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로소득에 대한 중복 세제지원과 통합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정유석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2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tax supports on a earned income deduction, earned income tax credit and a plan of integration of two system. In addition, proposes a problem of double tax support on earned income of both EITC and tax credit, a improvements on this. For this, analysis uses a simulation model of tax support combined earned income deduction with earned income tax credit. After presents a resonable improvements of tax supports through the effects of income distribution and tax amount to pay. The simulation model of tax support used shows the result that earned income tax credit is more effect on income redistribution than earned income deduction. That is to say, earned income deduction may impede the equity according to making down pre-deduction tax base, gaining more tax benefit in higher level of tax rate. Therefore, this research insists that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replace tax expenditure with tax subsidy, tax credit or tax relief instead of earned income deduction and it would be more efficient to integrate two tax systems. 본 연구는 근로소득공제와 근로소득세액공제의 조세지원효과를 분석해보고 소득계층별 납부세액이 현행제도하에서의 납부세액과 유사하게 되는 수준에서 두 제도의 통폐합 방안을 살펴본다. 또한 근로소득에 대해 근로소득세액공제 이외에도 이와 유사하게 일정세액을 공제하여 환급해주고 있는 EITC(근로장려세제)의 중복 조세지원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근로소득공제와 세액공제제도의 몇 가지 가상 조세지원 모델을 이용하여 조세지원에 따른 납부세액계산 및 소득분배 효과의 비교를 통해 향후 바람직한 조세지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에서 설정된 가상 조세지원 모델은 동일한 목적을 위한 조세지출 중 근로소득공제보다는 오히려 세액공제가 소득분배에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즉 근로소득공제는 공제전 과세표준을 낮춤으로써 공제액이 동일하더라도 공제전 소득세율이 높은 구간일수록 더 많은 절세혜택을 보게 되므로 형평성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로소득공제보다는 세액공제나 감면 또는 보조금 지급 등의 형태로 조세지출을 전환하거나 두 조세지원 제도의 통합방안이 소득재분배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인적용역 사업자의 소득세 과세제도에 관한 연구

        김남중 ( Nam Jung Kim ),정래용 ( Rae Yong Jung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硏究 Vol.24 No.2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terminate a duty of tax payment by means of withholding tax like a day worker. In another way of a duty of tax payment, they fulfill the general income tax payment separately by self-assessment not to terminate a duty of tax payment as year-end tax adjustment like a regular employee, although in fact, they are non-regular worker, day worker or similar case. As excessive assessment of income amount, they also pay income tax much more than other types of income earners or workers earning fixed same amount. In comparison with other tax payers, they get disadvantaged in utility bill etc. besides of tax law by excessive assessment of income amount. Likewise, most of them are small income earners and they suffer from disadvantage and inequality in many ways including tax law on socially·economically poor stat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 as follows. First, 74.1 per cent of whole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are small income earners whose annual income is below 10 million won. Therefore, as for the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whose annual personal service business income without other incomes is below 10 million w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deduction of withholding tax for 1 per cent and termination of duty of tax payment by means of selective separated taxation and then they do not confirm and report the general income tax. Second, substantially most of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are similar to non-regular workers or they are made a report to tax office as personal service business income earners although they are employed workers in order to evade responsibility for the four big Insurance premium payment and labor law. Thus, it is necessary to allow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to deduct special deduction articles for all of them who are workers in fact and to offer personal service similar to work. Third,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reference amount of revenue by simple expense rate of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from current 24,000,000 to 60,000,000 won by just before year. As far as 40,000,000 won which is excess amount of income amount by relevant year is concerned, it is necessary to abolish the application of excess rate of simple expense rate and to apply for the primary rate unification like other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give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which is due for payment in 2015 to other types of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in its early stages like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who calculate year-end adjustment of income amount.

