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 Post Liability, Ex Ante Safety Regulation, and Impending Product Recalls

        Yong-Kyun Bae(배용균)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1

        본 논문은 자동차에 내재된 잠재적 결함이 어떻게 자동차 리콜을 유발하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014년도 미국에서의 자동차 리콜에 관한 자료를 이용하여, 본 연구자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어떻게 리콜결정을 내리고 어떠한 요인들이 그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제조사들이 자동차 결함으로 인한 제조물 책임에 관련된 잠재적인 기대비용이 증가할 때 리콜을 하는 것은 밝혔다. 특히 자동차 제조사들은 자신들에게 보고되거나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보고된 과거에 발생한 자동차 사고로부터 발생한 피해에 관한 정보를 적극 이용한다. 저자는 또한 규제당국의 적극적인 조사활동이 기업의 리콜을 유발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는 규제당국의 적극적인 조사활동이 기업들에게 강력한 사전경고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사들이 신년도 모델을 출시할 때, 많은 제품변화가 있을 경우, 출시 후 첫해동안 자동차 리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 시장의 과도한 경쟁에 직면한 제조사들이 자동차에 새로운 기능들이나 신기술을 채택할 경우, 예상치 못한 결함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자동차 제조회사들은 그들의 제품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위험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자동차 제조회사들은 격렬한 경쟁에 직면하여 자동차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게 될 미래 소송을 포함한 제조물 책임과 관련된 비용을 피하기 위하여 리콜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의 자동차 산업의 리콜규제와 관련된 유의미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결함이 의심되는 자동차 사고와 관련된 신고와 보고서들은 정부 규제당국의 관리 하에 엄격하게 관리되고 사용되어야 하며,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결함이 확실시되는 경우, 보다 적극적인 조사를 통하여 리콜을 강제하고 리콜 제도를 강화함으로써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수준의 도로교통 안전규제를 통하여 공공의 안전을 담보해야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potential defects in automobiles lead to vehicle recalls. Using data on vehicle recalls in the United States in 2014, I identifies how vehicle manufacturers make their recall decisions and what factors they consider to issue recalls. Using both a unique data and an empirical model, this paper finds that manufacturers issue recalls when higher expected liability costs are anticipated. In particular, vehicle manufacturers use information on the damages that have occurred in previous accidents reported to either the regulatory agent or themselves. I also find that the regulatory agent’s investigative action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re recall issuance, which implies that their investigative activities send manufacturers a strong message to correct problems, given that recall issuance is basically voluntary. If there is a model change in a new-year model, then there are more recalls during the first year of sales. This shows that it is inevitable for manufacturers to issue more recalls because more defective parts are found in the process of adopting and introducing new features from facing competition in the automobile market. In conclusion, manufacturers, facing severe competition, issue more recalls to avoid expected liability costs from defects.

      • KCI등재

        Ex Post Liability, Ex Ante Safety Regulation, and Impending Product Recalls

        배용균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1

        This paper investigates how potential defects in automobiles lead to vehicle recalls. Using data on vehicle recalls in the United States in 2014, I identifies how vehicle manufacturers make their recall decisions and what factors they consider to issue recalls. Using both a unique data and an empirical model, this paper finds that manufacturers issue recalls when higher expected liability costs are anticipated. In particular, vehicle manufacturers use information on the damages that have occurred in previous accidents reported to either the regulatory agent or themselves. I also find that the regulatory agent’s investigative action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re recall issuance, which implies that their investigative activities send manufacturers a strong message to correct problems, given that recall issuance is basically voluntary. If there is a model change in a new-year model, then there are more recalls during the first year of sales. This shows that it is inevitable for manufacturers to issue more recalls because more defective parts are found in the process of adopting and introducing new features from facing competition in the automobile market. In conclusion, manufacturers, facing severe competition, issue more recalls to avoid expected liability costs from defects.

