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duction of Economic Disparities in the Regions of Kazakhstan Based on Inclusive Development

        Nailya K. NURLANOVA,Azimkhan A. SATYBALDIN,Nursaule Zh. BRIMBETOVA,Anel A. Kireyeva 한국유통과학회 2019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6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heoretical concepts of inclusive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spatial context, assessment the disparities in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ons of Kazakhstan and substantiate the main mechanisms for overcoming them. In this research, authors propose the methodological tools for presenting a standard form of evaluation of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regions of Kazakhstan. In this study used methods, which based on measuring disproportions between the levels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regions, as well as disproportions between the republican and regional levels. According to the author’s methodological approach, complex and integral indexes have calculated over the period 2012-2017 for a number of indicators adapted to the conditions of Kazakhstan. The calculated indexes proposed to use as instruments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ddition, according the obtained indexes and the results of their ranking can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programs and management decisions. This will improve the targeted support of the population in backward regions in order to ensure inclusive develop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opulation.

      • Inclusive Development as a Basis for Reducing Spatial Inequality : : Kazakhstan s Experience

        Nailya K. NURLANOVA,Nursaule Zh,BRIMBETOVA,Akedil K,OMAROV 한국유통과학회 2018 KODISA ICB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usiness Vol.2018 No.-

        This study aims is to explore of the theoretical concepts of inclusive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spatial context, assessment the disparities in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ons of Kazakhstan and substantiate the main mechanisms for overcoming them. In this research, authors propose the methodological tools for presenting a standard form of evaluation of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regions of Kazakhstan. In this study used methods, which based on measuring disproportions between the levels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regions, as well as disproportions between the republican and regional levels. According to the author’s methodological approach, complex and integral indexes have calculated over the period 2012–2017 for a number of indicators adapted to the conditions of Kazakhstan. The calculated indexes proposed to use as instruments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ddition, according the obtained indexes and the results of their ranking can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programs and management decisions. This will improve the targeted support of the population in backward regions in order to ensure inclusive develop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opulation.

      • KCI등재

        인간의 불균형과 취약성에 대한 폴 리쾨르의 철학적 인간학 연구 : 의지의 철학2-1 : 잘못을 저지를 수 있는 인간을 중심으로

        김세원 한국여성철학회 2022 한국여성철학 Vol.37 No.-

        Ricoeur’s hermeneutics and ethics were presented through a reflection on human fragility. Ricoeur’s interest in human fragility stemmed from taking into account the faults or evils that bring out suffering in our lives. Ricoeur’s early work, Fallible Man, is the core text of his philosophical anthropology. This article examines Ricoeur’s philosophical anthropology focusing on human fragility and dispropor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tries to include with how Ricoeur treats the terms in the context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with his hermeneutics and ethics in mind. First, before a discussion of human disproportion and fragility, I will briefly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Ricoeur’s philosophical anthropology(2). And I try to present that he emphasized the concept of disproportion while rethinking the concept of finitude that occupies the center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3). Then I examine the meaning of it in terms of knowing and acting(4). Next, by examining the fragility shaped by human disproportion, especially the emotional fragility, it reveals significance of ‘fallible man’ and ‘capable’(5).

