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물보호법 개정안을 통해 본 한국 동물법의 과제와 전망-동물권 담론과 동물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이준용 ( Lee June Yong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17 공익과 인권 Vol.17 No.-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아직은 생소한 개념인 동물권 담론을 소개하고, 동물보호론과 동물복지론, 그리고 동물권리론으로 이어지는 이론적 흐름을 통해 ‘동물해방운동’의 역사적·사상적 맥락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동물권 담론의 관점에서 2017년 3월 통과된 동물보호법 개정안의 내용과 배경, 국회에서의 논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담론이 한국 사회에서 가지는 의미와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권의 확장으로서의 동물권 개념을 이해하고, 동물의 권리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동물권 담론이 제도화 과정에서 직면하는 일반적인 문제점과 함께 특히 한국 법 제도 하에서의 몇 가지 쟁점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관점에서 동물보호법 개정안의 논의 과정과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동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동물 정책의 현실적 한계와 전망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적 관점은 다음과 같다. 동물에게 권리가 있다는 생각의 출발점은 동물이 인간과 같이 고통을 느끼고 나름의 방식으로 공감과 소통을 할 수 있는 존재라는 일종의 연대의식이다. 이 점에서 동물권 담론은 적어도 그 출발점에 있어서 동물복지론이나 그 이전의 동물보호론과 같은 배경을 공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물에게 법적 권리를 부여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동물에 대한 공감의 확대라는 역사적 흐름에 부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동물의 권리가 왜 보장되어야 하는지, 그것이 인간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동물보호법 개정 과정에서 나타났듯이 한국 사회 역시 많은 현실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동물복지를 증진하고 동물의 권리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동물권 담론의 현실적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of all, to introduce Animal Rights Discourse which is yet an unfamiliar concept in Korea and to explain theories starting from Animal Protection Theory through Animal Welfare Theory to help understand historical·ideological context of the Animal Liberation Movement. This study also suggests implications and feasibilities of the Animal Rights Discourse in Korea by analyzing the details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Animal Protection Law revision in March, 2017 with the discussion at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understands animal rights as an extension of human rights and focuses on backgrounds and details on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Animal Rights'. Second, the text explains several general issues that Animal Rights Discourse faces in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several specific issues of the Korean legal system. Finally, this study explores perception on animals in Korean society and suggests limitations and prospects of animal policy of Korea by analyzing discussions and contents of Animal Protection Law revision. The standpoi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notion of animals having rights was started from a sense of solidarity that animals can feel pain the same as humans and have sympathy and ability to communicate in their own way. At this point, Animal Rights Discourse shares same ground with animal welfare theory, and even animal protection theory before it. Therefore, although there is not enough social consensus on establishing legal rights of animals and there are still many controversies on it, it fundamentally corresponds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expanded empathy on animals. This study purposes to present reasons why animal rights should be ensured, and implications it has for human society. In such discussions, it aims to discover practical and realistic meanings of Animal Rights Discourse as Korea marches toward the improvement of animal welfare and protection of animal rights despite various difficulties,

      • KCI등재

        동물의 지위에 대한 논의와 법적 함의 ― 『재산』에서 『반려』 그리고 『권리』로 ―

        박만평 ( Park Man Pyeong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硏究 Vol.28 No.1

        In a big frame, this article first concludes the argument concerning the legal status of animals, and then presents the legislation to ensure the status of animal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In this process, it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concerning the status of animals, the status of companion animals, the animal rights discourse, and the principle of legislation to ensure the status of animals. The specific content is that the main argument on animal status is that animals are simple objects, separated from the medieval times to the modern times. However, modern day, animal rights groups are urged to recognize animal instincts, which insist on the welfare of animals, and, by extension, recognize rights to animals. Peter Singer is the representative view of the former and Tom Regan is the representative view of the latter, but there are many others. Such an ideological trend is seemingly plausible given the welfare of the animal in view of the present legal system, but hardly acceptable from the position of claiming animal rights. Because under modern law, animals become objects that belong to human beings that are the subject of rights. Therefore, one can not escape from the object as long as the principle of ownership, one of the three principles of modern civil law, is maintain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the rights of animals, so the countries of the West have changed to think about animal welfare. The change star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when more advanced countries defin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animals and the simple objects things in the legal sense. Then, in the early 21st century, the protection of animals was carried out not at the legal level but as a constitutional provision, rather than as a state goal provison. Germany, the representative country, protects its natural life base and animals under Article 20a of the Framework Act in 2002. By defining it, it specifically states that the nation has a responsibility to protect its animals. Meanwhile, in our country, due to the influence of this flow, a change in perception of animals is being made. A typical example is the perception of an existing animal as a companion animal in a simple object or pet. Such a change in perception is important because the current law in Korea still stands for simple objects, and only animal protection laws are in effect that consider animal protection or welfare.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the recent revision to the civil law includes a content that tries to deflect animals from the concept of simple objects. At the moment, there is a brisk discussion about revising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Of course, at the center of the amendment is expected to be a power structure reform but discussion on one of the basic rights - environmental reform. Thus, the revision should serve as an occasion for Korea to establish regulations to protect animals with state goal provison, as was the case in western Germany. In addition, if Article 11 of the Constitution's equality between rights holders, Article 35 of the Constitution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new clause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animal welfare among the animals subject to rights.

