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RP 및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따른 기술 수용의 유의성에 대한 실증 연구

        유준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ERP 및 여기서 확장된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통합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하여 회사에서 운영하는 정보시스템인 ERP/SF 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이러한 요인들이 기술 사용의도 및 IT 정보기술에 미치는 유의성에 대해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ERP/SF 기술 사용의도 측면에서는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즐거운 경험, 가격가치는 ERP/SF 기술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이 있 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성과기대, 촉진조건은 ERP/SF 기술 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T 정보기술 측면에서 는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가격가치는 IT 정보기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노력기대, 즐거운 경험은 IT 정보기 술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가진 한계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스마트팩토리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양적인 성장은 이루었으나 아직은 질적인 성과는 기초 수준에 불과하므로 추후 질적인 성장 을 위해 표준 매뉴얼 개발 및 기업들의 특징에 맞는 호환 모듈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둘째, 현재 기업들의 기술개발 속도 및 경영환경을 고려할 때 ERP/SF 기술사용의도 및 IT 정보기술 측면에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 은 UTAUT의 기본 변수 외에 더 많은 변인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향후 더 많은 자료조사와 기업체의 현실을 감안하여 연구모델을 재정비 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전국적 규모의 확률표본과 스마트 팩토리의 수준별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나 이는 설문지 의 한계 및 기업이 처한 경영 및 기술환경이 모두 다르므로 이를 모두 반영한 통계 수치를 얻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향후 더 많은 표본이 수집되 고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는 통계 기법이 도입되면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중견 기업들도 시장표준 및 산업 연동효율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넷째, 향후 기업들의 제조혁신 마인드의 함양과 공정 및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팩토리 기술적용을 위해 투입 요소인 수주에서부터 산출요소 인 출하까지의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통합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다섯째, 스마트팩토리의 추진을 통해 단순 노동 인력의 감소와 기술력을 갖춘 인력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이러한 노동 시장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정부의 대처 방안 및 예상치 못한 경영환경에 대비하는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스마트팩토리 구축 솔루션이 필요해 보인다.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doption rate of ERP/SF technology, an information system operated by the company via UTAUTmodel. It also analyzed howthese factors affected intent of usa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study found that in terms of behavioral intention to use ERP/SF technolog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hedonic motivation and price valu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ERP/SF technology, However, performance expectancy and facilitating condition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use of ERP/SF technology. In addition, in terms of IT information technology,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and price valu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IT, but effort expectancy and hedonicmotivation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I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based on it are as follows. First, the start of the Korea Smart Factory began with a public-private smart factory promotion teamestablished in June 2015, and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over the past few years. However, because its qualitative growth is only basic,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manuals and develop compatiblemodules thatmeet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for qualitative growth in the future. Second, with the need for additional potential factors considering the current speed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business environment, there should be mor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use of ERP/SF technology and IT in addition to the basic variables of UTAU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and develop researchmodels in consideration of more data research and the reality of businesses in the future. Third, in order to obtain objective and generalized research results, surveys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a nationwide scale of probability samples and according to each level of smart factory. However, it is not easy to obtain statistical figures in a standardized way because the limi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environment facing the company are all different. Therefore, with the introduction of statistical techniques that enhance the objectivity of research by collecting more sampl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not only large companies but also small andmedium-sized companies will be able tomaximizemarket standards and industrial linkage efficiency. Fourth,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grated model for the entire process from order to shipment to foster the mind of manufacturing innovation for companies in the future and to apply smart factory technology using the system. Fifth, the promotion of smart factories is expected to reduce the number of simple labor force and increase the number of people with technical skills. Therefore, it requires government's measures to cope with these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a smart factory construction solution for the post-pandemic periods to prepare for the unexpected business environment.

