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교육 역량 간 관계에서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이필호 ( Lee Philho ),임현우 ( Lim Hyun-woo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18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23 No.1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on effects of multicultural attitude on the paths from the two dimensions of multicultural experience (multicultural life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course-taking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Ninety fiv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completed the Cross-Cultural Life Experience Checklist,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Scal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of multicultural attitude on the paths from multicultural life experience to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overall level, awareness, and skill). On the contrary,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of multicultural attitude were found on the paths from multicultural course-taking experience to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They further suggested that despite having no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attitude, multicultural course-taking experience has significant effec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overall level, knowledge, and skill).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경험요인

        한희경(Han Heeky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경험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 다. 연구대상은 D 광역시 소재의 4년제 대학에서 특수교육개론 수업을 듣는 유아교육과 학생 78명이었 다. 연구자료는 통합교육에 대해 자유롭게 서술한 에세이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주제에 따라 내용분석 하였다. 에세이 내용 중 통합교육의 장단점 및 당위성 인식과 관련된 부분을 추출하여 분석단위로 정하 고 하위주제에 따라 빈도수를 산출하였다.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는 통합교육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으나 통합교육의 실행 범위에 따라 태도에 차이가 있었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 경험요인은 초?중?고등학교에서의 사전경험, 가족 및 친인척을 통한 경험, 대학 진학 후 교육봉 사와 특수교육개론 수업을 통한 경험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는 한 개인 내에서도 경험요인과 시간경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 교과목 운영 시 고려할 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xperience-based influencing factors. Participants were 78 students taking a special education course at a private university in one of the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essays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thematic content analysis,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and appropriateness of inclusive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sub-themes. The frequency for each category was examined. Most participants tended to show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in general. The points of view in positive attitud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s of inclusion. The experience-based influencing factors of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were their own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indirect experience from families or relatives, educational service, and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taken. In terms of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the intra-individual differences were represented depending on experiences with time. A review of the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in a special education course for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gree program is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수업의 현장체험학습 활용방안 -통일의식 재고를 위한 현장체험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이지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trategy and a model of actively integrating a liberal arts course into a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order to help develop liberal arts courses in a new way and improve their quality. There exist a variety of difficulties to accomplish a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liberal arts courses to gain diverse experiences. Despite of the difficulties,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that students go along with an instructor highly increased students’ satisfaction since it is offered. Even it helped change students’ perception of particular issues.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ourse as a required liberal arts course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offered an opportunity of “a filed experience learning about the unification education for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s part of experience and exploration of society and culture. This field teaching provided th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of gaining valuable experience to directly feel the realty of the partition and truce state of the Korean peninsula. Despite of these educational effects, there are various issues for an instructor to actively apply this field experience learning to educ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models of creative field experience learning that universities support should be developed. 이 논문은 대학 교양수업에 현장체험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양교육 수업의 질적 변화를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있다. 대학 교양수업에서 다양한 체험을 위한 현장체험학습이 실제로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교수자의 고충에도 불구하고 교양과목 교수자와 수강생들이 함께 하는 현장학습 체험은 체험 학습전과 후의 학생 만족도가 급상승하였을 뿐 아니라 학생들의 특정 문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까지 꾀하는데 상당부분 도움이 되었다. 동덕여자대학교 교양필수과목인 『발표와 토론』 과목의 사회문화 체험 답사의 한 방편으로 이루어진 통일의식 재고를 위한 현장체험학습 역시 평상시 분단의 문제에 무관심했던 여대생들에게 분단의 현실과 정전 상태를 직접 피부로 느끼게 해주는 귀중한 체험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대학 교양교육에서 교수 재량으로 이루어지는 현장체험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많은 난제들이 산적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이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창의적인 현장체험 학습의 모델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교육경험 담론 분석 - 입시교육과 진로경험의 의미화를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교육경험 담론 분석

