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경찰 사격 훈련제도 개선안에 관한 연구

        이훈(Lee, Hoon),김동률(Kim, Dong Lyoul)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6 경찰학연구 Vol.16 No.4

        경찰관은 시민과 자신의 생명 보호와 엄정한 법집행을 위해 경찰 장구 사용 능력 특히, 총기 사용과 관련된 적절한 지식 및 사격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경찰관은 예외 없이 신임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임용 이후의 직장훈련을 통하여 지속적인 권총 사격 훈련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경찰의 경우 주력 총기인 총열의 길이가 4인치인 38구경 권총으로 15미터 거리의 고정 표적지 및 가늠자, 가늠쇠를 활용한 고득점 취득 위주의 사격 훈련을 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치안현장에서 경찰관의 총기 사용은 사격 훈련 환경과는 전혀 다른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실제 치안현장의 총기 사용 상황을 반영한 사격 훈련을 통하여 경찰관의 현장 대응 능력을 향상시켜야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경찰관의 치안현장 총기 사용 실태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06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사이에 작성된 우리나라 지구대 파출소 외근경찰의 총기사용보고서 및 실제 총기를 사용한 경찰관과의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획득한 자료를 바탕으로 실제 총기 사용 상황과 현행 사격 훈련제도 사이의 괴리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제 치안현장에서의 사격 거리를 감안하여 현재 획일적으로 고정 표적지를 활용한 15미터 사격에서 탈피하여 1미터에서 15미터 사이의 다양한 거리에서 조준사격뿐만 아니라 가늠자, 가늠자를 의존하지 않는 지향사격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이 연구는 경찰관이 휴대한 권총을 양손으로 파지할 수 없는 위급한 상황에 대비한 한 손 사격 훈련과 주간 사격 훈련 상황에 비해 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에서의 사격 훈련 등 우리나라 경찰의 사격 훈련제도 전반에 걸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Law enforcement officers are obligated to possess an adequate level of knowledge and skills regarding proper use of police deadly force in the line of duty. In that regard, police officers must be constantly trained regarding use of force from the beginning of their law enforcement career. Police officers in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participate in marksmanship style police shooting drills at the distance of 15 meters with .38 caliber revolver of which barrel length is four inch long. However, the settings where police officers use deadly force in the field are totally different from the those of shooting drills. Despite the importance of police shooting drills, no empirical research study has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disparity between police shooting drill programs and actual police shooting practices in field. To fill the gap in research, the current stud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ttempted to analyze police use of deadly force reports since 2006 and conducted telephone interviews with police officers who filed the reports.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police use of deadly force incidents occur at various distances. Therefore, the police shooting drill program in the Korean Police Agency must be redesigned to include range shooting drills from the distance of 1 meter to 15 meters, marksmanship style shooting skill development as well as point shooting techniques.

      • KCI등재

        터널 보링 머신 공법 구경별 지질조건에 따른 월굴진장 분석

        Choi, Jae Jin,Park, Hong Tae 한국재난정보학회 2014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0 No.1

        본 연구는 독일의 WIRTH사에서 개발한 ø2.6m, ø3.0m. ø3.5m, ø3.8m TBM 장비로 굴진 한 TBM 공법 적용 터널 현장의 작업 전 과정을 수록한 굴진보고서를 근거로 작업 항목 별로 차지하는 소요시간을 통계화하여 월굴진장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9개 현장의 운영교대시간의 손실률을 비교해서 가장 낮은 현장을 기준으로 TBM 상승 예상 월굴진 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된 결과는 향후 유사한 지질 조건의 현장에서 TBM 공 법을 적용하여 운영할 경우 기본계획수립단계에서 개적인 공사기간과 공사비의 추정 등 의 공사를 계획하고 관리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monthly excavation length and amount of time occupied by the work item based on drilling reports to record the entire work process of TBM tunnel site. TBM equipment( ø2.6m, ø3.0m. ø3.5m, ø3.8m) was developed by WIRTH company in Germany.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rising expected monthly excavation length based on the lowest loss rate of operating shifts among the field of nine. Analysis results are confident to be a useful tool when Planning and Managing TBM method construction to the primary planning steps in the field similar to geological conditions and analyzed geological conditions.

      • KCI등재후보

        터널 보링 머신 공법 구경별 지질조건에 따른 월굴진장 분석

        최재진,박홍태 한국재난정보학회 2014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0 No.1

        본 연구는 독일의 WIRTH사에서 개발한 ø2.6m, ø3.0m. ø3.5m, ø3.8m TBM 장비로 굴진한 TBM 공법 적용 터널 현장의 작업 전 과정을 수록한 굴진보고서를 근거로 작업 항목별로 차지하는 소요시간을 통계화하여 월굴진장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9개 현장의 운영교대시간의 손실률을 비교해서 가장 낮은 현장을 기준으로 TBM 상승 예상 월굴진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된 결과는 향후 유사한 지질 조건의 현장에서 TBM 공법을 적용하여 운영할 경우 기본계획수립단계에서 개적인 공사기간과 공사비의 추정 등의 공사를 계획하고 관리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