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유와 폭력 사이

        김용수(Yong soo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14 비평과이론 Vol.19 No.1

        라캉(Jacques Lacan)의 네 가지 담론 중 분석가담론(analyst's discourse)은 주인담론(master's discourse)과 대학담론(university discourse)의 억압적 지배를 극복하고, 주인에 대한 히스테리담론(hysteric's discourse)의 애매한 태도를 넘어서는 대안적 담론으로 흔히 이해된다. 분석가는 피분석자가 자신의 욕망의 원인과 대면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주체의 환상 가로지르기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분석가담론은 또한 지식이 진실의 위상을 지닌 유일한 담론이기도 하다. 그것은 임상적 수준에서는 치유의 담론이요, 정치사회적 수준에서는 해방의 담론이다. 하지만 분석가담론은 기이하게도 도착(perversion)의 가능성을 내부에 품고 있다. 분석가담론의 윗부분, 즉 행위자와 타자의 자리가 만들어내는 정식(a → $)은 그대로 도착의 정식(a ◇ $)으로 해석될 여지가 충분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가담론과 도착 사이의 기묘한 유사성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해방의 담론으로만 보이던 분석가담론은 도착적 폭력의 성격을 띤 억압의 담론으로 보이기 시작한다. 이 논문은 분석가담론이 지닌 도착과 치유의 이질적인 가능성을 살펴보고, 라캉의 도착이론과 분석가담론의 비교분석을 통해 양자 사이의 구조적 차이를 이론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특히 라캉의 「사드와 함께 칸트를」("Kant with Sade")과 『세미나 17권: 정신분석의 이면』(Seminar XVII: The Other Side of Psychoanalysis)에 주목하여 분석가담론을 해석함으로써 결국 부인(disavowal)이 정신분석과 도착을 가르는 핵심 구조임을 밝히고, 이의 윤리적 함의도 점검한다. Jacques Lacan's analyst's discourse is generally considered an alternative one that subverts the repressive regime of both the master's discourse and the university discourse, and that surmounts the hysteric's discourse's ambiguous attitude toward a master. The analyst typically helps the analysand traverse the fundamental fantasy by leading him or her to face the real cause of desire. The analyst's discourse is, after all, the only discourse in which knowledge has the status of truth. It is clinically the discourse of cure, and politically that of liberation. What is striking about the analyst's discourse, however, is that it contains the unexpected possibility of perversion in itself. In other words, the formula that the upper part of the analyst's discourse produces (a → $) is none other than one for perversion (a ◇ $). The analyst's discourse then appears to be that of perverse violence and cruelty rather than liberation. This paper clarifies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analysis and perversion by examining Lacan's theory of perversion along with the analyst's discourse. Lacan's seminal texts, "Kant with Sade" and Seminar XVII: The Other Side of Psychoanalysis will reveal the contrasting possibilities of cure and cruelty embodied in the analyst's discourse, and eventually unveil "disavowal" as the very structure that differentiates perversion from analysis. Perversion disavows the lack in the Other whereas analysis confronts us with the lack.

      • KCI등재

        라깡 "네 담화 이론"의 교육적 적용

        목영해 ( Young Hai Mok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2

        이 논문은 라깡의 ‘네 담화이론’을 교육문제 분석에 적용한 연구이다. 네 담화이론은 정신분석학자 라깡이 인간의 무의식 주체에 대한 연구결과를 사회관계 영역으로 확장하기 위하여 만든 이론으로서, 특히 지식을 중심으로 한 교육활동의 분석에 적절한 이론이다. 라깡에 있어서 담화에는 주인담화, 대학담화, 히스테리 담화, 분석가담화의 넷이 있다. 교육영역에서 주인담화는 S1으로서 교육권력기관이 S2로서의 교사에게 지시하여 학생들의 학력향상을 가져오는 담화양식이고, 대학담화는 교사가 학생에게 학력 향상을 명하지만, 결국에는 학생을 소외되고 분열된 존재로 만드는 담화양식이며, 히스테리 담화는 정체성이 혼란스러운 학생이 교사에게 질문을 함으로써 여타 지식을 산출하는 담화양식이고, 분석가 담화는 분열된 주체성을 가진 학생이 참교사와 대화하여 정체성과 존재의미를 새롭게 하는 담화양식이다. 따라서 우리 교육현장에서는 히스테리 담화와 분석가 담화의 비중이 높아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Lacan’s four discourse theory to analysing educational issues, and to get clues to solving the problems of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Lacan, the discourse consists of the four unchanging places and the four unconscious elements. The switching of the four elements on the place causes a new discourse, and results in the four discourses. The names of the discourses are the master’s discourse, the university’s discourse, the hysteric’s discourse, and the analyst’s discourse. The figures of the four discourses are as follows: S1(agent) → S2(other) S2(agent) → object a(other) ↑ □ ↓ ↑ □ ↓ $(truth) object a(production) S1(truth) $(production) (master’s discourse) (university’s discourse) $(agent) → S1(other) object a(agent) → $(other) ↑ □ ↓ ↑ □ ↓ object a(truth) S2(production) S2(truth) S1(production) (hysteric’s discourse) (analyst’s discourse) In Korean education that the government take lead, the master’s discourse comes to making higher scores in academic tests. The university’s discourse on the education that teachers rules comes to making the students isolated from each other. The hysteric``s discourse on the education that an isolated student initiates comes to producing the informations and knowledges. The analyst``s discourse on the education that humanistic educator gives a guide comes to letting an isolated student to be a whole person. So, the hysteric``s discourse and the analyst``s discourse have to be encouraged on Korean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Korean education and for a quality life of the students.

