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몽주의 시대의 엘리트 문화와 민중문화

        김복례(Kim, Bok-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8 No.-

        계몽주의 시대의 엘리트 문화와 민중문화 - 인간은 기본적으로 문화적인 존재이다 - 김 복 래 본고의 목적은 첫째, 계몽주의시대의 엘리트문화와 민중문화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대중들의 기본적인 종교 신앙을 이해한다. 셋째, 왜 18세기에 엘리트와 민중문화가 분리되었는지 그 이유를 분석한다. 18세기 엘리트문화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①문자 교육(literacy)과 교양, ②반종교개혁의 종교관행에 대한 승인, ③중등학교에 다니기, ④대학출석, ⑤고전텍스트와 인문학, ⑥서재소유, ⑦특별한 집단들과의 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르네상스 시대로부터 물려받은 고전문학․인문학의 재생과 대중화, 특히 인쇄술발달에 따른 인문주의의 광범위한 보급을 들 수 있다. 18세기 엘리트문화의 또 다른 양상으로 사법사회(judicial society)의 등장, 궁정문화에 의해 촉진된 문명화과정, 언어문화의 변화, 빈자들에 대한 상류층의 커다란 문화공포와 기피현상을 지적할 수 있다. 민중문화는 엘리트문화의 반대 내지 대립현상으로 곧잘 정의된다. 엘리트문화는 글을 쓰고 읽을 줄 아는 교양 있는 학술문화이며, 민중문화는 문맹 또는 무학의 교양 없는 문화로 정의된다. 간단히 요약하면 엘리트 대(對) 민중문화는 ①교육/무교육, ②기술(written)/구두(oral)문화, ③합리적(rational)/마술(magic)문화로 구분된다. 18세기는 이러한 문화의 구분 짓기가 가속화되어, 상류층과 하층문화가 분리되었던 시기이다. 사실상 엘리트 대 민중문화의 이분법은 자의적이다. 민중문화는 단순히 일원론적 하부구조만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우리는 민중문화의 기원을 종종 학술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엘리트 계층에게 전혀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민중의, 민중에 의한, 민중을 위한’ 문화가 ‘따로(à part)’ 존재한다는 발상은 역사적 현실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민주문화에 따뜻한 연민을 품은 현대 역사가의 상상력의 소산이다. 문화의 구별 짓기의 놀이에서 경계 허물기, 즉 엘리트주의적 문화개념의 폐기에 이르기까지 18세기의 엘리트 대 민중문화의 대립구도는 문화연구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리라 본다.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Kim, Bok-rae The aim of this paper entitled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s to examine firstly the aspects of Elite/popular culture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hegemony. Secondly, it is to understand the basic religious beliefs of mass people. Thirdly, it is also to understand the reasons why elite and popular cultures became separate into the 18th century. Elites was culturally defined by literacy, the acceptance of counter reformation religious practices, going to secondary school, attendance at university, access to the classical texts and the humanities, the possession of a library, and the frequenting of specialist groups. An essential element is the humanist culture from the renaissance, with its revival of the classics, popularisation of them, and their wide dissemination by the printing press. Popular culture is often defined in its opposition or contrast to elite culture. Elite culture is literate, popular culture is illiterate, learned/unlearned, written/oral, even rational/magic.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re was a separation between elite and popular cultures. From the distinction of two heterogenous cultures to their plausible fusion in the name of mass culture, it is useful to analyze the dominant/dominated cultures through the case study of elite/popular culture in the 18th century.