      • KCI등재

        과세형평성 측면에서의 신용카드 사용액 공제방식과 제도의 유지에 관한 연구

        정유석(Jeong Yu seok) 글로벌경영학회 2017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4 No.5

        당초 신용카드 등 사용액에 대한 소득공제 제도는 자영업자의 거래투명화를 통한 과표양성화와 근로소득자의 세부담 경감을 위한 목적에서 1999년에 한시적(3년)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신용카드 소득공제 제도는 그동안 여러 차례의 개정과 2016년 12월로 예정되었던 일몰이 재연장되면서 2018년까지 유지될 예정이다. 신용카드 사용액에 대한 소득공제는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화된 공제항목이지만 공제적용 구조상 저소득자들보다 오히려 고소득자들에게 소득공제 혜택이 더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바로 이점에 기초해 가상 소득사례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사용액에 대한 소득수준별 또는 공제방식별 소득세 부담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소득공제보다 세액공제방식에서 더 큰 세부담액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실질적인 세부담의 증가율은 저소득층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소득공제 방식이 세부담액을 더 완화해 주고는 있지만 현행 신용카드 소득공제제도의 구조상 오히려 소득이 낮은 저소득자들이 누리는 공제혜택이 고소득자들보다 작다는 것이다. 즉 소득수준이 고려된 수직적 과세형평성 측면에서 보면 불합리하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동 제도의 공제방식은 현행 소득공제로 유지하되 공제한도 및 공제율, 최저사용기준 등의 제도 개선과 동시에 엄격한 일몰적용에 따른 폐지방안의 고민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income deduction system on the credit card usage was temporarily adopted for the legalization of taxation sources through labor income earner’s transaction transparency and for the reduction of earned income tax for three years in 1999. However, the credit card income deduction system is scheduled to be maintained until 2018, as sunsetting predetermined to be December 2016 has been extended again. Although income deduction on the credit card usage is the most universal and generalized deduction item, income deduction benefits of high income earners are bigger than those of low income earners, due to deduction application structure. Based on thi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income tax burdens by income level or the pattern of deduction on credit card usage using virtual cases of income.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larger tax burden in the tax deduction pattern was revealed than in the income deduction, irrelevant of income level. Real tax burden increase rate, however, was higher in the low income bracket. This means that deduction benefits of low income earners are smaller than those of high income earners, due to the current credit card income deduction system, although the income deduction system relieves tax burden. Namely, it is judged to be unreasonable from the aspect of vertical equity in taxation considering income level.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s pattern of deduction as the current income deduction, and the improvement such as deduction limit, deduction rate, and minimum use amount standard, as well as the need to consider over the abolishment of the system according to strict sunsetting.

      • KCI등재후보

        근로장려세제의 지급기준 변경과 자녀장려세제의 도입 현황 및 정책효과

        문진주,이병화 한국세무회계학회 2017 세무회계연구 Vol.0 No.54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by using the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in 2016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policy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incentive for work incentive and child incentive tax and to draw out policy alternatives accordingly. First, the awareness of work incentive tax and child incentive tax was very low. Children’s incentive tax is a big problem in the realization of the policy that the system that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in 2015, or the person who needs the subsidy due to lack of publicity for the system cannot apply because he does not know the system. Therefore, it seems urgent to increase awareness through publicity of the system. Second, it seems that 87.92% of the respondents do not meet the requirements for receiving the work incentive tax and the child incentive tax. Also, I think that there may be a problem of the requirement of the children about the reason why the income level is lower than the standard of payment of the work incentive tax and the child incentive tax. I think it is necessary to raise it recently considering the university entrance rate and unemployment rate. Third, 65.19%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ve increased motivation to work, and 82.81% of women responded that they had a 35.24% p higher than 47.57% of me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s payment standards are changed to household standards. In addition, due to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economic activities, the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may affect the fertility rat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policy effect of the change of the payment standard of the work incentive tax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hild incentive tax, and the previous research which solely studied the existing work incentive tax or the child incentive tax, And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policy alternative considering both systems. However, since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survey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it has limitations that cannot be analyzed based on data on actual incentives and child incentives. 본 연구는 근로장려세제와 자녀장려세제의 현황 분석을 통해 정책의 효과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대안을 도출하고자 한국복지패널의 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근로장려세제와 자녀장려세제에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장려세제는 2015년 처음 시행된 제도이나, 제도에 대한 홍보의 부족으로 장려금이 필요한 대상이 제도를 알지 못해서 신청할 수 없는 것은 정책실현에 있어서 상당히 큰문제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제도에 대한 홍보 등을 통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방안이 시급해보인다. 둘째, 근로장려세제와 자녀장려세제의 수급요건 충족여부에 대해서도 응답자의87.92%가 수급요건에 충족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급요건 인지부족과 수급자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소득수준이 근로장려세제와 자녀장려세제의 지급기준보다 낮음에도 장려금 신청을 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자녀요건의 문제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최근 대학진학율이나 실업율 등을 고려하여 상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근로장려세제와 자녀장려세제가 근로의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65.19%가 근로의욕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여성의 경우 82.81% 로 남성 47.57%보다 35.24%p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급기준이 가구기준으로변경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러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로 인하여 가구내 소득의 증가는 출산율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장려세제의 지급기준 변경과 자녀장려세제의 도입에 따른 현황과 정책효과를 함께 고려하여 연구한 논문으로서 기존의 근로장려세제나 자녀장려세제만을 단독으로 연구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연구라 할 수 있으며, 두 제도를 함께 고려한 정책적 대안을제시함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를 기초로 분석하였으므로, 실제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지급 발생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 KCI등재