      • KCI등재

        한국의 애니메이션 담론 형성 과정 연구-예술의 성립과 담론의 탄생-

        김일림 ( Il Lim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2 No.-

        한국에서 애니메이션은 불과 몇 년 사이에 예술로서의 지위를 획득한 유례없는 분야이다. 이러한 급작스러운 변화는 필연적으로 인위적이고 집중적인 인식 전환 운동을 전제로 하기 마련이며, 그 역할을 수행한 것은 바로 담론이었다. 한국의 애니메이션은 20세기 초부터 연속적으로 발전해온 것이 아니라 1990년대에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아 예술로서 급격히 재인식된 대상인 것이다. 이 연구는 1990년대를 한국 대중문화의 격동기로 규정하고, 한국 사회에서 애니메이션 담론이 형성되는 과정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으로는 1900년대 초부터 2000년대에 발표된 기사와 단행본, 그리고 논문을 설정한다. 1990년대 이전의 텍스트를 조명함으로써 1990년대 중후반 펼쳐지기 시작한 애니메이션 담론과의 연속성과 비연속성을 고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30년대 조선에서 만화영화에 관한 언급이 눈에 띄었으나, 본격적으로 기사화되기 시작한 것은 1967년 <홍길동> 개봉 무렵이었다. 그러나 일본 애니메이션 하청 산업으로 인해 1970~80년대에는 이 장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었다.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만화영화, 공상과학을 부정하는 시선으로 이어졌다. 1990년대 이후에는 문화산업의 관점 및 일본대중문화개방의 영향으로 애니메이션 담론이 본격적으로 형성된다. 1990년대 이후에는 애니메이션 담론의 장, 애니메이션의 개념, 한국 애니메이션의 이념이 성립했으며, 이는 1990년대 이전과 확연히 다른 점이다. 1990년대 형성된 한국의 애니메이션 담론은 해외와 동등하게 교류할 문화적인 대상과 인식을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20세기 초부터 긍정적으로 이어져 온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바로 ‘기술’과 ‘경제적 가치’였다. 반면 1990년대 이전과 이후의 비연속성도 있었다. 바로 ‘일본’, ‘공상과학’, ‘어린이’라는 가치를 정반대로 해석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한국 사회에는 일본에 대한 안티테제로 만화영화는 물론 공상과학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견지하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이 명확해졌다. 첫째, 한국에서 생산된 작품과 담론 사이에는 비대칭적인 간극이 있으며, 작품의 부재를 메꾼 것은 바로 담론이었다. 둘째, ‘한국 애니메이션’이라는 인식대상은 20세기 초부터 연속적으로 발전해온 것이 아니라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에 담론에 의해 인위적이고 급격하게 구축되었다. 셋째, 한국의 애니메이션 담론이 형성된 시기는 애니메이션이라는 하위 장르가 예술과 학문, 제도의 영역으로 이행한 시기와 일치한다. It was not until the 1990s that Animation was granted the status of art in Korea. That kind of abrupt change is usually based on intensive artificial movement and it was discourse on Animation that took the lead in this case. They might think Korean Animation has grown continuously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but there were non-continuities before and after the 1990s. In that decade of paradigm shift, Animation in Korea has been re-recognized as culture and art.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explain how discourse on Animation in Korea has been formed by analyzing articles, books and papers about Animation which were written during 1900~1999 in Korea and reveal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 comments about Animation regarding the 1990s as a watershed. They already wrote articles about Animation in the 1930s and began to treat that genre intensively from 1967 when the first Korean feature-length Animation Hong Gil Dong was released. However, it`s hard to say there was any field of discourse on Animation yet. Negative impression about Animation has been built from the 1970s to the 1980s and Korean Animation industries developed as contractors for Japanese Animation from this period. It means negative impression of Japan led to negative perception of Animation. Also science fiction which Japanese Animation made popular was underestimated too. In the atmosphere of encouraging culture industries and the Open-Door Policy toward Japanese popular culture in the 1990s, discourse on Animation began to ignite. There are three different factors in the 1990s comparing to pre-1990s. First, fields of discourse on Animation was constructed. Secondly, concept of Animation as a genre was formed. Thirdly, ideology of Korean Animation was born. Discourse on Animation in Korea has taken a important role in interacting with overseas` Animation culture, as a substitute for Animation works. Only a few original animation films were made in Korea during that decade. Before the 1990s, Korean has opposing views against Japan about science fiction and children. Animation and science fiction which were strongly affected by Japan were neglected because of colonial trauma. Nevertheless, Korean society has always kept positive opinions about Animation for technological and financial values.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points as below. First, there is an asymmetric gap between Korean Animation works and discourse. While absence of Animation works, discourse on Animation took a role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Animation. Secondly, the ideology of Korean animation which was burdened by industrial success has been built artificially and intensively in the 1990s. Thirdly, the period of forming discourse on Animation in Korea synchronized with the one when animation went over from sub-culture to art.