      • KCI등재후보

        인도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

        고경희 한국세계지역학회 2005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3 No.1

        This article purports to analyse the operation and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the electoral system in India, especially the degree of disproportionality, their effects on party system, the degree of multipartism and the tendency to generate majority victories. The mechanical effects of the electoral system are examined by measuring bonus ratio, advantage ratio, and Loosemore-Hanby index in terms of the disproportionality. In India representational disproportionality almost always works in favour of the winning party, though its extent varies from time to time. Therefore, from 1952 to 1984 it consistently advantaged the Indian National Congress, which led the nationalist movement and took power after Independence. However, from 1989 elections the representational inequity of the electoral system has turned against the Indian National Congress. The percentage of seats occupied by other national parties and regional parties in the Lok Sabha has increased since 1989. Especially, regional parties have led to the disproportionality of electoral outcomes and the operation of national governing coalitions. 본 논문은 인도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사회균열이 심대한 인도가 비례대표제가 아닌 단순다수대표제를 채택하게 되는 배경과 운용 양태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도의 선거정치가 실질적으로 어떠한 정치적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인도선거의 왜곡효과와 비례성은 보너스율과 이득비 그리고 루스모어-핸비의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단순다수대표제는 안정된 양당제도를 출현시키기 위해서 고안된 제도이지만, 다수정당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대정당이 득표율에 비해 많은 의석을 차지하게 됨으로써, 대정당이 집권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하는 제도이다. 인도에서도 단순다수대표제는 각 정당의 득표율과 의석점유율에서 상당한 편차를 드러내어 인도 독립의 공로자로서 국민들의 신임을 받고 있던 회의당에게 이롭게 작용하였다. 회의당은 선거제도가 바뀌거나 또는 야당들이 연합하여 대항하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정권을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기회를 획득한 것이었다. 반면 회의당이 얻은 만큼의 피해는 군소정당들에게 돌아갔던 것이다. 회의당의 우위는 유권자들이 만들어 낸 과반수를 통해서가 아닌 선거제도의 왜곡 효과로 제조된 과반수 현상의 대표적 사례였다. 1989년 이후 인도 선거에서 비례성이 증가하면서 정당체계는 다당화 되어 가고 있다. 또한 지역주의가 형성된 가운데 단순다수대표제가 선거에서 지역정당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군소정당들은 연고 지역에서 상당한 의석을 확보하게 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과거와는 달리 중앙정치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혼합식 선거제도로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 :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한국을 중심으로

        김형철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07 시민사회와 NGO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mixed electoral systems in New Zealand, Japan, and S. Korea. These countries have changed to mixed electoral systems to accomplish the votes-seats proportionality and the stability of party politics since 1990’s. This study used the indices such as ‘electoral disproportionality’, ‘effective number of parties’, and‘electoral volatility’ to analyses the political effects of electoral refor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mixed member proportional system (MMP) of the New Zealand has made the positive political effects on the votes-seats proportionality and the stability of party system. However, the mixed member majority system (MMM) of Japan and Korea has not made the satisfactory political consequences on the electoral disproportionality and the electoral volatility in general elections. In other words, these countries have been increasing the electoral disproportionality and the instability of party system. Particularly, the party politics have been continuing that electoral competition depended on the stronger person and region than the political ideology and public policy. To conclude, this study argues that the mixed member proportional system is stronger effects on the increasing electoral proportionality and the stability of party politics than the mixed member majority system. 이 연구는 21세기에 주요한 선거제도로 주목 받고 있는 1인 2표의 혼합형 선거제도가 어떠한 정치적 효과를 갖는지에 대해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한국을 대상으로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한국은 1990년 이후 투표-의석 간 비례성의 증대, 그리고 정당정치의 안정성과 제도화를 목적으로 혼합형 선거제도로의 개혁을 이룬 대표적인 국가들이다. 이 연구는 선거제도 개혁이 어떠한 정치적 효과를 가져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선거 불비례성, 의회 내 유효정당의 수, 그리고 선거유동성이라는 비교지표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혼합형 비례대표제를 채택한 뉴질랜드는 비례성과 정당정치의 안정성에 있어 긍정적인 정치적 효과를 가져왔지만, 혼합형 다수대표제를 채택한 일본과 한국은 선거제도 개혁의 정치적 효과에 있어 만족스럽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본과 한국은 1위대표제의 효과에 의해 선거불비례성이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정당정치의 안정성에 있어 일본과 한국은 양당제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나, 정당의 이념과 정책을 중심으로 한 선거경쟁보다는 인물과 지역을 중심으로 한 선거경쟁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선거제도 개혁의 정치적 효과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선거유동성의 증가현상은 뉴질랜드나 일본과 달리 새로운 가치와 이념을 지향하는 신생정당의 등장보다는 거대정당의 분당과 이합집산에 의한 것으로 정당정치의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비례성의 증대와 정당정치의 안정성에 있어 혼합형 다수대표제보다는 혼합형 비례대표제가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반 논문 : 혼합식 선거제도로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한국을 중심으로