        2019년 근로장려세제 확대 개편의 세수귀착효과 및 소득재분배효과 분석

        홍우형 한국재정정책학회 2019 財政政策論集 Vol.21 No.3

        The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the dramatic expansion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in order to achieve income redistribution and its the fiscal goal, income-led growth, by supporting low-income households. By exploiting panel data of the 10th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NaSTaB), the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tax incidence and income redistribution led by the expansion of the EITC.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reform would increase the beneficiaries approximately 2 times and the amount paid approximately 3 times. Regarding the tax incidence, single households would get the most increased benefits. Moreover, we also find that the high income group would get quantitative expansion due to an increase in new beneficiaries, whereas the low-income group is expected to get more benefits per household. Regarding the redistribution effect, we find that the improvement rate of the income equality index due to the 2019 reform increase 3 time more as compared to those of 2018, which justifies that the reform will contribute to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n income redistribution. In addition, our factor analysis on income redistribution effects show that the increase in the EITC payment has the most contribution on the income redistribution, accounting for about 50.3% of the total redistribution effects. Also, the relaxation in the income requirement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income redistribution. However, relaxing the requirement of both the household property and the single household age has little contribution on the income redistribution. 현 정부는 저소득 가구의 가계소득을 증대시켜 소득재분배를 구현하고 나아가 소득주도성장을 달성한다는 목적 하에 2018년 세법개정안을 통해 근로장려세제를 대폭 확대 개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재정패널 10차 자료를 활용한 모의실험분석을 통해 이번 근로장려세제 확대 개편으로 인한 세수의 귀착효과, 그리고 이로 인한 소득재분배 효과를 분석하였다. 모의실험분석 결과, 먼저 이번 확대 개정으로 인해 수혜가구수는 약 2배, 총지급액은 약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세수의 귀착을 살펴보면, 단독가구의 수혜규모가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은 구간에서는 신규 수급자 증대로 인한 양적확대와,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구간에서는 수급액 증가로 인한 질적 확대가 예상된다. 셋째, 2018년에 비해 2019년 소득불평등지수 개선률이 약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이번 확대 개정이 소득재분배 개선에 상당한 기여할 것이라는 근거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소득재분배 개선의 요인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지니계수 기준으로 지급액 상향조정이 총재분배 개선효과의 약 50.3%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높고, 소득요건 완화도 상당한 재분배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독가구 연령조건 완화와 재산조건 완화가 소득재분배 개선에 미친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근로장려세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금서,서희열 한국회계정보학회 2013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3 No.5