      • KCI등재

        Do Foreign Vehicle Manufacturers Delay Recalls? The Case of the Korean Car Market

        배용균 한국응용경제학회 2018 응용경제 Vol.20 No.4

        This paper investigates vehicle manufacturers' recall decisions, and their determinants in Korea. In particular, it identifies why some manufacturers are slow to issue recalls, while others are quicker. We find that vehicle manufacturers make recall decisions based on the degree of risk, expected liability, and recall costs from defective vehicles. We also find that all foreign manufacturer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in the Korean market. They delay their recalls for about one to four years, compared to Korean manufacturers' faster-recalls. European manufacturers do not show any procrastination in the US market, but do in the Korean one; US manufacturers show the same pattern. Korean exporters do not procrastinate in the US market; however, US exporters do in the Korean one, and Japanese manufacturer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in both markets. The fact that emission-related recall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than safety-related recalls could be indirect evidence on manufacturers' reluctance in recall issuance whenever possible.

      • KCI등재

        Do Foreign Vehicle Manufacturers Delay Recalls? The Case of the Korean Car Market

        Yong-Kyun Bae 한국응용경제학회 2018 응용경제 Vol.20 No.4

        본 논문은 한국 자동차 시장에서의 자동차 제조회사들의 리콜결정과 그 요인 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자동차 결함이 확실시될 때, 어떤 회사들은 신속히 리콜 을 결정하는데 반해 왜 다른 회사들은 리콜을 지연시키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리는 자동차 제조회사들이 리콜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 결함의 심각성, 결함에 따른 예상책임비용, 그리고 리콜 비용이 중요한 요인들임을 밝혔다. 또한 한국 자동차 시장에서 외국자동차 제조회사들의 사전 리콜기간이 국내 제조사의 그 것보다 더 길다는 점도 아울러 밝혔다. 이들의 리콜은 한국 자동차 리콜에 비해 서 보통 1년에서 4년 정도 지체되었다. 유럽 자동차 제조회사들의 리콜은 미국 시장에서는 지체되지 않았으나 한국시장에서는 지체되었다. 한국 자동차 제조사 들의 리콜은 미국시장에서 지체되지 않았으나 반대로 미국 자동차 제조사들의 리콜은 한국에서 지체되었다. 일본의 제조사들은 한국과 미국시장에서 동일한 사전 리콜기간을 보여 주었다. 배출가스 관련 리콜의 사전 리콜기간이 안전 관 련 리콜의 그것보다 긴 것은 기업들이 가급적 리콜을 피하려고 한다는 사실과 무관해 보이지 않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vehicle manufacturers' recall decisions, and their determinants in Korea. In particular, it identifies why some manufacturers are slow to issue recalls, while others are quicker. We find that vehicle manufacturers make recall decisions based on the degree of risk, expected liability, and recall costs from defective vehicles. We also find that all foreign manufacturer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in the Korean market. They delay their recalls for about one to four years, compared to Korean manufacturers' faster-recalls. European manufacturers do not show any procrastination in the US market, but do in the Korean one; US manufacturers show the same pattern. Korean exporters do not procrastinate in the US market; however, US exporters do in the Korean one, and Japanese manufacturer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in both markets. The fact that emission-related recall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than safety-related recalls could be indirect evidence on manufacturers' reluctance in recall issuance whenever possible.

