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동조합 설립시 신고주의에 관한 연구

        양재헌(Jae Heon-Yang)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論叢 Vol.23 No.-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freedom of association, freely common rights, is optional private freedom of association based on liberty from nation's interference·manipulation. This is guaranteed by the principle of free establishment. But, our civil law never allow the principle of free establishment because in the foundation of corporation, our law follow the principle of judging by the law and the principle of law making(5kinds of principles concerning following rules, official authorization, permission, patent, compulsion.).Trade union, worker's randomly organization, is similar to nonprofit private organization founded by Enforcement Decree of the specific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 Adjustment Act, and if you do enrollment of corporation, as a nonprofit organization, this is applied by the rule for private corporation. That is, Trade union is an organization that guarantees worker's independence and democracy that follows the principle of reporting establishment and in the management, this organization has a feature that guarantees the privilege of the right to independent association, the right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ction that is stated in the constitution. By the way, in formal, the principle of reporting is forming in the principle of following rule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free establishment. So It looks like that has no problem. But actually, it has a problem by the judging system stated in the specific law, acknowledging the establishmen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office's free determined action. That's because unlike other ordinary organizations, Trade union is a privileged union that the nation guarantees the common rights about survival, so they ruled particularly. But the purpose of legislating is upgrading worker's living quality by the worker's right to organize and guaranteeing worker's right to live, and in the viewpoint of this purpose, regulating more particularly and harder than the ordinary organizations may be out of step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Moreover, in case you didn't receive establishment license by the administrative office, not allowing to use the name of the name of Trade union by regulation is interfering labor union's history, autonomy, independence, and this is the rule that interferes the worker's right to organize, autonomy, self-control and not existing any other developed nations.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highlighting the principle of reporting establishment about Trade union's characters and problems, and what the solution is. Except guarantee to the Trade union's right to organize, the common right related to the right to life. 헌법상 자유권적 기본권인 결사의 자유는 임의적인 사적 결사의 자유로서 사회적 집단형성에 대한 국가적 간섭·조작으로부터의 자유를 그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 그 설립의 자유가 보장되는 자유설립주의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민법은 법인설립에 있어서 법정주의를 취하고 있고, 법인설립시 입법주의로는 각 개별법에 따라 준칙주의, 인가주의, 허가주의, 특허주의, 강제주의를 따르고 있어 어떤 경우에도 자유설립주의를 허용하지 않는다. 근로자의 임의단체인 노동조합은 비영리사단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결사체로 특별법인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의해 설립이 되며, 법인등록을 할 경우 비영리사단법인으로서 법인에 관련된 규정은 민법상 사단법인의 규정을 적용받도록 되어있다. 즉, 노동조합은 근로자들의 자주성과 민주성이 보장되는 임의단체로서 헌법상 자유권적 기본권인 결사의 자유에 의거 근로자들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설립신고주의를 취하고 있으며, 운영에 있어서는 헌법상 생존권적 기본권인 단결권과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의 특권을 보장받는 단체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단체이다. 그런데, 형식적으로는 이 설립신고주의가 자유설립 주의에 가까운 준칙주의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위 특별법에 규정된 결격요건의 실질적 심사제도에 따라 행정관청의 자유재량행위에 의거 설립을 인정하는 허가주의의 성격을 취하고 있어 문제가 있다. 이는 노동조합이 일반단체와 다르게 생존권적 기본권까지 보장받는 특권단체라고 해서 그 설립요건을 까다롭게 규정한 것인데 근로자의 단결권이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근로자의 생존권을 보장하고자하는 데 입법목적이 있음을 살펴 볼 때, 일반단체보다도 더 까다롭고 어렵게 규제를 하는 것은 오히려 헌법정신에 어긋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행정관청에 의해 설립신고증을 교부받지 못할 경우 노동조합의 명칭조차도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는 것은 노동조합의 역사성과 근로자의 자주성 및 민주성을 침해하는 것으로 심히 우려스러운 발상이 아닐 수가 없으며, 선진국 어디에도 없는 근로자의 단결권 및 자주성과 자율성을 침해하는 규정이 아닐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동조합의 생존권적 기본권인 단결권보장은 논외로 하고 헌법상 자유권적 기본권인 결사의 자유에 대한 관점에서 노동조합 설립신고주의의 성격과 문제점을 조명하고 그 개선방안이 무엇인지를 논구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국제적 사업자 간 용역 거래(Cross Border B2B Service Transaction)의 부가가치세 과세 이론 등에 대한 소고