      • KCI등재

        계몽주의 시대의 엘리트 문화와 민중문화- 인간은 기본적으로 문화적인 존재이다 -

        김복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8 No.-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Kim, Bok-rae The aim of this paper entitled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s to examine firstly the aspects of Elite/popular culture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hegemony. Secondly, it is to understand the basic religious beliefs of mass people. Thirdly, it is also to understand the reasons why elite and popular cultures became separate into the 18th century. Elites was culturally defined by literacy, the acceptance of counter reformation religious practices, going to secondary school, attendance at university, access to the classical texts and the humanities, the possession of a library, and the frequenting of specialist groups. An essential element is the humanist culture from the renaissance, with its revival of the classics, popularisation of them, and their wide dissemination by the printing press. Popular culture is often defined in its opposition or contrast to elite culture. Elite culture is literate, popular culture is illiterate, learned/unlearned, written/oral, even rational/magic.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re was a separation between elite and popular cultures. From the distinction of two heterogenous cultures to their plausible fusion in the name of mass culture, it is useful to analyze the dominant/dominated cultures through the case study of elite/popular culture in the 18th century. 계몽주의 시대의 엘리트 문화와 민중문화 - 인간은 기본적으로 문화적인 존재이다 - 김 복 래 본고의 목적은 첫째, 계몽주의시대의 엘리트문화와 민중문화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대중들의 기본적인 종교 신앙을 이해한다. 셋째, 왜 18세기에 엘리트와 민중문화가 분리되었는지 그 이유를 분석한다. 18세기 엘리트문화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①문자 교육(literacy)과 교양, ②반종교개혁의 종교관행에 대한 승인, ③중등학교에 다니기, ④대학출석, ⑤고전텍스트와 인문학, ⑥서재소유, ⑦특별한 집단들과의 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르네상스 시대로부터 물려받은 고전문학․인문학의 재생과 대중화, 특히 인쇄술발달에 따른 인문주의의 광범위한 보급을 들 수 있다. 18세기 엘리트문화의 또 다른 양상으로 사법사회(judicial society)의 등장, 궁정문화에 의해 촉진된 문명화과정, 언어문화의 변화, 빈자들에 대한 상류층의 커다란 문화공포와 기피현상을 지적할 수 있다. 민중문화는 엘리트문화의 반대 내지 대립현상으로 곧잘 정의된다. 엘리트문화는 글을 쓰고 읽을 줄 아는 교양 있는 학술문화이며, 민중문화는 문맹 또는 무학의 교양 없는 문화로 정의된다. 간단히 요약하면 엘리트 대(對) 민중문화는 ①교육/무교육, ②기술(written)/구두(oral)문화, ③합리적(rational)/마술(magic)문화로 구분된다. 18세기는 이러한 문화의 구분 짓기가 가속화되어, 상류층과 하층문화가 분리되었던 시기이다. 사실상 엘리트 대 민중문화의 이분법은 자의적이다. 민중문화는 단순히 일원론적 하부구조만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우리는 민중문화의 기원을 종종 학술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엘리트 계층에게 전혀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민중의, 민중에 의한, 민중을 위한’ 문화가 ‘따로(à part)’ 존재한다는 발상은 역사적 현실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민주문화에 따뜻한 연민을 품은 현대 역사가의 상상력의 소산이다. 문화의 구별 짓기의 놀이에서 경계 허물기, 즉 엘리트주의적 문화개념의 폐기에 이르기까지 18세기의 엘리트 대 민중문화의 대립구도는 문화연구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리라 본다.