      • KCI우수등재

        민법상 동물의 지위에 관한 예비적 고찰

        권용수,이진홍 법조협회 2021 法曹 Vol.70 No.2

        The recent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rearing households has greatly changed the socia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companion animals. Interest in animal protection and welfar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re have been calls for tougher punishment for animal abandonment or abuse. In line with this, revision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was frequently made, and in the process, irrationality intensifi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ivil law, which treats animals as simple objects. On the other hand, the civil law's attitude toward treating animals as simple objects is feared to undermine the purpose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to deter animal abandonment or abuse. In addition to this absurdity, there are growing calls for a review of the civil law's regulations on treating animals as objects, as there are complicated issues such as how to calculate damages in the event of animal injury or death and who will have custody of companion animals after divorce.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looked at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gulations on the legal status of animals under civil law and, if necessary, how it is desirable to define the legal status of animals. 최근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동물을 대하는 사회적 인식·태도가 크게 달라졌다. 동물 보호·복지에 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고, 동물 유기나 학대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청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발맞춰 동물보호법 등의 개정이 빈번히 이루어지는 가운데, 동물을 단순한 물건으로 취급하는 민법의 태도에 따른 불합리·과제가 심화하고 있다. 예컨대, 동물 = 물건이라는 관점에서만 보면, 동물에 대해 엄격한 의무를 부담시키고 그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벌칙을 가하는 동물보호법의 최근 움직임은 권리자의 권리를 약화하거나 침해하는 법적 불합리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으로 동물을 단순한 물건으로 취급하는 민법의 태도는 동물 유기나 학대를 억지하려는 동물보호법의 취지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불합리에 더해, 동물 상해·사망 사고 시 손해배상액 산정이나 부부관계 해소 후 반려동물의 귀속, 반려동물에 대한 상속 등 복잡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동물을 물건으로 취급하는 민법의 태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민법상 동물의 법적 지위에 변화를 가할 필요가 있는 것인지, 그럴 필요가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법적 지위의 변화를 꾀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살펴보았다.

      • KCI우수등재

        민법상 동물의 지위에 관한 예비적 고찰

        權容秀 ( Kwon Yong-su ),李鎭弘 ( Lee Jin-hong ) 법조협회 2021 法曹 Vol. No.

