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널드 위니캇의 안아주기 환경 개념의 여성목회신학적 재고와 목회적 돌봄

        권진숙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이 논문은 여성목회신학적인 관점에서 도널드 위니캇 (Donald W. Winnicott)의 안아주기 환경(holding environment) 개념을 성찰하면서, 새로운 상호적 목회 돌봄에 대한 가능성을 연구한 글이다. 연구 방법론은 캐리 도어링 (Carrie Dohering)의 여성주의 목회 신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 논문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 방법론을 소개하고 전반적인 연구의 전개와 주제를 제시할 것이다. 2장에서는 도널드 위니캇의 안아주기 환경을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비평적으로 재고할 것이다. 첫째로 안아주기 환경 개념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전통적인 모성 이해에 대한 비평을 한다. 둘째로 안아주기 환경 개념의 지나친 영아 편향적인 성향과 초기 돌봄 제공자에 대한 돌봄 결여에 대한 문제를 지적할 것이다. 3장에서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미아라는 여성의 모성 경험과 신앙생활을 분석함으로써 목회적 돌봄으로서의 상호적 안아주기 환경의 중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4장에서는 여성목회신학적 성찰과 목회적 돌봄에 대한 제언을 할 것이다. 기존의 모델은 영아와 엄마를 안아주기 환경의 두 구성요소로 보고 있는 것에 반해, 상호적 안아주기 환경은 유아와 초기 돌봄 제공자, 유아를 안아주는 환경으로서 초기 돌봄 제공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초기 돌봄 제공자의 안아주기 환경으로서 공동체의 돌봄이 강조될 것이다[영아+(초기 돌봄 제공자의 돌봄)↔초기 돌봄 제공자(+공동체의 돌봄)]. 육아의 문제는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여성목회신학적, 공공신학적 관점의 돌봄의 과제가 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Donald W. Winnicott's concept "Holding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a feminist pastoral theology. I will use Carrie Dohering's feminist theological method to rethink this thesis using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from a feminist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I will critique Winnicott's presupposition of traditional motherhood which reinforces a patriarchal understanding of women's roles as full-time mothers who can exclusively focus on nurturing their infant(s). Also, Winnicott's idealization of the role of the mother as the ideal primary caregiver will be examined. Then, the diversity of motherhood and parenthood within Korean society will be reviewed and why the new holding environment needs to be investigated and rethought to suit the needs of 21st century Korean family structures. Thereafter an understanding of holding environment will be suggested which presupposed the mutually important tasks of caring for the infant(s) (+the care of the primary caregiver(s)) and the primary care giver(s) (+the community care for the primary caregiver(s)). Then, the case study of Mia Kim will be used to imagine how we can specifically envision the negative example of an unhealthy holding environment for both infants and mothers. Finally, new feminist theological and public theological suggestions for pastoral care will be offered that allow for creating mutual holding environments.

