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당해산심판의 헌법적 쟁점 ― 정당해산심판의 요건과 효과를 중심으로 ―

        정만희 한국공법학회 2014 공법연구 Vol.42 No.3

        정부는 한국헌정사상 최초로 2013. 11. 5. 국회 원내 제2야당인 통합진보당에 대해 헌법상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는 위헌정당으로 판단하여 헌법재판소에 정당해산심판을 청구하였다. 이번의 정당해산심판사건에 있어서 핵심적 쟁점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통진당 당원들의 그 동안의 활동이나 당헌ㆍ당규 또는 강령 등에 나타난 통진당의 목적과 활동이 과연 위헌정당해산의 실질적 요건인 헌법 제8조 제4항의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될 때”에 해당하는가의 문제이며, 또 하나는 헌법재판소에 의한 정당해산결정이 내려지는 경우 통진당 소속 국회의원의 의원직 상실여부에 관한 문제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통진당 해산심판사건을 계기로 정당해산제도의 헌법적 의의와 본질을 재검토하고 위의 두 가지 쟁점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정리하고 필자의 견해를 제시한다. 정당해산의 실질적 요건에 관하여 먼저 헌법 제8조 제4항의 ‘민주적 기본질서’의 개념은 헌법의 핵심적 근본질서로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민주적 기본질서의 위배’ 여부에 관한 판단에 있어서는 종래 학계의 입장에 따라 과거의 독일 판례나 이론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최근 유럽에서 베니스위원회가 제시한 정당해산심판에 관한 엄격한 기준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당해산의 실질적 요건에 대한 심판기준은 정당해산제도의 본질적 기능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정당해산제도의 2중적 기능으로서 헌법의 예방적 수호와 정당보호의 기능 중에서 전자의 기능을 우선하기보다는 양자의 조화적 실현을 위한 균형있는 판단이 요구되며, 오히려 정당의 자유보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민주적 기본질서 위배의 정도에 관한 판단기준으로는 비례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정당이 헌법의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는 위헌정당인가의 여부는 한마디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태롭게 하는 ‘구체적 위험’의 존재를 인정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정당해산결정의 효과로서 의원직 상실여부에 관하여 국내의 다수적 견해와 같이 정당이 해산되는 경우 정당소속 의원의 의원직상실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곤란하며, 앞으로의 이 문제에 관한 입법에 있어서도 소속의원 전원에 대한 의원직상실을 규정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이 문제에 대한 학설의 대립은 기본적으로 방어적 민주주의에 기초한 헌법수호의 실효성확보라는 법익과 국회의원의 국민대표성과 자유위임의 원칙이라는 법익의 충돌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 어느 법익과 헌법적 가치를 우선할 것인가의 문제인 것이다. 이 점에 관하여 필자의 기본적 견해는 대립하는 양 법익을 조화롭게 실현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정당해산의 결과로서 소속의원의 의원직을 상실시키도록 하고, 예외적으로 의원 개개인의 활동이 정당의 목적이나 활동과 객관적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의원직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이번의 통진당사건의 경우에 정당법이나 헌법재판소법 등에 의원직상실여부에 관한 명문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헌법재판소가 정당해산결정과 함께 의원직상실을 명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의 문제는 간단히 판단하기 어렵다. 헌법재판소는 헌법상의... The Executive of Korea filed for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to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on November 5th, 2013 because the Unified Progressive Party, which was the second opposition party in the National Assembly, violated the democratic basic order in the Constitution. It is the first case of this type in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Korea. There are two key issues in this case. The first is whether activities of members of the party—as well as the party itself under the party constitution, regulation, and platform—violate “the democratic basic order” under the Constitution as a substantial requisite for dissolution of the political party. The second is whether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belonging to the party will be disqualified if the Court decides on dissolution of the party. This article reviews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and discusses the above issues in academia, then provides the author’s opinions. The democratic basic order, which is a substantial requisite for dissolution of a party, should be understood as the “liberal democratic basic order.” And also, in order to decide the violation of the democratic basic order,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guidelines on prohibition and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analogous measures suggested by the Venice Commission rather than fully relying on past German cases and theories. The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has dual functions that provide preventive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and of political parties, and they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harmonic understanding, or the latter should be emphasized more if needed. Moreover, it should be clear that violating the democratic basic order presents ‘an actual threat’ to the Constitution in order to decide that a political party is unconstitutional under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Relating to the effects of the adjudication, majority in academia argue that all members of the political party must be disqualified for membership in the National Assembly when the Court decides that the party violates Constitution. However, the author argues that all members of the violating political party should be denied membership of the National Assembly at first, but if a member’s activities are not fully related to the political party, his or her membership in the National Assembly may continue as an exception because the purpose of dissolving a political party is to respect the free representative principle in relation to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n this case, the Court struggles to decide whether to dissolve the party and disqualify its members from membership of the National Assembly because even though the Court has jurisdiction on the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the Court cannot decide whether to disqualify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because they are representatives of the people under the separation of powers principle. Without specific articles about this issue, it is better left to the National Assembly itself. Its examination of qualification procedure or disciplinary procedure of the National Assembly could adequately decide which members should and should not be disqualified. With this Unified Progressive Party case, academia should research and study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in order to supplement legislative gaps and deficiences regarding this issue.