        최근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동물을 대하는 사회적 인식·태도가 크게 달라졌다. 동물 보호·복지에 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고, 동물 유기나 학대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청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발맞춰 동물보호법 등의 개정이 빈번히 이루어지는 가운데, 동물을 단순한 물건으로 취급하는 민법의 태도에 따른 불합리·과제가 심화하고 있다. 예컨대, 동물 = 물건이라는 관점에서만 보면, 동물에 대해 엄격한 의무를 부담시키고 그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벌칙을 가하는 동물보호법의 최근 움직임은 권리자의 권리를 약화하거나 침해하는 법적 불합리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으로 동물을 단순한 물건으로 취급하는 민법의 태도는 동물 유기나 학대를 억지하려는 동물보호법의 취지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불합리에 더해, 동물 상해·사망 사고 시 손해배상액 산정이나 부부관계 해소 후 반려동물의 귀속, 반려동물에 대한 상속 등 복잡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동물을 물건으로 취급하는 민법의 태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민법상 동물의 법적 지위에 변화를 가할 필요가 있는 것인지, 그럴 필요가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법적 지위의 변화를 꾀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살펴보았다. The recent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rearing households has greatly changed the socia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companion animals. Interest in animal protection and welfar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re have been calls for tougher punishment for animal abandonment or abuse. In line with this, revision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was frequently made, and in the process, irrationality intensifi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ivil law, which treats animals as simple objects. On the other hand, the civil law's attitude toward treating animals as simple objects is feared to undermine the purpose of the Animal Protection Act to deter animal abandonment or abuse. In addition to this absurdity, there are growing calls for a review of the civil law's regulations on treating animals as objects, as there are complicated issues such as how to calculate damages in the event of animal injury or death and who will have custody of companion animals after divorce.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looked at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gulations on the legal status of animals under civil law and, if necessary, how it is desirable to define the legal status of animals.

      • KCI등재

        관계로서의 동물, 동물의 문학적 재현 - 조선후기 ‘동물전(動物傳)’을 중심으로 -

        김경미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1 No.-

        이 글은 18세~19세기 조선사회에서 창작된 동물전(動物傳)을 중심으로 동물, 인간과 동물의 관계가 문학적으로 어떻게 재현되었는가를 살핀 것 이다. 18세기를 전후하여 이익을 비롯해서 김약련, 유언호, 이유홍, 최남복, 홍우건 등의 문인들은 개, 닭, 말 등을 주인공으로 삼아 「의구전」, 「충구 전」, 「할계전」, 「우계전」, 「의록전」 등 동물에 관한 전을 남겼다. 역사기록 의 일종으로 발전한 인물전의 전통을 생각할 때 인간 세계의 타자로 존재 했던 동물이 입전대상이 되었다는 것, 그리고 주로 18세기를 전후하여 이 기록들이 나왔다는 것은 동물에 대한 인식 상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음을 시사한다. 이는 우화소설이나 가전에서 동물을 재현한 것과는 차이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18세기를 전후하여 나온 동물에 관 한 기록들의 증가 현상을 검토하고, 동물전에 나타난 재현 양상을 인간에 게 충성과 의리를 지키는 존재, 스스로 열행과 의리를 수행하는 존재, 기예를 가진 존재, 애도의 대상이 된 존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시기에 동물전이 나오게 된 역사문화적 배경으로 인물성동이논쟁과 지식 의 재배치 경향을 언급하고, 동물전 가운데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다룬 전들이 주로 개와 과부, 여종, 시집간 여자 등과의 관계로 재현된다는 점 을 주목했다. 18세기 전후에 등장한 동물전의 동물 재현은 특이한 행동을 했거나 사 람과 특별한 관계를 맺은 동물에 대한 것이다. 작가들은 동물의 행위를 충, 효, 열이라는 유교적 윤리로 평가하는 한편 동물의 기예를 발견하고 애도의 대상으로 삼는다. 동물전은 인간중심적인 태도를 여전히 드러내지만 동물의 기예를 발견하거나 동물을 애도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 서 기존의 동물에 대한 인식에서 이탈하는 면모를 드러낸다. 이처럼 특정 동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경험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동물전은 동 물에 대한 인식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이며, 타자화된 존재를 비유할 때 동원되곤 했던 동물을 그 자체로 재현했다는 점에서 새 로운 동물 인식을 볼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anim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were represented in literature of late Chosŏn society, focusing on the biography of animals created in that period. Around the 18th century, Yi Yik (李瀷), Kim Yak-ryeon (金若鍊), Yu Eon-ho (俞彦鎬), Yi Yoo-hong (李惟弘), Choi Nam-bok (崔南復), and Hong Woo-gun (洪祐健) wrote the biographies of dogs, hens, and horses, such as “Uigujeon” (義狗傳), “Chunggujeon” (忠狗傳), “Halgyejeon” (瞎鷄傳), “Ugyejeon” (友鷄傳) and “Euirokjeon” (義鹿傳). Considering the tradition of biography that was developed as a kind of historical record, the fact that animals became the subjects of biographies showed som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animals in late Chosŏn society. This article therefore examines the increasing phenomenon of records on animals from around the 18th century, and considers the patterns of reproduction that appeared in biographies of animals: as beings that keep loyalty to humans; beings that perform loyalty between them ; beings that have technics; and beings that became objects of mourning. In this paper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biography of animals of this period, I paid attention to the tendency to relocate knowledge and the debate on the natures of people and things(人物性同異論爭) and demonstrat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the biography of animals were mainly represented in the form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ogs and persons such as widows, maidservants and married women. Animal representations in the biography of animals around the 18th century were about animals that had performed unusual behaviors or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humans. The writers mentioned animals’ noticeable technique and showed mourning toward them, while they showed the tendency to evaluate animals’ behavior through the eye of a Confucian ethic of loyalty, filial piety, and chastity. This reveals that their view point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of animals. Although the biography of animals still kept human-centered perspective, the fact that it selected specific animals as a main character and presented the concrete and vivid descriptions shows the valuable example of the diversification of perceptions of animals in that period. Animals which had been used to represent the others were significantly shown here as themselves, which proves the existence of expanded perception of animals.

