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에 반영된 디지털 자료와 디지털 실천 역량 수준

        강은영,심현섭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24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digital material use and reflection of digital practice competency in high school textbooks and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digital practice competency through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 unit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Life” from 12 kinds of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analyzed. The use of digital materials and the reflection of digital practice competency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78.9% of the total learning materials used digital data, and each publisher used an average of 10 digital materials. The digital practice competency levels were not high and varied by publisher. The ‘problem-solving ideas’ section reflected the most competency (56%), followed by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36%), and ‘information analysis and expression’ (36%). However, it was found that ‘digital content creation’, ‘problem- solving implement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participation in online activities and cooperation’ were not reflected in the 12 textbooks at all.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ill be used in classes from 2025, and it is expected that digital literacy will be emphasized in earne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o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 KCI등재

        「디지털전환 특별법」의 문제점에 관한 법적 고찰 : 사후적 입법평가와 재산권 침해여부를 중심으로

        고민수 한국비교공법학회 2012 공법학연구 Vol.13 No.3

        지상파방송의 디지털 전환은 1980년 컬러TV도입 이후 사회문화적 차원은 물론 산업적 차원에서도 중요한 긍정적 모멘텀(momentum)으로 평가되어 왔다. 국민들에게 고품질, 다채널, 고기능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국민경제 또한 활성화할 수 있다는 "신성장 동력"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의 구상은 ‘디지털 전환 특별법’에 의해 구체화되었다. 그런데 이 법률의 시행과정에서 또 다시 적지 않은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 현재 가장 뜨거운 쟁점은 아날로그 신호 전송을 위해 할당한 주파수 대역을 디지털 전환이후 정부가 회수해 일정 대역폭을 통신사업용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이 실행에 옮겨질 경우 난시청문제 해결을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문제는 이 뿐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이후 디지털 신호를 수신해 구현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입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해 주는 컨버터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 역시 재산권 침해여부와 관련해 쟁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상파방송의 디지털 전환이 입법화되게 된 배경을 물적 기초와 기대효과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인 ‘디지털전환 특별법’을 그 입법목적에서 명시하고 있는 ‘시청자의 권익향상’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이라는 두 가지 요소에 비추어 이른바 ‘사후적 입법평가’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개선점을 시론적(試論的)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재산권 침해여부에 대해서도 기본권 제한의 한계라는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The digital television transition, also called the digital switchover or analogue switch-off, is the process in which analog television broadcasting is converted to and replaced by digital television. This primarily involves the conversion of analogue terrestial television to digital terrestrial. In many countries, a simulcast service is operated where a broadcast is made available to viewers in both analog and digital at the same time. As digital becomes more popular, it is likely that the existing analogue services will be removed. In some cases this has already happened, where a broadcaster has offered incentives to viewers to encourage them to switch to digital. In other cases government policies have been introduced to encourage or force the switchover process, especially with regard to terrestrial broadcasts. Government intervention usually involves providing some funding for broadcasters and, in some cases monetary relief to viewers, to enable a switchover to happen by a given deadline. South Korea’s analogue transmissions will terminate at 04:00 on Monday, 31 December 2012. S. Korea force the switchover process. For the purpose, S. Korea enacted a law called "A special act on the digitalization of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ing and the activ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in March and its implementing ordinances in June 2008.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legislative intent of digital switchover prescribed by the special act on the digitalization of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ing and the activ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in terms of ex-post evaluation. The evaluation factor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rights of viewers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This study also reviews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current digital switchover method. How to enable a switchover to happen by a given deadline has an essential question to be answered to the Constitution’s limit of viewers property rights. This Challenge is in separable from the question of how much of legislature formative power is constitutionally vested to the national legislature and how much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defer thereto in review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legislation, in terms of democratic legitimacy of it’s function of constitutionality review over statute. We would regard the prescriptions about the limit of property right expressed in economic clause as the forming of social restriction of the right of property.