        이민경(Lee Min-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8 敎育問題硏究 Vol.0 No.31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교육경험을 해석학적 패러다임에 입각한 질적 연구방법에 의해 심층분석한 것이다. 가정과 학교, 사회의 교육열풍속에서 ‘자녀교육성공’을 위한 부모들의 적극적 기획 하에 학교를 다니고 입시 관문을 통과한 대학생들이 자신의 입시교육경험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자신의 현재, 미래의 삶과 진로에 연결시켜내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대학생들은 자신들의 지난 입시교육경험을 공부에 대한 부모의 강요와 기대, 성적을 둘러싼 학교와 친구들 사이의 경쟁적 분위기로 인해 ‘상처’, ‘억압’의 시간으로 정리하면서 부정적으로 의미화를 하는 경우가 지배적이었다. 또한 대학 졸업 후 ‘취업’과 ‘성공’에 대한 부모와 주변의 기대에 대한 부담과 불안을 자신들의 입시교육경험의 연장선에서 해석하고 있어 현재의 대학생활과 졸업 후 진로계획에도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This paper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s education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who were raised under their parents" active "planning" for their educational success in the social context of heated "educational fever." It adopts an interpretive paradigm. I explore how these college students interpret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further analyze how they relate this experience to their college education and their future lives beyond the college.<BR>  College students attach negative meanings to their high school experience that was heavily dominated by the prepar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y regard it as a "time of pressure and hurt" due to the intense parental expectation and severe competition among students. They also interpret their parents" intense desire and anxiety for them to succeed and to get good jobs in relation to their high school experience. This means that students" high school experience is highly influential to their college experience and planning for their future jobs.

      • KCI등재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주는 의미 탐색

        장은주(Eun-Ju Chang),조혜선(Hye-Seon J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의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를 수강한 S대학교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수업 탐색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 29명은 2017-1학기 영유아교수법 과목에서 모의수업을 시연하였고 유아교과교재 및 연구법 과목에서는 수업시연을 위한 교과교재 제작을 하였으며, 연구자들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스터디 그룹별 학습과정 저널과 개인 수업 포트폴리오, 포커스-그룹 면담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의 교육적 효과로 균형 잡힌 두 교과목의 연계로 효율적인 수업 집중이 가능함을 장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의 교육적 효과로 시행착오를 통한 교구 제작과 수업 준비로 연계지식을 구성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깨달음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수업의 중요성을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 중에 인식한 것이다. 넷째,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깨달음은 연계한 그룹 조원들과의 상호 유대감 증진의 소중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과정에서 전공교과 연계형 수업 경험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lectures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S" university who took the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and examine its in-depth meaning. The 29 study participants demonstrated a mock class during the Early Childhood Teaching Method course and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for demonstration during the Early Childhood Teaching Material and Teaching Method course in the first semester of 2017. The researchers analyzed group-based learning journal, teaching portfolio and focus-group interview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und that the balanced linkage of two subjects enabled them to effectively concentrate on the course. Second, they were able to organize linked-knowledge by creating teaching materials and preparing for the course after learning from their mistakes. Third, the teachers became abl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of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urth, they also got to understand the value of special bonds among group members. To summariz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r their education course.

      • KCI등재

        온라인 교육서비스 경험 데이터의 시각화 방안

        서수웅(Seo, Soowoo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5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4 No.4

