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nvironment in the Box of Cold-War Developmentalism: North Korea’s 1970s Discourse on Pollution (konghae)

        조은성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8 No.2

        This paper examines the unfolding of North Korean discourse on “konghae (pollution)”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and developmentalism during the 1970s. Scrutinizing how the North Korean regime justified its own environmental management approach by critiquing the handling of the konghae issue in capitalist states, this study elucidates the impact of North Korea’s Cold War framing on the intertwined dynamics of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import of Japanese polluting industries into South Korea triggered the introduction of the term konghae into the North Korean vernacular and the subsequent proliferation of related discourse, which may have also been influenced by the growing global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matters and the corresponding dialogue on potential solutions. While Cold War framing impeded North Korean acknowledgment of its own developing pollution problem, discourse on pollution expanded as it became harder to ignore the growing phenomenon of pollution within the country and awareness of pollution became more common. This led to efforts in the 1980s and 1990s to respond to environmental concerns in North Korea,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in 1986 and the incorporation of environmental rights into the Constitution in 1992. This paper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he 1970s as a pivotal pre-transition phase during which North Korea’s environmental discourse evolved from a confined focus on konghae to a broader, more comprehensive conception of the environment. Despite this progression, the developmentalist idea that technological advancement can resolve environmental challenges persists in the DPRK.

      • Investigating Science-Policy Interfaces in Japanese Politics through Climate Change Discourse Coalitions of an Environmental Policy Actor Network

        Hartwig, Manuela G. World Association for Triple Helix and Future Stra 2019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Vol.18 No.2

        How is science advice integrated in environmental policymaking? This is an increasingly pertinent question that is being raised since the nuclear catastrophe of Fukushima, Japan, in 2011. Global re-evaluation of energy policies and climate mitigation measures include discussions on how to better integrate science advice in policymaking, and at the same time keeping science independent from political influence. This paper addressed the policy discourse of setting up a national CO2 reduction target in Japanese policymaking between 2009 and 2012. The target proposed by the former DPJ government was turned down, and Japan lacked a clear strategy for long-term climate mitigation. The analysis provides explanations from a quantitative actor-network perspective. Centrality measures from social network analysis for policy actors in an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of Japan were calculated to identify those actors that control the discourse. Data used for analysis comes from the Global Environmental Policy Actor Network 2 (GEPON 2) survey conducted in Japan (2012-13). Science advice in Japan was kept independent from political influence and was mostly excluded from policymaking. One of the two largest discourse coalitions in the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promoted a higher CO2 reduction target for international negotiations but favored lowering the target after a new international agreement would have been set. This may explain why Japan struggled to commit to long-term mitigation strategies. Apply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quantitatively calculate discourse coalitions was a feasible methodology for investigating "discursive power." But limited in discussing the "practice" (e.g. meetings, telephone, or email conversations) among the actors in discourse coalitions.

