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교육 보육기관 통합평가지표의 물리적 환경 평가에 대한 분석: 미국과 호주의 평가 지표와 비교

        김희진,박재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This paper focuses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physical environment(facility installation, environment composition) of the Korean accreditation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develop the Korean accreditation system, this paper will compare and contrast the evaluation criteria of physical environment of Korean accreditation system and those of physical environment of the American and the Australian accredit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comparisons with those of the two count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acility installation' sub-scale, there was a report on the installation and developmental suitability, but there was no indication of safety adequacy and facilities for disability for children. Second, in the 'Environment composition' sub-scale, there was a report on the composition suitability and developmental suitability, but there was no indication of harmony with environment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more detailed criteria for indoor and outdoor safety need to be added to evaluate the physical environment. Second, definitions and key concepts of each evaluation category need to be clarified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tegory. Third, in order for children to learn about environment protectio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hysical environment need to reflect these concepts, and should be evaluated as well. Finally, the accreditation criteria need to evaluate how well the physical environment accommodates the needs of those with various disabilities. While evaluation criteria need have clear guidelines to ensure a high standard of “care” among all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t should also be flexible enough to be properly implemented based on relevant context of each institution.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통합평가지표의 4개 카테고리 중 물리적인 환경(시설설비 환경 구성)의 평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영유아교육·보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의평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지표의 적절성과 보완점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평가를위한 제언을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유치원 어린이집 통합평가지표, 미국의지표 ACECQA호주의 지표의 물리적 환경 평가 지표와 비교 분석하였다두 국가와의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평가지표의 경우 시설설비 항목 중 실내·외 시설설치여부, 발달 적합성에 관한 내용이 있었고, 안전적합성과 장애유아시설에 대한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환경 구성 항목 중 실내·외 공간구성 적합성, 발달 적합성에 관한 내용이 있었고, 장애유아에 대한 내용과 환경과의 연계에 대한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첫째,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물리적 환경 항목에 실내·외 안전 적합성에 대한 내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으며, 둘째, 평가 지표 항목의 카테고리를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었다. 셋째, 환경과의 연계에 대한 내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으며, 넷째, 장애 유아를 위한 시설의 고려를 포함하는 내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다. 다섯째, 융통성있게 운영이 가능하도록 세부적 내용의 수정이 필요하였으며 전체의 조화로운 구성을 평가하는 항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다. 끝으로 우리나라의 지표에 두드러진 발달을 고려한 내용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