      • KCI등재

        종교적 상징에 대한 목회 심리학적 연구 : Joachim Scharfenberg의 ‘영혼의 돌봄’ 이론을 중심으로

        고유식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연구자는 본 논문이 종교적 상징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를 통해, 어떠한 구조 속에서 종교적 상징이 실존적 인간의 영혼의 돌봄을 위해 기여해왔는지, 또한 정신분석적 해석을 통한 종교적 상징이 어떻게 기독교적인 영혼의 돌봄을 위해 좀 더 발전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지에 관한 희망의 연구가 되기를 바란다. 종교적 상징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 어떠한 이유로 우리 기독교인들은 종교적 상징을 통해서 위로 받으려 하는가? 종교적 상징은 우리에게 어떠한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가? 우리는 종교적 상징에게로 어떠한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가? 또한 이러한 식의 의미 부여에 있어, 종교적 상징과 인간 사이의 관계가 한 쪽의 일방적 관계가 아닌, 의미에 대한 종교적 상징과 인간 사이의 상호 역동적 관계로 이해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 조심스럽게 다가가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독일의 실천신학자이자 정신분석가인 요아킴 샤르펜버그 (Joachim Scharfenberg)의 종교적 상징 이해를 중심으로, 일반적 상징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종교적 상징만이 갖고 있는 특징과 그 속에 내포된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종교적 상징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연구하기 위해 영국의 아동 정신분석학자인 도날드 위니캇 (Donald W. Winnicott)의 핵심 이론인 중간 대상/ 중간 현상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분명 샤르펜버그가 추구해왔던 목회 심리학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종교적 상징과 정신분석학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종교적 상징의 차이를 좀 더 명확하게 해주었다. 위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결론적으로, 종교적 상징의 영혼 돌봄을 위한 가능성 중 하나로서 상담 상황에서 종교적 상징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역할과 기능들에 대해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종교적 상징은 인간의 삶을 반영하는 역동적인 힘을 갖고 있으며, 또한 인간이 삶의 자리 속에서 느끼는 갈등을 저항 없이 드러낼 수 있게 하는 역할에 대한 수행의 가능성을 본 연구자는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종교적 상징에 관한 다각적 접근은 본 연구자가 제시한 상담적 고찰 이외에도 앞으로 실천신학의 전반적인 발전을 위해 매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Das Symbol ist in der Realität lebendig. Der Mensch kann durch die symbolische Wirkung in Beziehung zu anderen tretten. Diese Auswirkung des Symbols steht in Verbindung zur Identifikation der Wirklichkeit mit inneren Erfahrungen des Menschen. Also behauptet Joachim Scharfenberg die Notwendigkeit der Einführung des religiösen Symbols in die Seelsorge zur Bearbeitung und Aufzulösung seiner inneren Konflikte, weil es eine beruhigende Wirkung ausüben kann. Auf diesem Hinblick ist er der Meinung, dass im religiösen Symbol nicht nur die inneren Konflikte des Menschen, sondern die Geschichte des menschlichen Lebens und auch die christlichen Überlieferungen enthalten sind. Das religiöse Symbol fasst die Transzendenz im göttlichen Bereich und auch die Realität im menschlichen Bereich gleichzeitig um. Es enthält also die Gotteshuld für den Menschen, umgekehrt die Hoffnung des Menschen auf das ewige Heil. So bietet das religiöse Symbol eine große Möglichkeit an, dass die Menschen durch das religiöse Symbol die Heilswille Gottes für alle sehen und ihre in dieser Welt hoffnungslos aufgegebenen Wünsche ausdrücken können. Außerdem versuche ich Für das bessere Verständnis über psychoanalytischen Sinn des religiösen Symbols die Einsicht Scharfenbergs von ihm mit dem Verständnis vom Übergangsobjekt Winnicotts zu vergleichen, indem er die Gemeinsamkeiten und Unterschiede von beiden untersucht. Denn er erwartet die seelsorgerliche Auswirkung im religiösen Symbol. Schließlich erforsche ich die Funktionen des religiösen Symbols in seelsorgerlichen Situation: seine Funktion für den Ausdruck der Lebenssituation des Menschen und noch für die kommunikative Kraft. Daher überlegt er, welche Rolle das religiöse Symbol in der Seelsorge, nämlich in Pastoral Care spielen kann.

      • KCI등재

        문화와 문화경험의 자리

        권수영(Soo Young Kwon) 한국기독교학회 200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35 No.-

        This article proposes the need for building a critical and constructive model that more adequately addresses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s in cultures other than Europe and America.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experience is central to this enterprise. This study assesses the way in which current psychoanalytic interpretations of God representations limit cultural experience to internal, individual, and pre - linguistic processes and situate culture in the external world. This paper presents a challenge to this traditional approach by examining the crucial role of language and the culturally patterned interaction with cultural symbol that is manifested in Korean terms for God. For example, the Korean terms for God signify a cultural symbol of Korean Confucianism (i.e., heaven). The study revises current object relations theory by developing a model that incorporates psychological and cultural dimensions. Methodologically,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Donald W. Winnicott` s object relations theory to assess its theoretical applicability to cultural as well as psychic realms. This study also explicates Melford Spiro` s psychological - anthropological method in order to examine the viability and value of bringing these two disciplines together to develop an expanded model of God representations as influenced by culturally patterned interactions in transitional spaces. The thesis of the article states that a holistic understanding of one`s God representations must include a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tal images constructed through pre-linguistic interactions with primary care givers and cultural patterned interactions that are also represented through the use of language in the transitional space. This study points to the heuristic value for those who seek to avoid mono - cultural assumptions about God representations to offer culturally competent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파괴와 생존”의 드라마, 상호주체 정신분석의 목회상담적 의미