      • KCI등재

        기업 맞춤형 경영학 교육을 위한 ERP교육 프레임웍 개발

        함용석(Hahm, Yongseok)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3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경영학 교육에 ERP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업 맞춤형 경영학 교육을 하기 위한 ERP 교육 프레임?p을 제시하였다. 또한 ERP교육 프레임?p에 기초하여 수주-출하 시나리오에 대한 ERP강의 점검리스트의 예제를 구성하고 제시하였다. ERP 교육 프레임?p과 ERP강의 점검리스트는 기업과 대학 환경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ERP를 활용한 경영학 교육은 ERP 기능실습과 숙련, ERP 기능과 개념 파악, 이론적 제반 모형 이해, 기본 커스터마이징 역량, 상황별 부서별 시뮬레이션, ERP구축 방법론이 모두 포함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이러한 ERP교육 방식은 다른 팀과 경쟁하며 학생들이 생산, 마케팅, 구매와 재무부문의 상호관계에 대해 파악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러한 ERP 교육 프레임?p과 ERP강의 점검리스트의 예를 활용하여 훈련을 함으로써 집단의 역량이 강화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실시간 정보가 동적이고 불확실한 환경에서 통합되어 공유되는 상태에서 각 집단이 공통의 목표를 강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ERP를 사용하는 기업들도 이제는 단순한 사용방법만 교육하는 전통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정보 공유의 개념과 정책, 즉각적으로 결정해야 하는 행위 그리고 통제시스템을 교육하는데 더욱 향상된 방법론이 요구된다. This study suggests we need to use ERP to achieve successful business educations. ERP teaching framework is developed for designing enterprise-oriented business education. The sample checklist for ERP education on order to delivery process scenario is also suggested based on ERP teaching framework. ERP teaching framework and checklist for ERP education can be used at both companies and universities. The business education based on ERP should include practices and trainings on ERP functions, understanding of ERP transactions and theories, understanding models on forcasting, MRP and waiting theories etc, capabilities of basic configurations, simulations depending on situations in perspectives of several departments and methodology for ERP implementations. By competing other teams using ERP, students could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s of production, marketing, purchasing and financial management. The notions of policies, actions and control systems are basic elements of ERP systems and therefore are emphasized in the ERP teaching framework.

      • KCI등재

        ERP시스템의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안범진(An Bum-Jin),권광현(Kwon Kwang-Hy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05 국제회계연구 Vol.0 No.13

        본 연구는 ERP시스템의 확산요인과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 TAM)을 이용하여 ERP시스템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변수들이 각각 ERP시스템의 지각된 유용성과 ERP시스템의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규명을 위해 독립변수인 ERP시스템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변수를 선행연구를 통해 호환성, 복잡성, 상대적 이점, 최고경영층의 지원, 이미지, 자발성, 자기효능감을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를 ERP시스템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RP시스템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변수 중에서 자발성효능감, 상대적 이점, 이미지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RP시스템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변수 중에서 복잡성과 자발성효능감이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 ERP시스템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변수 중에서 자발성효능감만이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영향력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외부변수 중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로 발견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external variable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ERP system had an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ERP system in use of the diffusion factors of ERP system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external variable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ERP system: compatibility, complexity, relative advantage, support of CEO, image, voluntariness, and self-efficacy, were selected from preceding studies.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ERP system were selected from them too. And the findings of empirical analysis are followings: First, self-efficacy, relative advantage, and image of external variable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ERP syst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ERP system Second, Complexity and self-efficacy of external variable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ERP syst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ERP system. Above all things, this study found self-efficacy the most importing variable of external variable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ERP system, because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ERP system and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m of external variables.

      • KCI등재

        자동차 부품협력업체에서 ERP 활용수준의 매개역할

        최종열(Jong-Yeol, Choi),진설설(Xuexue Chen),송윤희(Yun-Hee, So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6