        연구배경 : 정보통신 기술을 발달은 교수학습 분야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와 전통적인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특히 OCW의 확산으로 고등 교육 콘텐츠의 양적 팽창 및 보편적 접근성은 높아지고 있지만, 학습자 입장에서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개강좌 이용자의 학습경험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학습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학습경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현황과 국내 사례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주된 교육 서비스 유형인 동영상 강좌 이용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함으로써, 온라인 교육 서비스 이용행태 및 새로운 기능 수요를 파악하였다. 대안적 동영상 강좌 서비스의 시뮬레이션을 위해 유튜브에 탑재된 전공 관련된 동영상을 시청하게 하고 학습 중에 발생하는 경험 데이터를 기록, 분석하였다. 동영상을 멈추는 시점, 즉 북마크 데이터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적극적인 학습 활동으로 보고, 데이터 시각화의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 학습 경험 데이터는 동영상 강좌의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난이도, 성취도, 키워드, 학습 메모 등이 있었다. 실험 참가자은 시각화를 위한 지표로서 특정 시점별 난이도 및 성취수준을 계량화하고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특정시점에 대한 북마크의 빈도는 학습자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핫이슈라고 판단하여 중요도 지표로 삼았다. 난이도와 성취도는 동영상의 시간축에 따른 컬러 스펙트럼으로 표현하였으며, 키워드는 단위시간별로 태그 클라우드의 형태로 시각화하였다. 결론 :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보편적 형식인 동영상 강좌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학습경험 데이터를 시각화의 가능성과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동영상 강좌에 대한 접근성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에 의의를 둔다. Background : Progress of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revolution in the field of teaching and learning, reforming the traditional education paradigm. Particularly, the diffusion of OCW enabled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accessibility of higher education content, but there are little studies in the aspect of learner"s experience. This study tries to seek improving learning effect through visualization data of learning experience in OCW. Methods : As a pilot study to collect learning experience data, it reviewed the preceding researches about the paradigm shift in education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online education service and the problem of domestic cases. Users of video course which is most popular in online, were interviewed intensively, getting their behavior and hidden functional needs. To simulate the alternative service, participants were guided to watch the appointed video and record their learning experience. Result : Learning experience data were difficulty, achievement, keyword, memo etc. which could arise in a certain time of video course. Participants recorded the level of difficulty and achievement, and wrote keywords in each bookmarked time. Frequency of bookmark in a particular point which learners could regard as hot issue in common, was used as importance index. The level of difficulty and achievement could be visualized as color spectrum, and the keywords as tag cloud, in accordance with video timeline.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and usefulness that learning experience data could be visualized, making better use of video course which is most common type in online education service. It can be put meaning as a pilot study for developing a education service platform, enhancing the accessibility and learning effect of video course.

      • KCI등재후보

        국내·외 사례비교를 통한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박용우 ( Park Yong Woo ),박신형 ( Park Shin Hyoung ),김준년 ( Kim Jun Nyen ),박현수 ( Park Hyun Su ),고민지 ( Koh Min Ji ),박소은 ( Park So Eun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9 교통안전연구 Vol.38 No.-

        Established in 2009, Safe Driving Training Programs Center has been associated with raising awarenes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safe driving and has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through experience education that is focused on field practice. However, no new experience education courses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development of “control the test vehicle training course” in 2013. Therefore,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is continuously decreasing. This study thereby suggested ways to improve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of the Safe Driving Training Programs Center, currently operating in Sangju and Hwaseong. Problem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Safe Driving Training Programs Center program that is currently in operation.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o improve the programs by benchmarking overseas cases. In addition, program improvement was sup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survey results conducted on students of the Safe Driving Training Program Center.

      • KCI등재

        웹 기반 가상실험의 교육적 효과

        박영미,김도성 한국물리학회 2012 새물리 Vol.62 No.2

        본 연구에서는 탐구실험수업의 적용상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업방안으로 웹 기반 가상실험을 제시하고 이를 중학교 1학년 빛의 굴절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와 수업 내용에 대한이해 면에서 전통적인 교실 수업에 비해 어떤 효과를 가지는지알아보았다. 수업의 도구로는 인터넷 상에 공개되어 있는 웹기반가상실험 자료를 사용하여 빛의 굴절에 대한 내용으로 수업을구성하였고, 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76명을 대상으로 한 수업의 교육적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사전 검사로서 과학수업에 대한 즐거움과 컴퓨터에대한 태도를, 사후 검사로서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와 수업 내용에 대한이해도를 조사하였다. 웹기반 가상실험 수업과 전통적 교실 수업을실시하여 비교한 결과, 수업 전 웹기반 가상실험 수업을 적용한실험집단과 전통적 교실 수업을 적용한 대조집단의 과학수업에 대한즐거움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수업 후 실험집단이대조집단에 비해 자신감과 만족감 영역에서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가높게 나타났으며 수업 내용이 대한 이해도 높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present a web-based virtual experiment as an alternative to an experiment in middle-school science and analyzed its educational effect on the interest i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lesson, as compared to a traditional classroom course. For the lesson with web-based virtual experiment, we adopted online materials by using an open web-site and applied it to 76seventh-grade students of two classes in their learning about refraction of light. To prove its educational effect, we investigated students' enjoyment in the science lesson and their computer-related attitude before the lesson and the students'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the course after the lesson. As a result, before the less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enjoyment of the lesson and the computer-related attitud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would use the web-based virtual experiment, and the control group, who would be taught by using the traditional classroom lesson, but after the less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interest about lesson, especially in the area of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s well as a higher understanding of the course tha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디자인씽킹을 도입한 학부과정의 융합교육 사례 -교수설계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상선(주저자) ( Sangsun Yi ),김동민(공동저자) ( Dongmin Kim ),김미희(공동저자) ( Mihui Kim ),김수찬(공동저자) ( Soochan Kim ),김한중(공동저자) ( Hanjoong Kim ),박경문(공동저자) ( Kyongmoon Park ),이인석(공동저자) ( Inseok Lee ),이상선(교신저자) ( Sangsun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1

