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위험에 대응하는 MICE 조직의 K-방역 대책에 대한 고찰

        한진영,김태칠 한국무역전시학회 2021 무역전시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에 대응하고 있는 MICE 조직의 K-방역에 대한 대응내용 과 전시컨벤션센터의 방역대책을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포스트 COVID-19 시대에 MICE산업 회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COVID-19에 성공적인 대응체계가 K-방역으로 총칭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국제표준화로 추진되고 있다. COVID-19라는 세계적인 위기를 관리하기 위해 국내·외 MICE관련 기구에서 대응 메 뉴얼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전시컨벤션센터는 자체적으로 메뉴얼을 제정하여 각 센터 에 맞게 대응하고 있으며, KINTEX의 경우도 3단계 관리지침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 으며, ICC JEJU는 행사 유형별로 메뉴얼을 제정하여 대응하고 있다. BEXCO는 방역소 독, 거리두기, 출입관련, 방문관련, 동선관리, 행사장내, 유증상의심자로 구분하여 표준 (안)을 만들어 관리하고 있으며, EXCO-Daegu는 평시 건물(시설) 내, 컨벤션 행사 시, 규모별 행사 장소 등 분야별 세부 방역 매뉴얼을 만들어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질병 관리청의 지침에 따라 국내 각 센터에서는 해당 지역 방역당국과 협의를 통해 방역대 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센터별로 대책에 차이가 있고 과도한 통제라는 불만이 제기되 고 있다. 센터별로 방역 매뉴얼에 차이가 있으며, 행사주최자 관점에서 형평성에 문제 가 제기되고 있다. 이제는 COVID-19 백신접종이 시작되면서 포스트 COVID-19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 새로운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하고, MICE산업에 적용될 방역모델 표준화가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MICE산업의 회복탄력성을 위해 협력이 필요하고, 포스트 COVID-19 시대 에 대한 대응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ponses of the MICE organizations responding to COVID-19, the quarantine measures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and the strategies for the resilience of the MICE industry in the post-corona era. The successful response system to COVID-19 has been collectively referred to as K-Quarantine, and based on this experience, it is being processed as a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n order to control the global crisis of COVID-19, domestic and international MICE-related organizations are presenting response guidelines. On the other hand,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have established guidelines related to their centers. In the case of KINTEX, a three-step management guideline has been instituted, and the Jeju ICC responds by enacting a guideline for each event type. Now that the COVID vaccination has begun, countries need to prepare for the post-COVID era. A paradigm shift and standardization of the quarantine model to the MICE industry are necessary. Likewise, cooperation and a post-COVID era response strategy are needed to form resilience for the MICE industry.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정희정(Hee-Jeong Jeo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포스트[POST] 코로나 시대를 맞아 우리는 다양한 전시공간의 운영 방향에 대하여 고민하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외 일부 전시공간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전시공간의 기존 운영방식인 오프라인 전시가 디지털 환경의 온라인 전시에 비하여 현장감이 있으며 실물 전시를 통한 작품의 이해도가 쉽고 공감력과 감성 교감이 장점으로 작용되어 온라인 전시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비대면 콘텐츠는 기존 오프라인의 전시 운영을 대신하는 대체 역할이 아닌 오프라인 전시의 보조 역할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하루가 다르게 변화되는 디지털 환경에 따라 전시공간 운영도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여러 분야에서의 다각적이고 다차원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e post-COVID era, people began to think about different ways to manage these exhibition spaces. To this end,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elected exhibition spaces at home and abroad and conducted a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offline exhibitions, the traditional way of exhibition space management, are preferred to online exhibitions because they are more realistic and easier to understand, and the audience can relate to and interact with them more easily. This suggests that non-face-to-face content is not a substitute for existing offline exhibition spaces, but a complement to them. However, in response to the ever-changing digital environment, exhibition spaces should seek ways to adapt to these changes, and this warrants further research in a number of area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뮤지엄 온라인 전시 유형에 관한 연구

