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본원적 경쟁 우위 전략에 따른 디자인 함축적 정보에 관한 연구

        임재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9 No.-

        경영과 디자인의 공통점은 이윤의 추구를 통한 기업의 성공에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디자인에 대한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업마다 좋은 디자인을 창출해 냈다고 해서 모든 기업들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전략 경영 연구의 본원은 기업의 성공의 원인을 밝혀내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세계적 경영학자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 교수는 기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경쟁 우위를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 원가 우위, 차별화 우위, 집중화 우위의 3가 지 본원적 경쟁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디자인경영 학자인 모조타(Mozota)교수는 이러한 전략의 선택에 따라 디자인 의 심미적 포지셔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각기 다른 경쟁 우위 전략을 선택하고 있는 유럽의 6개의 세계적 가구기업들의 제품들의 조사, 비교를 통해 디자인이 담고 있는 함축적 정보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3가 지 본원적 경쟁 우위 전략에 따라 어떠한 디자인 전략을 구축해야 할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디자인이 포함하고 있는 함 축적 정보의 규명을 위하여 학부 및 대학원 생 72명이 설문평가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원가 우위 전략 기업들의 제 품의 경우 합리적이고 직관적이며 단순한 정보를 포함하는 모더니즘(Modernism) 시대의 표준화된 디자인의 경향을 보이 며 이와 반대로 차별화 우위 전략의 기업들은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시대의 은유적이고 체험적이며 감성적인 디 자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업 내 세분화된 영역에서 집중화 우위 전략을 선택하고 있는 기업들은 모더니즘(Modernism)과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의 경향이 둘 다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원가 집중 화를 선택하느냐 차별화 집중화를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는 3가지 본원적 경쟁 우위 전략에 따라 그에 맞는 디자인 전략을 구축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기업이나 디자이너들이 디자인 경영 전략을 구 축하는데 있어서 참조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A common goal of management and design is company’s success via pursuit of profits therefore lots of companies have interested in the investment for design. However, it is not true that all companies are able to success by good design. The origin of strategy management research is to reveal the cause of success and keep it sustainably. Hence, Michael Porter who is a well-known scholar in management insists that companies have to get competitive advantages and there exist three generic strategies those are cost advantage, differentiation, and focus for success. Moreover, Mozota who is a noted scholar in design management asserts that design aesthetic positioning can be different by three generic strategi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products of six world-famous furniture companies those are building different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in Europe and then analyzed the differences of implicative design information through comparison of the products for discussion what design strategy can construct depending on the three generic strategies. 72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engaged in the survey to examine the implicative information in design and as the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roducts of cost advantage strategy companies show tendencies of Modernism design that includes rational, intuitive, simple implicative information as standardized desig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discovered the products of the companies that carry out differentiation strategy imply metaphorical, experiential, and emotional information in design as post-modernism design and it is also exposed that the products on focus strategy have both tendencies of cost advantage and focus strategy because the companies that carry out focus strategy have to choose either costfocus strategy or differentiation-focus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s that idealized design strategies can be built as per three generic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and it expects that the result can be referred for building design management strategy for companies and designers