        이호섭,박훈 한국세무학회 2024 세무학 연구 Vol.41 No.1

        2021년 10월에 디지털 경제에 대한 글로벌 과세체계 확립을 위한 ‘디지털세’ 원칙 도입이 136개(2023.7.13. 현재 138개) 회원국의 승인을 받음으로써 소득과세 측면에서 진일보한 조세개혁이 이루어졌다. 해당 ‘디지털세’ 내용은 세계에서 최초로 우리나라가 법령에 도입(2022년 12월 31일)하여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소득산입규칙’의 적용 등 일부 규정은 2025년 1월 시행 예정)되고 있으며, 각국의 입법 작업이 현재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동향 하에 향후 부가가치세 분야에서도 ‘국제적 사업자 간 용역거래’에 있어 이중과세 및 이중 비과세를 축소하면서 과세 기반을 확대하려는 각 국가의 정책 수요는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현시점에서 ‘국제적 사업자 간 용역거래’[Cross Border Business to Business(B2B) Service Transactions]의 부가가치세 과세 이론 등을 주요 논점별로 고찰하면서 개략적인 제도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첫째, ‘공급장소’ 규정과 ‘대리납부 방식’의 의의와 관계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대법원 판례상 이른바 ‘중요․본질설’의 설명력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세부 법리가 필요한 상황이며, ‘대리납부 방식’과 관련하여 ‘국내사업장과 관련 없음’(no intervention) 문언에 대한 해석론의 하나로 ‘직접적․즉각적 관련성’(direct and immediate link) 기준을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둘째, 부가가치세 목적상 ‘고정사업장’(Fixed Establishment, 이하 “FE”라 함) 개념 및 그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소득과세고정사업장(Permanent Establishment, 이하 “PE”라 함)과 부가가치세 “고정사업장(FE)”의 구분과 함께 이른바 ‘적극적 고정사업장’(active FE)과 ‘소극적 고정사업장’(passive FE) 개념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고정사업장(FE)’ 개념의 조건과 작동 방식을 고찰하였다. 셋째, ‘적극적 고정사업장’(active FE)과 ‘공급장소’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였다. 넷째, ‘고정사업장’(FE)과 ‘종속대리인고정사업장’(Dependent Agent Fixed Establishment, 이하 “DAFE”라 함)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부가가치세 과세 이론 및 대법원 판례 동향 등에 기초하여 현시점에서 필요한 부가가치세 과세 방식 선진화 및 국제적 법령 조화(harmonization) 등을 위한 우리나라 법령의 개략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제적 사업자 간 용역거래’와 관련하여 현행 부가가치세법 상 납세의무자(§3), 사업자의 납세지(§6), 용역의 공급장소(§20) 및 대리납부(§52) 등 부가가치세제 일반 원칙 규정을 우선 보완한 후에 필요한 관련 ‘특례규정’을 신설하거나 특례 범위를 확대하는 방향성이 적절하다. 둘째, 현행 ‘대리납부 방식’을 국제적 수준의 일반적․표준적인 규정으로 개편하여 법령의 동조화(Harmonization) 수준을 높여야 한다. 셋째, 소득과세 상 “고정사업장(PE)” 과세 방식과 구별되는 부가가치세 목적상 독자적인 “고정사업장(FE)” 과세 방식의 도입이 입법론상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대리납부 방식’과 부가가치세 “고정사업장(FE)” 과세 방식 적용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방향성을 제언하였고, 부가가치세 목적상 ‘종속대리인 고정사업장(DAFE)’은 “고정사업장(FE)”에 대한 보완 개념으로 도입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In October 2021, the introduction of the ‘Digital tax’ principle to establish a global taxation system for the digital economy was approved by 136 member countries (138 as of July 13, 2023), resulting in an advanced tax reform in terms of income taxation. Republic of Korea is the first country in the world to introduce the ‘digital tax’ into its laws and regulations (December 31, 2022) and it came into effect on January 1, 2024 (some regulations, such as the application of ‘income inclusion rules’, are scheduled to take effect in January 2025). Legislative work in each country is currently underway. Under these international trends, it is expected that each country’s demand for policies to expand the tax base while reducing double taxation and double non-taxation in ‘service transactions between international businesses’ will increase in the field of value-added tax in the future. Therefore, at this point,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for a rough direction for system improvement by examining the value-added tax theory of ‘Cross Border Business to Business(B2B) Service Transactions’ by major issues. First, I looked at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of supply of service’ regulations and the ‘reverse charge mechanism’. According to the current Korean Supreme Court precedent, a new detailed legal theory is needed to suppleme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o-called ‘essential and substantial theory’, and in relation to the ‘reverse charge mechanism’, there is a need for interpretation of ‘no intervention’ in relation to domestic workplaces(PE or FE). It was suggested that the ‘direct and immediate link’ standard could be used as one. Second, I looked at the concept of ‘Fixed Establishment’(hereinafter referred to as “FE”) for its necessity for value-added tax purposes. I looked at the distinction between income tax “permanent establishment(PE)” and value-added tax “fixed establishment(FE)”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cepts of so-called “active FE” and “passive FE.”, the conditions and operating methods of the ‘fixed establishment(FE)’ concept were examined. Third,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fixed establishment(FE)’ and ‘place of supply’ was summarized. Fourth, I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Fixed Establishment’(FE) and ‘Dependent Agent Fixed Establishment’(hereinafter referred to as “DAFE”). Meanwhile, based on these value-added tax taxation theories and trends in Supreme Court precedents, a rough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Korean Tax laws was presented for the advancement of value- added tax taxation methods and harmonization of international laws, which are necessary at the present time. First,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business to business(B2B) service transactions’, the appropriate development direction of Value-added tax Act is to first improve or supplement the general principle provisions, including tax payer(§3), place of business tax payment(§6), place of supply of services(§20), and reverse charge mechanism(§52), etc. and then create related ‘special provisions’ or expand the scope of special provisions. Second, the level of harmonization must be increased by reforming the current ‘reverse charge mechanism’ into general and standard regulations at the international level such as the EU and UK. Third, on the premise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independent “fixed establishment(FE)” taxation method for value-added tax purposes, which is distinct from the “permanent establishment(PE)” taxation method for income taxation, I propose a direction for the applic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reverse charge mechanism’ and the “fixed establishment(FE)” taxation method for value-added tax purposes, and it would be appropriate to operate ‘Dependent Agent fixed Establishment(DAFE)’ as a c...