      • KCI등재

        엘리트스포츠에 대한 문화철학적 고찰

        김정효,남궁영호 한국체육철학회 200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7 No.1

        엘리트스포츠는 국민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것은 물론이고 국위 선양의 첨병으로서 국민에게 기여하는 정서적 효과가 매우 크다. 그러나 한편으로 생활체육과 사회체육의 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지목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중적 관점의 대립은 엘리트스포츠 자체에 대한 논의가 지나치게 대중주의적 관점에 기대어 온 것에 기인한다. 본 연구는 엘리트스포츠의 당위성을 국가주의와 같은 정치, 사회학적 관점이 아닌 문화철학적 스펙트럼을 통해 고찰해 본 것이다. 엘리트스포츠는 한국 사회만이 가지는 독특한 스포츠문화로서 그 태생적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국가에 의한 스포츠의 독점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부정적이고 후진적인 현상으로 파악되지만, 이미 한국적 스포츠 문화의 하나로 존재하는 이상 보다 깊이 있는 시각으로 접근할 경우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기능할 여지를 남긴다. 그 새로운 시각과 접근을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가 문화로서 갖는 자기발전성에서 찾았다. 이를 통해 엘리트스포츠와 권력의 관계가 스포츠의 특수한 일면에 대한 과장에 기초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이데올로기적 장치로서의 엘리트스포츠가 갖는 한계를 분명히 할 수 있었다. 엘리트스포츠의 본원적 모습은 스포츠 자체의 문화적 특성과 그것이 갖는 문화로서의 존재근거를 획득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엘리트스포츠와 대중스포츠는 전자를 통해 창출된 새로운 운동문화가 후자를 매개로 상호 작용하는 보완적 관계에 있으며, 이를 원활히 만드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provide understanding of Elite Sport in terms of cultural philosophy. Elite sport is a concept which is used only in Korea for politics to promote national pride. For this reason, sometimes the excellent national athletes make a deep impression on Koreans with the national anthem after winning in Olympic games. On the other hand, elite sport has been an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lifelong sports. These opposing evaluations mean that the existing argument over sports mainly focus on populism and that elite sport has the limit and possibility at the same time as the original sport culture in Korea. Based on the idea that the nation has a monopoly on sports, the sports environment of Korea is under very negative and deplorable circumstances. However, since elite sport already settled as sport culture in Korea, a deeper approach is requested for the possibility of new sport culture paradigm. This study showed that the possibility could be found in one of the cultural aspects of sports, self-expandability. The past elite sport was based on the exaggerated political utilizations and it is one of the distorted culture that has a limit fundamentally. When elite sport recovers cultural self-subsistence, sport will be able to free itself from political influences. In conclusion, elite sport and lifelong sport have relationship of mutual development from the viewpoint of culture. The new culture of athletics that has been made by elite sport acts as a medium of lifelong sport.

      • KCI등재

        특집논문 : 제도로서의 "독자" ;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서은주 ( Eun Ju Se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이 연구는 1950년대 한국 대학의 급격한 팽창이 지식의 제도화와 지식집단의 조직화를 자극했던 일련의 상황을 검토하고, 그 속에서 구성되는 `교양`의 문제를 독자와의 관련 속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럽에서 개화한 `교양`은 식민지 시기 일본을 거쳐 한국에 수용되면서 다양한 담론을 형성하였고, 해방 이후 본격적인 대학의 설립 과정에서는 미국의 교양교육 패러다임과 결합하였다. `교양` 개념의 역사를 살펴보면 인류의 문화적 유산에 대한 지식과 이해력이면서, 동시에 그것을 통해 체화되는 수양, 판단력, 의사소통력, 문화적 감각, 취향 등의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현상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가운데 1950년대 `교양`의 내용과 이념은 상당 부분 대학이라는 `제도`와 긴밀한 관련 속에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제도`가 보장하는 `지식` 혹은 `지식인`이, `교양` 혹은 `교양인`과 호환되면서, `교양`(`교양인`)에 대한 열망은 전후 문화 엘리트로의 신분 상승에 대한 욕망과 결합하여 사회적 붐을 형성했던 것이다. 1950년대 대학의 교육과정이나 주요 인적 구성원들의 발언, 『대학신문』, 그리고 대학제도 밖의 일간지나 『사상계』 등의 매체 및 출판물에 투영된 `교양`의 함의와 존재 방식은 매체의 종류나 대상 등에 따라 때로는 학력 엘리트의 아카데미즘과 정신주의의 전유물로, 때로는 대중화와 세속화의 방향으로 소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문적 지식`과 대별되는 의미의 `보편 知`로서의 `교양` 개념이 사회적 소통의 맥락에서 균열되는 양상이라고 볼 수 있다. `교양`을 둘러싼 이러한 각축의 양상은 인문·사회적 `정전`들을 목록으로 하는 `교양` 독서가 결코 평이한 수준의 대중적 독서가 아니라는 측면에서 그 효용성에 대한 논란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요컨대 1950년대 대학제도를 매개로 한 `교양`의 배치나 구성에는 학력 엘리트 혹은 문화 엘리트에 대한 사회적 욕망이 반영되어 있으며, 비판적 성찰을 근본적으로 방해하고 규율하는 전후 이념의 지형 속에서 정신주의와 속물성으로의 균열을 읽어낼 수 있다. This paper is about series of situations of stimulat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nowledge and the organization of intellectual group result from universitie rapid growth in the 1950s, and "culture"(敎養) constructed by and within these conditions in relation with readers. "Culture", blooming in Europe, had formed diverse discourses after accepted in Korea through Japan in the colonial period, which also combined with the culture educational paradigm in the USA in the courses of establishing university and the system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As we know, conceptual history of "culture" says that it means knowledges and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heritages of human and means "improving oneself"(修養), judgement, communicating ability, and sense or taste of cultural products at same time. However the contents and ideas of culture in the 1950s had constituted on most part in relation with the system of "university." As it were, as knowledge or intellectual supported by the system became compatible with culture or cultured person, desire of culture and cultured people formed social boom, combined with desire of rising status as cultural elite. It seems that implications and the ways to exist of "culture" had been sometimes wasted as academist and spiritualist exclusive property for academic elites from university society or sometimes fashionable items for a mass of readers in context of popularization and secularization, which could be demonstrated through curriculums, important persons` statements or newspapers of university in the 1950s, and media or publications like newspapers or Sasanggye. This shows that "culture" as "general knowledge", having meanings distinguishable from specialized knowledge, got a crack in context of social circulation. Required reading` lists for "culture" were proposed around cannons of humanities. Many arguments occurred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reading wasn`t for the general public and the utility had must be questionable. In short, it can be said to that social desires for academic elites was realized in the 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culture` in media of university system, in which we can read a crack of spiritualism and snobbism in the post-war ideological situations preventing from critic reflection and disciplining thinking.