      • KCI등재

        산업디자인 전략을 통한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 연구

        홍경민(Kyung Min Hong),홍성수(Hong Sung S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현대의 변화하는 시장과 문화적 환경에서 디자인은 기업목적을 정의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기업책임의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전략이 미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면, 산업디자인이 가진 무한의 능력은 우리시대의 변화하는 가치에 대응해야하는 기업들에게 많은 것을 제공할 수 있다. 기업의 성공을 위해 디자인을 자원으로 관리하는 기업이 시장 점유율과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산업디자인을 기업 성공의 전략으로 활용함으로서 경쟁력 확보와 지속적인 기업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산업디자인 전략은 기업의 목적 달성을 위해 디자인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확보하고 배분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방침이라고 할 수 있다. 산업디자인 전략을 위한 프로세스와 방법론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디자인 주도의 혁신적인 제품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제품과 디자인개발에 따른 산업디자인 전략이 구축되어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혁신적인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게 되고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을 위하야 신개념의 디자인 개발 시스템이 도입되어야하는데 이 시스템이 본 연구의 중심이되는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이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화두 중에 “이종분야간의 융합” 이라는 새로운 문화트렌드가 각 분야에서 확산되고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디자인 융합(Fusion, Crossover)시스템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으며 일부기업에서는 이미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산업디자인 전략이 구축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신개념의 디자인 트렌드인 크로스오버디자인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 개발을 유도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과 결과로는 산업디자인 전략 구축, 산업디자인 전략을 위한 제품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체계 확립, 혁신제품 디자인 도입을 위한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내용으로는 산업디자인 전략에 대한 이론적이며 실제적인 연구를 포함하여 제품의 혁신적인 디자인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최근의 디자인 트렌드, 문화 트렌드, 사회 환경 변화 등을 통하여 조사, 분석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산업디자인 전략과 제품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그리고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의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논문 관련 참고문헌, 연구기관의 정보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조사 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산업디자인 전략을 통한 크로스오버 시스템 구축은 향후 기업에서의 디자인 전략 및 개발과정에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어 기업성장의 주역이 될 것이다. In today`s changing market and cultural environment may desig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corporate responsibility by helping define business objectives. If strategies are for performing tasks of the future, infinite ability of industrial design can provide companies which need to respond to the changing values in our times. It is not surprising that company, manage design as resources for the success of its business,is able to secure its market share and competitive advantage, make sure of their competitiveness and drive business growth continuously utilizing industrial design as corporate strategies for success. Industrial design strategy can be called policies which determine how to acquire design resources efficiently and allocate them to achieve corporate objectives. The most factor among processes or methodologies for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would be developing innovative products driven by design. Thus, industrial design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with ongoing development of product and design. To do so, an innovative design development is required and a system of new conceptual design development should be introduced to develop innovative and creative design. It is the crossover design system that would be the centerpiece of this study. The most-talked-about categories of these days in every field is a new cultural trend : “Convergence between the two kinds of area”. The movement of adopting design combining system (Fusion, Crossover) has been detected in the field of design, some companies are already taking advantage of the cross-ever desig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success of company and, through this, encouraging creative and innovative design development by acquiring new concept of design trend; crossover design system. The objective and the result of the study is building strategy of industrial design,establishing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cess system for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and building crossover design system for adopting innovative product design. In this research,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rossover design system, for promoting innovative design development of products, was researched and analyzed through recent design trends, cultural trends, and social environment change, etc. inclu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ies about industrial design strategy. In research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in a systematic and objective way utilizing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preceding references, and information data from research institutions for the study of industrial design strategy,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crossover design system. Establishing crossover system, through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presented in the finding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business growth as a new concept of design development process in the future corporate design strategy and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