      • KCI등재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경제단원 콘텐츠 시안의 비판적 검토

        이준혁 한국경제교육학회 2012 경제교육연구 Vol.19 No.2

        This study tried to reexamine the contents of the tentative digital textbook for exploring the directions of the content construction of economics-related unit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 to be used in elementary schools across the nation two or three years later. Putting the findings of content analysis on economics-related unit in the tentative digital textbook, the problems in the unit were as follows: ⅰ) The tentative contents were not developed effectively to aid school learners in understanding economic terms ; ⅱ) There were few materials to help children explore the economic world in the tentative contents ; ⅲ) The contents did not contain materials for economic learning motivation sufficiently ; ⅳ) There were not contents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paragraphs or sentences of social studies textbook appropriately and directly to help school learners go beyond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m. These problems imply that economics-related units in the new elementary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should contain more materials for economic learning motivation as well as more well-planned contents to help students search and understand the economic world.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개발될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경제단원의 효과적인 내용 구성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경제교육의 효율성 측면에서 사회과 디지털 시안 교과서 경제단원의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사회과 디지털 시안 교과서 경제단원의 콘텐츠들을 검토해 본 결과, 다양한 교수ㆍ학습 편의 기능과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지만 경제세계에 대한 아동들의 이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있느냐라는 측면에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검토해 보았을 때, 경제 용어 학습 지원 기능과 학습 동기 유발 지원 기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들이 경제세계의 이해를 위한 탐구 활동을 지원하는 콘텐츠가 미흡하고,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기 위해 콘텐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콘텐츠 시안을 토대로 개발될 향후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경제단원은 이러한 미비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방향에서 그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ⅰ) 아동용 용어 학습 지원 콘텐츠 구성, ⅱ) 안내된 탐구 활동형 콘텐츠의 강화, ⅲ) 문제 중심 학습 동기 유발형 콘텐츠 제시, ⅳ) 텍스트-해설형 콘텐츠 제시 본 연구를 계기로 보다 많은 연구자들이 디지털교과서에 눈을 돌리기를 바라며, 특히 후속 연구에서는 지리와 역사 영역 등 사회과교육의 내용 영역별 교과 전문가들로부터 영역-특수적 (domain-specific) 관점에서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개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단원 내용 구성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을 위한 논의 및 방안 탐색

        박하나 ( Hana Park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3 경제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디지털 산업과 경제의 확대, 아동·청소년의 디지털 경제활동 증가, 사회과 경제 교과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 연계 필요성에 따라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경제 환경 변화와 특성, 소비자, 기업과 노동자, 정부, 시민공동체 등 경제행위자로서 필요한 능력과 역할을 살펴보는 등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이론적 논의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디지털 경제 시민성을 개념화하였으며, ‘개인과 집단이 디지털 경제에 참여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안전하고 능동적으로 사용하며, 시민으로서 비판적이고 책임감 있게 행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의 목표 및 디지털 경제 시민성의 세 가지 범주(디지털 경제의 안전과 웰빙, 디지털 경제에의 참여, 경제 정보/미디어 리터러시)를 도출하였다. 셋째,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의 구체적 주제 및 내용요소를 단계별로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의 현장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경제교육 전문가 교사들을 대상으로 서면검토 절차를 거쳤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의 방향으로서 가치(자유, 자율, 신뢰, 존중, 연대, 정의)에 기반한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의 ‘디지털 기초 소양 교육’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디지털 리러터시 함양을 위한 사회과 경제 교과 연계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plans in accordance with the need to link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with social studies and economics subjects. To this end, theoretical discuss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including examining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economy environment and the capabilities and roles required as economic actors such as consumers, companies, workers, governments, and civic communities. As a result, first,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was conceptualized as ‘the ability of individuals and groups to safely and actively use digital technologies to participate in the digital economy and to act critically and responsibly as citizens’. Second, the goals of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and three categories of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safety and well-being in the digital economy, participation in the digital economy, and economic information/media literacy) were derived. Third, specific topics and content elements of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were proposed step by step. Lastly,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based on values (freedom, autonomy, trust, respect, solidarity, and justice) was suggested as a direction for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디지털 역량과 개인적 역량이 경제활동 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 롤 모델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김상진,하규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5