      • KCI등재

        이승우의 소설 『한낮의 시선』에 나타난 분석가 담론 구조와 강박증의 극복

        박춘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5 한국문학연구 Vol.0 No.48

        이 논문에서는 이승우의 소설 『한낮의 시선』에서 화자이자 작중인물이 새로운 주체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강박증’의 극복 과정으로 보고 그 양상을 라깡의 분석가 담론 구조로 살펴보았다.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증오의 대상에서 극복과 화해의 대상으로 이어지는 고단한 아버지 찾기의 과정에는 결여된 아버지를 상징적으로 재구성해 보려는 작중인물들의 욕망이 내재되어 있다. 둘째, ‘아버지 찾기’라는 의무는 존재의 우연성, 즉 삶과 죽음의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전형적인 강박증의 증상이다. ‘아버지 가로지르기’를 통해 강박증을 극복하는 과정은 분석가 담론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셋째, 화자는 ‘아버지 가로지르기’를 통해 자신의 결핍(욕망)을 인식하고 아버지에 대한 증오와 그리움을 직시하게 되며, 욕망하는 주체로 재탄생한다고 해석된다. This paper studied the process in which the narrator as well as a character of Lee Seung Woo's novel <The gaze of the mid-day> was reborn as a new subject overcoming the obsessive-compulsive syndrome, through the structure of Lacan's analyst discourse.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by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ly, The characters' desires for symbolically restructuring absent father are inherent in the tiring process of seeking father, from the object of hatred to that of overcoming and reconciliation. Secondly, the duty of ‘father seeking’ is closely linked with the accidentality of existence, that is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which shows the typical syndrome of the obsessive-compulsive syndrome. The process for overcoming the obsessive-compulsive syndrome by ‘traversing the father’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analyst discourse. Thirdly, it has been interpreted that the narrator recognized his deficiency(desire) and faced the hatred and yearning through ‘traversing the father’ and was reborn as a desiring subject.