      • KCI등재후보

        미디어에 나타난 의류 재활용 관련 담론과 사회적 논의 방식

        조희진(Cho Hee-Jin) 실천민속학회 2010 실천민속학연구 Vol.16 No.-

        이 연구는 산업사회의 상품 생산 및 소비문화 확대로부터 파생되는 환경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의류 재활용이 확산ㆍ실천되는 상황에 주목했으며, 그러한 활동에 영향을 주는 사회 담론의 구성 방식과 역할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의류 재활용은 개인적 차원에서의 실천과 사회적 차원에서의 운동, 그러고 기업 시스템의 도입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은 다시 사회적 선행 담론, 슬로 패션(slow fashion) 담론, 환경 친화적 패션 담론, 전통적 미덕 계승 담론 등 독자적인 논의의 틀과 만나 사회적 가치와 당위성을 부여 받는다. 이들 담론은 환경오염 문제에 관한 인식과 현명한 소비 주체로서의 자세를 요청하고 재활용 상품이 갖는 패션상품으로서의 가능성, 근검절약과 같은 전통적 미덕과 가치를 되살리자는 운동으로서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의류 재활용을 둘러 싼 각각의 담론은 환경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과 방법론적 지향점을 제공하며 이러한 담론 구성 과정에서 과거 전통사회의 미풍양속 개념과 현대사회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이 오버랩되는 특성을 보인다. 특히 이 연구에서 주목한 미디어는 다양한 사회 담론을 전달하고 확산시키며 담론 형성 과정에서 생산되는 논의를 공유하는 장(場)의 역할을 한다. 개인은 미디어를 통해 생산ㆍ공유되는 의류 재활용 담론을 통해 현명한 소비, 절약, 절제와 같은 전통적인 관념의 재구조화를 경험하고 환경 문제와 같은 거대 쟁점을 일상의 차원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결국 의류 재활용과 관련된 사회 담론은 그러한 행위와 실천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뒷받침하는 논거이자 미풍양속적 속성을 담보한 행위규범모형(norm-activation model)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situation in which clothing is increasingly reused in order to cope with environmental problems derived from industrial production of commodities and expansion of a consuming culture. The study is intended to find ways of constructing social discourses that affect clothing reuses, and to catch the roles of those discourses. Clothing reuses ate divided into three types : individual practice, social campaign, and industrial system introduction, Each type forms its own frame of discourses such as precedented social discourses, slow fashion discourses, environment-friendly discourses, and discourses inheriting traditional virtues. Each is granted social values and justified. These discourses require the public to percei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be main agents of sensible consumption, These discourses also include the possibilities of reused items' being fashionable, and campaigns to revive the traditional virtues and values like diligence and thrifty. Each discourse about reusing clothing provides various alternatives to cope with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direction to which methods should be oriented. In the course of discourse construction,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notions of the traditional morals and customs do not run counter to mechods of solving the problems the modern society faces. In particular, the media on which this study focuses, delivers and spreads various social discourses, and enables the public to share the discussion about clothing reuses produced in the course of forming discourses. The discourses about clothing reuses produced by the media are shared, which gets the public to reconstruct traditional ideas such as wise consumption, thrifty, and temperance. It also gets the public to practice an important modern issue like environmental matters in daily lives. In conclusion, social discourses related to clothing reuses work as convincing argument bases on which to account for the justification in practicing the issues, and also as norm-activation models based on the attributes of traditional morals and customs.

      • KCI등재

        A corpus-based study of green discourse in the South Korean press in comparison with the US press

        Bang Min-hee,Shin Seo-in 한국사회언어학회 2012 사회언어학 Vol.20 No.1

        Bang, Min-hee·Shin, Seo-in. 2012. A corpus-based study of green discourse in the South Korean press in comparison with the US pres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1). pp. 79-110. This paper analyses corpora of South Korean and US newspapers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The analysis focuses on the frequency and collocation of 녹색(noksaek: green) denoting environmental- friendliness. As a corpus-based study, the analysis aims to show how environmental issues are construed in the use of noksaek through collocational patterns and the context in which it occurs. The English word green is analysed for comparison as the English translation equivalent of noksaek. 그린(grin: green), a phonetic translation of green is also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 green discourse in the South Korean press is expressed in 성장(seongjang: growth), the top collocate of noksaek. The construal of environmental issues as a matter of economic growth is a distinctively Korean approach, contrasting with the ways the issues are talked about in the US press. The use of grin(green) in the South Korean press shows that grin(green) is mainly used in the commercial sector and often to mask an un-green aspect of an entity modified by the word. (172 words)