        김보름(Kim, Boruem),용호성(Yong, Hoseo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문을 닫은 뮤지엄들이 오프라인 전시의 대안으로 활용해온 온라인 전시의 다양한 유형을 살펴보고, 각각의 유형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어떤 의미와 역할을 하며 그 시사점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내외 주요 뮤지엄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온라인 전시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전시의 유형은 첫째 보조적 전시, 둘째 병행적 전시, 셋째 독립적 전시, 넷째 대안적 전시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보조적 전시는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과는 무관하게 뮤지엄의 홍보와 교육 등을 위하여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병행적 전시, 독립적 전시, 대안적 전시 등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오프라인 전시의 대안으로 좀 더 적극적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특히 오프라인 전시와는 무관하게 기획되는 독립적 전시나 다양한 방식으로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대안적 전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적으로 각광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나아가 대안적 전시는 전통적인 뮤지엄 전시와는 전혀 다른 방향과 내용으로 기획되는 형태로서 향후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갈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various types of online exhibitions that museums, inevitably closed due to the worldwide pandemic situation of COVID-19, have used as alternatives to offline exhibitions, and to examine what each type means and plays in the post-corona era and what its implications are. The types of online exhibition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First supportive exhibitions, second parallel exhibitions, third independent exhibitions and fourth alternative exhibitions. Among them, auxiliary exhibitions have been used to promote and educate the museum regardless of the coronavirus pandemic. However, parallel exhibitions, independent exhibitions, and alternative exhibitions are being considered more actively as alternatives to offline exhibitions due to corona pandemic, and it is expected that alternative exhibitions that are planned independently of offline exhibitions and induce visitors to participate in various ways will continue to be in the spotlight even in the post COVID-19 era. Furthermore, alternative exhibitions are planned in a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 and content from traditional museum exhibitions, and it is believed that they will be able to develop into various forms in the future.

      • KCI등재

        코로나 극복을 위한 전시 미디어 콘텐츠 개발 연구 - 인터랙티브 비디오와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한 <New Normal + Convergence Design> 전시를 중심으로 -

        남윤태,오제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9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다양한 전시들이 온·오프라인 전시관에서 관객들에게 예술 작품의 경험을 주고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극복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전시를 기획하고, 이에 따른 미디어 디자인 전시 콘텐츠를 만들어 실제 전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New Normal + Convergence Design>전시의 콘텐츠를 사용자들이 직접 경험함으로써 코로나 극복을 위한 의지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6종의 전시콘텐츠는 각각 프로젝션을 사용한 인터랙티브 비디오 작품 3종과 대형 TV를 사용한 인터랙티브 비디오작품 2종 그리고 증강현실 예술 작품 1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제 전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제안된다양한 미디어 디자인 전시 콘텐츠들은 인터랙티브 영상과 증강현실 등의 디지털 기술을 통해 포스트코로나 이후 시대에도 아티스트, 연구자, 그리고 관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의 전시를 만들어줄 수 있다.

      • KCI등재

        온라인 전시 플랫폼 구축 속성에 관한 연구:전시주최자의 관점에서

        김윤수,김봉석,이지연 한독경상학회 2022 經商論叢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ttributes of building online exhibition platfor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ganizers. In order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online exhibitions, this study explored the attributes of building online exhibitions based on a theoretical approach and observed the status and technological cases of each attribute. A structured survey was analyzed using the expert analytical methodology called AHP. The participating experts consisted of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experts who can better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industry with their experience as exhibition organizers and workers in the field of conventions and online exhibitions. In the first extraction step, the factors were refined by collecting the opinions of online exhibition platform experts and exhibition organizers based on the attributes derived from the preceding research literature, and in the second ste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3 experts. The third phase was carried out by conducting an AHP survey of 10 industry experts and analyzing th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p five factors were in the order of exhibition content presentation (49.9%), e-curation/research (20.7%), experience and information management (11.5%), archive (server and storage space) (11.3%), and connection and access route (6.6%).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emonstrate that the attraction of exhibitors and buyer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rticipation rate with past events, and the network of exhibitors and buyer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al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 혁명의 등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기술 환경과 최근 코로나19바이러스 감염증의 대유행으로 외부환경에 민감한 컨벤션 전시산업이 온라인 전시회로 변화를 모색할 때, 전시 주최자의 관점에서 온라인 전시회 구축 속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온라인 전시회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온라인 전시회의 구축 속성들을 살펴보았고, 각 속성에 대한 기술적 사례와 현황을 살펴보았다.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은 산업분야에서도 새로운 개념으로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사회의 이해도가 높지 않은 분야라 구조화된 설문을 전문가 분석인 AHP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 분석을 진행하였다. 1차 항목 추출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문헌에서 도출한 속성들을 기반으로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 전문가 및 전시 주최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요인을 정제하였고, 2차 단계는 총 53명의 전문가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3차 조사인 전문가 AHP조사는 업계 전문가 10인으로 구성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상위요인은 총 5개인데 전시 콘텐츠 연출(49.9%), e큐레이션/리서치(20.7%), 경험 및 정보관리(11.5%), 서버 및 저장공간을 나타내는 아카이브(11.3%), 연결 및 접근 경로(6.6%)의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온라인 상황에서도 전시관 구축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참관객들에게 제품 및 서비스가 잘 보여 질 수 있도록 하는 요소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 있게 보여준다. 본 연구는 팬데믹 시대의 무역전시회에서 온라인 전시회 개념을 정립하고 온라인 전시 통합 모델과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 구축 속성을 분석하고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주최자가 전시 기획에서부터 전시 주제와 전시품에 대해 적용 가능한 기술 속성 선택을 돕고, 관람객의 만족도 높은 전시 경험을 제공되는 플랫폼 구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