        김형철 ( Hyung Cheol Kim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07 시민사회와 NGO Vol.5 No.1

        이 연구는 21세기에 주요한 선거제도로 주목 받고 있는 1인 2표의 혼합형 선거제도가 어떠한 정치적 효과를 갖는지에 대해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한국을 대상으로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한국은 1990년 이후 투표-의석 간 비례성의 증대, 그리고 정당정치의 안정성과 제도화를 목적으로 혼합형 선거제도로의 개혁을 이룬 대표적인 국가들이다. 이 연구는 선거제도 개혁이 어떠한 정치적 효과를 가져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선거불비례성, 의회내 유효정당의 수, 그리고 선거유동성이라는 비교지표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혼합형 비례대표제를 채택한 뉴질랜드는 비례성과 정당정치의 안정성에 있어 긍정적인 정치적 효과를 가져왔지만, 혼합형 다수대표제를 채택한 일본과 한국은 선거제도 개혁의 정치적 효과에 있어 만족스럽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본과 한국은 1위대표제의 효과에 의해 선거불비례성이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정당정치의 안정성에 있어 일본과 한국은 양당제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나, 정당의 이념과 정책을 중심으로 한 선거경쟁보다는 인물과 지역을 중심으로 한 선거경쟁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선거제도 개혁의 정치적 효과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선거유동성의 증가현상은 뉴질랜드나 일본과 달리 새로운 가치와 이념을 지향하는 신생정당의 등장보다는 거대정당의 분당과 이합집산에 의한 것으로 정당정치의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비례성의 증대와 정당정치의 안정성에 있어 혼합형 다수대표제보다는 혼합형 비례대표제가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mixed electoral systems in New Zealand, Japan, and S. Korea. These countries have changed to mixed electoral systems to accomplish the votes-seats proportionality and the stability of party politics since 1990`s. This study used the indices such as ``electoral disproportionality``, ``effective number of parties``, and ``electoral volatility`` to analyses the political effects of electoral refor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mixed member proportional system (MMP) of the New Zealand has made the positive political effects on the votes-seats proportionality and the stability of party system. However, the mixed member majority system (MMM) of Japan and Korea has not made the satisfactory political consequences on the electoral disproportionality and the electoral volatility in general elections. In other words, these countries have been increasing the electoral disproportionality and the instability of party system. Particularly, the party politics have been continuing that electoral competition depended on the stronger person and region than the political ideology and public policy. To conclude, this study argues that the mixed member proportional system is stronger effects on the increasing electoral proportionality and the stability of party politics than the mixed member majority system.

      • KCI등재

        악의 의미와 도덕 교육에의 함의-토마스 허카의 이론을 중심으로-

        전성은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81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vil’,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an action, and ‘evil’, which represents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ctor. For this purpose, I looked at Thomas Hurka’s theory. Thomas Hurka made it possible to judge what is good and what is evil through basic principles related to good and evil and recursive principles that can expand them. He also set the appropriate attitude for each object as virtue and the wrong attitude as vice. In addition, through two additional reviews, the types of vice were categorized into pure vice, vice of indifference, and vice of disproportion. The implications of Hurka's vice theory for moral education are as follows. Even though moral actions can be judged based on the results, moral judgments about the actor must be made based on intrinsic judgments such as the actor's attitud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guide students by understanding not only pure vices but also aspects such as the vice of indifference and the vice of disproportion.