        연구자는 연구자 소속 대학의 학부과정에서 2012년부터 3년간, 3학년을 대상으로 융합교육을 시행하였다. 특히, 2014학년도에는 디자인씽킹을 융합교육에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교수법에 큰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부과정에서 프로젝트 기반으로 학제 간 융합교육을 하고자 할 때, 교수자가 참고할 수 있는 수업운영과정을 시간순으로 다룬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지난 융합교육을 성찰하고, 둘째, 융합교육의 준비, 시행, 후속 단계에서 디자인씽킹을 적용해본 교수자의 경험을 기술한다. 또한, 융합교육을 계획할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융합교과목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자의 제한된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가 교과목 차원에서 융합교육을 시행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참고자료로서 역할을 하고, 교수자 간의 융합교육과 관련된 논의를 촉진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earcher has implement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junior class at college the researcher belongs to, for 3 years since 2012. In 2014, the researcher implemented ‘design thinking’ which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The research suggests procedure and ways of running project based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that professors can refer to. The research first reviews last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nd second, describes the researcher’s experience of preparing and running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lso, it provides details of how ‘design thinking’ was implemented in curriculum. Furthermore, the research explains what professor should consider when carrying out an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This research is mainly a report of case of running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Moreover, this research may have limits since it is only based on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Yet, the researcher wishes that the research may promote sharing experiences and discussion between researchers. Also, the researcher expects professor planning to carry out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to learn from this research.

      • KCI등재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성훈(Kim, Seong-hoon),신주화(Shin, Ju-hwa),하정미(Ha, Jung-mi)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1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을 경험한 학습자들과 교육자들의 내적 관점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경험을 심층면접을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ㆍ경남 지역의 도립, 대학부설, 그리고 민간 요양보호사 교육기관에서 교육과정을 경험한 12명의 수료생들과 7명의 교강사들에 대한 심층면접 내용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료생들의 면접사례에서는 33개의 구성된 의미가 발견되었고, 이들 간의 순서와 관계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15개의 소범주와 다시 4가지 대범주가 발견되었으며, 교강사들의 면접사례에서는 25개의 구성된 의미, 11개의 소범주, 그리고 4개의 대범주가 발견되었다. 즉, 학습자들의 교육과정 경험을 통해서 '막연한 학습동기', '부실한 교육의 양과 질', '교육과정 수료 후의 아쉬움', '개선의 필요성을 절감', 그리고 교강사들의 교육과정 경험을 통해서 '제보다 젯밥에 더 관심을 가지고 온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 '부실한 교육의 양과 질', '부실한 행정관리', '개선의 필요성을 절감'의 주제묶음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에서는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lecturers in education course for the certification of the long-term caregiver. Samples are 12 students who had completed the course and 7 lecturers. The depth-interview is performed for gathering information and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applied to analyse the cases. 33 meanings, 15 themes and 4 theme clusters for students and 25 meanings, 11 themes and 4 theme clusters are found from the cases. Students' experiences are 'vague motivation for enrollment', 'low quality of education,' 'lack of professional skill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urse,' 'needs for improvement the course' and lecturers' experiences are 'more interests in benefits than study(students' motivation),' 'low quality of education,' 'lack of governmental administration,' 'needs for improvement of the course an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n conclusion,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