      • KCI등재

        공동주택관리법과 집합건물법의 하자담보책임 정합성 확보 방안 연구

        홍성진(Hong, Sung-Jin)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1 No.-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and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enacted as a measure to protect the rights of defects in buildings, have continued to revise the law in different contents on the grounds of protection of occupants, etc. while regulating the liability for defects in each statute. In the case of the court, the dispute over warranty liability for defects was judged mainly by criterion of judicial review. As a result, business entities-constructor-occupant has been caused problems in terms the principle of system legitimacy of legislative,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legitimate expectation of occupants,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of the contractor for warranty liability for defect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at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applies to the multi-family housing subject to compulsory management, and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 applies to the management of other buildings. In addition, in order to protect occupant‘s protection of legitimate expectation and constructor’s proportionality,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have to introduce the system security deposit for repairing defects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and Multy-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shall regulate the constructor to be liable for damages only if there is a reason, such as the insolvency under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Furthermore, for judicial control, the legal nature of the “Criteria for Investigating Defects in Multy-Family Housing, Calculating Repair Costs, and Determining Defects” should be recognized. 건축물의 하자에 대한 권리보호방안으로 입법화된 「공동주택관리법」과 “집합건물법”은 각각의 법령에서 하자담보책임을 규율하면서 ‘입주자등의 보호’를 이유로 서로 다른 내용으로 법률 개정을 지속하여 왔다. 법원의 경우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분쟁에 대하여 일반적인 법률심사기준 위주로 판단하였다. 이로 인하여 사업주체-시공자-입주자의 하자담보책임 관련 법률의 적용 및 그 내용에 대한 해석상의 혼란으로 입법적 측면에서는 체계정당성의 원칙, 입주자의 입장에서는 하자담보책임에 대한 신뢰보호의 원칙, 시공자의 입장에서는 하자담보책임의 범위에 대한 비례의 원칙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공동주택관리법과 집합건물법상 하자담보책임의 정합성을 위해서는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의 관리의 경우 「공동주택관리법」이 적용되고, 그 밖의 집합건물의 관리에 대해서는 “집합건물법”이 적용된다고 해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입주자의 신뢰보호 및 시공자의 비례성 확보를 위해서는 “집합건물법”상 「공동주택관리법」에 따른 하자보수보증금 예치제도를 명문으로 규정하고, 「공동주택관리법」에서는 “집합건물법”에 따른 사업주체의 무자력 등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시공자가 손해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입법 개선이 필요하다. 나아가 공동주택의 하자 여부 판정, 하자조사 방법, 하자보수비용 산정에 대한 비례성 확보 및 사법적 통제를 위해서는 「공동주택 하자의 조사, 보수비용 산정 및 하자판정기준」의 법규성 인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 KCI등재

        Vehicle Manufacturers Decisions on Recall Timing: a Synthetic Panel Data Model

        배용균(Yong-Kyun Bae) 한국경제통상학회 2019 경제연구 Vol.37 No.3

        본 논문은 자동차 제조사들이 언제 리콜을 하느냐에 관한 리콜 시기 결정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어떤 제조사들은 리콜을 신속히 결정하는데 비해, 왜 다른 제조사들은 리콜 결정을 지체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리콜에 대응하는 기업들의 상이한 반응에 대한 그 이유를 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미국의 자동차 리콜 자료와 유도 패널 데이터 모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우리는 기업들의 자발적 리콜은 상대적으로 짧은 “사전 리콜 기간”을 보여 주는데 반해, 규제당국의 강제적 리콜은 긴 “사전 리콜 기간”을 보여 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동차 제조사들은 리콜결정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결함이 있는 자동차들의 위험도, 예상 배상책임, 그리고 리콜 비용을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것도 밝혔다. 이 외에 제조사와 자동차 모델들의 특성이 리콜 시기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아울러 밝혔다. 특히, 미국의 제조사들에 비해, 한국과 일본의 제조사들이 상대적으로 긴 “사전 리콜 기간”을 보여 주었다. 유럽의 자동차 제조사들과 미국의 제조사들 사이에는 “사전 리콜 기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timing decisions of manufacturers recall issuance. In particular, it identifies why some manufacturers are slow to issue recalls, while others are quicker. To answer why firms behave differently in responding to recalls, we use the US recall data from year 2008 to year 2017 and synthetic panel regression models. Our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voluntary recalls usually have shorter pre-recall periods, while government mandated recalls have much longer pre-recall periods. We also find that vehicle manufacturers make recall issuance decisions based on the degree of risk, expected liability, and recall costs from defective vehicles. Furthermore, manufacturer and vehicle characteristics affect the timing of recall issuance. In particular, Japanese and Korean manufacturers are slow to issue recalls compared to U.S. manufacturers. The pre-recall periods of European manufacturers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U.S. manufactur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