      • KCI등재후보

        위헌법률심판절차에서 사법작용의 당부를 심사할 수 있는지(上) - 헌법재판소 2012. 5. 31. 선고 2009헌바123 등 전원재판부 결정에 대하여 -

        김시철 사법발전재단 2012 사법 Vol.1 No.21

        구 조세감면규제법(이하 ‘조감법’) 및 그 부칙인 이 사건 부칙규정은 원칙적으로 법인세 부과대상인 법인에 대하여 일정한 조건을 전제로 한시적인 예외를 인정하되, 일정한 기한 내에 조건이 성취되지 않으면 원칙으로 돌아가서 이 사건 부칙규정 등에 근거하여 감면받았던 법인세 등을 제대로 납부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는데, 입법자가 1993. 12. 31. 조감법을 전부 개정하면서(이하 ‘이 사건 전부 개정’) 이 사건 부칙규정의 효력에 관한 명문 규정을 두지 않았다. 이에 관하여 대법원 2008. 11. 27. 선고 2006두19419 판결은 법률의 전문개정에 관한 종래 대법원판례를 유지하면서 특별한 사정의 의미와 판단방법 등에 관한 구체적 기준을 제시한 다음, 이 사건 부칙규정의 경우 특별한 사정이 있기 때문에 이 사건 전부 개정 이후에도 효력이 유지된다고 판시하였는데, 헌법재판소(이하 ‘헌재’)는 2012. 5. 31. 선고한 2009헌바123 등 전원재판부 결정(이하 ‘이 사건 결정’)에서, “이 사건 전부 개정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부칙규정이 실효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된다.”라는 결정주문을 선고하였다. 헌법재판소법(이하 ‘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의 본질은 위헌법률심판과 같으므로, 법 제68조 제2항의 절차에서 해당 법률이 위헌인 이유를 구체적으로 적시하지 아니한 청구는 부적법하고, ‘법률 자체의 위헌 여부’가 아닌 ‘법원의 법률해석의 당부’에 대하여 헌재가 심사하는 것도 부적법하다. 이 사건 결정은 이 사건 부칙규정의 사후적 실효 여부에 관한 문제를 법률의 위헌 여부에 관한 문제로 보고 있는데, 이는 논리의 비약이다. 왜냐하면 헌재가 조세근거 법률을 위헌이라고 결정한 경우도 법률의 사후적 실효원인이 될 수 있지만(상위법우선의 원칙의 문제), 합헌인 구법이 신법에 의하여 폐지되는 경우도 사후적 실효원인이 될 수 있는데(신법우선의 원칙의 구조), 후자는 법률의 위헌 여부와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구인들이 이 사건 부칙규정의 위헌성을 언급하지 아니한 채 단지 그 효력이 상실되었다는 주장만 한 상태에서 법원이 이 사건 부칙규정을 유효한 것으로 해석했다는 이유로 헌재가 법률 자체의 위헌 여부에 관한 다툼이 있다고 판단한 것은 논리의 비약이다. 청구인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배척한 법원의 법률해석을 비난하고 있을 뿐이므로 적법요건이 충족되었다고 볼 수 없다. 위헌법률심판제도는 본질적으로 국회의 입법작용에 대한 통제제도일 뿐, 행정작용·사법작용에 대한 통제제도가 될 수 없다. 그렇다면 설령 헌재 판시와 같이 이 사건 부칙규정을 유효하다고 본 법원의 해석이 잘못되었고 입법권을 침해하였다고 가정하더라도, 이런 사정을 근거로 적법요건이 충족될 수는 없다. 그 자체로 법원에게 귀책사유가 있다는 것일 뿐, 입법부에게 잘못이 있다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이다. 권력분립원칙을 토대로 한 위헌법률심판제도의 본질이나 독일·미국의 헌법판례 등에 비추어 볼 때, 권력분립 원칙을 폐기하지 않는 이상 위헌법률심판제도를 법원에 대한 통제수단으로 활용할 수는 없다. 이 사건 결정은 법률에 대한 한정 위헌결정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그 주문 자체에서 실질적으로 재판통제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재판을 헌법소원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지 여부는 헌법제정권자가 정책적으로 결정할 문제이지만, 우리 헌법규정에 비추어 ... The former Act on Regulation of Tax Reduction and Exemption(“the Tax Reduction Act”) and its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cknowledged temporary exceptions for corporate tax imposition on corporations with conditions, but if conditions are not fulfilled, corporate tax reduction based on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should be paid under the principle. Legislators wholly amended the Tax Reduction Act (hereinafter “the amendment of this case”) on Dec. 31, 1993 and there was no provision as to validity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Supreme Court Decision 2006Du19419, Nov. 27, 2008 affirmed the former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stated the meaning of special circumstances and standards for determination. It held that in case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it is valid due to special circumstances after the amendment of this case. But Constitutional Court Order 2009HunBa123, May 31, 2012 (“the order of this case”) held that “it is unconstitutional to interpret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not invalidated despite the whole amendment of this case.”The essence of constitutional petition under Article 68 (2)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the Act”) is equal to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In Article 68 (2) of the Act procedure, the claim is unlawful if the reason why the pertinent statute is unconstitutional is not specifically shown. It is unlawful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review not "the statute itself's unconstitutionality" but “the court's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order of this case saw the issue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s ex post facto invalidation as the statute's unconstitutionality, but it is illogical,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s order to hold a taxation basis statute as unconstitutional may be a cause for the statute's ex post facto invalidation (the principle of the priority of superior law issue), but the constitutional old law repealed by the new law also may be a cause for ex post facto invalidation (the principle of the priority of newly established law), and the latter is unrelated to the statute's unconstitutionality. Thus, where claimants asserted invalidation without mentioning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s unconstitutionality, it is illogical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hold that the statute itself's unconstitutionality is at issue since the court interpreted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s valid. Claimants merely criticised interpretation of the law of the court rejecting their allegation and the elements of lawfulness can not be seen as satisfied. The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system is control over the National Assembly's legislative act, not over administrative·judicial act. As the Constitutional Court reasoning, although the court erred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s valid invaded and invaded legislative power, it does not meet the elements of lawfulness since the court may be responsible,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 legislative branch erred. In light of adjudication system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powers or the constitutional law precedents in Germany or the US, unless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is abolished, the adjudication system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can not be used as control over the court. Despite the form of the order of this case as qualified unconstitutional order, the disposition is clearly control over a trial. Our constitution does not allow a trial petition although it is a matter of constitutional law maker's policy decision. The tests for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are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law.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law undergoing constitutional debate and proof can be the test, and merely conflicts in statutes or relatedness to principle of the...