      • 정당해산제도의 예외적 적용가능성과 한계

        이재희(Lee Jae Hee) 헌법이론실무학회 2015 헌법연구 Vol.2 No.2

        정당해산은 가장 강력한 전투적 민주주의 제도로서, 오로지 반민주적 정당이 다수의 지지를 받고 민주적 절차를 이용하여 집권하여 민주주의를 폐기하고 전체주의 체제를 수립하려고 하는 경우에 그러한 민주주의의 적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다. 그리고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질적으로 반민주적인 수단이라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민주주의 그 자체로부터 전투적 민주주의나 정당해산이 필연적 구성부분으로 도출되는 것은 아니고, 민주주의의 비상상황에서 이러한 전체주의정당의 집권과 같은 아픔이 있는 개별 국가의 역사적 경험에 기인하여 예외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제도이다. 한국의 정당해산심판제도가 나치집권에 대한 반성적 고려로 도입된 독일식 방어적 민주주의 제도의 의의를 갖는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한국은 유사한 다른 신생민주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정권에 의한 불법적 정당해산·야당탄압을 방지하고, 독재로의 회귀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당의 헌법적 보호의 일환으로서 정당해산제도를 도입한 것이다. 따라서 독일식 방어적 민주주의와는 완전히 구별된다. 세계적으로 정당해산과 같은 전투적 민주주의 제도들은 민주주의 변화의 물결과 흐름을 같이하여 그 적용대상을 변경해왔다. 그러나 이렇게 정당해산의 적용대상을 확대하는 것은 민주주의 공고화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반민주적 수단인 정당해산은 처음부터 예외적으로 비상시에만 적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하며, 여기에 더하여 민주주의 발전 단계를 고려하여 특히 민주주의 공고화 이전의 신생민주주의 국가들은 정치적 악용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제도화되어 있더라도 이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생민주주의 국가들이, 쿠데타·독재로의 회귀를 방지하거나 정치적 극단주의의 등장에 대하여 기반이 취약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목적으로 정당해산 이용을 요청하는 것이라 할지라도, 민주주의를 외부적으로 강제하고 조형하는 것인 정당해산제도에 의존하지 않고, 구성원들 스스로의 선택에 따라 민주주의를 굳건하게 지킬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 주어야 비로소 안정적인 민주국가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Party dissolution is one of the most powerful instruments in militant democratic restrictions. It is targeted at anti-democratic parties which pursue a goal to destruct democracy and establish totalitarian regime using democratic processes. Also it only should be applied to parties strongly supported by the people. Party dissolution originally has anti-democratic character. Because it invades pluralism which democracy is based on, and infringes political freedom of the party as weJl as its members. Therefore, party dissolution should be used carefully. Party dissolution is an exceptional one originated not from democracy itself but from historical background of individual countries. The idea of militant democracy influenced by Europe's experience of fascism was not introduced in the party dissolution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system of Korea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s. It had been introduced to guarantee the continued existence of political parties, especially the opposition parties, rather than to defend democracy against anti-democratic actors. The case of arbitrary and unjust dissolution of the opposition party, "Jin-bo dang" under authoritarian regime gave rise to the incorporation of dissolving party system into the Korean Constitution. As we see, legal forms of party dissolution and its practices are various m many countries. Differences reflects from individual countries ' historical backgrounds and political situations. Considering that party dissolution can threaten democracy itself as weJl as the opponents of democracy, we should avoid stretching the possible range of party dissolution. In principle, party dissolution should be used carefuJly and exceptionally in an emergency because of its anti-democrat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party dissolution can be often misused to oppress the minority in non-consolidated democracies. Therefore, the use of party dissolution should be restrained and strictly reviewed in these countries, though the countries need it to dissolve political parties pursuing military regime or even political extremism.

