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촌생태관광 도입에 관한 산촌주민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연구

        김종호,김예지,Kim, Jong-Ho,Kim, Ye-Ji 한국산림과학회 201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6 No.3

        본 연구에서는 산촌주민의 산촌생태관광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산촌생태관광 도입의견, 주민 참여의향, 정책추진 유형, 산림청에 대한 요구사항, 기대효과 등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대상 및 방법은 산림청에서 조성한 33개 산촌생태마을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조성한 산촌진흥지역 내 농촌체험휴양마을 24개 마을의 마을주민 346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7일부터 9월 17일까지 개별면접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 산촌생태관광 도입 의견에 대한 설문에 86.7%가 찬성한다고 응답하였고, 산촌생태관광 도입 시 78.3%가 참여의향을 나타냈다. 또한 산촌생태관광 정책 수립 시 응답자의 42.2%가 산림청 연관부처 지자체가 협력하여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산촌생태관광 도입 시 지원해야할 요구사항은 환경 및 시설과 관련하여 휴양시설 설치가 60.4%, 프로그램 및 서비스 관련하여 산촌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에 67.6%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산촌생태관광 도입을 통한 기대효과에 86.1%가 산촌방문객 증가로 산촌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라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산촌생태관광 정책수립 시 주민들의 인식 및 요구를 수렴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study the mountain village residents' needs and awareness of eco-tourism. The survey included opinions about introducing Eco-tourism, Residents' willingness to join, types of policies to push forward, requirements to Korea Forest Service and expected outcomes. 346 residents were selected for this survey from 33 mountain eco-villages established by Korea Forest Service and 24 rural experience villages established b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y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rough interview from June $17^{th}$ 2015 to September $17^{th}$ 2015. As a result of major analysis, the survey showed that 86.7% of residents were in favor of the introduction of mountain village eco-tourism and 78.3% of those questioned showed the willingness of their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Also 42.2% of respondents reacted positively that Korea Forest Service, associated administration agency and local government should be cooperated when the policies are established. 60.4% of respondents said they expect installment of recreational facilities and 67.6% said they expect development of eco-tourism program, which were respectively the highest rate as the requirements to be supported when the eco-tourism program are introduced. 86.1% said that increasing visitors will help mountain villages more revitalized as eco-tourism is introduce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when making the mountain eco-tourism policy in the future.

      • KCI등재

        IPA를 이용한 국립공원 생태관광프로그램의 매력성 분석

        강영애(Young Ae Kang),민웅기(Woong Ki Min),김남조(Nam Jo Kim)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1 觀光硏究論叢 Vol.23 No.1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관광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국립공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자연생태 및 역사문화 생태관광프로그램의 매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중요도-성취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채택하였다. 분석결과 방문객들이 생태관광프로그램에 대해 매력성을 갖기 위해서는 관광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방문자의 관광자원 향유욕구 모두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립공원 생태관광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각각의 중요도와 성취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추후 생태관광프로그램의 개선점과 세분화된 개발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eco-tourism programs including nature-ecology program and history-culture program at Korea national parks using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conducting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and fulfilling visitors` needs are required that the programs to be attractiveness of eco-tourism.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rovements and segmented development strategies for future eco-tourism programs at national parks as to compare nature-ecology program to history-culture program using the results of IPA.