        Korea’s Earned Income Tax Credit(hereinafter, ‘Korea’s EITC’) is the one, in which labor incentives that are calculated according to income level by a household are paid to those whose income is less than a certain amount in the form of tax credit, aiming for labor-connected income support for inducing the labor from the low-income bracket and making up for real income. In this study intended to draw the institutional, operational problems by analyzing the last 4years enforcement results of the Korea’s EITC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s after taking a comparative look at Korea’s EITC and the US EITC system, which becomes the model of our system. Improvements of the Korea’s EITC are as follows:First, based on the present system, the income paid by the Korea’s EITC recipient’s lineal ascendant & descendant is excluded, but the income earner paid by the earner's lineal ascendant & descendant, who lead their livelihood independently of the Korea’s EITC recipient, should be included in the system in light of the reality of high premium rate of the 4 major social insurances. Second, in judging the requirement of Korea’s EITC, it’s necessary to simplify the complicated income calculation scope. Third, it’s necessary to increase the minimum payment of Korea’s EITC up to the level of a day laborer’s tax-free income tax, and it’s necessary to enact the estimation standard of Korea’s EITC by interlocking with prices. Fourth, it’s also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application-based principle method to the imposition-based principle method, and to make up for this method with the selective application principle. Fifth, it’s imperative that the National Tax Service’s thorough verification should be preceded before the occurrence of fraudulent recipients and getters of redemption. Lastly, it’s necessary to make an upward adjustment of the tax exemption point of the 4 major social insurance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income grasp rate of a small-scale self-employed businessman, and to simplify its related report procedure. In this study has a contributory point in proposing the improvements of realistic problems from the position of a low income small-scale self-employed business owner & a laborer whom this study observed while doing agency business of actual Korea’s EITC reports. 근로장려세제는 소득이 일정 금액 미만인 사람들에게 가구별 소득 수준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세금 환급형태로 지급하는 제도이다. 근로장려세제의 목적은 저소득층의 근로를 유인하고 실질 소득을 지원하기 위한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장려세제와 우리나라 제도의 모델이 되는 미국의 EITC제도를 비교하여 살펴본 후, 근로장려세제를 시행한 지난 4년간 결과를 분석하여 제도상, 운용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근로장려세제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장려세제의 대상자에 직계존비속으로부터 지급받는 소득은 제외하고 있으나 4대 사회보험 요율이 높은 현실을 감안하여 생계를 달리하는 직계존비속으로부터 지급 받는 소득자는 대상자에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근로장려금의 요건을 판단함에 있어 복잡한 소득 계산 범위를 단순화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근로장려금의 최저 지급액을 일용근로자의 소득세 비과세 수준 정도로 인상하여야 할 것이며, 근로장려금의 산정 기준을 물가와 연동하여 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신청주의 방식을 부과방식을 원칙으로 하고 선택적 신청주의로 보완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부정수급자 및 환수자가 발생하기 전에 국세청의 철저한 검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세 자영업자의 소득파악률 제고를 위해 4대 사회보험의 면세점을 상향하고 관련 신고 절차를 간소화 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실제 근로장려세제 신고 업무를 대행하면서 살펴본 저소득 영세자영업자 및 근로자의 입장에서 현실적인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는 공헌점이 있다. 근로장려세제는 근로촉진에 대한 유인이 있어 앞으로 더욱 확대 발전 될 것이다. 특히, 저소득층에 대한 소득파악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근로장려세제의 성패를 좌우할 중요한 사안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근로장려세제(EITC)가 납세의식에 미치는 영향-재정패널자료를 중심으로-