      • KCI등재

        북한 만화영화 속 여성 재현 연구: 북한 체제의 여성 담론 변화를 중심으로

        박수진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2 문화와 정치 Vol.9 No.3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desirable image of women expect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the change in women's discourse accordingly. North Korean authorities try to teach their residents the norms through films. Therefore, this study select “The Boy General” to see changes of women's discourse over time. The film is the longest-running animation. For the research subjects, female characters, were analyzed through metabolic text analysis and binary opposition structure analysis methods. Analysis showed no hug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omen’s discourse at a time when Kim Jong-Il was in North Korea's “Supreme Leader” position and the discourse after Kim Jong-Un took over his father’s post. Both periods emphasized women's performance as “a great wife and mother who cares for both home and society, and as a revolutionary fighter.” However, the burden of inheriting the unique customs of the nation has been added to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second half of “The Boy General,” which has been produced and broadcast since the 2010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y emphasized the role of married women at home. And also it confirmed that the unequal relationships between couples continue and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ry to emphasize these content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contrary to the existing North Korean authorities' claims, women still have to take on a heavy burden and play a role in both the home and society in the discourse of women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본 연구는 북한 당국이 기대하는 바람직한 여성상과 그에 따른 여성 담론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북한은 영화를 통해 주민들에게 당국의 규범을 교육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기에 따른 여성 담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북한 당국이 제작·방영한 영화 중 가장 오랜 기간 제작·방영한 만화영화 「소년장수」를 선정하였다. 해당 시리즈 속 여성 등장인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사 텍스트 분석과 이항 대립 구조 분석 방법을 통해 여성 등장인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김정일이 북한 “최고 지도자” 지위에 있던 시기와 김정은이 그의 자리를 물려받은 후에 해당하는 두 시기 모두 여성에게 가정과 사회를 “돌보는 훌륭한 아내이자 어머니, 혁명투사” 역할 수행을 강조하였다. 다만, 2010년대 이후 제작·방영한 「소년장수」 후반부 여성 등장인물에게 민족 고유의 미풍양속을 구현하고 계승하는 주체가 되어야 하며 과학기술로 북한 경제와 안보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부담이 추가되었다. 또한 결혼한 여성에 대한 가정에서 역할을 강조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부부 사이 불평등한 관계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기존 북한 당국의 주장과 다르게 당국의 여성 담론 속에서 여성은 시간이 갈수록 과중한 부담을 지고 가정과 사회 모두를 책임져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은 가정과 사회에서 차별받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서사의 동물 담론 지형 연구 : 재난 서사, 아동 문학, 현장 르포를 교차하며