        기업은 지속적 경쟁우위 창출을 위해 ERP를 도입하였으나, ERP 활용수준은 기업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고, 경영성과 창출에 대한 기여도 역시 다양하다. 동남권 자동차 부품협력업체를 대상으로 ERP 영향요인, ERP 활용수준 및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특히 ERP 영향요인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ERP 활용수준이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 틀을 적용하여 ERP 영향요인을 환경, 조직, 기술로 분류하였고, ERP 활용수준을 기능내, 기능간, 기업내, 기업간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영향요인 및 활용수준과 ERP 경영성과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martPLS 구조방정식 모델로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ERP 영향요인 중 조직특성과 기술특성이 ERP 활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RP 경영성과에는 기술특성, 조직특성, 환경특성 순으로 영향력이 있으며, ERP 활용수준은 ERP 경영성과에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및 기술특성은 ERP 활용수준을 통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ERP 활용수준은 ERP 영향요인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매개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ERP를 통하여 경영성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술, 조직, 환경 차원의 영향요인과 함께 ERP 활용수준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We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ERP utilization level(UTL) between environmental context(ENC), organizational context(ORC) and technical context(TEC) in the context of automotive parts suppliers, which are located in the Dong-Nam region. We suggested five major hypotheses: Firstly, envhad an impact on UTL and the business performance(BP). Secondly, ORC had an impact on UTL and BP. Thirdly, TEC had an impact on UTL and BP. Fourthly, UTL had positive impact on BP. Fifthly, UTL had an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linking three corporate factors(ENC, ORC, TEC) and BP. The research result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enriching: While the first and the fifth hypothesis were partly accepted, others were fully accepted. ENC didn"t have a positive impact on UTL and BP through UTL. We found ORC and TEC had a positive impact on UTL and BP through UTL. Therefore UTL also had a strong meditating influence on BP. Furthermore,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for the mother companies to accomplish sustainable success for their suppliers informatization. Finally, we discus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 ERP시스템 실행 핵심 성공요인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중요도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왕남남(Nam nam Wang),이석준(Seog jun Lee),함유근(Yu kun Hahm),권진영(Jin Young Kwon)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2 商經硏究 Vol.37 No.1

        ERP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과 구현은 기업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있다. 중국의 경우, 중소기업이 정보화 발전을 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ERP시스템은 중국 중소기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기업은 ERP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는 비율이 낮으며 실패한 기업도 많기 때문에 ERP시스템의 핵심 실행 성공요인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ERP시스템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왔으며 이러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ERP시스템을 실행하여 보완점을 개선하는 것은 중국 중소기업이 당면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ERP시스템 성공 모델 이론과 ERP시스템을 도입한 중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실증적 자료에 근거하여 6개의 ERP시스템 핵심 성공요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국내 중소기업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양국 중소기업 간의 ERP시스템 실행 핵심 성공요인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이에 대한 원인분석 및 중국 중소기업 ERP시스템의 효율적 실행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양국의 중요도인식에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요인은 중국 기업이 ERP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an important subject of enterprise that how to make ERP system input and implementation for success. In the stage of high-speed development of SMEs informatization, ERP system plays an important impact on SMEs’ development in China, however, many enterprises failed in implementation of ERP system because successful implementation rates of Chinese enterprises are lower. So it is important to search successful elements of ERP system. There are a lot of research works on successful elements of ERP system’s implementation been done in the past literatures. Base on these theoretical researches, ERP systems’ implementation and effective improvement are the problems which Chinese SMEs are facing. This paper researched and analyzed six core successful elements of ERP system through empirical data which form ERP system’s successful model and Chinese SMEs whose ERP system has been implemented. Meanwhile, compare with Korean SMEs to verify the thesis that “understanding to successful elements’ importance exists difference between China and Korea”, then analyze why difference exist and search ERP system’s effective implement plans to Chinese SMEs The result of this paper is that understanding to successful elements’ importance existents difference between China and Korea, through the reason analysis, hope ERP system can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its implementation

      • 클라우드 ERP특성이 개인의 인지된 기대성과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병찬,안현철 한국경영정보학회 2019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11

        주로 온프레미스(on-premise)방식으로 구축되는 기존 의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과 달리, 최 근 등장한 클라우드 ERP는 보다 적은 초기비용을 들 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필요시 얼마든지 확장해 서 최신의 솔루션을 쓸 수 있는 장점으로 각광을 받 고 있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업 (ex. Salesforce, Workday)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ERP기업들 (ex. SAP, Oracle, MS)도 적극적으로 클라우드 ERP를 기업의 디지털혁신의 근간으로 내세우며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클라우드 ERP 시스템의 기능이 훌륭할지라도 직원들이 새로운 시스템에 저항하거나, 잘 사용하지 않는다면 기업은 효과적인 ROI를 달성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ERP에 대 한 개인의 사용의도를 종속변수로, 개인의 인지된 기 대성과를 선행변수로하여 부 변인 간의 관계를 우선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클라우드 ERP에 대한 수행된 기존 연구에 기반해 제시하고, 이러한 특성들이 실제 로 어떻게 클라우드 ERP의 기대성과에 영향을 미치 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ERP특성으로 선호 특성인 신속성, 확장성, 유연성, 비용효율성 외에 추가로 지각된 위험, 커스 트마이징 비중, 변화에 대한 저항을 저항특성으로 제 안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적으로 클라우 드 ERP사용자들에 대한 사용행동을 보다 깊이 이해 하여, 실무적으로 클라우드 ERP의 시장 확대 및 활 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소기업의 ERP시스템 혁신확산에 있어서 변화관리요인에 관한 연구

