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급인력의 인구이동패턴과 인적자원의 지역 불균형

        강은택(Kang, Eun-Taek),강정구(Kang, Jung-Ku),안아림(Ahn, Ah-Rim),마강래(Ma, Kang-Rae) 대한부동산학회 2016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4 No.2

        고급인력의 유입, 지원시설 및 상업시설 유치와 일자리 창출 등 대학은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이 지역 경쟁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제대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졸업생들이 해당 지역에 머물며 생산 및 소비 등의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역 내에서 고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졸업생들이 해당 지역에서 머무르는 비중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과 직장지 간의 이론적 ‘최소이동거리’와 ‘실제이동거리’를 비교함으로써, 대학과 산업의 일치도가 지역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과통근(excess commuting) 분석 틀을 이용하여 최소이동거리와 실제이동거리를 계산하고 대학소재지와 직장지간의 불일치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비수도권에 비해 수도권에 취업기회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04년에 비해 2009년 최소이동거리는 비슷한 반면 실제이동거리는 증가하였다. 이는 대학과 직장지의 불일치에 직장의 수가 아닌 다른 요인이 작용함을 시사한다. 셋째, 학력이 높을수록 대학과 산업의 일치성이 낮아지는 현상은 비수도권에서 특히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수도권 지역의 인적자본 유출의 심각성과 지역 수준의 산・학・연 연계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It has generally been considered that accumulation of the highly educated has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ies.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Seoul Metropolitan Area(SMA) has enjoyed a relatively large brain gain while non-SMA regions has suffered brain dr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evel of human capital retainment by measu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and the smallest possible migration distances of university graduates. The smallest possible average distances can be obtained by the linear programming that reassigns the locations of universities and jobs to minimize the total average migration costs to find the optimal migration flow. The main findings are that firstly, the amount of excess migration had increased between 2004 and 2009, indicating the growing mismatch between universities and work places. Secondly, higher excess migration rat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years of education among th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Lastly, the university graduates from the non-SMA region tend to have a higher excess migration rate than those from the SMA area.

      • KCI등재

        경제체제개혁하의 중국조선족여성의 사회적 지위변화

        박명희(PARK Myung-hee)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4

        중국정부가 개혁개방정책을 표방하면서 빠르게 조성된 시장경제 환경은 전통적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던 조선족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선족은 동북지역에서 수전(水田)을 개발하면서 집거구를 형성하고, 농업의 특성상 집단노동의 필요에 의해 자연히 촌락중심의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공동체는 개혁개방정책 도입이후 호구제도 약화 등 요인으로 이촌향도의 탈농촌 현상을 촉발하게 되었다. 토지의 경작면적이 적고 인구밀도가 높은 내지 농촌에서 발생한 잉여노동력이 비농업영역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인구이동을 초래한 것으로, 특히 도시로의 이주를 부채질하고 있다. 이와 관련, 시장경제의 활성화로 발생한 산업구조의 변화는 조선족 남성뿐 아니라 여성들에게도 넓은 취업공간을 제공해 주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녀들은 집거지역을 떠나 도시의 제2, 3차 산업으로, 그리고 일부는 국외 노무수출의 방식으로 진출하여 소득증대를 꾀하고 있다. 개혁개방과 함께 조선족 농촌사회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분석해 볼 때, 특히 두드러진 현상은 인구유동에 따른 경제구조의 변화와 기층사회내부의 변화이다. 개인소유의 사업 및 자유시장의 확대는 점차적으로 조선족의 민족정체성을 결여시키고 있으며, 도시화 현상의 가속화는 조선족 농촌사회 내부에 새로운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선족 상황에 대하여 대부분의 현지 지식인들은 ‘조선족 공동체의 붕괴’라는 비관적 견해를 표명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조선족문제는 또 다른 의미로 볼 때 농민공문제라고 말할 수 있으며, 이는 중국당국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open-door reformation, one of the most salient points in the ethnic Korean females in China would be the radical change in economic structure and inner sections of society due to the floating population of Koreans in China. Expanding private business and free-market gradually results in the lack of their ethnic identity, and the acceleration of urbanization breeds discord in their internal rural society. The migration of the Korean females in China is clearly influenced by the increased economic opportunity offered by the open-door policy. Revitalized foreign trade and investment promoting rapid labor-intensive industry in the coastal area has offered economic opportunity that induces the labor out of the overpopulated rural area. Thus the issues of ethnic Koreans can be in a way subsumed under the general matter of rural labor migration in China, which calls for a countermeasure to resolve the excessive supply of rural labor and to stabilize rural population including the labor migration of the ethnic Koreans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