      • KCI등재

        위기청소년을 위한 학교 기반 치유적 교육 분석: 라캉의 분석가 담론에 입각한 접근

        어도선,한가을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2 현대정신분석 Vol.24 No.1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iscussion-based bibliotherapy class, an after-school program, as one of the efficient therapeutic measures offered to at-risk teenagers from divorced families. If ‘school connectedness’ works well, youth in crisis could be better provided with resources such as meaningful relationships they need to cope with their own psychological problems. In addition, bibliotherapy could help at-risk adolescents to build up a ‘desirable’ concept for how they perceive the new reality caused by divorce. In this case, a Lacanian perspective was also in the same vein. Therefore, relying on Lacan’s ‘Discourse of the Analyst,’ this study explains the healing case of a high school student (Student A) who had participated in a bibliotherapy program operated for adolescents from divorced families. It shows how a school-based education can support a therapeutic program in which ‘education becomes a treatment and, in turn, the treatment becomes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rough a discussion-centered reading-therapy process, a psychological environment equivalent to the ‘Discourse of the Analyst’ had been constructed in Student A, which turned out to help Student A (re)conceptualize more efficiently the tremendous changes and pain resulting from her parents’ divorce. It also shows that a new identity had been formed inside Student A, and it served her to respond more confidently to such new reality in the way that Student A’s new subjectivity becomes more flexible and free from conflicts and anxiety caused by the divorce. This proves that a school-based therapeutic education program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 of youth at risk. 본 연구는 여러 ‘위기청소년’ 가운데 이혼 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방과 후에 운영되었던 토론 기반 독서치료 수업을 ‘위기청소년’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교 내 치유 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가 다른 공간에 비해 훨씬 안정된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교 연결성’이 잘 작동되면 위기청소년들이 교사와 또래 친구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면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독서치료는 이혼으로 인해 발생된 새로운 현실에 대한 ‘바람직한’ 재개념 설정에 도움이 되며 라캉적 치유와도 그 맥을 함께 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교내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고등학생 A의 치유 과정을 라캉 ‘분석가 담론’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본 연구는 ‘교육이 치료가 되고 치료가 교육이 되는’ 학교 기반의 치유적 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위기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실효적 대책이 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 A와 참여자 모두 등장인물과의 다양한 심리적 관계를 통해 ‘분석가 담론’에 준하는 심리 환경을 스스로 구축하였고, 점차 이혼의 결과로 생긴 엄청난 변화와 아픔을 회피하지 않고 (재)개념화하게 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을 통해 교사와 동료들과의 ‘협력적 치료’도 깊이 있게 일어나 참여자들 모두 현실의 요구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며, 갈등과 불안으로부터 벗어나 보다 유연한 새로운 자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학교 기반 치유적 교육 프로그램이 위기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라캉의 자본주의 담화를 통해서 바라본 탈진실 현상에 관한 연구

        허의진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용봉인문논총 Vol.- No.61

        "Post-truth", which emerged in the 2016 U.S. presidential election, has become a familiar term along with the Pandemic. "Post-truth" is usually approached as a matter of true or false by linking it with fake news at the level of journalism. In other words,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n individual's 'literacy' because people can determine 'substantial truth' according to rational reason. However, this 'true-or-false game' has become a battleground for ideology today, and its extent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nse. Namely, the phenomenon of "Post-truth" exceeded the problem of 'digital literacy. Therefore, to know the implications of the phenomenon of "Post-truth",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context of "Post-truth", that is, social relations. This approach is an urgent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social structure, starting with the question that "Post-truth" is forming a circle foreclosed with all the members of society involved, and approaches reality as a symptom in the Lacanian context. Specifically, I would like to first examine the capitalist discourse along with the concept of Lacan's discourse and analyze the phenomenon of "Post-truth"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say that the phenomenon of "Post-truth" is a symptom of Capitalist Discourse that is revealed along with the expansion of neoliberalism. Furthermore, as a theoretical basis for overcoming this difficulty, This paper presents the shame Lacan said at the end of his seminar in connection with the Analyst Discourse. 2016 미국 대선에서 떠오른 ‘탈진실’(post-truth)은 펜데믹과 함께 낯설지 않은 용어가 되었다. 탈진실을 보통 저널리즘의 차원에서 가짜뉴스와 연결하여 진실 혹은 거짓의 문제로 접근한다. 즉 합리적 이성을 따라 ‘실체가 있는 진실’을 판별할 수 있기에 개인의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진실 공방은 오늘날 이데올로기의 싸움터가 되었으며 그 정도는 점점 더 강렬해지고 있다. 즉 탈진실의 현상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문제를 초과했다. 따라서 탈진실의 현상이 어떤 함의를 갖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탈진실의 맥락 곧 사회적 관계의 탐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접근은 탈진실이 사회 구성체 모두가 연루되어 하나의 폐쇄된 원환고리를 형성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사회구성체의 변화 가능성을 탐구하는 긴급한 시도로서, 현실을 라캉적인 맥락에서 증상으로 접근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라캉의 담화 개념과 함께 자본주의 담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탈진실의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탈진실의 현상이 신자유주의의 확장과 함께 드러나는 자본주의의 결과물임을 말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 난관을 돌파할 이론적 토대로서 세미나 마지막에 라캉이 말하는 수치심을 분석가 담화와 관련지어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분석가담화 기반 회상치료에 참여한 노인 우울증자 담화의 현상학적 연구