      • 대중문화에서의 미적 체험과 학습 : 대중문화에 대해 '아름다움'을 말할 수 있는가?

        김성일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2

        '문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다양한 논의들이 있어왔지만, 그중 리비스주의로 대표되는 문화엘리트주의는 대중문화에 대한 고정관념을 갖게 한 대표적 입장이다. 하지만 문화는 당대 대중이 집합적으로 공유한 생활양식이라 할 수 있다. 문화가 대중의 살아있는 경험으로서의 총체적인 삶의 방식이라 할 때, 대중문화 역시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즉, 대중문화는 대중의 일상 속에서 산업생산의 방식으로, 사회적 힘으로, 정치적 효과와 문화적 권력의 형태로 실재한다. 이러한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의 전환 속에서 대중문화의 미학을 구성하는 일은 새로운 과제가 된다. 그것은 대중문화의 다양한 장르와 대상을 관통하는 보편적 특성을 찾아내고, 그 특성이 갖는 의미를 새롭게 구성하는 일에서 시작할 수 있다. 문제는 대중문화 속에서 (미학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던) 예술이라 부를 수 있는 요소나 특성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문화 고유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는 일이다. 대중문화에 대한 미학적 접근이 가능할 수 있는 공통분모는 '살아진 경험'과 '대중성' 그리고 '욕망의 투사'와 '문화정치'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이로부터 배태된 즐거움, 모방, 통속성, 현실도피, 유행 같은 속성들은 대중문화의 미학코드로 새롭게 설정될 수 있다. 빈티지 패션은 싸구려 원단이나 제봉기술의 부족 때문에 생긴 것이 아니다. 흠집과 얼룩 자체가 하나의 의미를 발산한다고 할 때, 대중문화의 미학코드들 역시 소소한 삶의 소재들을 대중문화이게 만드는 의미들을 끊임없이 생산하고 있다. Among the many discourses related to the question: "what is culture?" it is cultural elitism, represented by Leavism, that have forced us to conceive a fixed idea that it is popular culture that is more dominative. Nevertheless, culture can be regarded as the lifestyle which is collectively shared by the people. When we consider culture as a total lifestyle, which derives from the living experiences of the populace, then popular culture can also be redefined. Popular culture exists in various forms: industrial production, social power, political effects and cultural power, and all of these are melted into the every day life of the people. In this redefining of popular culture, one must reconsider what constitutes the aesthetics of popular culture. One can begin by searching for certain universal characteristics amongst the diverse genres and objects of popular culture, and thus reconstructing the meanings of those characteristics. One is not only searching for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seen as 'Arts' in an aesthetic view, but for an understanding of a new virtue, the unique 'beauty' of popular culture. The common dominators which enable an aesthetic approach towards popular culture can be regarded as 'lived experience', 'popularity', 'projection of desire', and 'cultural politics'. In this way pleasure, imitation, popularity, escapism, and fashion can create new aesthetic codes of popular culture. Vintage fashion has not been created by the cheap fabrics or lack of cutting skills. As scratches or stains in vintage fashion can themselves radiate a unique meaning, the aesthetic codes of popular culture also continuously produce new meanings that can transform everyday trifles in ordinary life into the popular culture.