      • 통일사상으로 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생태담론의 발전적 고찰

        위인규 통일사상학회 2023 통일사상연구 Vol.25 No.-

        생태신학은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의 위기에 대한 반성으로 등장하였고, 종교와 인종, 국가를 초월하여 전 인류는 이제 환경위기 극복을 위해 발벗고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하 가정연합) 또한 지구환경 위 기 극복을 위해 동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사상적 관점으로 가정연합의 생태담론의 발전적 방향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가정연합이 가진 생태담론은 기독교가 발전시켜온 생태신 학과 환경론자들의 노력처럼 환경평화를 조성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연합의 생태담론에 대한 논의는 기독교에 비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었고, 그에 대한 실천 또한 발전하지 못하고 있 었다. 이에 가정연합의 생태담론의 확산과 발전을 위해서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고 제안하였다. 가정연합의 생태사상에 기초한 ‘운동화’의 필요성과 생태 이슈에 대한 가정연합의 입장정리와 표명, 그리고 타 종교(FBO)와의 연대활동 활성화 등이 그것이다. Ecological theology emerged as a reflection on the environmental crisi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all of humanity, regardless of religion, race, and nation, is now taking steps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In this situation,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also needs to join in overcoming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FWPU’s ecological dis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Though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cological discourse of FFWPU provides important clues to create environmental peace, like the efforts of environmentalists and ecological theology that Christianity has developed. Nevertheless, the FFWPU’s discussion on ecological discourse was not active compared to Christianity, and its practice was not developed. Therefore, three aspects were discussed and proposed for the spread and development of FFWPU’s ecological discourse. First, the need for ‘activating campaigns’ based on FFWPU’s ecological ideology, and second, it is an expression of FFWPU’s position on ecological issues. And thirdly, the activation of solidarity activities with other religions, especially FBOs.

      • KCI등재후보

        새만금 개발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의 구조와 특징

        박순열(Park SoonYawl) 한국환경사회학회 2007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1 No.1

        이 글은 새만금 개발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의 특징을 갈등구조와 지역발전 담론의 변화를 통하여 살펴본다. 새만금 개발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의 특징은 먼저, 지역토건복합체의 정치경제적 이해관계가 새만금 개발 경과의 핵심적인 요인이었고, 그것은 지역공론장의 사유화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은폐되고 또 실현되었다. 또한 지역 토건복합체는 반대세력에 의해 제기되었던 환경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문제해결 담론으로 변형시켰다. 그럼에도 환경운동의 측면에서 보자면 개발반대세력의 재판투쟁과 녹색근본주의적 환경이념이 사회적으로 일부 수용됨으로써 운동 레퍼토리의 확장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우리 사회가 새만금 개발과 같은 정치, 경제, 사회, 그리고 환경적 요인이 중첩적 작용하는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와 생태주의의 확장이 동시에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and change of local development discourses around Saemanguem Reclamation Project and explores implication of them. The local construction complex has strong political, economic interest in the project, which has moved the project forward despite of the oppositions and has been effectively realized by privatization on local public sphere. And the local construction complex transformed radical environmental issues raised by anti-development coalition to moderate forms, that is, solving problem discourse. But antidevelopment movement expanded movement repertories by litigating against the project and raising green radicalism's agenda. This article suggests that deepening democracy and expanding ecological thought are essential to manage environmental conflict like as Saemanguem Reclamation Project ecologically sound and socially justice.

      • KCI등재
      • KCI등재

        종말론과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 : 베드로후서 3:10-13을 중심으로

        송영목(Young Mog So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7 No.-

        환경 상태가 급격하게 악화일로에 처해 있다. 이렇게 악화되는 현상은 성령론적 생태신학, 종말론적 생태신학, 생태여성신학, 그리고 생태정의와 같은 생태신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촉진시켜 왔다. 그런데 연구자의 종말론은 본인의 연구의 방법과 결론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 사실을 염두에 둔 채, 본 연구자는 종말론과 그리스도인의 환경 책무의 관련성을 베드로후서 3:10-13을 주해함으로써 탐구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단계를 따라 진행된다. (1) 여섯 개의 이문들을 분석함으로써 베드로후서 3:10의 본문비평을 시도한다. (2) 베드로후서 3장의 담론분석을 시도한다. (3) 지구 소멸과 지구 재창조 사이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하여 베드로후서 3:10-13을 자세히 주해한다. 그리고 (4) 베드로후서의 기록 목적과 세상 갱신설의 빛 하에서,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리는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가 무엇인지 탐구한다. 크리스천은 세상 갱신을 추진 중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동역자가 되기 위하여 하나님의 신성한 성품에 마땅히 참여해야 한다. 본 연구는 베드로후서의 종말론과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를 연결하여 종합함으로써, 지역 교회는 물론 개별 크리스천이 환경에 대해서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며 어떻게 실천해야 할 것인지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The environmental condition has rapidly been worsening. This phenomenon has resulted in diverse researches on eco-theology including pneumatological eco-theology, eschatological eco-theology, eco-feminism, and eco-justice. The eschatology of the investigator affects the way and result of the research. Keeping this in mind the present researcher delv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eschatology and Christians’ eco-responsibility by interpreting 2 Peter 3:10-13. To this end, the following four steps are utilized: (1) textual criticism of 2 Peter 3:10 by analyzing six textual variants; (2) discourse analysis of 2 Peter 3, (3) exegesis of 2 Peter 3:10-13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ld annihilation and world re-creation, and (4) understanding the eco-responsibility of Christians who are waiting for the second coming of Christ in terms of the purpose of 2 Peter and of the re-creation of the world. Christians have to be coworkers of the renewing work of Christ by participating in the divine characteristics. By integrating the eschatology of 2 Peter and Christians’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this study is to provide insights into what individual Christians as well as local churches should stand and practice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 KCI등재