      • KCI등재

        「2013년 민법개정시안」에 대한 검토 - 계약법총론에 관한 규정을 중심으로 -

        김대정 한국토지법학회 2018 土地法學 Vol.34 No.2

        본고는 「2013년 민법개정시안」 중 계약법 총칙에 관한 민법개정안의 당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계약법 총칙의 주요쟁점을 계약의 성립, 계약의 일반적 효력, 계약의 일방적 해소의 3개 장(章)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Ⅰ. 계약의 성립에 관한 민법개정안1. 청약의 구속력 : ‘계약의 청약은 철회할 수 없다’는 것을 기본입장으로 하는 현행민법과는 정반대로, 「2013년 민법개정시안」은 ‘청약은 원칙적으로 철회될 수 있다’는 것을 기본입장으로 하여 이와 모순되는 현행민법의 규정을 삭제하고 현행민법 제527조 내지 제534조에 해당하는 8개 조문을 제529조, 제530조, 제534조의 3개 조문으로 정리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필자도 이러한 「2013년 민법개정시안」의 개정방안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찬성한다. 다만, ‘승낙의 통지가 승낙기간(또는 상당한 기간) 내에 도착하지 못하고 연착된 경우에는 청약의 의사표시는 효력을 상실한다’고 하더라도, ‘연착된 승낙은 청약자가 이를 새 청약으로 보아 승낙함으로써 계약을 성립시킬 수 있다’고 규정한 현행민법 제530조는 존치시키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2. 계약의 성립시기 : 「2013년 민법개정시안」은 격지자 사이의 계약의 성립시기에 관하여 「발신주의」를 취한 현행민법 제531조를 삭제하고, 「도달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조문인 제534조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입법주의의 전환은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2013년 민법개정시안」이 제527조에서 “계약은 당사자가 법적 구속을 받을 의사로 그 내용을 확정할 수 있는 합의에 이르면 성립한다.”는 규정을 신설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계약은 합의에 의하여 성립한다’는 계약법의 일반원칙을 선언한 규정이라고 생각되나, 민법전에 이러한 당연한 법리를 내용으로 하는 선언적 규정을 둘 필요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또한 동조는 ‘당사자가 법적 구속을 받을 의사로 합의한 경우에 한하여 계약이 성립한다’는 취지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서, 「표시주의계약이론」의 입장에서는 ‘동의할 수 없는 문제조항’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또한 개인의 사상이나 가치관에 따라 관점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문제에 대하여 어느 한 쪽의 편향된 시각을 반영한 일반규정을 민법전에 두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3. 원시적 불능을 목적으로 하는 계약 : 「2013년 민법개정시안」 제535조는 독일민법 제311조a의 규정을 모범으로 한 것이며, 타당한 입법주의의 전환이라고 생각한다. Ⅱ. 계약의 일반적 효력에 관한 민법개정안1. 사정변경의 원칙 : ① 「2013년 민법개정시안」은 「계약의 효력」의 관(款)에 「사정변경」에 관한 제538조의2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계약해제⋅해지에 관한 규정 가운데 「사정변경」에 관한 일반규정을 신설할 것을 제안하고 있었던 「2004년 민법개정안」에 비하면 진일보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사정변경의 원칙」에 관한 신설규정은 쌍무계약의 특수한 효력인 위험부담에 관한 제538조 뒤에 두는 것 보다는 「계약의 구속력의 원칙」을 밝힌 조문을 제2관(계약의 효력) 맨 앞에 두고, 「사정변경의 원칙」을 규정한 조문은 그에 대한 예외규정이라는 점을 명확하게 부각시키기 위하여 그 바로 뒤에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② 「2013년 민법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on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ontract Law in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For this purpose, the main issues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ontract Law were divided into three chapters: in the first plac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act, in the second place the general effect of the contract, and the last the unilateral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Ⅰ. The (Draft of) Revised Bill of the Korean Civil Cod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act 1. The binding force of an offer :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is based on the theory of ‘an offer cannot be withdrawn in principle’. However, in contrast to that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the basic position of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is that ‘an offer can be withdrawn in principle’. Therefore, it proposes to delete the conflicting provisions(from §527 to §534)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and to organize eight clauses to three articles(§529, §530, and §534). I am also basically in favor of the revision of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2.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contract :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proposes that §531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which take the principles of sending on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contract was deleted and a new clause of §534 based on the new principles of arrival will be newly­established. I think this transition of legislation is vali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proposes to newly­establish §527 that prescribes “Contracts shall be established when the parties reach an agreement to confirm that they are willing to be legally bound.”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declares the general principle of the contract law that ‘contracts are formed by agreement’.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is necessary for the civil code to have a statutory declaration that is matter of course. And there is room for interpretation to be made to the effect that ‘the parties acknowledg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act only when they agree that they intend to be legally bound’.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 principles of indication」, there may be criticism that ‘the clause is totally unacceptable’. It is not reasonable to have a general rule that reflects either side's biased view of the law on matters that may differ in perspective depending on individual ideas or values. Therefore, the above clause(§527) will have to be deleted. 3. A contract with a view to primitive impotence : The §535 of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take the provision §311a of the German Civil Code as a model. I think this is a fair change of legislative’s principle. Ⅱ. The (Draft of) Revised Bill of the Korean Civil Code on the General Effect of Contract 1.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 ①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the Korean Civil Code」 stipulates the new clause §538­2 on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n subsection of 「the Effect of Contract」. ②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the Korean Civil Code」 provides for a more specific and clear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add to §538­2 the requirement that ‘the change of circumstances will not be attributable to the parties’. ③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the Korean Civil Code」 states that “the parties may request the modification of the contract or cancel or terminate the contract”. This denie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contract through court intervention, and this means that the disadvantaged party acknowledges that it has the option to choose between the right to amend the contract and the right to cancel the contract. This would result in an adverse effect on 「the p...