      • KCI등재

        TV 프로그램 '우리들의 공교시 시즌1'에 나타난 학교스포츠클럽의 의미와 엘리트스포츠 문화의 재현

        김한범,이완영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8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structures and practices of Korean school sports clubs are represented by the ‘Our Zero Hour Class Season 1’, a TV program, and what suggestions it provides. As methods for this study, a content analysis and an interpretative text analysis were used. The most prominent feature exhibited by the ‘Our Zero Hour Class Season 1’ as a TV program is that the program which is currently conducted in schools is organized in the form of reality through the material of school sports clubs, and that it is focused on students, the subjects of school sports club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concentrates attention on students as customer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viders-directed studies: schools, sports instructor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key points of this study begin with two frames: contents of participatory experiences in school sports clubs and representation of school sports clubs and elite sports culture. At firs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ve three experiences, for the meaning of experiences in school sports clubs. First, the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school sports clubs, indicating an aspect of the school sports club as a voluntary association. Second, their sociality seemed to be fostered in engaging in various situations, while not only students but also adult instructors were developed together. Third, it could be found that school sports clubs have been used as fields in which their identity endowed by peers or others is verified in activities of school sports clubs or other class hours. Another three meanings could be also drawn from the representation of school sports clubs and elite sports culture. First, transference of the winner-oriented culture showing a slice of school sports clubs which only emphasize winning, which violates against the original objective of school sports clubs. Second, repeats of discipline culture which appears as elite instructors coerce amateur athletes in observing strict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manifestation of marginalization occurring when elite instructors ignore amateur basketball. Finally, meaning of this program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n essential value by escaping from the structure and culture of current sports clubs which are obsessed with outcomes and encourage students to have opportunities to grow as sound members of society in school sports clubs. 이 연구는 ‘우리들의 공교시 시즌1’ TV프로그램에서 국내 학교스포츠클럽이 어떠한 구조와 방식으로 재현되고 있으며,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분석해 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내용분석과 해석적 텍스트분석을 사용하였다. TV프로그램으로서 ‘우리들의 공교시 시즌1’이 드러내는 가장 큰 특징은 학교스포츠클럽이라는 소재가 현재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리얼리티 형식으로 구성하였다는점이며, 학교스포츠클럽의 주체인 학생에게 프로그램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이다. 는 기존의 학교, 스포츠 강사, 체육교사 등 공급자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수요자인 학생에게 연구가 집중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의 핵심 주장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경험에 대한 내용과 학교스포츠클럽과 엘리트스포츠문화의 재현이라는 두 가지 틀 속에서 시작된다. 먼저, 학교스포츠클럽 경험에 대한 의미에서 프로그램 속 학생들은 크게 세 가지 경험을 하고 있었다. 첫째,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자발성을 부여하였으며, 이는 자발적 결사체로써 학교스포츠클럽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들을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사회성이 함양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학생뿐만 아니라 성인 지도자도 함께 사회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중, 또는 다른 수업시간에 동료나 타인에 의해 자신들이 부여받은 정체성을 확인하는 장(場)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이 활용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학교스포츠클럽과 엘리트스포츠문화의 재현에서도 세 가지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최초 학교스포츠클럽 시행 목적에서 변질된 오직 승리만을 외치는 학교스포츠클럽의 단면을 보여주는 승리지상주의 문화의 전이이다. 둘째, 순수 아마추어 선수들에게 엘리트 출신 지도자가 경직된 조직문화를 강요하면서 나타나는 규율문화의 답습이다. 셋째, 엘리트 출신 지도자가 아마추어 농구를 무시하는데서 나타나는 주변화(marginalization)의 발현이다. 마지막으로 이 프로그램이 주는 의미는 결과에 집착하는 현재 학교스포츠클럽 문화와 구조에서 벗어나 본래의 가치를 찾고, 올바른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학교스포츠클럽에서도 찾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전달하고 있다.