      • 정당해산의 실체적 요건의 규범적합적 해석

        김선택(Kim, Seon-Taek) 헌법이론실무학회 2014 헌법연구 Vol.1 No.1

        This article deals with a few core issues on the substantial requirements of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On 5 th November, 2013, Korean government requested the Constitutional Court to decide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and dissolve the party. The Basic Law(Grundgesetz) of Germany is the example of the clause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i.e. Article 8 of Korean Constitution. But the intention of constitution-makers in two countrie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Whereas german parliamentary council for making Basic Law intended to prevent the appearance and growth of anti-democratic parties such as Nazis party, korean national assembly wanted to block arbitrary dissolving political parties by the government. “Grundgesetz” decided german democracy as so-called “streitbare oder wehrhafte Demokratie (defensive democracy)”, which is supported by many ofinstitutions prescribed in Art. 9 Para 2, Art. 18, Art. 21 Para. 2 GG. In Korean Constitution, there’s only one institution, that is,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which focuses primarily on the protection of political parties. Therefore, korean democracy can’t be classified as a kind of german-style defensive democracy. “Democratic basic order” in the party-clause of Korean Constitution and “free democratic basic order” in the preamble and unification-clause(Article 4) of Korean Constitution are different each other. The former refers to essential principles of democracy in Korean Constitution. The latter means state’s system as such of Korea, which has been fighting against so-called ‘people’s democracy’ of North Korea since 1948. The scope of the latter is wider then that of the former. Because Art. 8 Para. 4 of Korean Constitution is an exceptional clause, its contents must be strictly interpreted. The aim of political parties must be grasped on the ground of official papers such as political program. The activities of political parties linked with such aim provide the Court with materials for decision. Whether an activity of any part organizations or party members or supporters of political parties can fall under the boundary of the activities of political party, must be decid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y as a whole. Only when the danger caused by the activities linked the aim of political parties is present, concrete and serious, the concerned party is in collision with “democratic basic order”. But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as a preventive measure, it is not required for the party to have a (high-) probability of realization of its aim. Taking the severe impact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on the liberty of the parties and party members in consideration, this measure must be proportional. Korean Constitution does not stipulate‘existence of state’ as a cause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Therefore the activity against the existence of state by party members and supporters, forexample, the crime such as high treason, could be coped with not by the measure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but by the criminal law. 이 글에서는 2013년 11월 5일 정부의 통합진보당에 대한 해산심판청구를 계기로 촉발된 학계의 정당해산논의를 통하여서도 충분히 해명되지 않은 정당해산의 실체적요건에 관련된 핵심쟁점 몇 가지를 우리 헌법조문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우리 헌법의 정당해산조항은 독일 기본법을 모델로 한 것이긴 하지만, 나치당과 같은 불법 정당을 방지하고자 한 독일과 정부에 의한 자의적 정당해산을 방지하고자 한한국은 입법배경이 다르다. 또한 기본법에 산재한 각종의 제도들로 자신들이 결단한방어적 민주주의를 뒷받침하고 있는 독일과 달리 우리 헌법은 정당해산제도를 두고있을 뿐이고, 그것도 일차적으로는 정당보호에 초점이 있기 때문에 우리 헌법이 독일식의 좁은 의미의 방어적 민주주의로 원칙적인 헌법적 결단을 내렸다고 할 수 없다. 정당해산의 보호법익으로 규정된 ‘민주적 기본질서’와 전문과 통일조항에 규정된‘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개념은 각자의 입법목적과 체계에 맞게 해석되어야 한다. 전자는 우리 헌법상의 민주주의의 핵심요소들을 내용으로 하는 체제내적 개념이며,후자는 북한의 인민민주주의체제와 대립하고 있는 우리 대한민국의 국가체제를 가리키는 체제대결적 개념인데, 외연으로 보면 후자가 전자보다 넓은 것으로 파악된다. 헌법 제8조의 체계상 제4항의 제한적ㆍ예외적 성격 때문에 동 조항에 규정된 가중적 요건은 엄격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정당의 목적은 정당의 공식문건에 의해 파악해야 하고, 정당이 진정한 목적을 은폐하는 경우 입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드러나지도 않은 주관적 의도를 이유로 심대한 불이익을 가하는 것은 부당하며, 그러한 정당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어 해산의 실익도 없어 보인다. 또한 목적만으로는 충분치 않고 목적 달성을 위한 활동으로 나아간 정당만이 해산대상이 될 수 있고, 정당의 부분 조직이나 당원 일부 내지 지지자들의 행동은 전체 정당의 견지에서 평가하여 정당귀속 여부를 가려야 한다. 정당의 목적과 결합한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려면용납할 수 없는 정도로 상충되어야 하고, 그로부터 발생하는 위험은 현재적, 구체적이고 진지한 정도에 이르러야 하지만, 정당해산의 예방조치적 성격에 비추어 목적이 현실적으로 실현될 가능성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정당해산이 당사자에게 미치는효과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비례성심사를 배제할 수 없다. 헌법은 국가의 존립을 정당해산의 보호법익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일부 당원들의 국가존립에 대한 위해행위, 예컨대 내란범죄행위는 정당해산이라는 헌법적 수단이 아니라 형법적 수단으로 진압되어야 한다.

      • KCI등재

        헌법 제8조 제4항의 정당해산사유에 관한 관견

        정태호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경희법학 Vol.49 No.3

        The thesis is concern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itutional conditions for the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under Article 8 (4) of the Korean Constitution (KC). The Article 8 (4) saying, “If the purposes or activities of a political party are contrary to the fundamental democratic order, the Government may bring action against it in the Constitutional Court for its dissolution and the political party is dissolved in accordance with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On the ground of the historical origins of Article 8 (4), several contradictions of the above-mentioned institution, and the tensions which derive from between the political liberties of the political party and the protection of the democracy, the author has recognized that the clause, as an extreme limitation of the political liberties, should be restrictively construed. Therefore, in order to dissolve a political party, the following conditions must be satisfied. First, the party must show active, aggressive, and combative attitudes against the fundamental democratic order. Second, the party must pose a concrete danger to the order by using or inciting violence. However, not the imminent realization of this danger, but its presence alone is enough for the dissolution of a party.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regards the “fundamental democratic order” as a synonym for the free democratic basic order. The KC Court's view is acceptable; however, the specification of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free democratic basic order by the Court is not correct. First, it is overinclusive because the Court considers that the private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and the market economy principle belong to the necessary elements of the free democratic basic oder. Second, it is underinclusive because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the principle of legality, etc. are missing in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the specification must be corrected because it focuses not on the fundamental values of the democracy, ​​such as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the right of the opposing party, but on election system and parliamentary system which can be configured as undemocratic one. 본고의 목적은 헌법 제8조 제4항의 정당해산의 실체적 요건과 관련한 주요 해석론상의 쟁점을 해명하는 것이다. 본고는 야당보호를 위해 채택된 정당해산제도의 역사, 이 제도의 여러 문제점과 한계, 정당의 자유와의 긴장관계로부터 정당해산사유를 가급적 좁게 해석하여야 한다는 해석의 지침을 추론하였다. 이와 같은 해석지침을 토대로 본고는 헌법 제8조 제4항의 실체적 요건은 민주적 기본질서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하려는 정당의 의도가 존재하고, 그 정당의 목적과 활동을 전체적으로 평가할 때 그와 같은 의도를 실현하려는 노력이 일시적인 태도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그 정당의 기본적 성향임이 그 활동을 통해 객관적으로 드러나야 하며, 나아가 정당이 폭력의 행사 또는 폭력의 선동 등을 통해서 그 목적을 추구함으로써 민주적 기본질서에 대한 구체적 위험을 유발하여야 비로소 충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호법익인 민주적 기본질서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즉 법치국가원리와 민주주의의 원리의 핵심적 요소로 구성되는 우리 헌법의 기본적 합의로 이해하여야 한다. 헌법재판소에 의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의 구체화는 수정ㆍ보완되어야 한다. 그 구체화는 한편으로는 정부의 책임성, 야당의 권리와 같은 민주주의 근본가치가 아닌 선거제도나 의회제도처럼 비민주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제도에 정향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장경제질서와 사유재산제와 같은 불가결적인 것이 아닌 것을 포함시키면서 국민주권, 행정의 합법률성원칙과 같은 필수적인 것은 놓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통합진보당 해산결정과 소속 국회의원의 의원직상실 문제