        외재적 인지부하 이론에 기반한 디자인 전략 연구 : 학습 콘텐츠의 학습 효율성을 중심으로

        장초학(Zhang, Qiao He),양재범(Yang, Jae Bu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포스트 코로나(POST-COVID-19) 시대에서는 대면 수업방식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학습자와 교사,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학습 교류가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학습자들이 집에서 독학하는 현상이 갈수록 보편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습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중요해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기초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콘텐츠를 전통적인 형식의 학습 콘텐츠와 디자인 전략 형식의 학습 콘텐츠로 구분하였으며, 두 팀의 실험 대상자들에게 서로 다른 2가지 유형의 학습 콘텐츠를 무작위로 나눠 실험하였다. 그리하여 두 팀의 실험 차이를 비교해 본 연구에서의 디자인 전략에 대한 실행 가능성과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학습 콘텐츠의 시각적 디자인 전략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외재적 인자부하 이론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경험 모델, 지식 시각화의 디자인 원칙 및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 등을 결합해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시각적 디자인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공간 능력을 학습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삼아 그 변수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으며, SPSS 20.0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디자인 전략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2단계의 실험 논증을 진행하였다. 1단계의 실험은 학생들이 디자인 전략형 학습 콘텐츠를 읽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디자인 전략이 사용자들의 열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2단계 실험은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비교해 디자인 전략이 인식과 기억(학습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론: 첫째, 본 연구의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콘텐츠에 대한 열독 경험을 개선시켰으며, 둘째는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켰다. 셋째는 공간능력이 뛰어난 학생이 디자인 전략형 학습 콘텐츠를 사용할 때, 그 학습효과가 더욱 컸으며, 실험 분석을 통해 학습 콘텐츠의 시각적 디자인에서 디자인 전략을 사용하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일상적인 학습과정에서 공간적인 훈련을 강화해 학습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을 제안하며, 본 논문에서는 인지부하 이론과 시각적 디자인을 결합해 학습 콘텐츠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 era of Post-COVID-19, the Face-to-Face teaching mode has changed to Non-Face-to-Face teaching, with less learning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between students. It is increasingly common for students to teach themselves at home. In the case of Self-study , the study of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through designing strategies becomes very important. This study is based on this situatio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to divide the learning content into Traditional Learning Content and design strategy learning content . At the same time, 2 groups of different types of learning content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2 groups of experimental subjects for experiment.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design strategy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experiments. It mainly takes the visual design strategy of Learning Content as the research object. Based on external cognitive load theory, this paper develops a visual design strategy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by combining user experience model, design principles of knowledge visualization, and specific design methods. In this paper, spatial ability is added as an influence variable of learning efficienc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is study, SPSS20.0 software was us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design strategies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students were asked to read design strategy learning content and fill in a questionnaire to test the impact of design strategies on users reading experience. The second phase of the experiment: compare different types of Learning Content experiments to examine the impact of design strategies on cognition and memory (Learning Efficiency).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design strategy of this study improved students reading experience of learning content. Second, designing strategies can improve students learning efficiency. Thirdly, students with strong spatial ability have better learning effect when they use Design Strategy-based Learning Content . Through experimental analysis, in the visual design of learning content, the use of design strategies can improve learning efficiency. At the same time,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strengthen the training of sense of space in the daily learning process to assist the improvement of learning efficiency. This paper combines cognitive load theory with visual design, providing a new direction for learning content design.