      • KCI등재

        국제노동기준에 부합하는 노동조합 자격심사

        김남진(Kim Nam-Jin)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23 노동연구 Vol.47 No.-

        헌법 제33조와 노조법 제5조, 제10조, 제12조는 근로자의 단결권과 노동조합 자유설립주의, 노동조합의 설립신고, 행정관청의 설립신고증 교부 및 설립신고서 반려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설립신고제도가 행정관청의 형식적·실질적 심사를 통해 효율적인 노동행정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긍정적 측면도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행정관청의 개입에 의한 실질적 심사가 헌법 및 ILO 결사의 자유 협약상의 단결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 또한 부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헌법과 국제노동기준상의 자유설립주의를 보장하는 방향에서 설립신고제 도 전반에 대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우선, 형식심사와 실질심사를 제도적으로 분리하여 형식심사는 현행대로 행정관청에서 관장하되 논란의 소지가 없도록 그 심사기준을 명확히 하여 제출된 서류만으로 심사하고, 실질심사는 노동관계 전문성을 갖춘 노동위원회로 하여금 관장하게 하여 행정관청의 개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하는 실질심사(자격심사)는 노동위원회의 각 절차(노동쟁의의 조정 및 부당노동행위의 구제 신청) 이 용의 단계에서 노사관계 당사자간 견제와 균형의 원리에 입각하여 사용자 및 경쟁노조의 자주성 등과 관련한 이의 제기가 있는 경우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개별노조 내부에서 소속 조합원 2/3 이상이 자주성 등과 관련한 이의 제기가 있는 경우에도 보충적으로 노동위원회의 절차 이용 단계와 관계 없이 수시로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할 경우, 기존 제도의 장점인 노동행정의 효율성은 유지하면서도, 행정관청에 의한 단결권 침해 소지 없이 헌법과 국제노동기준상의 노동조합 자유설립주의 원칙에 부합하는 합리적 제도 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Articles 33 of the Constitution and Articles 5, 10, and 12 of the Trade Union Act stipulate workers’ right to organize, the principle of free establishment of trade unions, the report of the establishment of a trade union to the administrative office, the issuance of a certificate of establishment by the administrative office, and the return system of the report of establishment. There are also positive aspects of this establishment reporting system, such as enabling efficient labor administration through formal and substantive examination by the administrative office, but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difficult to deny that substantive examination by the administrative office’s intervention is likely to violate the light to organize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ILO Convention on Freedom of Associ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verall establishment reporting system in the direction of guaranteeing free establishmentism under the Constitution and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First, the formal examination and substantive examination are institutionally separated, and the formal examination is managed by the administrative office as it is currently the case, but the examination is conducted only with documents submitted by clarifying the examination criteteria so that there is no controversy, and the substantive examination is to fundamently block the intervention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by having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with labor relations expertise in charge. Next, the substantive examination (qualification examin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shall be reviewed at the age of the use of each procedure(adjustment of labor disputes and application for relief of unfair labor practices) by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parties, if there are objections regarding the independence of employers and competitive unions, and if more than two-thirds of the members raise objections regarding independence within individual unions, the review shall be conducted from time to time regardless of the stage of use of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s procedures. In this way, I think it will be possible to operate a rational system that conforms to the principle of free establishment of trade unions under the Constitution and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without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organize by the administration while maintaining the efficiency of labor administration.