        장영수 ( Young Soo Chang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고려법학 Vol.0 No.76

        2014년 12월 19일 헌법재판소는 통합진보당에 대한 해산결정과 더불어 소속 국회의원들에 대하여 지역구의원과 비례대표의원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의원직을 상실한다고 선고하였다. 통합진보당의 해산결정에 대해서도 논란이 적지 않지만, 현행법상 명문의 규정이 없는 상태에서 소속 국회의원들의 의원직상실을 결정한 것에 대한 논란은 더욱 뜨겁다. 위헌정당의 해산과 관련하여 소속 국회의원들의 의원직상실 문제는 이미 오래 전부터 학설상 논란이 되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정당의 위헌성 확인으로 인한 정당해산과는 별도로 국회의원들은 국민에 의해 선출된 국민의 대표로서 민주적 정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원직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 있는가 하면, 비례대표의원의 경우에는 정당기속성이 강하기 때문에 의원직을 상실하는 것이 옳지만, 지역구의원의 경우에는 의원직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그리고 법률 규정이 없는 상태에서는 의원직상실이 불가능하다는 주장도 있다. 반면에 위헌정당해산제도의 본질 및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위헌정당 소속 국회의원들의 의원직은 상실되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의원직상실의 문제는 대체정당 내지 대체조직의 금지와 더불어 위헌정당해산결정의 대표적 후속조치라 할 수 있다. 비록 의원직상실에 대한 찬반이 뜨겁기는 하지만 위헌정당해산결정의 본질과 기능에 비추어 볼 때 의원직상실을 전면 부인하는 견해는 설득력이 약하다. 형사처벌에 의해 의원직을 상실하거나 국회의 제명 내지 자격심사에 의해서 의원직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헌정당해산제도의 효과로서 의원직상실을 인정할 수 없다는 주장은 정당해산심판의 성격이 형사소송과는 구별되는 예방적 헌법보호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 그렇기 때문에 양자가 별도로 인정되고 있으며 양자의 중첩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이석기 전의원의 경우가 보여주듯이 국회의 제명 내지 자격심사의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설득력이 약한 것이다. 그러나 위헌정당해산의 효과로서 의원직상실이 인정된다 하더라도 그것이 당적을 가진 모든 의원에게 획일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단언하기 어렵다. 예컨대 당내에서 위헌적 활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하던 의원들에 대해서까지 책임을 묻는 것이 옳지 않으며, 이들의 경우 위헌정당의 해산 이후에도 그 정당의 위헌적 목적을 추종하는 활동을 계속할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회의원의 의원직상실은 그 정당의 위헌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동조하거나 소극적으로 방조한 의원들에게 한정되며, 위헌적 활동에 반대한 의원들은 대상에서 배제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통합진보당의 해산결정에 부수하여 헌법재판소가 소속 국회의원의 의원직상실을 결정한 것은 -정당해산결정 자체에 대한 찬반을 잠시 접어두고 볼 때- 제도의 본질과 기능에 비추어 불가피한 것이었다고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 기준을 세우고, 입법화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향후 위헌정당의 해산이라는 불행한 사태가 다시는 발생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법은 항시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면서 합리적 대안을 미리 준비해 두어야 하는 것이다. On December 19th 2014,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ordered the dissolution of the ``Unified Progressive Party``(UPP), the respondent party, and forfeited all seats from National Assembly occupied by the party. According to the Court`s decision, all seats affiliated to the members of the respondent party at the National Assembly shall be forfeited from both proportional and regional representatives. The Court`s order to disband UPP arouses an enormous dispute; however, the Court`s verdict of forfeiture of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is much more controversial because there is no relevant statute pertaining to this adjudication in the current Constitutional Law. Issues with the forfeiture of seats along with the dissolution system of unconstitutional political parties have constitutionally been a fierce controversy for a long time. Some argue that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democratic justification acquired by the national referendum empowers to keep their seats at the National Assembly apart from whose party`s unconstitutionality. Others argue that forfeiture of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seats is inevitable due to their attribution to the affiliated party, but nonetheless, regional representatives should keep their seats. Furthermore, there are contentions that absence of statute pertaining to forfeiture of seats makes the adjudication nullity. On the other hand, the fundamental reasons and purposes of the system on dissolution of unconstitutional political parties implicate whether the seats should be forfeited or not; and the seats affiliated to an unconstitutional party should be forfeited. Forfeiture of seats is a follow-up action to the dissolution decision with prohibition of substitute parties or organizations. The dispute over the forfeiture of seats is controversial; yet, a thoroughgoing denial of losing seats lacks persuasion due to the dissolution system`s essence and functions. Even though seats at the National Assembly affiliated to the unconstitutional party can be forfeited by criminal punishment, National Assembly`s expulsion, and qualifying screening; however, the function of unconstitutional political parties dissolution system distinguished from that of criminal procedure is a precautionary act for preserving the Constitution. For this reason, both dissolution adjudications and criminal procedure laws are recognized separately as well as enforced overlappingly. Furthermore, expulsion or qualifying screening is not effective enough as manifested by Representative Lee Seok-ki`s rebellion plot trial. Hence, it is not a convincing argument. It is a hasty generalization, however, that applying the forfeiture of seats to entire members affiliated to the unconstitutional party even though the forfeiture is recognized as a result from unconstitutional parties` dissolution adjudication. For example, members who strongly opposed to the party`s unconstitutional activities should not be accountable for the forfeiture of seats; because the members have less likelihood to follow unconstitutional political ideologies after the party`s dissolution. For these reasons, adjudication of forfeiture of seats should apply to members who actively supported or passively connived at the party`s unconstitutional activities, excluding the members who opposed to the party`s unconstitutional activities. Leaving the pros and cons of the decision to disband political parties itself aside, the Court`s decision to forfeit seats affiliated to the respondent party incidental upon dissolution of the UPP was inevitable in considering dissolution system`s essence and functions. However, legal basis and further legislations should be proposed to establish rational solutions to these matters. No more occurrence of this unfortunate situation of dissolving unconstitutional political parties is definitely and outstandingly desirable; however, laws should provide reasonable alternatives against all possible contingencies at all time.