        권광현(Kwon Kwang-Hyon),변희창(Byun Hee Cha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06 국제회계연구 Vol.0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중소규모 입주업체를 중심으로 ERP시스템의 혁신확산에 영항을 미치는 변화관리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혁신확산을 위한 변화관리요인으로 혁신특성 요인(호환성, 복잡성, 상대적 우위)과 변화관리 요인(최초 구축 후 경과 기간, ERP 훈련, 변화준비)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구축 후 경과기간과 변화준비는 ERP시스템의 기능적 확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복잡성과 변화준비는 업무적 확산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호환성, 상대적 무위, IT 관리능력, ERP 훈련, 경쟁압력 등의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볼 때, ERP시스템을 성공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ERP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변화를 이해하게 하고 명확한 역할이 전달되어야 하며, 또한 ERP시스템 자체가 사용하기 쉬워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scertain change managemen factors affecting the diffusion of ERP system in Changwon Industrial Complex. With reference to past researches which focus on innovation diffusion, change management, and ERP implementation, the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The model developed includes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innovation characteristics (compatibility, complexity, relative advantage) and change management characteristics (elapsed time, ERP training, change readiness) as determinants of the extent of diffusion. The data for the thesis was obtained from the survey of 60 small-medium sized firms in Changwon Industrial Complex that have adopted ERP system. Survey respondents are the managers of ERP implementation.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elapsed time of change management characteristics & change readiness of change management characteristics had an influence only on the functional diffusion, and complexity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 change readiness of change management characteristics had an influence on the operational diffusion.

      • KCI등재

        대학에서의 ERP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김명희,라기례,박상봉 대한경영정보학회 2012 경영과 정보연구 Vol.31 No.2

        ERP는 신 경영혁신 기법으로 기업자원을 전사적으로 통합관리해 주는 전사적 자원관리라는 의미이다. 즉 영업에서 생산 출하에 이르는 기업의 모든 업무과정 을 컴퓨터를 이용해 유기적으로 연결,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최신 경영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ERP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에서 ERP프로그 램을 담당하는 실무자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이는 학교에서의 ERP교육 을 통하여 실무자를 양성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교육현장에 있 어서 전문 ERP교원의 부족과 현장 실습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가 배출되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ERP에서 회계의 역 할이 매우 중요하고 그 비중이 매우 크며 회계담당자의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전문 ERP 회계 담당자가 매우 많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ERP교육 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고 각종 문헌 및 현재 대학에서의 ERP교육의 문 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대학에서의 ERP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ERP에 대한 선행학습 이라고 할 수 있는 회계원리의 교육을 강화하여 이론적인 지식이 충분히 습득돼 야 한다. 둘째, ERP프로그램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다양하 게 만들어 학생들이 이 시나리오에서 발생한 사건과 사상을 파악하여 직접 ERP 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앞서 언 급한 바와 같이 ERP는 영업, 구매, 인사, 급여, 생산, 등 전사적인 자원들이 모두 회계로 통합되는 현장회계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활동현장과 회계모듈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주지하고, 각각의 부문 모듈이 별도의 프로그램 으로서가 아닌 하나의 흐름으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ERP학습에 대한 향후 학생들이 느끼고 있는 교육의 효율성과 교수들이 느끼고 있는 교육의 효율성에 대해 파악하여 이 두 집단 간에 느끼는 효율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가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ERP시스템의 도입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김형준,김혜정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7 경영컨설팅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ERP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ERP시스템의 성공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세부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ERP시스템의 활동요인과 기술요인이 사용자만족과 재무적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사용자만족이 재무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본 연구의 세부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국내외에서 진행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연구의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모형과 가설을 기반으로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내린 후 국내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수간의 유의한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ERP시스템의 활동요인 및 기술요인이 사용자 만족과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활동요인 변수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CEO 지원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훈련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요인 변수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개방성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편리성과 유연성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RP 도입요소 중 활동요인 측면에서 CEO 지원이 다른 요소에 비하여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기술적 요인 측면에서 개방성이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that influence ERP introduction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s resulting from the introduction.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hrough questionnaire, mail, and E-mail. This study used 212 out among of collected 298 sample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change of technology level in factor of environment has meaningful effect on internal business performance and customer’s needs has an effect on external business performance. Second, the usefulness of ERP system quality has an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but flexibility and stability has not an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Third, the reliability in ERP system service has an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but responsibility has not an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and extend the horizon of study providing evidence on the benefits associated with ERP system implementation.