      • KCI등재후보

        위헌법률심판절차에서 사법작용의 당부를 심사할 수 있는지(下) - 헌법재판소 2012. 5. 31. 선고 2009헌바123등 전원재판부 결정에 대하여 -

        김시철 사법발전재단 2012 사법 Vol.1 No.22

        구 조세감면규제법(이하 ‘조감법’) 및 그 부칙인 이 사건 부칙규정은 원칙적으로 법인세 부과대상인 법인에 대하여 일정한 조건을 전제로 한시적인 예외를 인정하되, 일정한 기한 내에 조건이 성취되지 않으면 원칙으로 돌아가서 이 사건 부칙규정 등에 근거하여 감면받았던 법인세 등을 제대로 납부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는데, 입법자가 1993. 12. 31. 조감법을 전부 개정하면서(이하 ‘이 사건 전부 개정’) 이 사건 부칙규정의 효력에 관한 명문규정을 두지 않았다. 이에 관하여 대법원 2008. 11. 27. 선고 2006두19419 판결은 법률의 전문개정에 관한 종래 대법원판례를 유지하면서 특별한 사정의 의미와 판단 방법 등에 관한 구체적 기준을 제시한 다음, 이 사건 부칙규정의 경우 특별한 사정이 있기 때문에 이 사건 전부 개정 이후에도 효력이 유지된다고 판시하였는데, 헌법재판소(이하 ‘헌재’)는 2012. 5. 31. 선고한 2009헌바123 등 전원재판부 결정(이하 ‘이 사건 결정’)에서, “이 사건 전부 개정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부칙규정이 실효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된다.”라는 결정주문을 선고하였다. 헌법재판소법(이하 ‘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의 본질은 위헌법률심판과 같으므로, 법 제68조 제2항의 절차에서 해당 법률이 위헌인 이유를 구체적으로 적시하지 아니한 청구는 부적법하고, ‘법률 자체의 위헌 여부’가 아닌 ‘법원의 법률해석의 당부’에 대하여 헌재가 심사하는 것도 부적법하다. 이 사건 결정은 이 사건 부칙규정의 사후적 실효 여부에 관한 문제를 법률의 위헌 여부에 관한 문제로 보고 있는데, 이는 논리의 비약이다. 왜냐하면 헌재가 조세근거 법률을 위헌이라고 결정한 경우도 법률의 사후적 실효원인이 될 수 있지만(상위법우선의 원칙의 문제), 합헌인 구법이 신법에 의하여 폐지되는 경우도 사후적 실효원인이 될 수 있는데(신법우선의 원칙의 구조), 후자는 법률의 위헌 여부와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구인들이 이 사건 부칙규정의 위헌성을 언급하지 아니한 채 단지 그 효력이 상실되었다는 주장만 한 상태에서 법원이 이 사건 부칙규정을 유효한 것으로 해석했다는 이유로 헌재가 법률 자체의 위헌 여부에 관한 다툼이 있다고 판단한 것은 논리의 비약이다. 청구인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배척한 법원의 법률해석을 비난하고 있을 뿐이므로 적법요건이 충족되었다고 볼 수 없다. 위헌법률심판제도는 본질적으로 국회의 입법작용에 대한 통제제도일 뿐, 행정작용·사법작용에 대한 통제제도가 될 수 없다. 그렇다면 설령 헌재 판시와 같이 이 사건 부칙규정을 유효하다고 본 법원의 해석이 잘못되었고 입법권을 침해하였다고 가정하더라도, 이런 사정을 근거로 적법요건이 충족될 수는 없다. 그 자체로 법원에게 귀책사유가 있다는 것일 뿐, 입법부에게 잘못이 있다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이다. 권력분립원칙을 토대로 한 위헌법률심판제도의 본질이나 독일·미국의 헌법판례 등에 비추어 볼 때, 권력분립 원칙을 폐기하지 않는 이상 위헌법률심판제도를 법원에 대한 통제수단으로 활용할 수는 없다. 이 사건 결정은 법률에 대한 한정 위헌결정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그 주문 자체에서 실질적으로 재판통제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재판을 헌법소원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지 여부는 헌법제정권자가 정책적으로 결정할 문제이지만, 우리 헌법규정에 비추어 ... The former Act on Regulation of Tax Reduction and Exemption(“the Tax Reduction Act”) and its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cknowledged temporary exceptions for corporate tax imposition on corporations with conditions, but if conditions are not fulfilled, corporate tax reduction based on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should be paid under the principle. Legislators wholly amended the Tax Reduction Act (hereinafter “the amendment of this case”) on Dec. 31, 1993 and there was no provision as to validity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Supreme Court Decision 2006Du19419, Nov. 27, 2008 affirmed the former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stated the meaning of special circumstances and standards for determination. It held that in case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it is valid due to special circumstances after the amendment of this case. But Constitutional Court Order 2009HunBa123, May 31, 2012 (“the order of this case”) held that “it is unconstitutional to interpret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not invalidated despite the whole amendment of this case.”The essence of constitutional petition under Article 68 (2)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the Act”) is equal to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In Article 68 (2) of the Act procedure, the claim is unlawful if the reason why the pertinent statute is unconstitutional is not specifically shown. It is unlawful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review not "the statute itself's unconstitutionality" but “the court's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order of this case saw the issue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s ex post facto invalidation as the statute's unconstitutionality, but it is illogical,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s order to hold a taxation basis statute as unconstitutional may be a cause for the statute's ex post facto invalidation (the principle of the priority of superior law issue), but the constitutional old law repealed by the new law also may be a cause for ex post facto invalidation (the principle of the priority of newly established law), and the latter is unrelated to the statute's unconstitutionality. Thus, where claimants asserted invalidation without mentioning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s unconstitutionality, it is illogical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hold that the statute itself's unconstitutionality is at issue since the court interpreted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s valid. Claimants merely criticised interpretation of the law of the court rejecting their allegation and the elements of lawfulness can not be seen as satisfied. The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system is control over the National Assembly's legislative act, not over administrative·judicial act. As the Constitutional Court reasoning, although the court erred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s valid invaded and invaded legislative power, it does not meet the elements of lawfulness since the court may be responsible,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 legislative branch erred. In light of adjudication system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powers or the constitutional law precedents in Germany or the US, unless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is abolished, the adjudication system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can not be used as control over the court. Despite the form of the order of this case as qualified unconstitutional order, the disposition is clearly control over a trial. Our constitution does not allow a trial petition although it is a matter of constitutional law maker's policy decision. The tests for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are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law.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law undergoing constitutional debate and proof can be the test, and merely conflicts in statutes or relatedness to principle of the...