      • 판단의 정오(正誤)가 아니라 ‘수사’(rhetoric)로 본 통합진보당 해산결정

        이덕연 헌법재판연구원 2015 헌법재판연구 Vol.2 No.1

        The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is the institution to deprive political party`s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politics by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f purposes or activities of a political party ruin the existence of the State or is contrary to the democratic basic order. There is dilemma, which is put into a conflict between the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and the protection of political party o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focuses on whether each individual judgement, the basis of the decision to dissolve a political party, is consistent with the policy of the strict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for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y. The issue relating to law on proceedings is a conflict between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at comprehensive application mutatis mutandis of Civil Procedure Code is basically no problem and the criticism that the Criminal Procedure Code should be applied as respects the examination of evidence and the finding of fact at least. The author suggests clues to grope for the third differentiated alternative on the premise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as a independent ‘constitutional proceedings maker’, should produce and apply the distinctive discipline. With regard to gratifying the requirements for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y, the issue is the validity of individual judgement which confirms ‘presence or absence of fact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ments for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y. So to speak, the core subjects are whether purposes or activities of Unified Progressive Party are recognized ‘the specific risk that may cause substantial evils’ to ‘the democratic basic order’, and whether judgement, presented and considered as conclusive evidence of the risk, that the risk of violent behavior is to be ascribed to the whole Unified Progressive Party is valid. In this article, I will intentionally reserve my judgment on the overall validity of the dissolution decision itself including individual judgements in the procedure leading to the final conclusion. But, at least in the view of the rhetoric, it is pointed out that the reason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not sufficiently plausible, especially in the aspect of the logical consistency and the cogency of the legal inferences, to get wholehearted agreement. 헌법보호의 수단인 정당해산심판제도는 근본적으로 ‘헌법의 보호’와 ‘정당보호’가 한계선상에서 대립하는dilemma의 상황에서 정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국가의 존립’을 해치거나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헌법재판소가 판단하여 그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정당의 정치참여자격을 강제로 박탈하는 제도이다. 정당해산결정에 대한 본고의 초점은 정당해산제도의 기본법리와 그것을 토대로 하는 ‘중용의 요청’의 맥락에서 해산결정의 근거로 제시된 개별 판단들이 헌재 스스로 제시한 방침, 즉 정당해산요건의 엄격한 해석과 적용의 방침에 합치되는지 여부에 대한 검토에 맞추어진다. 소송절차법적 쟁점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민사소송법령의 포괄적인 준용이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본 헌재의 결정과, 반면에 적어도 증거조사와 사실확인 등에 대해서는 형사소송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논지의 비판론에 대하여, 헌재가 독자적인 ‘헌법재판절차 형성자’로서 정당해산심판절차에 특유한 규율을 생산하여 적용하였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을 전제로차별화된 제3의 대안의 모색을 위한 단서들을 제시한다. 해산요건의 충족여부에 대해서는, 이른바 ‘포섭’의맥락에서 해산의 요건에 해당하는 ‘사실의 존부’에 대한 확인을 내용으로 하는 개별 판단의 타당성, 말하자면 통진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대하여 ‘실질적인 해악을 끼칠 수 있는 정도의 구체적인위험성’(이하 ‘위험성’으로 약함)이 인정되는지 여부와 심판청구의 이유나 판단이유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위험성’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로 제시되고 고려된 폭력적인 행태의 위험성이 통진당 전체에 귀속되는 것으로 본 판단의 당부가 핵심 대상인 바, 해산결정의 전체적인 타당성과 최종 결론에 이르는 과정에서 내려진개별 판단들의 당부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은 유보하고, 다만 적어도 ‘수사’(rhetoric)의 관점에서 볼 때, 설시문상 헌재의 논증은 결정의 설득력의 토대인 법적 사유의 타당성과 법적 추론의 적확성을 머뭇거리지 않고수긍하기에는 전체적으로 그 논리적 완결성과 정합성의 측면에서 적잖이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 KCI등재