        The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 of the digital environment i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economic activities. That is also an important issue for Individuals who want to sustain economic activities and countries that support policies. Non-face-to-face industries have been revitalized due to the problem of human capital utilization attributed to aging population, the real economic recession caused by Corona 19, contraction of face-to-face economic activities, reduction of employment, and job instability. Accordingly, digital media contents based economic activities have become commonplace, and the government's main policy issue is to use human capital effectively for media contents based economic activities. Adaptation to the digital environment has become a necessity, not a choice, for those who wish to continue to be in employ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digital and individual abilities on intention to sustain the economic activity and verified the modulation effect of the role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en and women aged 20 to 80 nationwide, and 382 of the 385 collected questionaires were analyzed. The SPSS 23.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is study, and the questionaire questions were measured using the Likert 5-point sca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ability to utilize media contents in digital capac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sustain economic activity, and that the higher the ability to utilize the latest digital media contents such as SNS, the more likely the intention to sustain economic activity.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financial strength of individuals' abilities was affected by the negative impact, and that the experiences were affected by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sustain economic activity. Thirdly, the social environmen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sustain economic activity. Fourth, it was found that family support amongst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sustain economic activity, and that various emotional support for families has increased intention to sustain economic activity. Fifth, the role mode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sustainability, while the ability to utilize media content and family support played a modulating role on economic sustainability. Therefor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for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digital media content based digital education and human structure in order to sustain economic activities. 급속하게 변하고 있는 디지털 환경의 사회 구조는 경제활동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경제활동을 지속하려는 개인과 정책지원을 하는 국가에도 중요한 현안이다. 고령화로 인한 인적 자본 활용 문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실물경제 불황과 대면 경제활동의 위축 그리고 고용 감소와 일자리 불안정성이 대두되면서 비대면 산업이 활성화되었다. 그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경제활동이 일상화되었고, 정부도 미디어 콘텐츠 기반 경제활동에 실효성 있는 인적 자본 활용이 주요 정책 과제가 되었다. 일자리 지속을 바라는 사람들에게 디지털 환경에 대한 적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역량과 개인적 역량이 경제활동 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롤 모델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남·여 20~80세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385부 중 382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 SPSS 23.0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설문 항목은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디지털 역량 중 미디어 콘텐츠 활용 역량은 경제활동 지속 의도에 정(+)의 영향이 나타나 SNS 등의 최신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활용 역량이 높을수록 경제활동 지속 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역량 중 자금 능력은 부(-)의 영향이, 경험은 정(+)의 영향이 경제활동 지속 의도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환경은 경제활동 지속 의도에 의미 있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 중 가족지지는 경제활동 지속 의도에 정(+)의 영향이 나타나 가족에 대한 다양한 감정적 지원은 경제활동 지속 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롤 모델은 경제활동 지속 의도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디어 콘텐츠 활용 역량과 가족지지가 경제활동 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 효과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경제활동 지속을 위하여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디지털 교육과 인적 구조에 맞는 정부의 취업과 창업에 대한 정책지원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국 디지털 문화산업 상장기업의 재정지원금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단총예,장일주,배기형 한국문화산업학회 2023 문화산업연구 Vol.23 No.3

        Under the background of digital economy, the high-quality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al industry has important strategic significance, and the efficient integr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cultural industry can energize the innovation of China's cultural industry and provide unprecedented development opportunities. Therefore, this study takes China's digital cultural industry listed enterprises as the research object, and aims to summarize the relevant policies of China's digital cultural industry, analyze and infer the research results of the forefathers, and refer to the situation of digital cultural industry i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financial and social effects of listed Chinese digital cultural industry companies, with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efficiency analysis of futur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f the economic and social impact of financial support to 162 Chinese digital cultural industry A-share listed companies from 2016 to 2020, using STATA 17.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scal subsid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conomic effect of listed companies in the digital cultural industry. Second, fiscal subsidy are related to the economic effect of listed companies in the digital culture industry and the nature of corporate ownership. Third, the effect of fiscal subsidy on the economic effect of listed companies in the digital cultural industry is affected by regional factors. Fourth, fiscal subsid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effects of companies listed in the digital cultural industry. Fifth, fiscal subsidy are affected by the nature of corporate ownership of the social effects of companies listed in the digital cultural industry. Sixth, the effect of fiscal subsidy on the social effect of listed companies in the digital cultural industry is affected by regional factors.