        김용수,노희천 한국세무학회 2020 세무와 회계저널 Vol.21 No.6

        The Earned Income Tax Credit(EITC) is a work-linked income support system that has been in effect since 2008 to enhance the willingness of low-income workers to work and support their actual income. This study was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financial panel data of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n whether the labor incentive tax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ax compliance by enhancing the tax consciousness of workers in households that received EITC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In addition, additional analysis was made on whether the higher the amount of EITC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EITC amount and the payment procedure, the higher the tax consciousnes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household members of the households receiving the EITC and the tax consciousness of the non-paid households. Household members who received EITC were found to have less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compared to taxes paid by non-paid household members, to have a lower tax burden than taxpayers with similar economic abilities, and to be willing to pay more taxes if they raise taxes to expand welfare. These results are judged to be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 benefits received from the EITC do not meet the expected level because the level of the supply and demand is lower than the current strict supply and demand standard for the EITC, although the households that received the work incentives are greatly affected by the loss of the taxes paid because they are low-income households. Secon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only those who received EITC, those who received more EITC recognized that they received more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than those who received less. Thir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only those who receive EITC, those who are more satisfied with EITC are perceived to have a higher level of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than those who are less satisfied with the EITC, and are willing to pay more taxes to increase welfare.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presenting the results of an empirical analysis to the tax administration participants, including tax authorities, taxpayers, and tax agents, that the EITC tax system not only achieves the original purpose of introduction, such as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and income redistribution, but also enhances the tax consciousness of the members of households in the households receiving the EITC. 본 연구는 근로장려금을 지급받은 가구에 속한 가구원의 납세의식이 그렇지 않은 가구원에 비해 제고되어 근로장려세제가 납세순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또한 근로장려금 수급가구원만을 대상으로 근로장려금액이 많을수록, 근로장려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납세의식이 제고되는지 여부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장려금 수급가구의 가구원은 비수급 가구의 가구원과 납세의식에 차이가 있었다. 근로장려금을 수급한 가구원은 비수급 가구원보다 납부한 세금에 비해 정부로부터 받는 혜택이 적고, 경제적 능력이 비슷한 납세자들에 비해 세금부담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복지 확대를 위한 증세를 하는 경우 더 많은 세금을 추가로 부담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로장려금을 수급한 가구가 저소득층이므로 납부한 세금에 대한 손실을 크게 체감하지만 현행 근로장려금의 엄격한 수급기준에 비해 수급액의 수준이 낮기 때문에 근로장려금 수급가구원은 근로장려금으로 받는 혜택이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근로장려금을 수급한 가구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근로장려금을 많이 받은 수급 가구원은 적게 받은 수급 가구원보다 납부한 세금에 비해 정부로부터 받는 혜택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근로장려금 수급 가구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근로장려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수급 가구원은 근로장려금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수급 가구원보다 본인이 납부한 세금에 비해 정부로 받는 혜택의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복지확대를 위한 증세에 더 많은 세금을 추가로 부담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근로장려세제가 근로장려금 수급가구에 속한 가구원의 납세의식을 일부 제고하고 있다는 실증결과를 과세관청, 납세자, 세무대리인 등 세무행정 참여자에게 제시하였다는 공헌점이 있다.