        헌법상 정당조항의 변천

        양정윤 ( Jeong Yun Yang ) 안암법학회 2014 안암 법학 Vol.0 No.44

        Recently, news are filled with issues of political parties. Since Party Clauses were introduced in the 1960 Constitution, opinions are divided into a variety of events, from the problems of Requirements to cancel political parties on the Party Law that increases the barriers to entry of minority parties, to the claims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to request for trial.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consider, as a whole, the fact that Party Clauses of Article 8 of the present Constitution is defined for what. The same Article is ruled as follow: on Section 1, the freedom of establishment of political parties and the guarantee of political pluralism; on Section 2, the democracy and the necessary organization of the party; on Section 3, the protection and subsidies of the state for political parties; and on Section 4, the dissolution clause of an anti-democratic political party. By the way, at the first time, when these Party Clauses are prescribed on the 1960 Constitution, it was not defined in the Introduction as the current Constitution but together regulated in Article 13 in the provis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in Chapter of rights and duties of citizens, and it is principle for political parties to protect of the nation, just placed the exceptional Party Dissolution Clauses. These points present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aning of provisions of the party in the 1960 Constitution and the current Constitution. In addition, it is specified as “the ‘free’ democratic basic order” in the preamble and Article 4 of the current Constitution, but in the 1960 Constitution, the provisions of “the ‘free’ democratic basic order” is not seen anywhere, which it is to apply a question of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that Article 8, political parties clause of the current Constitution, stipulates in the same way as “the democratic basic order” in political parties clauses of the 1960 Constitution. And, in Party Clauses of the 1960 Constitution, it was defined as unary, there are questions why is defined separately from Section 1 to 4. More and more, Countries after World War II, as a reflection against Nazi Party earlier, Fascist Party,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was setting up to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on the political parties since the mid-1940 Constitution, there are questions why was not so defined as this Party Clauses at the Constituent Constitution, but was defined the 1960 Constitution. In addition, in the 1960 Constitution, it was not to enforce the political party law, but in the Constitution since 1963, has been establishing a political party law. Although it is overall looked to see Party Clauses due to the recent issue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y, but these points raise the need to study in more detail what is meaning in our constitutional history, and led to study the transition process of Party Clauses on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 판단의 정오(正誤)가 아니라 "수사"(rhetoric)로 본 통진당 해산결정

        이덕연(Duk Yeon Lee) 한국헌법판례연구학회 2015 헌법판례연구 Vol.16 No.-

        헌법보호의 수단인 정당해산심판제도는 근본적으로 ‘헌법의 보호’와 ‘정당보호’가 한계선상에서 대립하는 dilemma의 상황에서 정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국가의 존립’을 해치거나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헌법재판소가 판단하여 그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정당의 정치참여자격을 강제로 박탈하는 제도이다. 정당해산결정에 대한 본고의 초점은 정당해산제도의 기본법리와 그것을 토대로 하는 ‘중용의 요청’의 맥락에서 해산결정의 근거로 제시된 개별 판단들이 헌재 스스로 제시한 방침, 즉 정당해산요건의 엄격한 해석과 적용의 방침에 합치되는지 여부에 대한 검토에 맞추어진다. 소송절차법적 쟁점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민사소송법령의 포괄적인 준용이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본 헌재의 결정과, 반면에 적어도 증거조사와 사실 확인 등에 대해서는 형사소송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논지의 비판론에 대하여, 헌재가 독자적인 ‘헌법재판절차 형성자’로서 정당해산심판절차에 특유한 규율을 생산하여 적용하였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을 전제로 차별화된 제3의 대안의 모색을 위한 단서들을 제시한다. 해산요건의 충족여부에 대해서는, 이른바 ‘포섭’의 맥락에서 해산의 요건에 해당하는 ‘사실의 존부’에 대한 확인을 내용으로 하는 개별 판단의 타당성, 말하자면 통진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대하여 ‘실질적인 해악을 끼칠 수 있는 정도의 구체적인 위험성’(이하 ‘위험성’으로 약함)이 인정되는지 여부와 심판청구의 이유나 판단이유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위험성’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로 제시되고 고려된 폭력적인 행태의 위험성이 통진당 전체에 귀속되는 것으로 본 판단의 당부가 핵심 대상인 바, 해산결정의 전체적인 타당성과 최종 결론에 이르는 과정에서 내려진 개별판단들의 당부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은 유보하고, 다만 적어도 ‘수사’(rhetoric)의 관점에서 볼 때, 설시문상 헌재의 논증은 결정의 설득력의 토대인 법적 사유의 타당성과 법적 추론의 적확성을 머뭇거리지 않고 수긍하기에는 전체적으로 그 논리적 완결성과 정합성의 측면에서 적잖이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The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is the institution to deprive political party’s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politics by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f purposes or activities of a political party ruin the existence of the State or is contrary to the democratic basic order. There is dilemma, which is put into a conflict between the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and the protection of political party o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focuses on whether each individual judgement, the basis of the decision to dissolve a political party, is consistent with the policy of the strict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for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y. The issue relating to law on proceedings is a conflict between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at comprehensive application mutatis mutandis of Civil Procedure Code is basically no problem and the criticism that the Criminal Procedure Code should be applied as respects the examination of evidence and the finding of fact at least. The author suggests clues to grope for the third differentiated alternative on the premise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as a independent ‘constitutional proceedings maker’, should produce and apply the distinctive discipline. With regard to gratifying the requirements for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y, the issue is the validity of individual judgement which confirms ‘presence or absence of fact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ments for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y. So to speak, the core subjects are whether purposes or activities of Unified Progressive Party are recognized ‘the specific risk that may cause substantial evils’ to ‘the democratic basic order’, and whether judgement, presented and considered as conclusive evidence of the risk, that the risk of violent behavior is to be ascribed to the whole Unified Progressive Party is valid. In this article, I will intentionally reserve my judgment on the overall validity of the dissolution decision itself including individual judgements in the procedure leading to the final conclusion. But, at least in the view of the rhetoric, it is pointed out that the reason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not sufficiently plausible, especially in the aspect of the logical consistency and the cogency of the legal inferences, to get wholehearted agreement.