      • KCI등재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에 관한 연구

        최용섭 ( Yong Seob Choi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4

        본 연구는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현행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제도는 한국정치의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국 국회의원 선거제도는 지역준거정당의 득세를 가능케 하고, ‘표의 등가성 확보’나 ‘득표율과 의석율의 비례성 확보’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갖고 있다.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선거제도 개혁안이 제시되고 있다.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조사방법을 사용할 것이며 역사적제도적 접근방법을 원용할 것이다. 연구의 한계로서는 연구 주제가 당파성을 띤 주제이기에 객관성을 담보하는 데 적지 않은 문제를 안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선거제도 개혁 방향이 무엇인지를 모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present Electoral System for Assemblyme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at the election system of Assemblymen should be reformed in an attempt to find the desirable institute. This paper is studied on first, the general theory of a election system, second, changes in the election system of Korean Assemblymen and third, problems and reform measures about present election system of Assemblymen. The present electoral system has the following issues. Entry restriction of an able rising powers, deepening regionalism, equivalence, disproportionality. Finally, this paper looked over the alternatives for the election system of Korean Assemblymen.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he issue that the election system which could reflect the immediacy of an election or the structural problem with the present election system and the maximum public opinions would have to be introduced and examined positivel

      • KCI등재

        해양경계획정에서 ‘비례성’(Proportionality)이라는 용어는 소멸되어 가고 있는가?

        이기범(LEE Ki Beom) 대한국제법학회 2013 國際法學會論叢 Vol.58 No.2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국제재판소의 판결들 중 첫 번째 판결인 1969년 ICJ의 North Sea Continental Shelf 사건에서부터 언급되기 시작한 ‘비례성’이라는 용어와 관련하여 국제재판소는 이 용어가 무엇을 가리키고 있는지 또는 경계획정의 과정에서 이 용어가 가리키는 대상들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일관된 모습을 보이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는 비례성에 관한 두 가지 방향의 논의로 전개되었다. 하나는 비례성의 불명확성에 관한 논의이고, 다른 하나는 비례성의 확장된 역할에 관한 논의이다. 하지만 국제재판소의 판결들을 자세히 분석해보면 이러한 비례성이라는 하나의 용어에서 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가 가리키는 대상들은 관련사정들 중의 하나인 ‘관련 해안들 길이 사이의 격차’와 형평한 결과의 도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경계획정의 마지막 과정에서 수행되고 있는 ‘불균형성 점검’이라는 두 가지로 명백히 구체화되었고, 경계획정의 과정에서 각각의 역할 또한 분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없는 비례성이라는 용어의 불필요 또는 소멸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즉, 2009년 ICJ의 Black Sea(Romania v. Ukraine) 사건부터 비례성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자제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2012년 ITLOS의 Bay of Bengal 사건과 2012년 ICJ의 Territorial and Maritime Dispute(Nicaragua v. Colombia) 사건에서도 확인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비례성이라는 용어가 소멸되어 가고 있는 것은 비례성이라는 개념을 실제 경계획정 사건에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오히려 ‘격차’ 또는 ‘불균형’과 같은 부정적인 표현의 개념들이 형평한 결과의 도달을 목적으로 하는 해양경계획정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개념들인 것이다. 따라서 비례성이라는 하나의 용어를 포기하지 않은 채 전개되는 논의는 무의미하며, 구체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는 ‘관련 해안들 길이 사이의 격차’와 ‘불균형성 점검’이 앞으로 해양경계획정에서 논의할 주제로 부상하여야 할 것이다. The term ‘proportionality’ first appeared in the 1969 North Sea Continental Shelf cases of the ICJ, the first case of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dealing with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nd the term has been used continually in later delimitation cases. However, ‘proportionality’ has more than one meaning and its role has been inconsistent in international case-law. This results in two explanations about the concept of proportionality in maritime delimitation. One is the uncertainty of proportionality and the other is the enlarged role of proportionality in maritime delimitation. An analysis of international case-law regarding maritime delimitation shows that there are two concepts originating from the term ‘proportionality’: disparity in the lengths of the relevant coasts and the disproportionality test. Disparity in the lengths of the relevant coasts is one of the ‘relevant circumstances’ and the disproportionality test is taken as the ‘last’ process of maritime delimita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or not an equitable result is achieved. The role and status of one concept in maritime delimita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ther. This results in the disappearance of the term ‘proportionality’ in international case-law concerning the delimitation of international maritime boundaries. The demise of the term ‘proportionality’ has been confirmed in the recent cases, the 2009 Black Sea(Romania v. Ukraine) case and the 2012 Territorial and Maritime Dispute(Nicaragua v. Colombia) of the ICJ and the 2012 Bay of Bengal case of the ITLOS. The reason why the term ‘proportionality’ is unnecessary is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ncept of proportionality in a delimitation case. Rather, it is easier to employ what is defined as a negative term, such as ‘disparity’ or ‘disproportion’, in maritime delimitation which aims at producing an equitable result. Hence, the term ‘proportionality’ is useless in the process of maritime delimitation. Instead, an in-depth discussion about disparity in the lengths of the relevant coasts or the disproportionality test should be one of the key issues i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 KCI등재