      • KCI등재

        소비자의 디지털 역량과 활용이 디지털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사용을 중심으로

        김현정,김미예,노환호,김범수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4

        ICT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 모바일 환경의 확산과 함께 가속화되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디지털경제(digital economy)가 글로벌 경제의 화두로 급부상하고 있다. 디지털경제는 4차 산업혁명의 기반으로 경제, 산업, 사회, 문화 등 전반적인 영역에서 실질적인 변화와 혁신을 추동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디지털 경제 시대는 사람들에게 디지털 정보 활용능력을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격차 수준을 줄이고, 실제적인 사용 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디지털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모델을 추정 및 평가하기 위해 PLS 구조방정식모델(PLS-SEM) 방법을 적용한 SmartPLS 4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기기 이용태도 및 자아효능감이 디지털 역량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며, 디지털 역량이 생활서비스와 네트워킹에도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생활서비스와 네트워킹도 경제활동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디지털기기 이용태도와 자아효능감이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활용(생활서비스, 네트워킹)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집단 구분을 실시하여, “생활서비스 선호형”, “균형형”, “네트워킹 선호형” 3개의 세분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별 특성을 밝혔다. The digital economy is rapidly emerging as a global economic issue in the era of accelerating digital transformation. The digital economy is expected to drive substantial changes and innovations in various areas, including the economy, industry, society, and culture, as the found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such an era of the digital economy, consumers are required to have the ability to utilize digital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reduce the level of digital divide and increase actual usage skills by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digital economic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ttitudes towards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self-efficacy have a positive (+) impact on digital skills, and digital skills, in turn, have a positive (+) impact on life services and networking. Additionally, life services and networking also have a positive (+) impact on economic activities. It is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digital skills and digital utilization (life services, networking) on the impact of attitudes toward digital devices and self-efficacy on economic activities. Moreover, the study categorizes the consumers into three segmented groups: “life service preference type,” “networking preference type,” and “balanced type,” and illuminat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 KCI등재

        경제혁신의 이해를 위한 개념적 접근: 디지털 기술혁신의 관점에서

        유인혜(Inhye Yoo),이찬구(Yi, Chan-Goo)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4

        디지털 기술의 혁신적 발전은 산업 및 기술 분야 간 경계를 허물었고, 생산성 향상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임과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기술은 산업 및 경제 시스템 전반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렇다면 과거 제한적이던 혁신의 개념과 범위가 현 시점에서의 기술혁신과 경제성장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에 의문을 갖고 본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기술혁신으로 인한 경제구조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다음의 두 가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첫째, 디지털 전환의 관점에서 경제혁신을 무엇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것은 과거 디지털 경제로의 진입 이전 시기에 정의되었던 경제혁신의 의미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가? 둘째, 디지털 기술혁신은 경제구조를 얼마나 변화시켰으며, 디지털 전환에 따른 영향요인을 경제혁신의 개념으로 새롭게 확장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종합하여 디지털 기술혁신의 관점에서 경제혁신이 의미하는 바를 개념화하고자 한다.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roken the boundaries between industries and technologies, and has created a new business model while enhancing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productivity improvement. Can the concept and scope of innovation, which was used limitedly in the pas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in the present? I will focus on the changes in the economic structure caused by digital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discuss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what can economic innovation be defined in term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can this be regarded as the same meaning of economic innovation that was defined before the digital economy? Second, it aims to conceptualize what economic innovation means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of how much digital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changed the economic structure and whether the factors affec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can be newly expanded into the concept of economic innovation.