      • KCI등재

        정당해산심판의 목적 및 해산사유

        김현철(KIM Hyunchul) 한국헌법학회 2016 憲法學硏究 Vol.22 No.2

        정당해산제도에는 특히 오늘날의 대의제 민주주의에서 정부구성 등 국가권력 이 수임여부를 두고서 다투는 정치적인 정쟁의 장에서 집권세력이 야당을 탄압 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위험성이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까닭에 정당해산제도는 한편으로는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로써 민주주의를 스스로 말살시킬 수도 있는 지극히 위험한 ‘양날의 칼’로 경계되어 왔다. 따라서 정당해산제도의 운용에 있어서 보다 신중을 기할 것이 요청되어 왔다. 그리고 이 제도의 오용 자체가 오히려 헌법상의 민주적 기본질서에 반하는 것이라고 비판된다. 그런데 우리 헌정사상 처음으로 2013년 11월 5일 정부에 의하여 헌법재판소에 제기된 정당해산심판청구(헌재 2013헌다1)에 대하여 헌법재판소는 13개월여를 심리한 끝에 2014년 12월 19일 피청구인 통합진보당을 해산하고, 동 정당 소속 국회의원 전원은 의원직을 상실한다는 결정을 선고하였다. 헌법재판소는 이번 통합진보당 해산결정에서 정당해산의 요건을 엄격하게 해석해야 한다고 설시하고는 사실은 확대해석을 했고, 정당활동의 자유를 심각하게 후퇴시켰으며, 헌법재판의 사회통합적 기능이 아니라 사회분열을 불러올 수 있는 결정이라는 비판이 있다. 또한 정당해산 결정이 내려졌다는 것 자체가 한국 민주주의에는 비극이라는 평가도 있다. 정당의 활동이 아니라 목적이나 강령만을 이 유로 정당해산의 결정을 하는 것은 다원주의라는 민주주의의 본질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커다란 장애를 야기할 수 있다. 민감한 정치적 이슈에 대하여 특정한 정치적 발언과 논쟁점들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당해산심판제도가 악용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 통합진보당 해산결정으로 동 정당의 해산심판을 청구한 정부가 원하는 소기의 목적을 이루었는지는 의문이다. 아니, 동 심판청구가 당시의 정치적 곤경을 모면하기 위한 목적, 즉 “국면전환용”이었다면 정부로서는 그 한도에서는 목 적을 달성했는지도 모른다. 그러면 이러한 정부의 의도에 결과적으로 동참한 헌법재판소가 얻은 소득은 무엇일까?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에 분노와 두려움을 동 시에 느끼고 있던 국민들의 답답한 마음에 한 줄기 위로의 빛을 비춘 것일까? 하지만 우리의 헌법개정권력자가 헌법에 정당해산심판제도를 규정한 의도가 “정 당보호의 최후보루”를 설치한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헌법재판소가 이를 확인해 줌으로써 우리나라에서도 수준 높은 민주주의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를 기대했던 사람들은 실망과 허탈한 마음을 금할 수 없었을 것이다. The adjudication system that allows for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has the potential for being abused by the ruling party to oppress the opposition party, especially in today’s representative democracy, where there is political strife and various parties compete to gain power in the government. For this reason, the adjudication system is a double-edged sword; while it can be used to preserve democracy, it can also be used to obliterate democracy itself. Thus, extra caution is required in implementing the adjudication system. If abused, it can actually contradict the basic democratic order of Constitution. On November 5th, 2013, the Korean government submitted a request for trial for the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2013Hun-Da1), which was first in Korea’s Constitutional history. After thirteen months of deliberation, on December 19th, 2014,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eached a decision to dissolve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the respondent) and to declare that all members of the party lose their membership in Congress. This decision to dissolve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has been criticized for several reasons: First, while the Court has stated that the requirement for dissolving political parties should be strictly interpreted, it actually stretched the meaning of it. The decision is also seen as a regression of freedom of political activities. Furthermore, the Court contributed to social division, instead of promoting social unification through its decision making role. Others criticized that the decision to dissolve the party itself is a tragedy in Korean democracy; dissolving a party based on its objective or platform alone, instead of on its activities, can lead to problems in achieving pluralism - an essential value of democracy. In other words, the adjudication for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can be misused to silence certain political voices and arguments regarding politically sensitive issues.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Korean government (the claimant) has fulfilled its purpose through the dissolution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If the government’s objective was to avoid political difficulty or to change their political situation, it may have achieved its goal to that extent. If so, what has the Constitutional Court gained by ultimately joining the government’s agenda? Did it comfort the Korean citizens who were experiencing both fear and anger as a result of North Korea’s continual provocation? Did it shed a light of comfort? However, for those who expected that the Court’s decision will serve as evidence that the country has highly functioning democracy by verifying that the adjudication for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will provide the last fort for the protection of political parties (which was the intention of the system as instituted by the amendment powers of the Constitution), dissolution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must have come as a disappointment.