        권요셉(Kwon Joseph),김영순(Kim Youngs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분석가담화 기반 회상치료’에 참여한 노인 우울증자들의 담화를 탐색하고 그 의미를 분석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21개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노인 우울증자들은 ‘분석가담화 기반회상치료’에 참여함으로, 각자의 생애에 사회적 억압과 강요가 있었음을 회상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억압의 이면에 삶을가치 있게 하는 서사또한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사회적 담화에 나타난 억압이 상흔(STIGMA)으로 남아있으나 그 상흔의 이면에서 자기 자신을 위한 삶과 사랑을 발견함으로 상흔이 성흔(STIGMATA)으로 전환되었다. 사회적담화에 있어서, 4명의 연구참여자가 모두 폭력을 경험하였고, 강제적으로 학업을 중단했으며, 애정의 거절을 경험하였다. 또한, 가족을 위해 어린 나이에 일터로 내몰리거나 병중의 가족을 돌봐야 하는 희생을 감수해야 했고, 사람들의 눈치, 아버지의 눈치, 배우자의 눈치를 봐야 하는 삶을 살았다. 또한 주체적인 담화에서 4명의 연구참여자들 모두 원망과 분노를 통한 감정의 소산이 있었고, 과거를 추억하고 그리워하는 과정이 있었다. 그리고 자기를 사랑하고 감정이 전화되는현상이 있었다. 21개의 의미는 12개의 사회적 담화와 9개의 주체적 담화로 범주화하였고 각각 상흔과 성흔으로 재분류하였다. 노인 우울증자들의 경험과 의미는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과 학문의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사회적 담화와우울증의 관계 연구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노인 우울증자들의 심리적 고통을 이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상담하는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and analyzed the experiences of depressed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analyst’s discourse based-reminiscence therapy.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Colaizzi has drawn 21 meanings. By participating in the analyst’s discourse based-reminiscence therapy, the depressed elderly recalled their experiences of oppression and coercion but found a narrative that made their life worth while. In social discourse, all four participants lived a life exposed to violence, suffered from academic interruption, and were denied affection by parents or spouses through an affair or ran away. Also, all four participants had to sacrifice to be put to work at a young age for their families or to take care of their sick families and lived a life of seeing people’s, father’s, and spouse’s eyes. The 21 meanings were categorized into 12 social discourses and 9 subjective discourses, and reclassified into stigma and stigmata. They mourn for a loss and discover a new signifier in the discourse that constituted stigmata.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action research or effectiveness research and provide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ir psychological suffering. It is also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to counsel the elderly.

      • KCI등재

        이청준의 소설 『조율사』에 나타난강박증적 주체와 소설쓰기의 문제

        박춘희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1

        This paper grasped the narrator of Lee Cheong Jun’s Novel 『TheTuner』 as a subject in obsessive-compulsive syndrome andinvestigated the subject’s aspect of psychology and actions as an‘obligation.’ It also studied the representative symptom,‘stomachache,’ in the context of the obsessive-compulsive syndromeand investigated how the novel’s structure of discourse reveals therecognition of the novel writing after the narrator went on a fast.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the following fourpoints. Firstly, the regression of the subject in obsessive-compulsivesyndrome for the satisfaction enjoyed in the past, repeatedlysuffering for stomachache, corresponds to his labor. Secondly, staying at tuning as discussions and preparations,while suspending but continuing the people-searching and notrealizing the novel writing can be understood as the duel obligationof the subject in obsessive-compulsive syndrome. Thirdly, the frame in which the subject in obsessive-compulsivesyndrome maintains the relations with the symbolic system and theobject can be comprehended as his structure of discourse transposedfrom that of hysteria discourse. At the end of this novel, thisstructure is transformed into the analyst discourse through thenarrator’s self-referential discovery . Fourthly, In the structure of the analyst discourse, the text of 『TheTuner』 tries to make the reader recognize the intellectual’s paradoxicalcircumstances of continuing the impossible novel writing. 이 논문에서는 이청준의 소설 『조율사』의 화자를 ‘강박증적 주체’로 파악하고그 주체의 심리와 행위 양상을 ‘의무’로 규명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증상인 ‘배앓이’가 강박증의 맥락에서 어떻게 파악되는지를 살펴본 후, 화자의 단식 이후 전개되는 소설의 담론 구조가 소설쓰기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드러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강박증자가 과거에 향유했던 만족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퇴행은 ‘배앓이/복통’이라는 증상에 반복적으로 시달리는 강박증자의 노역, 즉 의무복역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람찾기를 유예하면서도 지속하는 행위와 소설쓰기에 이르지 못하고 토론과 준비 과정인 조율에만 머무르는 모습은 강박증적 주체의 이중적 의무 수행이라는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다. 셋째, 강박증적 주체가 상징계, 대상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틀은 히스테리 담론에서 주체와 대상의 위치를 바꾼 강박증자의 담론 구조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 담론 구조는 결말부에서 화자의 자기지시적 발견을 통해 분석가 담론 구조로 전환된다. 넷째, 분석가 담론 구조 속에서 『조율사』의 텍스트는 불가능한 소설쓰기를 지속하는 지식인의 역설적 상황을 독자에게 인식시키려 한다.