        송다금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4 현상과 인식 Vol.48 No.2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여러 서사 장르에서는 동물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담론이 형성되고 확장되었다. 첫째로, 소설은 ‘재난 서사’의 방식을 통해 인간과 동물 사이의 긴밀한 연관성을 제시하며 인간과 동물의 바람직한 공적 관계 형성을 지향한다. 둘째로, 아동 문학은 동물에 대한 종차별주의를 성찰하며 인간과 동물의 공생을 위한 대안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셋째로, 현장 르포는 동물 산업이 초래하는 동물의 고통에 주목하며 육식주의 시스템의 반생명적 성격을 고발한다. 이 시기의 동물 서사는 향후 한국 서사의 다양성과 심화에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Since the 2000s, new perceptions and discourses about animals have been formed and expanded in Korean narratives. First, novels present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through the method of ‘disaster narrative’ and aim to form a desirable public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Second, children’s literature reflects on speciesism against animals and explores alternative possibilities for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animals. Third, the narrative of reportage focuses on the suffering of animals caused by the animal industry and exposes the anti-life properties of the meat-eating system. Korean contemporary animal narratives will becom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expansion of Korean narrativ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형상학적 관점에서 본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실재성

        안세웅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3

        This paper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seeking a radical answer to the reason why we feel an actuality while watching a digital animation film. In the world of digital animation, there exist surrealistic subjects and the objects, which have come been brought into life, play their own role there. Furthermore, objects, which do not exist anywhere in the real world, appear and a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time discourse. Their world seems to be identical to our world or not. This study defined an actuality of a digital animation world as an actuality of imaginary reality, an actuality of existent object, an actuality of anonymous object and an actuality time discourse, and examined such actuality. A frame of concept for examining the actuality was borrowed from philosophical statements of phenomenology that understands the nature of an actuality through 'zu den Sachen selbst'. Philosophical statements cited for searching an actuality specifically were those already explained by E. Husserl, M. Heidegger, J.-P. Sartre, G. Bachelard, M. Merleau-Ponty, and P. Ricoeur. Methodolog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our existence and recognition of the world in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apply this principle to the world of a digital animation, and subsequently discuss it with the provision of examples.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fundamental meaning of a digital animation film and evaluate its value 이 논문은 우리가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를 대하며 마치 실제인 것처럼 실재감을 느끼는 이유에 대한 근본적인 해답을 구해 보려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세계에서는 초사실적 주체들이 존재하고 사물들이 생명을 부여받아 각자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또한 실제 세계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대상들이 등장하며 그들은 시간적 담화로 결속되어 있다. 그들의 세계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를 그대로 옮겨놓은 것 같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는 그런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세계가 지니는 실재를 상상적 현실의 실재, 존재적 사물의 실재, 익명적 대상의 실재, 시간적 담화의 실재로 정의하고 그 실재성을 밝혔다. 실재성을 밝히기 위한 개념의 틀은 ‘사태 자체’에로 향하여 본질을 파악하려는 현상학의 철학적 진술에서 빌려왔다. 구체적으로 실재성을 규명하기 위해 빌려온 철학적 진술들은 후썰, 하이데거, 사르트르, 바슐라르, 메를로-퐁티, 리쾨르에 의해 해명된 것들이다. 방법적으로 우리 존재와 세계 인식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해한 원리를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세계에 대입하여 사례 제시와 함께 논의를 이루도록 했다. 이 연구의 의의는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근본적 의미를 새삼 돌이켜보고 그 가치를 가늠해보는 계기를 갖는데 있다.

      • KCI등재

        김현승 후기시에 나타난 ‘동물’의 은유화 양상

        박선영(Park Sun-young) 우리말글학회 2010 우리말 글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metaphoric aspects in Kim Hyeon-seung's late period poetry 『Wing』, 『On the last earth』 by applying the method of discourse structure analysi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aphoric aspects of animals in the poet's late period poems to unveil poetic tension and meanings.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presence of animal metaphor based on dynamic vitality in Kim's late period poetry. Mainly, the levels of intention or 'hands' of human beings are animalized in his poems and they are given meanings by the level of materialization. And the animal metaphors based on the motherly liveliness in the late period poems are examined in the third chapter. This process shows mainly the human level is animalized and especially meanings are created through juxtaposition of a woman and an animal. This juxtaposition is replaced with the level of plant and the level of animal. In this sense, the metaphoric aspects of animals in his late poems that are developed through metaphors of dynamics and maternity change from abstract to representational or vice versa, representing the limit of a mortal entity and the will of life to overcome it.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features of his poems is the absorption of dynamics into motherliness. The study on these the metaphoric aspects of animals is meaningful as it attempts to expose the aesthetic principles or strategies embodying the poet's inherent transcendental will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