref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vestor and the host count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t country, we divided the entire sample into OECD and non-OECD, and analyzed four investment scenario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determinants were different for each investment scenario. Fisrt, when OECD countries are investors, more diverse FDI determinan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economy size and development of financial market are common important determinants of FDI without reference to investment scenarios. Third, in the investment between the same group, the investment agreement w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FDI.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desirable to have different investment strategies in order to attract FDI and that policy efforts or financial development are necessary.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sign a new investment agreement, but the effort to implement the agreement is also important.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4년 기간 120개 국가로 구성된 패널자료를 이용해 양자간 FDI의 결정요인을 분석했다. 이때, 전체국가를 OECD국가와 비OECD 국가로 구분하여 총 4가지 투자유형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유형별 투자 결정요인의 특징을 검토했다. 분석 결과, 각각의 투자유형별로 FDI 결정요인이 공통점도 있지만 몇 가지 차이점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OECD국가가 투자국일 때 보다 다양한 FDI 결정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규모 및 금융시장발달정도가 공통적으로 FDI의 주요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그룹 간 투자에서는 투자협정 또한 FDI의 주요한 결정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FDI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경제수준에 따라서 상이한 투자전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융발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투자협정을 신규로 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협정이 체결된 경우에는 이행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