      • KCI등재

        개인형 IRP에 대한 불충분한 조세혜택을 보완하기 위한 근로장려세제 기반의 재정지원 방안

        전병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조세와 법 Vol.12 No.2

        As tax benefits for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IRP) has restrictive effects in inducing voluntary payments of persons in the lower-income class,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policy tool to supplement such insufficient effects by providing government grants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Specifically, providing income-dependent graded matching grants for low incomers, alienated from the IRP promoting effects of tax benefits, could be a practical policy measure. Such matching grants, proportionate to voluntary IRP payments within the limits of the residual tax credit, should be given to EITC recepients, with similar allowance scheme of the refund credit. Additional policy measures to promote voluntary IRP payments are designing the delivery scheme of matching grants using EITC administration orginizations, prohibiting receipients from receiving lump-sum IRP allowances, and allowing the finacial hardship contribution holidays for IRP payments. 개인형 IRP 제도의 시행과 관련해서 조세혜택의 제공만으로는 노후소득 보장을 위한 자발적 가입확대를 이끌어내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고, 그 동안의 운영성과도 이러한 예상을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는 퇴직연금 제도의 효과적 운영을 바탕으로 저소득층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개편방안과 관련해서 현재의 조세지원 대신 이들 계층이 지원혜택을 체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입규모의 확대도 유도할 수 있는 세부적 재정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IRP의 운영현황과 관련해서 가입금액 분포는 고소득계층을 중심으로 치우쳐 있는데, 저소득계층이 세제혜택 한도보다 크게 부족하게 추가 부담금을 납부하는 근본 원인은 유동성 제약으로 추가 납입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후소득 보장을 위한 IRP 가입 유도의 효과가 미약한 조세지원 대신 재정지원을 통해 조세혜택에서 소외된 저소득 근로자를 대상으로 소득에 따라 차등적인 매칭장려금을 지급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경제적 지원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입자의 본인부담금을 지원하기 위한 매칭장려금의 시행취지를 고려하면 근로장려세제의 적용대상자를 매칭장려금의 지원대상으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매칭장려금은 개인별 소득수준과 함께 별도의 연금저축 불입액에 의해 한도액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잔여 세액공제 금액의 범위에서 근로소득자 등이 자발적으로 개인형 IRP에 가입해서 불입하는 금액에 대하여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저소득층의 노후소득 준비를 위해 시행하는 매칭장려금 제도의 취지를 고려해서 이러한 개인별 잔여 세액공제 금액에 대하여 다시 총소득의 수준에 따른 체감적 비율을 적용해서 최종적인 매칭장려금 지급액을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함께 지원대상인 저소득층 근로소득자 등은 선별적 재정지원인 점을 고려해서 근로장려세제의 적용대상으로 한정하고, 소득수준에 따른 매칭장려금 지급비율의 체감구조도 가구별 유형에 따라 근로장려세제에서 시행하는 점증구간, 평탄구간 및 점감구간의 구분에 따라 단계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근로장려금 수급이 여성의 노동공급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 -가구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노혜진,이지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0 사회복지정책 Vol.47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EITC) on labor supply, income, and poverty among wome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households. Using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data, six groups were formed with three axes: status in the household (the head of household and a member of the household), whether they work together, and whether or not they have children. The effects of EITC on each group were analyzed using propensity scores in difference-in-differences(DI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the EITC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women compared to otherwise-similar women who did not benefi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head of household or women who did not have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had negative impacts on labor supply. Second, we find that the EITC had in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women’ earned income. Third, the EITC contributed to alleviating the poverty rate regardless of status in the family or household composition, especially women in single-earner family.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increase in the credit for women in the dual-earner family, and the EITC reform of benefit unit from household to individual.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의 구성요건에 따라 근로장려금의 수급이 여성의 노동공급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가구 내 지위(가구주와배우자), 맞벌이 여부, 자녀 유무 등 3개의 축을 기준으로 6개의 집단을 구성하였고,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분석을 통해 각 집단별로 근로장려금 수급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노동공급 측면에서는 비수급집단과 비교하여 근로장려금을 수급할 경우 경제활동 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지만, 가구주이거나 18세 미만 자녀가 없는 경우 노동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득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근로장려금의 수급이 근로소득 증가에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빈곤감소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근로장려금의 수급이 여성의 가구내 지위나 가구구성과 관계없이 빈곤율 완화에 기여하고 있었고, 이러한 효과는 홑벌이가구 여성에게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연구는 맞벌이가구의 소득요건과 급여수준의 상향조정, 근로장려금 제도 설계의 개편으로써 개인단위 급여구조로의 전환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근로장려금과 복지함정 및 역선택

        권일웅(Illoong Kwon),한서영(Seo-young Han)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원 2022 미래성장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근로장려금이 복지함정 및 역선택을 유발하였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는 근로장려금의 소득증대 및 경제활동참여 효과에 초점을 두고 있다. 반면 본 연구는 근로장려금을 계속 수령하기 위해 소득요건을 벗어나지 않으려는 복지함정이나, 소득요건 이상의 소득 가구가 전략적으로 소득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소득을 줄이는 역선택 현상에 대해 분석하여 차별화된다.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근로장려금이 도입된2008년부터 제도 개편 전 2011년까지 소득을 분석한 결과, 복지함정 현상은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역선택 현상은 일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 논란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whether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has induced the welfare trap and/or the adverse selection problem. In contra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EITC on labor income/hours or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EITC, some households may strategically maintain their income below the income threshold level of EITC, called the welfare trap. Also some households may even reduce their income to move below the income threshold level, called adverse selection. Based o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data, this paper does not find the welfare trap, but does find the evidence consistent with the adverse selection problem.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sights on the recent policy debates between the universal welfare and the selective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