      • KCI우수등재

        판례평석(判例評釋) : 통합진보당 해산결정의 주요 쟁점 -헌재 2014. 12. 19. 2013헌다1 결정에 대한 평석-

        장영수 ( Young Soo Chang ) 법조협회 2015 法曹 Vol.64 No.3

        2014년 12월 19일 헌법재판소는 통합진보당에 대한 해산결정을 내렸으며, 소속 국회 의원들의 의원직상실을 선고하였다. 대한민국 헌법사상 최초의 정당해산심판은 매우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으며, 찬반 논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이 논문은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대한 간략한 정리와 더불어 핵심적 쟁점 12개를 분석.정리한 것이다. 정당해산심판제도의 도입취지에 대한 오해, 정부의 제소가 적법한 것인지에 대한 논란, 정당해산이 아닌 선거를 통해 해결했어야 한다는 주장의 문제점, 은폐된 목적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 진보적 민주주의의 해석을 둘러싼 쟁점들, 이석기내란관련사건의 의미와 비중, 비례대표 부정경선과 당내 폭력, 여론조작 등의 의미, 통합진보당의 통일정책이 갖는 특별한 의미, 목적과 활동의 종합적 판단 및 여기서 문제되는 ‘퍼즐 맞추기’를 둘러싼 논란, 정당해산요건으로서의 구체적 위험의 판단기준, 의원직상실의 근거, 그리고 결정의 시기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의미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정치적 선입견 없이 법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통합진보당의 목적과 활동에 대한 ‘법적’평가에 기초한 ‘통합진보당’ 해산결정이지 야권에 대한, 혹은 진보세력에 대한 비판이나 평가를 담고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결정의 의미를 ‘정치적’인 것으로 왜곡하거나 ‘통합진보당 이외의 야권 내지 진보세력’으로까지 확대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기 때문이다. 통합진보당의 해산결정은 보수와 진보의 문제가 아니라 위헌적 활동에 대한 법적평가일 뿐이며,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보수의 승리라고 볼 것도 아니고, 진보의 패배로 받아들일 것도 아닌, 단지 위헌정당의 해산일 뿐이다. 굳이 승자를 따지자면 민주주의이고, 패자를 지칭하자면 통합진보당의 그늘에서 위헌적 목적과 활동을 주도하던 자들이다. 그런데 여기서 보수와 진보의 갈등으로 대한민국의 헌법질서가 흔들리게 된다면 그것이야말로 보수와 진보가 모두 패자가 되고, 오히려 오늘의 패자인 그들을 승자로 만들어주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오늘날 보수세력과 진보진영이 헌법재판소 결정에서 반드시 취해야 할 점의 한 가지는 극단적 대립과 선명한 투쟁만을 강조하는 강경보수, 강경진보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극단적 행동과 선명한 주장이 눈에 잘 띄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은 결코 다수 국민의 지지를 받지는 못한다. 폭력과 불법을 수반할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눈에 확 띄는 것은 극단주의자들일지 몰라도 민주국가에서 최종적 결정권을 갖는 것은 조용한 다수 국민들이다. 이번 헌법재판소 결정은 극단주의를 배제하는 헌법적요청을 확인한 것이며, 그에 대한 다수 국민들의 지지는 보수세력에 대한 지지가 아니라 중도적이고 합리적인 정치세력에 대한 열망의 표현이기도 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헌법재판소 결정이 가장 잘 실현되는 것은 극단적 보수나 진보가 아닌 중도적이고 합리적인 보수와 진보가 힘을 얻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On December 19th 2014,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ordered the dissolution of ‘Unified Progressive Party’(UPP), the respondent party, and forfeited seats from National Assembly occupied by the party. This historically exceptional verdict of party dissolution in Korean Constitution arouses an enormous dispute and its controversy is still an ongoing issue. This paper summarizes the Constitutional Court’s adjudication andanalyzes 12 essential issues as following: the misinterpretation on enacting the judicial system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legitimacy of the government’s legal action against UPP, drawbacks of alternatively proposed solution to utilize election over judicial dissolution, the sine qua non of examining concealed objectives of the respondent, issues of interpreting progressive democracy, representative Lee Seok-ki’s trial for treason and its meaning and impact, problems caused by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uch as illegitimate candidacy in primary election, violence within centralcommittee and manipulation of public poll, the meaning and purpose pertaining to UPP’s activities in regards to its “Unification Policy” and controversy around invisible hand being in responsible for this puzzle play, criteria on which specific danger of the respondent affected standard of ruling the dissolution, legal basis on which the forfeiture of UPP’s seats was based upon, and finally the temporal aspect of the adjudication. The analysis intends to understand the Court’s ruling in strictly legal terms without any political stereotype. The Court’s decision to disband UPP was to uphold their legal objectives and activities based on legal evaluation; however the decision does not imply criticism nor evaluation of the Opposition Party (New Political Vision Party) and the Progressives, as a whole. The reason being, it is unwarranted to distort the meaning of the decision to have any political implication or to target the Progressives apart from UPP. The Court’s order to disband UPP is not a ruling against the party’s extremity of its political spectrum; but rather, it is nothing more than a judicial decision based on the party’s unconstitutional activities. The result of the judgment implicates neither the defeat of the Progressives nor a victory of the Conservatives. The Court’s decision’s only implication was to disband a party which its activities were constitutional unjustified. The true winner of this decision was democracy and the losers are those who led the unconstitutional and unlawful activities behind the scene. However, if the very foundation of Constitutional Law was to be swayed by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it will be a loss as a whole with eventual victor left with a meaningless victory. Today, the one thing that both the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have to take away from this decision is that extreme political polarization of the radicals of both sides yields undesirable results to both. It is clear that radical actions and definite, stonewall claims help to grasp more attention; yet, mere spotlights do not necessary translate into the public support. This principle becomes more evident when violence and illegal actions are accompanied. Even though the radicals are tend to grasp society’s attention with its extreme actions and political view; however, the ultimate decisions in democracy are made by the voting public. The Court’s ruling confirmed the constitutional request to eliminate political extremist and furthermore, the public’s support was not due to their conservative nature but ratherexpressed public’s yearning for moderate and rational political force. Hence, the best way to realize the Court’s judgment and its implications is to empower moderate and rational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over the radic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