        대륙붕 경계획정에 대한 ‘관련 해안 길이’의 효과: ‘불균형성 검사’의 검정

        박현석 ( Park Hyun Seok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3

        국제법원의 판례에 따르면, 대륙붕 경계획정은 관련 사정을 고려하여 잠정적 중간선 을 조정한 결과가 형평에 부합하는지를 검증하는 불균형성 검사로 마무리된다. 이 검사는 관련 해안 길이들의 비율과 관련 수역 면적들의 비율을 비교하여, 두 비율이 형평에 어긋날 정도로 중대한 불균형을 수반하는지 점검하는 것이다. 불균형성 검사는 관련 해안의 길이 측정을 수반하지만, 같은 해안선의 길이를 측정한 값이라도 측정 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날 수 있다. 흑해 해양경계획정 사건 판결에서 ICJ는 해안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국제법상의 요건이 분명하게 제시된 적이 없다고 밝혔으며, 실제로 니카라과와 콜롬비아 간의 영토 및 해양 분쟁 사건에서 양국이 주장한 니카라과 관련 해안의 길이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또 이 검사는 상대적으로 더 긴 관련 해안을 가진 연안국에게 관련 수역 중 더 넓은 부분이 귀속되는 것이 형평에 부합한다는 전제 위에 선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상대방에 비해 관련 해안이 압도적으로 더 길다고 해서 반드시 압도적으로 더 큰 비율의 관련 수역이 귀속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 수치 비교라는 외견상의 엄밀성과 달리, 불균형성 검사는 해안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과 불균형의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불분명한 정도만큼 담당 재판부에 판단의 여지를 허용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jurisprudence of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shows that continental shelf boundary delimitation ends with the disproportionality test, which verifies, by way of comparing the ratio of the lengths of the Parties` relevant coasts with the ratio of their respective shares of the relevant maritime area, the equitableness or inequitableness of the result achieved by the adjusted provisional median line. The measured length of coastlines, however, increases without limit as the unit of measurement is made smaller (the so-called “coastline paradox”). As pointed out by the ICJ in the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Black Sea, diverse techniques have been used for assessing coastal lengths, with no clear requirement of international law having been shown as to whether the real coastline should be followed, or baselines used, or whether or not coasts relating to internal waters should be excluded. In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Area between Greenland and Jan Mayen, the ratio of relevant coastal lengths was approximately 1:9 in Denmark`s favour, and the ratio of their respective shares of the relevant area was approximately 1:2.7. In Bay of Bengal Maritime Boundary Arbitration, the former ratio was 1:1.92 (not 1:9.92) in India`s favour, but the latter ratio was approximately 1:2.81. In conclusion, apart from the appearance of mathematical exactness, the disproportionality test seems to leave the court or tribunal a considerable extent of discretion in assessing both the length of relevant coasts and the existence of any marked disproportion between the two rati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