        조현숙(Hyeon Sook Cho)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6 No.-

        고전적인 정신분석에서 ‘역전이’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상담자의 주관성이라 할 수 있는 역전이는 제거되어야 하거나, 불합리하거나 오염 요인들을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 절하되었다. 하지만 관계중심 패러다임에서 상담자의 주관성은 내담자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된다. 상호주체 상담에서 주체와 객체는 분리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다. 이런 도식에서 나와 너는 서로 분리될 수 없는 “나”이자 “너”이다. 제시카 벤자민(Jessica Benjamin)은 더 나아가 상호주체성(intersubjectivity) 이란 대상이 주체의 파괴적인 공격에 대항해 살아남을 때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즉, 유아는 최초의 엄마와의 “하나 됨”(oneness)의 관계를 넘어 분리를 향해 갈 때 공격성이 높아지는데, 엄마는 이를 공격하지 않으면서 버텨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아이는 엄마를 인정하고 상호 주체적인 존재가 된다. 이렇게 탄생한 주체는 어느 한쪽에 흡수되거나 강요되지 않는다. 다름과 차이를 유지하는 협력적인 동반자 관계이다. 또한 유아가 엄마를 공격하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내담자가 상담자를 파괴적으로 공격하는 과정은 타자를 죽음에 이르게 할 정도로 위협적인 것이다. 그럼에도 중요한 것은 타자가 살아남아야 한다는 점이다. 벤자민은 타자에 대한 진정한 사랑은 이러한 살아남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목회상담의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살아남기는 그리스도의 수난에 비유할 수 있다. 비온은 심리치료에서 박해를 피할 수 없는 과정으로 보았다. 한편 신학에서도 피할 수 없는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의 과정은 인간에게 새로운 창조를 열어주는 시간이 된다. 상호주체 정신분석에서 너는 나이자 너이다. 하지만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것은 “너는 나와 다르다”는 것에 대한 자각이다. 이는 다른 몸짓을 내고 다른 소리를 내는 타자의 존재가 먼저 인정될 때, 독립된 존재로부터 받는 나의 독립과 사랑이 얼마나 강력한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신분석의 파괴와 생존의 드라마는 주체 간의 서로 다른 파열음이 짙어질수록 더 강력한 사랑의 원동력으로 작용할지도 모른다. The study of classic psychoanalysis has not accepted counter-transference positively. Due to the academic tendency of regarding the subjectivity of counselors as some unreasonable element which causes distortion of counseling, counter-transference has been considered to be eliminated in the area of pastoral counseling. However, some recent research on the interpersonal psychotherapy that emphasizes relational paradigm has begun to observe that the subjectivity of counselors can be a strong method to understand the counselee. In inter-subject counseling, the subject is not separated from the object.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you’ are not separated from one another. Jessica Benjamin affirms that inter-subjectivity is formed when the object survives from the subject’s destructive attack in their relationship. For example, a mother and an infant mutually become ‘subjects’ when they accept independence from one another in the relationship and overcome the prior relationship of ‘oneness.’ The subject formed in the above process should not be absorbed or compelled by the other. Both the subject and object can build a cooperative partnership when they accept their differences. The destructive process of a counselee attacking a counselor-similar to an infant’s attack against his or her mother may threaten the life of the other. Despite this condition,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other survive. Benjamin sees that true love for the other can be realized through the survival process. In addition,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compares this survival with the passion of Jesus Christ. As the passion of Jesus Christ is an indispensable process which leads human beings to the stage of new creation, persecution is also regarded as an inevitable process in psychotherapy. Although you are ‘I’ as well as ‘you’ in inter-subject psychoanalysis, this relationship allows a self-consciousness that “you are different from me.” Accepting the different voice and gestures of the other becomes an absolute necessity for independence and love. Therefore, the more severe the friction that occu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through the drama of destruction and survival of psychoanalysis, the stronger the impetus for powerful love emerges between them.