      • KCI등재

        ERP시스템의 진화 결정요인과 진화방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손승희 ( Seyung Hee Sohn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3 질서경제저널 Vol.16 No.4

        ERP시스템은 1960년대 초반의 재고관리시스템으로부터 출발하여 MRP시스템과 MRPII 시스템으로 그리고 2000년대 들어서 ERP시스템과 확장형 ERP시스템으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과정이 기업 내부 자원뿐 만 아니라, 기업 외부의 자원 (수요자 측면의 자원과 공급자 측면의 자원)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영역을 확대하여 고객관계관리(CRM), 공급사슬관리(SCM)로 확장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ERP시스템의 모습이다. 이 같이 진화를 거듭하는 이유는 정보통신기술의 변화, 기업의 내·외부 환경변화 그리고 비즈니스프로세스의 통합요구 등에서 찾을 수가 있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이나, 기업 환경변화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비즈니스프로세스들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ERP시스템의 진화는 끈임 없이 진행될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 그 변화는 기존의 모습이 아닌 혁신적인 모습일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정보시스템의 발전모형을 근거로 ERP시스템의 역사적인 진화과정을 고찰하고, ERP시스템 진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ERP 시스템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기술과 기업의 환경변화를 중심으로 향 후 예상되는 ERP시스템의 진화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본 탐색적인 연구결과, 진화 결정요인으로 관리통제 대상영역, 정보기술 발전추이, 조직에의 활용도, 시스템의 통합, 개발업체의 전략과 보유기술, 시스템사용자로서의 기업의 요구를 추출하였으며, 진화 방향성은 보다 많은 영역과 기능을 통합하며(integrate), 기업환경과 사용자의 요구에 민첩하게 반응하며(agile), 이동성이 강하면서도(Mobile), 저렴하고(cheap), 기업의 의사결정에 빠르고 (fast) 광범위하게(Extensive) 활용될 수 있는 형태의 시스템으로 진화하게 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ERP-system is a company-wide information system that has tightly integrated all aspects of a business. It has evolved in the early 1960‘s from IMCS to the MRP/ MRPII and in the 2000's to the ERP and further to the xRP-system. The company's value-added process was affected not only by the internal resources but also by the external resources of the company. Therefore the area that should be processed by ERP-System expanded to the area of the consumer and also to the provider, which allowed the ERP-System to evolve to the xRP-System. This evolution was due to the changes in ICT,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enterprise and lastly due to the requirements of enterprise. The rapid changes of the ICT and business environment will allow the ERP-System to evolve continuously, and in some cases, the changes will be innovative.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ERP-System and the evolutional direction based on the model of development level of an information system. In the Study, we tried to extract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evolution of ERP-Syste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evolution in the future. As the result, we extracted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evolution of ERP-System as following: area processed and controlled by ERP-System, development level of information technology, degree of application, degree of system integration, strategy of vendors, and the requirements of enterprise. This study reached to the following results: The ERP-System will be evolving in the form that (1) integrates more areas and function processed by system, (2) quickly responds to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to the needs of the user, (3) provides stronger mobility, (4) processes the functions faster, (5) supports the various decision- making situation in the enterpr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