        재귀대명사 번역에 관한 고찰

        김랑혜윤(Kim, Rhang-hye-y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4 No.-

        영어에는 ‘pronoun+SELF’라는 한 가지 유형의 재귀사만 존재하나, 국어에는 ‘그+자신’ ‘자기+자신’등의 복합형 이외에도 단순형인 ‘자기’와 ‘자신’이 존재한다. 영어의 재귀사를 국어의 어떠한 재귀사로 한역해야 하는가는 영어의 재귀사가 지시하는 선행사가 어떤 명사구인가에 따라 달려 있는데 이는 통사적 담화적 환경에 좌우된다. 가령 영어재귀사의 국지적 용법에서는 ‘자기 자신’이나 ‘그 자신’ 혹은 ‘자신’으로 한역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장거리 결속 경우는 ‘자기’로 번역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재귀사를 한역하지 않아야 자연스러운 경우도 있고 때로는 대명사로 한역하는 것이 자연스럽기도 하다. 또한 재귀사뿐만이 아니라 대명사도 재귀사로 한역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이외에도 고려해야 할 통사적 담화적 환경은 매우 다양하다. 결론적으로 재귀사번역은 단어 차원에서 단순히 일대일 대응으로 기계적으로 할 것이 아니라 통사적 담화적 환경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English has only one type of reflexives, that is, ‘pronoun+SELF’, but Korean has four types of reflexives: two simple ones such as ‘caki’ and ‘casin’ and two complex ones such as ‘caki-casin’ and ‘pronoun-casin’. Into which Korean reflexive an English reflexive should be translated depends on which noun phrase is the antecedent of the English reflexive. This in turn depends on the complicated syntactic environment and discourse: a locally bound anaphor had better be translated into ‘pronoun-casin’, ‘casin’, or ‘caki casin’, while a long-distance bound anaphor had better be translated into ‘caki’, Sometimes the reflexive had better not be translated at all, or be translated into pronoun rather than reflexive. The interesting case is the one where English pronoun should be translated into Korean reflexive. In sum, the syntactic environment and discourse which affect the reflexive translation are so complicated that it is not possible to translate reflexives simply at a word level.