      • KCI등재

        그린 투어리즘에서 전통문화 체험프로그램과 민속의 활용

        김재호(Kim Jae-Ho) 한국민속학회 2007 韓國民俗學 Vol.46 No.-

        2002년부터 농림부에서는 그린 투어리즘의 하나로서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을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사업의 전통문화 체험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민속연구의 주요한 대상인 전통문화가 오늘날 어떤 의미를 갖고 사회적으로 유통되는지를 밝힘과 동시에 민속의 올바른 사회적 유통을 위해 민속학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찾고자 하였다. 전통문화를 바라보는 관점은 체험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사업주체들과 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소비자들 사이에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된다. 전자는 주로 경제적인 관점에서 농외소득을 증대시킬 방안의 하나로써 인식하고 있으며, 후자인 도시 참가자들은 여가활동이나 자녀들을 위한 교육적 의미를 갖는 대상으로 생각한다. 그와 동시에 전통문화를 일상생활문화나 역사적인 유무형의 문화재로 좁게 인식하며, 사회적으로 체험프로그램들에 대한 인식이 매우 일천한 것으로 분석된다.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의 실질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전통문화 체험프로그램의 지역적 특성 살리기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그런 점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학술적인 조사연구가 지역사업체별로 필요하다. 이 대목에서 민속학의 역할이 요구되는데,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조사연구가 이루어질 때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의 활용은 물론이고 농촌 활성화라는 사업의 궁극적인 목적도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Department of Agriculture has nationally conducted the Green and Experiential Tourism of Farm Village Project(GETFVP) as a way of Green Tourism(eco-tourism) since 2002. This study is an attempt to find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one of the main objects of folk study, as well as to learn the role of the Folkloristic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sirable share of folk culture by the analyzing the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programs(TCEP) of the green and experiential tourism of farm villages. Entrepreneurs who run the experience program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raditional culture from the customer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The first understand it as a way of increasing non-agricultural earnings, whereas the second, mainly city dwellers, consider it as leisure activities or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ir children. Both of them have a narrow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by considering it as daily life culture or historical cultural assets. They are also lack of understanding on experience programs. To actually succeed in GETFVP, it is important to make the best use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in TCEP. In this respect, local entrepreneurs need to conduct academical research on traditional culture of their villages. This is where the Folkloristics should find its role. Academical research on traditional culture will enable various experience programs to prosper and to attain its eventual purpose, livening up agricultural villages.

      • KCI등재

        生態觀光地 施設 要求度와 濕地 生態觀光 體驗 프로그램 選好度

        여호근,박봉규,윤태환 한국관광학회 2009 관광학연구 Vol.33 No.7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cotourists‘ needs and preferences on eco-tourism programs and facilities. A total of 397 usabl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wo wetlands, which are located in the south west part of Korea. Results revealed that the ecotourists' preference toward eco-tourism facilit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need for the eco-tourism experience programs. In particular, those who had strong preference toward convenience facilities wanted ethnic hands-on activities, while those who had strong preference toward direct facilities such as bird observatory had more need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hands-on activities. From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ecotourism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ecotourists characteristics and their pursuing needs.

      • KCI등재

        서귀포시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진희(Jin Hee Lee) 한국관광연구학회 2006 관광연구저널 Vol.20 No.2

        Peoples who live in metropolis seek to different things in terms of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clean nature and dwelling condition. And the legislation about five-day workdays in Korea make people spend more leisure-time and raise interests for quality-oriented leisure. As a result, natural environment become more important as tourist resources in this time. As a supplier of ecotourism, local peoples are vital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community ecotourism. The resident`s attitude toward ecotourism program development has been carried out four villages at Seogwipo city in Jeju province. And ecotourism program has been developed Bomok village at Seogwipo city.

      • KCI등재

        마을 만들기와 마을민속의 활용방안

        김재호(Kim Jae-Ho) 한국민속학회 2008 韓國民俗學 Vol.48 No.-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으로 시작된 정부의 ‘마을 만들기’ 정책사업은 경제적 측면에 치중하고 있어서 여러 문제점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마을 만들기’는 마을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경제ㆍ사회ㆍ문화적인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런 맥락에서 마을민속의 활용에 대한 방안이 요구되는데, 특히 전통문화 체험프로그램에서 마을민속을 적극 활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예상된다. 무엇보다도 마을 주민들의 참여가 확대되며, 지역성을 담보한 고유한 체험프로그램의 실시가 가능해지고, 마을 주민들의 자긍심이 고취되며, 경제적 측면에서만이 아닌 문화적인 측면에서 농촌이 도시와 대등하게 교류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도농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 점에서 마을민속의 활용은 마을의 내발적 활성화를 위해 향후에 ‘마을 만들기’ 사업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안이라고 하겠다. Government policy on ‘Building a Village’, which was launched as ‘Green and Experiential Tourism of Farm Village Project’, has revealed noticeable problems since it emphasizes on economical aspects. ‘Building a Village’ requires a holistic approach which covers all the economical, sociological, and cultural aspects in order to dynamize conventional villages. While the ways to apply village folk are discussed in such a context,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in case village folk is actively applied in the experience program of traditional culture: The participation of the villagers will be increased. The original localized experience program can be provided. The self-esteem of villagers is to be raised. Revitalization of the relationship is anticipated through the equal exchanges among cities and agricultural villages in terms of culture as well as economy. In this respect, the applications of village folk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Building a Village’ project in order to facilitate voluntary revitalization of the vill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