      • KCI등재

        현대미술과 대중의 관계에 대하여 : 라깡의 ‘분석가 담화’를 중심으로

        남인숙(Nam In-Sook) 현대미술학회 201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5 No.-

        본고는 대도시의 출현과 함께 극심한 변화에 처한 ‘지각의 변동’에 주목하여 20세기 초 예술상황을 주요 무대로 삼는다. 특히 대도시와 뗄 수 없는 ‘대중의 출현’은 여가활용과 더불어서 작품 감상자와 구매자의 지형을 바꾸어 놓는다. 이는 전승된 예술가치의 포기나 폐기 혹은 가치의 상대화로 이어지면서 새로운 예술이 출현하는, 그야말로 예술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을 초래한다. 벤야민은 이러한 근대의 충격에 가장 섬세하게 반응한 시인으로 보들레를 들고, 자신의 보들레르 분석에서 시인의 글쓰기와 대중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보들레르뿐만 아니라 마네를 비롯하여 당시 새로움을 추구하던 미술가들 역시 이런 지각의 변동에 예민하게 반응한 이들이었고 보들레르처럼 당대의 정서에 공명한 이들로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벤야민의 보들레르 분석에서 드러나는 글쓰기와 대중의 관계에 주목하여, 이것을 정신분석을 통해 다시 읽고 ‘현대미술과 대중의 관계’를 추론해 보고자 한다. 현대미술은 뒤샹의 〈나는, 너를(tu’m)〉에 한정한다. 벤야민의 보들레르 분석을 통해서는 주로 대중의 의미와 작품의 관계를 살펴볼 것이고, 이러한 대중의 의미를 라깡의 ‘분석가 담화’로 다시 읽어 본다. 이는 뒤샹의 작업에도 적용하여 대중의 출현이 새로운 예술의 실험과 출현에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은 라깡의 정신분석학이 그에 대한 근거를 보다 유의미하게 밝힐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rt situ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is focused on the severe “change of perception” that is accompanied by the emergence of metropolis. Especially, “the emergence of the mass”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big cities has changed the relationship with the art, appreciators, and buyers as well as using of leisure time. It provokes the shift of art paradigm which is linked to the termination and relativization of art value. Benjamin referred Baudelaire as a poet who responded the most sensitively to this change and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writing of this poet and the custom of the mass in his research. Manet with other artists as well as Baudelaire who pursue the new things responded to this change sensitively and they could feel sympathy with it. This paper infers “the relationship with the modern art and the mass” from the analysis of Baudelaire by Benjamin through his psychoanalysis. The modern art is limited to the 〈tu’m〉 of Duchamp. It figures 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eaning of mass and art works, then looks for the meaning of the mass in the “discourse of analyst” of Lacan. It will be applied to Duchamp's work to explain how the emergence of the mass influence to the emergence and experiment of new art. It emphasizes that the psychoanalysis of Lacan clarifies the more meaningful basis in this context. In this point, it is designed to show that Lacan's psychoanalysis can attribute to provide more productive interpretation of modern art as a form of the art discourse.