      • KCI등재

        유신체제기 `민족문화` 담론의 변화와 갈등

        이하나 ( Lee Hana ) 역사문제연구소 2012 역사문제연구 Vol.16 No.2

        This thesis aims to clarify what the cultural logics were that produced a anticonstitutional regime, Yu`shin, and what the affects were that supported the logics. The cultural discourse of Yu`shin Regime was not merely product in the field of culture, but the product conformably synchronized affects of society with Yu`shin Regime. This thesis summarize and analyze the cultural discourse of Yu`shin as `National Culture` Discourse. `National Culture` is a notion including traditional culture, art culture, and mass culture. `National Culture` Discourse in the ara of Yu`shin Regime can be classified roughly into two types. One is the promoting logic of `National Culture` in the stance of cultural policy and the other is the struggling logic of that in the view of resisting intelligentsia. The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who produced discourses and supported cultural policy of government in the former stance were Cultural Elites in the narrow sense, and in the broad sense they included resisting intelligentsia who took parts in making discourses and culture producers who directly produced culture products. The promoting logic of `National Culture` in the ara of Yu`shin Regime got some changes depending on the views toward traditional culture, and it became charged with totalitarian characteristics emphasizing spiritualism. In the binomi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raditional/high/ sound and foreign/low/decadent culture, `National Culture` Discourse was based on the logics which supported the former and suppressed the latter. The resisting intelligentsia was also confined to the limits of the times in the conflict of `National Culture` Discourse. The negative inheritance of the cultural discourse of Yu`shin Regime is that the logics were generalized which the publicness of culture can be guaranteed as an economical support and which the progress of culture should be lead by the state and elite. In this context, the persecution of the state and cultural elite toward the people and people`s affects shows that Yu`shin Regime is different from fascism in Europe based upon people`s support.

      • KCI등재

        T. S. 엘리엇의 문화론

        권승혁 한국T.S.엘리엇학회 2008 T.S. 엘리엇 연구 Vol.18 No.1

        David Chinitz, Ronald Schuchard and Loretta Johnson, refuting the established contention that T. S. Eliot is the staunchest champion of Modernism as high culture against popular culture have attempted to uncover the various elements of the popular culture in his life and works. On the basis of their recent criticism, this paper illuminates the significance of his own definition of culture as “the way of life of a particular people living together in one place.” He criticizes Matthew Arnold’s definition of culture as “the disinterested endeavour after man’s perfection” because this explanation takes account of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dividual, but not that of a group or class, or of a whole society to which an individual belongs. Moreover, he eloquently affirms that there is a continuous gradation of cultural levels from top to bottom in a structure of society instead of the cultural divide between high culture and low culture. He also suggests that the culture of each group, or class or whole society should be unique, and the different culture should be susceptible of influence from the other for its development or refinement.