      • KCI우수등재

        불법목적의 회사설립과 공전자기록 등 불실기재죄 - 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9도9293 판결 -

        맹준영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6

        대법원은 대상판결에서 피고인이 범죄에 이용할 목적으로 상법상 주식회사 설립등기를 마친 사안에서, 회사로서의 실체가 없다거나 상법상 부존재한다는 이유로는 법인등기부에 불실의 사실을 기록하고 이를 행사하였다는 내용의 공전자기록 등 불실기재죄와 그 행사죄를 무죄로 판단하였다. 대상판결에서는 우리 상법상 회사 설립등기에 창설적 효력이 인정되고, 등기관의 형식적 심사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며, 상법상 회사설립 시에 구체적인 영업의 실질을 갖추는 것까지 요구한다고 볼 근거가 없다는 점 등을 주된 근거로 삼고 있다. 대상판결이 적절하게 설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발기인 등의 회사설립의 의도나 목적은 공시 대상이 된다고 보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정도의 불법성 여하에 따라 회사 성립의 효력을 함부로 부정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대상판결의 결론은 기존에 대법원 판결에 의하여 정립된 회사법상의 관련 법리에도 충실하다고 볼 수 있고, 이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이를 수긍할 수 있다. The Supreme Court of Korea held that in a case where the defendant established a corporation under the Commercial Code and completed the registration process thereof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company for a crime, the above defendant was not guilty of the crime of untrue entry in officially authenticated original deed, on the ground that the company registered should not be regarded as it did not have substance as a company or was inexistent under the Commercial Code. The primary grounds for the Supreme Court’s decision included the following: under the Commercial Code of Korea, the registration of company establishment is recognized as having founding effect, the principle of formal examination by the registrar is adopted by the statute, and there is no basis for assuming that the Commercial Code requires a company to have concrete business substance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The Supreme Court has made clear in the decision that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incorporator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is not subject to public disclosure, and it is undesirable to deny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based on the mere illegality as described above. Th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could be suppor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company law established by the Court.

      • KCI우수등재

        불법목적의 회사설립과 공전자기록 등 불실기재죄 - 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9도9293 판결 -

        孟峻永 ( Maeng Joon Young )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6

        대법원은 대상판결에서 피고인이 범죄에 이용할 목적으로 상법상 주식회사 설립등기를 마친 사안에서, 회사로서의 실체가 없다거나 상법상 부존재한다는 이유로는 법인등기부에 불실의 사실을 기록하고 이를 행사하였다는 내용의 공전자기록 등 불실기재죄와 그 행사죄를 무죄로 판단하였다. 대상판결에서는 우리 상법상 회사 설립등기에 창설적 효력이 인정되고, 등기관의 형식적 심사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며, 상법상 회사설립 시에 구체적인 영업의 실질을 갖추는 것까지 요구한다고 볼 근거가 없다는 점 등을 주된 근거로 삼고 있다. 대상판결이 적절하게 설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발기인 등의 회사설립의 의도나 목적은 공시 대상이 된다고 보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정도의 불법성 여하에 따라 회사 성립의 효력을 함부로 부정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대상판결의 결론은 기존에 대법원 판결에 의하여 정립된 회사법상의 관련 법리에도 충실하다고 볼 수 있고, 이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이를 수긍할 수 있다. The Supreme Court of Korea held that in a case where the defendant established a corporation under the Commercial Code and completed the registration process thereof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company for a crime, the above defendant was not guilty of the crime of untrue entry in officially authenticated original deed, on the ground that the company registered should not be regarded as it did not have substance as a company or was inexistent under the Commercial Code. The primary grounds for the Supreme Court’s decision included the following: under the Commercial Code of Korea, the registration of company establishment is recognized as having founding effect, the principle of formal examination by the registrar is adopted by the statute, and there is no basis for assuming that the Commercial Code requires a company to have concrete business substance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The Supreme Court has made clear in the decision that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incorporator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is not subject to public disclosure, and it is undesirable to deny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based on the mere illegality as described above. Th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could be suppor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company law established by the Court.