      • KCI등재

        현대미술과 대중의 관계에 대하여:라깡의 ‘분석가 담화’를 중심으로

        남인숙 현대미술학회 201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5 No.1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rt situ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is focused on the severe "change of perception" that is accompanied by the emergence of metropolis. Especially, "the emergence of the mass"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big cities has changed the relationship with the art, appreciators, and buyers as well as using of leisure time. It provokes the shift of art paradigm which is linked to the termination and relativization of art value. Benjamin referred Baudelaire as a poet who responded the most sensitively to this change and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writing of this poet and the custom of the mass in his research. Manet with other artists as well as Baudelaire who pursue the new things responded to this change sensitively and they could feel sympathy with it. This paper infers "the relationship with the modern art and the mass" from the analysis of Baudelaire by Benjamin through his psychoanalysis. The modern art is limited to the <tu'm> of Duchamp. It figures 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eaning of mass and art works, then looks for the meaning of the mass in the "discourse of analyst" of Lacan. It will be applied to Duchamp's work to explain how the emergence of the mass influence to the emergence and experiment of new art. It emphasizes that the psychoanalysis of Lacan clarifies the more meaningful basis in this context. In this point, it is designed to show that Lacan's psychoanalysis can attribute to provide more productive interpretation of modern art as a form of the art discourse. 본고는 대도시의 출현과 함께 극심한 변화에 처한 ‘지각의 변동’에 주목하여 20세기 초 예술상황을 주요 무대로 삼는다. 특히 대도시와 뗄 수 없는 ‘대중의 출현’은 여가활용과 더불어서 작품 감상자와 구매자의 지형을 바꾸어 놓는다. 이는 전승된 예술가치의 포기나 폐기 혹은 가치의 상대화로 이어지면서 새로운 예술이 출현하는, 그야말로 예술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을 초래한다. 벤야민은 이러한 근대의 충격에 가장 섬세하게 반응한 시인으로 보들레를 들고, 자신의 보들레르 분석에서 시인의 글쓰기와 대중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보들레르뿐만 아니라 마네를 비롯하여 당시 새로움을 추구하던 미술가들 역시 이런 지각의 변동에 예민하게 반응한 이들이었고 보들레르처럼 당대의 정서에 공명한 이들로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벤야민의 보들레르 분석에서 드러나는 글쓰기와 대중의 관계에 주목하여, 이것을 정신분석을 통해 다시 읽고 ‘현대미술과 대중의 관계’를 추론해 보고자 한다. 현대미술은 뒤샹의 <나는, 너를(tu'm)>에 한정한다. 벤야민의 보들레르 분석을 통해서는 주로 대중의 의미와 작품의 관계를 살펴볼 것이고, 이러한 대중의 의미를 라깡의 ‘분석가 담화’로 다시 읽어 본다. 이는 뒤샹의 작업에도 적용하여 대중의 출현이 새로운 예술의 실험과 출현에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은 라깡의 정신분석학이 그에 대한 근거를 보다 유의미하게 밝힐 수 있다는 점에 강조점이 있다. 이 점은 라깡의 정신분석학이 가능한 하나의 ‘예술의 담화’로서 근대예술에 대한 보다 풍성한 해석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보다 큰 틀 아래 기획된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담화이론과 뒤샹의 성적 현실

        남인숙(In-Sook Nam)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11 현대정신분석 Vol.13 No.2

        In this paper, I indicate that Discourse theory of Lacan is to be applied to artwork(as shown by Duchamp's work in this paper), through which Discourse theory of Lacan is to be extended to other areas such as art theory, art criticism and aesthetics. In particularly, I would like to make sure that theory of the unconscious subject is linked with both matter of artwork and truth and proper matters of aesthetics. Although it seems that there are lots of researches for understanding what discourse theory means, this paper is aiming not to explain or introduce these sexuation, discourse theory, but to understand them with linkage between sexuation and discourse, focucing on the matter of mathem by Lacan(see the table below). With understanding the above-stated, unconscious subject in Lacan's theory can be sure to come aesthetic subject, and conversely, the subject of αισθησισ(aisthesis) or aesthetic subject can be reconsidered through the psychoanalytic meaning. 김본 논문은 라깡의 담화이론을 미술작품에 적용해서 해석해보고, 이를 통해서 담화이론의 지평을 확장해보려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담화이론을 통해 라깡의 '무의식의 주체이론'이 작품과 진리의 문제, 그리고 미학의 문제와 접속된다는 점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예로 들고 있는 것은 마르셀 뒤샹의 한 작품이지만, 이를 통해 예술작품과 미학의 주요문제가 접속되는 지점을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가 참조하는 것은 라깡이 말하는 담화이론과 성구분 공식이다(아래 표 참조). 성구분 공식과 담화이론의 의미와 이해를 위한 연구서들은 많이 있지만, 본고에서는 그 이론의 해제나 설명을 소개하기 보다는 라깡의 '성구분 공식'과 담화이론의 공식을 수학소(mathèm)로 이해하여 이 둘을 연관시켜 독해하는 것에 주력한다. 이러한 독해를 통해 라깡의 무의식의 주체는 결국 감성적(aesthetic) 주체임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역으로 지각(αισθησισ-aisthesis)의 주체, 감성적(aesthetic) 주체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의미를 다시 새겨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