      • KCI등재후보

        지역신문의 문화보도 경향: 제주지역일간지 문화,방송 연예면 기사를 중심으로

        고영철 ( Young Churl Ko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4

        이 연구는 우리사회 문화의 생산자이면서 주요 통로인 신문의 보도내용 분석을 통해 제주사회 문화지형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밝히려는데 주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3개 일간지의 문화예술관련기사의 변화경향을 5년 간격(1995년, 2000년, 2005년)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기사 형식에서는 스트레이트형 단순보도 기사는 줄어들고 있는 데 반해 짧은 형식의 해설기사 등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비평 및 비판기사는 미미했다. 둘째, 문학 및 학술 중심의 고급문화가 쇠퇴하고 있는 반면에 영화, 방송연예, 대중음악 등과 같은 대중문화가 주류문화로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문화의 보도량은 전시기에 걸쳐 아주 적었다. 셋째, 예술작품과 예술가 그리고 문화예술 행사의 보도비중은 현재로 올수록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반면에 고급문화 영역인 각종 출판물에 대한 보도기사 비율은 감소현상을 보였다. 문화기사에 등장하는 인물들도 현재로 올수록 과거 엘리트중심(문화분야 전문가/교수)에서 연예인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농어민·노동자, 여성·주부, 청소년 등은 문화면 기사에서도 소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예술기사 사진의 피사체에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공연 및 작품 그리고 예술가의 등장 비중은 현재로 올수록 높게 증가한데 반해 문화예술 행사, 행사주체 단체나 관련인사, 문화시설 등의 사진은 대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제주지역주민들이 생산·향유하고 있는 문화가 서울지역의 문화와 별반 두드러진 차이가 없고, 또한 신문의 상업주의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cultural geography of Jeju province by examining newspaper coverage, which is deemed to be cultural producer and a broad cross-section of society.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the culture and art coverage of three primary local daily newspapers at regular intervals of five years (1995, 2000, 2005).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in relation to culture and art, brief commentary type coverage has increased while straightforward reports have decreased. In particular, the enlightenment functions of newspapers were found to have been curtailed. Second, popular culture, such as movies, entertainments, popular music, etc, has emerged as the mainstream culture whereas sophisticated culture including literature and science has been ebbing away. In addition, the coverage on traditional culture was found to have consisted of the meager portion in all periods. Third, the coverage on various publications has been on the gradual decrease while reports on art works, artists, and cultural and art events have exhibited steady increase over the years. The coverage (cultural fiend, expert/professor) also tends to shift from elite culture to entertainment mass culture. In the meantime,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farmers, fishermen, laborers, woman, housewives, and teenagers, excluding from the coverage. Fourth, the most noteworthy change with regard to the photo insertion in culture reports is that photos showing organizers and organizing bodies, cultural facilities, and programs have far less appeared, while ones featuring artists, artworks and performance have more frequently appeared over the years. The overall findings indicate that culture produced and shared by Jeju resident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Seoul residents, and newspapers have been increasingly characterized by commercialism.

      • KCI등재

        T. S. 엘리엇의 문화론

        한국T.S.엘리엇학회 2008 T.S. 엘리엇 연구 Vol.2008 No.1

        <P>David Chinitz, Ronald Schuchard and Loretta Johnson, refuting the established contention that T. S. Eliot is the staunchest champion of Modernism as high culture against popular culture have attempted to uncover the various elements of the popular culture in his life and works. On the basis of their recent criticism, this paper illuminates the significance of his own definition of culture as "the way of life of a particular people living together in one place." He criticizes Matthew Arnold"s definition of culture as "the disinterested endeavour after man"s perfection" because this explanation takes account of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dividual, but not that of a group or class, or of a whole society to which an individual belongs. Moreover, he eloquently affirms that there is a continuous gradation of cultural levels from top to bottom in a structure of society instead of the cultural divide between high culture and low culture. He also suggests that the culture of each group, or class or whole society should be unique, and the different culture should be susceptible of influence from the other for its development or refinement.</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