      • KCI등재

        비거주자가 하는 국내 용역공급의 부가가치세 과세체계에 관한 연구

        윤지현(YOON, Ji-Hyun) 한국국제조세협회 2018 조세학술논집 Vol.34 No.3

        이 글에서는 비거주자가 거주자인 사업자에게 용역을 공급하는 경우, 우리나라가 이에 대하여 부가가치세 과세권을 행사할 수 있는 요건과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과세권이 있으려면 용역에 해당하는 역무의 제공이 우리나라 영토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용역 공급의 형태가 새로워지고 다양해지는 현재의 상황에서 이를 감안한 새로운 해석론, 나아가서는 입법론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과세권이 있다고 할 때 어떻게 부가가치세를 걷을 것인지 여부는 문제된 비거주자의 부가가치세 고정사업장 – 부가가치세법의 용례로는 ‘국내 사업장’ - 이 우리나라 안에 있는지, 그 용역 공급이 이러한 고정사업장과 ‘관련’되어 있는지에 달려있다. 부가가치세 고정사업장이 있고 용역 공급이 이에 관련된 경우에만 비거주자가 고정사업장 납부의 의무를 지고, 그 밖의 경우에는 공급 상대방의 대리납부 의무가 문제된다. 그런데 부가가치세 고정사업장이나 관련의 개념 중 어느 것도 부가가치세법에서 더 자세한 해석의 단서를 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해석론을 정립할 필요가 있는데, 이 글은 이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주장을 제시하였다. 첫째, 부가가치세 고정사업장을 소득과세 고정사업장과 완전히 동일시하는 것은 부가가치세법의 문언으로는 문제가 없겠지만, 둘의 기능이 같지 않고 이들에 관한 최근의 이론적 동향도 같은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옳지 않다. 둘째, 이들 개념의 해석에 관하여 논리필연적인 정답을 찾기는 어려움을 전제로, 이 글에서는 단순명쾌하게 해석․적용하기 어려운 개념들의 수를 최소화하여, 가장 간명하면서 행정․순응 비용을 줄이는 해석론이 바람직하다는 방법론을 먼저 제시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부가가치세 고정사업장은 일반적인 사업장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고, 관여의 개념은 공급과 같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함이 타당하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물론 그렇다고 ‘사업장’이나 ‘공급’의 개념이 (부가가치세 고정사업장이나 관여보다) 늘 명쾌하다는 것은 물론 아니지만, 적어도 두 가지의 불명확한 개념을 두고 따로따로 해석․적용하려고 애쓰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고 생각한다. 셋째, 이렇게 볼 때 여기서 말하는 관여란, 역무의 제공에 문제된 부가가치세 고정사업장의 인적․물적 자원이 동원되었고, 그것이 그 비거주자가 보유한 다른 사업장의 인적·물적 자원이 동원된 정도와 비교할 때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경우를 가리킨다. 그리고 사실은 이것이 부가가치세법이 전제하는 용역 공급의 정의라고도 할 수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when and how Korea levies value added tax (“VAT”) on services supplied to resident businesses by non-resident suppliers. Adhering to the so-called “destination principle”, Korean VAT law provides that services should be physically provided within Korea to be subject to VAT in Korea. However, as services are increasingly provided remotely through electronic means, the focus on the place of physical performance or delivery of service now seems outdated.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ntroduction of a new law, whether via a court precedent or legislative action, is urgently needed in this rega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particular service has been supplied within Korea, the tax authorities collect VAT through either a fixed establishment (“FE”) or the reverse-charge mechanism. The former applies when a non-resident supplier has a FE in Korea, and that FE is “related” to the relevant supply of service. However, Korean VAT law defines neither of these terms, and this article attempts to present some guidance to reduce the administrative or compliance costs. First, the term “FE” in relation to the VAT law should not be fully equated with the term “permanent establishment” (“PE”) in the context of an income tax treaty because their roles and functions are markedly different. Secondly, this article acknowledges that no single interpretation can exclusively be a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se concepts. Rather, this article seeks the interpretation that may reduce the administrative and compliance burdens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Based on this methodological premise,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term “FE” should be understood as a type of ordinary business establishment under the VAT law, and the term “relation” should be eqivalent to “supply.” Following the review of the provisions of the Korean VAT law and various materials (both Korean and foreign) including court decisions, administrative rulings and practices, and views of commentators, it is submitted that there is a strong support for the foregoing cost-reducing interpretations, which are also in line with standard international VAT practices. Thirdly, the requirement of “relation” (or “supply”) is met when employees, materials and technical resources of a FE are mobilized in the provision of services to an extent greater than those of any other business establishment that belongs to the same taxpayer. This is in a sense not that different from the general definition of “supply of service.”

      • KCI등재

        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 - 대상판결 : 대법원 2010.1.28. 선고 2009다73011 판결

        최성경 한국민사법학회 2011 民事法學 Vol.53 No.-

        This review of judicial decision is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0. 1. 21 decision 2009da73011. The plaintiff had bought the land to develop it as a housing complex when he had made a contract to the entire land and had paid whole on February 1, 1973. He had not completed transfer registration of the part of the land, though, to avoid registration expense and taxation. The plaintiff has not claimed transfer registration of property from the defendant, Choi ever since he had made contract till he had received the injunction for prohibition of disposition on the part of the land on April,28, 2000 by Seoul district court. This land in argue has been used as the pavement for the housing complex and was once paved in 2000. After then, it was not managed well and so was not in good condition. Under this circumstances, he had claimed the implementation of transfer registration of the land in argue. As for this, the Supreme Court made judgement on extinctive prescription to claim transfer registration that if the purchaser of the land had handed it over and has occupied it, the time limitation does not apply because someone who had executed the rights on hand-over or registration could not be seen as neglecting the rights on the whole, quoting the precedent Supreme Court decision of 1976. 11. 6 Decision 76da148. Adding,even though this land has been used as a passage for neighbors, it could be regarded as occupied by him. This study reviews on purchaser's occupation and the extinctive prescription to claim registration by Supreme Court's decision. For this purpose, relevant precedent decisions and law theories were reviewed along the change of time. And, the significance and the righteousness of the decision is evaluated and the author's opinions on that are expressed. For the settlement of registration and it's advancement and the principle of the requisite for establishment, it should be viewed that there always is time limitation for the right to claim registration regardless of occupation and utilization. This is the way registration system should follow under current Korean Civil Code which had converted to the principle of the requisite for establis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