      • KCI등재

        생태적 관점에 본 몽골 유목민의 금기와 의미

        장장식(Jang Jang-Sik)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1

        몽골인이 사용하는 ‘자연(baigal)’은 동사 ‘존재하는(bai-)’에서 파생되었고, ‘환경(orchin)’은 ‘주위 또는 외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말에서 비롯되었다. 환경이라는 용어가 다소 협의적인데 비해 ‘자연’은 매우 포괄적인 의미로 쓰인 셈이다. 이 글은 자연과 환경이라는 용어가 내포한 의미 영역을 분별하여 다루지는 않았다. 다만 자연 또는 환경이라는 용어를 포괄할 수 있는 생태(生態)라는 용어를 사용하되 구체적인 개념정의를 시도하지 않았다. 포괄적으로 생태는 자연을 포함하여 환경까지 포함하며, 어떤 때는 환경을 생태와 결합시켜 ‘생태환경’이라는 용어도 썼다. 종교의 금기는 종교적으로 해서는 안 될 일을 가려서 그것을 하지 않도록 하거나 하지 않게 지키는 일이다. 접촉과 의식(衣食) 행위, 보는 것과 듣는 것, 말하는 것 등에 대한 모든 행위를 금제한다. 어떤 의미에서 종교의 금기는 종교를 지탱하는 힘이기도 하다. 종교의 금기는 민속의 금기와 외형상으로 다른 문법을 취한다. 구체적으로 행위의 금제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한편 단문의 언술로 축약되어 있다. 일종의 정제화 과정을 겪으면서 일상생활 속에 내장되어 있다. 금기가 지닌 민속지적 세부내용(Ethnographic details)과 사회적 상황(Social situation)은 특정문화를 이해하는 단서가 된다. 유목생활과 관련된 공유의 민속문화적 경험을 포함한 금기는 주로 실천적 측면에서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일상을 구속한다. 몽골의 금기 가운데에서 생태와 관련된 금기는 크게 다섯 부문으로 묶어진다. 가축과 짐승, 강과 강물, 대지, 나무, 이사와 관련한 금기들이다. 일견 다섯 부문이 별도의 영역처럼 보이나 실제는 자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구체적으로 목초지의 이용과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발생한 금기로 해석된다. 금기를 통해 소비의 무한욕망을 통제하고, 목초지의 재생력을 강화시키려는 사회적 기제(Mechanism)이다. 이는 분명 현대적 의미에서 볼 때 생태 또는 생태학, 생태관념의 또다른 표현이다. 이 글의 논제인 “생태적 관점에서 본 몽골 유목민의 금기와 의미’를 좀더 치열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민속신앙의 사례들이 동원되어야 마땅하다. 예컨대 화신(火神)을 보내고 맞는 의례에 관련된 금기관념과 신앙성에 대한 분석이다. 불의 신인 ‘갈딩 보르항’은 12월 24일 천상으로 갔다가 섣달 그믐날 돌아오는데, 천상으로 떠나는 날 배송의례인 화제(火祭)를 지내고 돌아오는 신을 맞이하기 위해 차강사르(설) 어워제사를 지낸다. 이들은 붙이라는 실생활의 도구에 대한 관념이지만 궁극적으로 불을 지켜냄으로써 자연에 순응하려는 의식을 담보하고 있다. 이것은 거꾸로 자연 또는 생태와의 관련성을 강하게 암시하고 있고 실제로 많은 금기 담으로 수용되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Nature(baigal)' in Mongolian was derived from the verb 'exist(bai-)', and 'Environment(orchin)' started 'surround or extrinsic situation'. A term of 'Environment' is some collaborative and a meaning of 'Nature' uses mote comprehensive. This paper didn't classified the territory of involved meaning of Nature and Environment. I used the term 'ecology' which could include nature or environment, but I didn't tty define the concept. Ecology involves from nature to environment comprehensively, sometimes I used 'ecological environment' which combines environment and ecology. The meaning of Taboo in religion is that you keep not to do what you should not in religiously. Every action such as touching, wearing and eating, seeing, listening and speaking forbid. There is a sense, Taboo in religion is the power that support religion. Taboo of religion takes different structure with taboo of folk outwardly. Concretely, prohibition of action mentions directly and is inspissated conversation of short piece. It goes through a kind of identified course, and it is in daily life. Ethnographic details and social situation with Taboo is evidence tor understanding certain culture. The taboo that include ethno-cultural experience of common related nomadic life is mainly close connection with daily life in practical aspect. Besides, it control daily life. Taboo related ecology is composed of five parts among Taboo of Mongolia. There ate Taboos which ate related to livestock, animal, river, river water, tree, and moving. These five parts look like separate fields, but actually, it is related to nature, and specifically, it could be Taboo which occurs in use and preservation of pasture It controls infinite desire of consumption through taboo, and it s social mechanism which tty to strengthen regrowth of pasture. It is definitely another expression of ecology or ecological concept by modem meaning. The topic of this paper needs specific examples of folk beliefs for analyzing mote intensely. For example, It's about analysis of ceremony of god of fire which is related to Taboo concept and faith. 'Garding Burhna', the god of fire, goes back to heave on 24th of December, and comes back on the last day of the yeat. The Hwa Jae, which is sending ceremony holds at the last day of the yeat and performs Tsagaan Sar Ovoo (New Year's) memorial service tor greeting god. People think fire is the concept about tool of teal life, but eventually, it is the ceremony for adapting nature by protecting fire. It implies strongly relationship with ecology or nature and many stories about taboo ate accepted in reality. It needs mote specific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