      • KCI등재

        유라시아경제연합과 디지털경제:경제연합의 촉매요인 분석

        박지원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9 중소연구 Vol.43 No.3

        The Eurasian Economic Union (EAEU) is striving to strengthen its economic centripetal power among member countries through digital economic development. Russia is working on digital systems and standards in its national programs for digital economic development, while also promoting activities to build digital infrastructure by improving digital accessibility within the EAEU. Russi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panies' activities improving their networks are helping to do this. The Russian government also created an online platform to build a digital base, led by state-run Sverbunk. Russia's digital economy and its strengthening of the EAEU's core strength are being achieved simultaneously in two ways: building digital infrastructure and building platforms.On the other hand, Kazakhstan's digital economy-building measures are different from Russia's digital economy, focusing on digitalizing its economy rather than strengthening its core power at the EAEU level. 유라시아경제연합(EAEU)은 디지털 경제육성을 통해 회원국 간 경제적 구심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러시아는 자국의 디지털 경제 발전 국가프로그램에서 디지털 제도와 표준마련에 힘쓰면서 동시에 EAEU 내에서도 디지털 접근성을 개선하여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활동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는 러시아 정보통신 기업들의 EAEU 진출 및 네트워크 개선 활동이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자국 디지털 기반의 공고화를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마련하였는데 국영기업인 스베르방크가 이것을 주도하였다. 러시아의 디지털 경제 구축과 이를 통한 EAEU의 구심력 강화는 이와 같이 디지털 인프라구축과 플랫폼 마련이라는 두 가지 방면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카자흐스탄의 디지털 경제육성책은 EAEU 차원에서 구심력을 강화하기 보다는 자국경제의 디지털화에 초점을 두면서 러시아의 디지털 경제육성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A New Frontier of Digital Competition Law

        Yo Sop Choi(최요섭)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25 No.2

        지난 10년 동안, 디지털 경제 관련 경제규제의 주제가 상당히 많이 발전하였다. 디지털 플랫폼의 등장과 급속도로 발전하는 플랫폼 사업모델은 관련 시장에서 긍정적 · 부정적 영향과 관련하여 많은 논의를 가져왔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로 최근에는 디지털 플랫폼을 규제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의제와 법안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거대 ‘게이트키퍼(gatekeeper) 플랫폼’에 대한 경쟁법 집행의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경제학적 분석이 필요 없는 행태주의(formalistic)를 중심으로 설계된 새로운 경제규제를 논의하는 경우도 있다. 무엇보다 유럽연합 경쟁법 체제(competition regime)는 거대 다국적 플랫폼을 규제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경쟁법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면서 동시에 디지털시장법안(Digital Markets Act)과 디지털서비스법안(Digital Services Act)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법률(digital regulation)의 도입이 유럽에서 논의되고 있다. 기존 시장지배적 지위남용 금지규정인 기능조약 제102조를 디지털 사업자에게 적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럽연합은 새로운 형태의 규제론을 중심으로 입법을 논의하고 있는데, 이는 혁신의 저해와 같은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유럽의 규제를 모방하려는 논의는 경쟁법의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소비자후생을 저해할 수 있다. 경쟁법의 가장 큰 장점은 시대와 경제의 변화에 맞추어 관련 이론과 실무가 발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경쟁법 판례의 발전으로 이어지게 되는 유연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발전을 저해할 수 있는 입법론은 사회 전체의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법률과 과도한 경쟁법 집행에서의 문제점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 본 논문에서 경쟁법, 개인정보보호법, 소비자보호법의 중첩과 충돌이 발생하는 분야에서 ‘디지털 경쟁법’의 역할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Over the last decade, the topic of the economic regulation of the digital economy has developed in a notable way. The emergence of digital platforms and the rapidly improved business models have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 market, which have ultimately triggered various policy initiatives to control digital platforms.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enforcing competition law against large platforms, some critics argue for new economic regulations that are very formalistic. In particular, the European competition regime has taken an enthusiastic approach against multinational platform undertakings by vigorously applying its competition law and by providing proposals for digital regulation, such as the Digital Markets Act and the Digital Services Act. Although it is possible to apply the existing competition rule of abuse of market dominance to digital undertakings, the EU regime has developed new digital regulations. This radical development may lead to possible harms to consumer welfare because the European regulatory reform may impede the development of competition case law.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topic of digital regulation and the problem of excessive enforcement, especially where there is a notable intersection amongst competition, data protection and consumer protection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