      • KCI등재

        학대받은 어린이의 치유를 위한 놀이목회상담연구

        박은정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어린이는 사랑받기 위하여 태어난 존재들이다. 그러나 인류의 오랜 역사동안 약자로써 학대와 상처를 받아 온 어린이들은 계속 존재해 왔다. 또한 학대받은 어린이들은 상처를 치유받기 보다는 숨겨지고 방치되어 왔다. 이제는 교회가 나서서 이들의 아픔과 상처를 전문적으로 도와주어야 할 책임감을 가져야 할 때이다. 어린이의 경우에는 상처와 아픔을 어른처럼 유창하게 언어로 표현 할 수 없기에 그들의 깊은 상처가 간과되어진다. 특히 가장 가까운 사람으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어린이가 그 상처를 치유 받지 못한 채 살아가게 되면 그에 따른 문제들은 후에 신체적 또는 정신증적인 증상들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기독교인의 경우에 상처를 신앙의 가면 뒤에 숨기고 마음껏 슬퍼하지 못하는 경우, 그 자녀들도 부모처럼 슬픔을 기독교 공동체 속에서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기에 적절한 치유를 경험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가 자신의 언어인 놀이를 통해 상처를 치유할 수 있도록 ‘놀이목회상담’(Play Pastoral Counseling)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먼저 놀이목회상담의 신학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어린이 신학을 고찰한다. 그 다음으로는 학대받은 어린이에게 가장 효율적인 치유방법으로써 놀이목회상담을 제안하고 그 치료적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존의 놀이치료가 일대일 중심이며 전문놀이치료실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목회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개별적이고 공동체적인 놀이목회상담 방법론들을 제안한다. 학대를 경험한 어린이의 치유를 위한 목회상담자의 자세는 예수 그리스도가 신약성서에서 어린이를 돌보았던 모습을 본보기로 하여 재구성한다. 먼저 스스로 찾아올 수 없는 현실가운데 있는 학대받은 어린이를 예수 그리스도처럼 무리 중심으로 초대하고 안아주어야 한다. 또한 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역자와 놀이목회상담가가 놀이에 함께 참여하며 버텨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어린이들이 상처를 딛고 홀로 설 수 있는 놀이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학대받은 어린이의 치유를 위한 놀이목회상담의 개별적 접근 방법과 공동체적 접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안 한다. 개별적 접근방법으로서는 성서로 질문하기와 성스러운 놀이(Godly Play), 그리고 공동체적 접근방법으로는 하나님과 함께 놀이하는 놀이터 공간으로서의 예배에 대하여 교회공동체가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Children are essentially born to be loved. Nevertheless, the long history of mankind stands on child abuse leaving emotional devastation for fragile children with a vicious cycle to continue on existing. In addition, abused children are often neglected and hidden rather than supporting them to heal before reaching adulthood. Now is the time for the church community take charge and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hare an active role of professionalism of healing the pain and wounds. Even more, it is easily overlooked and passed over the young children's abuse due to their incapacity to explicitly express their deeply rooted experiences of hurt and pain in a language as adults do. Especially when children who experienced abuse from someone close and grow into adulthood without proper treatments, the pain manifest problems in physical or psychotic symptoms later in life. Christians particularly tend to suppress their psychological wounds behind religious mask and therefore are incapable of properly healing their psychological pain. In a situation where their parents are unable to fully express their grief within the Christian community, it will be a greater challenge for children to express their full emotions in a proper manner, preventing them from healthy healing.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Play Pastoral Counseling as a method to support children face their wounds through Play Therapy.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Play Pastoral Counseling in theory and practice, the researchers first analyzes the theology for the children to lay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the pastoral counseling play. The next suggestion is to play 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treat the abused children and examine for its therapeutic significance and func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existing treatment is an one-to-one based children's play center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should be completed in specialized clinics. This particular play was proposing individual and collective play pastoral counseling methodology applicable in pastoral scene. Moreover, the attitude of pastoral counselors for the healing of children who experienced abuse were reconstructed by the appearance of Jesus Christ caring for children in the New Testament. First, it is important to be initiative to invite the abused children since they cannot think to seek counseling on their own and welcome them into a communal setting as Jesus did with open arms. Most importantly, the goal of pastoral ministers and counselors involved in play therapy is to provide support so the abused children can grow into the next developmental stage in a healthy way and create an environment which they can stand alone to overcome the painful experiences with the guidance of the pastoral counseling. Lastly, it offers individual approaches and community approach to play pastoral counseling for the healing of abused children. For specific methods in play pastoral counseling, this study suggests play tactics such as questioning through the bible, Godly Play. Additional methods that are suggested for play pastoral counseling on a communal level includes, worship as a place of God's playground and worship approachable and tailored for children, as well as group play counseling methods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ministering within the church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