      • KCI등재

        국내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 분석에 따른 신개념 CPI 전략구축 연구

        홍성수(Sung Soo Hong),홍경민(Kyung Min H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최근 한국기업들의 위상이 선진국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대등하고 앞서가는 기업들이 늘고 있으며 국제적인 기업으로 급속히 성장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국제화 되는 과정에서 디자인경영의 역할이 크게 기여하였다. 국제적인 경쟁력을 위하여 기업들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한 것이 20년 정도밖에 안되고 그것도 실질적으로 기업경영의 도입된 것은 10년 정도 일 것이다. 그렇다 보니 기업에서의 디자인 경영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업경영을 체계적으로 적용한 기업은 그리 많지가 않아서 국가에서 디자인브랜드경영대상 제도를 도입하여 장려 차원에서 평가에 따른 포상을 하고, 그에 따른 지원과 혜택을 함으로서 국가 디자인 위상을 높이는 정책을 하여왔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현황은 아직도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을 확립하여 이를 적극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국내 기업들 중에서 디자인브랜드경영대상에 선정된 후 계속하여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기업경영에 활용하고 있는 기업들을 선정하여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의 활용 및 현황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디자인경영관리 기본이 되는 CI (Corporate Identity), BI (Brand Identity), CPI (Corporate Product Identity)에 대한 시스템을 잘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보다 체계적인 활용 방안도 연구 하고자 한다. 그동안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디자인경영전략의 일환으로 CPI 전략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여 왔으며 그로 인하여 기업이미지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CPI 전략 시스템은 초기 단계이며 현재 진행 중이라고 할 수 있으며 CPI 전략시스템 구축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며, 그 전략 체계도 확립되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기본 목적은 국내 기업들의 디자인경영 전략을 분석함으로서 공통적인 전략, 우수하고 훌륭한 전략, 개선되어야 할 전략, 새로운 개념의 전략들을 발췌 정리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신개념의 CPI 전략체계를 구축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국내 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경영전략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CPI전략 구축을 위한 새로운 구축체계를 확립하고자 신개념의 CPI 전략 시스템을 체계화하도록 하는 연구내용이다. 또한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국내 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에 관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CPI 전략 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개념의 CPI 전략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의 객관화를 위하여 선행 연구와 기존의 통계자료의 분석, 관련 기관을 통한 정보자료의 입수를 통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신개념의 CPI 전략은 기존의 국내 기업들이 설정한 CPI 전략들이 심히 개념적이거나 실행 불가능한 비현실적인 전략들을 분석하여 더욱더 실질적이고 모든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실행가능 한 실제적인 CPI 전략의 새로운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향후 신개념의 CPI 전략을 도입 활용함으로서, 자신들만의 기업 특성화 이미지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Recently, more ``Korean-Corporations`` are expanding their businesses into other(oversea) countries and they are equal or getting better in their competition with advanced country as an international company is going to grow rapidly. Without a doubt, such a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the role of design management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nations`s economic success. The companies started to introduce a design management system for a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at will be only about 20 years, and it has been used actually about 10 years to introduce the real corporate management. Thus, the companies that apply a systematic corporate management with design management in the companies did not have too much design management systems,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Design Brand Management Awar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 terms of encouraging and national policy has been improved for the design`s status by the supports and benefits. But the situations of domestic companies are not still actively using and establishing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well. Therefore, in order to find more systematic and useful application method, it needs to do the analysis and utilization of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nd find the companies are utilizing their company management by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fter selected ``The Design Brand Management Award`` in the domestic companies. In addition, this research studied more systematic utilization methods with an analysis of good using CI(Corporate Identity), BI(Brand Identity),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system or not in the same context of the basic design management. In the meantime, developed countries actively utilized CPI strategy system that is a part of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from a long time ago, it is improved company images and it is given great contribution by using that. But CPI strategy systems of the domestic companies are basic stages and the works are now in progress, the structure of CPI strategy system was not properly installed. That strategy structure also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e reality. The basic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studying the extract and organization of the common strategy, the excellent and outstanding strategy, the improved strategy, the new concept of strategy by analysis of the domestic companies`s design management strategy. Also this is studying and building the new concept of CPI strategy structure. Therefore, the basic content of this studying is an analysis with present conditions of the domestic companies`s design management strategy and establishing a new construct system for the CPI strategy structure that is the core of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with this results, and the studying is a new concept of the CPI strategy`s systematization. In addition, a study of methods is building of a new CPI strategy system and understanding the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s by analysis of the domestic company`s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nd research of the CPI strategy system`s present condition.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preceding study and analysis of existing statistical data, the obtainments of information data by the related organization for the objective study with the disinterested and quantitative method. For such a reason, the new concept CPI strategy is new structure system of practical CPI strategy for the more practical and all company can use in common by analysis of the existing domestic companies, impractical set CPI strategies up, are quite conceptual or impossible to do. Therefore, this result of the study will help the improvement strategy of own specialized company images after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y use and institute the new concept CPI strategy system.

      • KCI등재

        CPI 전략에 의한 신개념 자동차 디자인 연구

        홍경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1 No.-

        The automobile industry provides the best affluence and convenience in human life than any other industry in the world. It's not just the basic role of the car,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the additional uses for human life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and provided. Therefore, recently automobile manufacturers are designing and producing new models that are more advanced for their customers. The research about numerous convenient facilities for passengers continues in addition to providing services for operation and utilization about all the motorists and facilities. A company's systematic design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for a corporate strategy on this. Recent design strategies are the reality that analysis and research about user interface, market trends, high technology, regional differentiation strategies, etc. So, car-manufacturing companies need to develop a design strategy that fits the corporate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automotive designs according to the specific nature of the car. It can be seen as a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strategy of a company that is important as a way to build a design strategy. This study establishes a unified strategy for corporate products and applies them to design development for the success of business in the automobile industry. According to this, The study establish a basic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strategy to generate profit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Based on this, it is a study of new concept car design. In the study of automobile design according to the new trend of consumers, car design was developed by selecting single people. Therefore, innovative design elements for the new concept were collected using the CPI strategy of the automotive company.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present new car design concepts and studied car design style. 자동차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그 어느 산업보다 인간 생활에 있어 최상의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제공해 주고 있다. 자동차의기본적인 역할인 교통수단뿐만 아니라 인간 생활을 위한 부가적인 용도들이 계속하여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자동차 생산 기업들은 고객들을 위하여 더욱 차원이 높은 신모델들을 디자인 생산하고 있다. 모든 자동차 운전자들과 시설에대한 조작과 활용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동승자들에 대한 수많은 편의시설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이에대한 기업전략을 위해서는 기업의 체계적인 디자인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최근 디자인 전략은 사용자 중심(UI Design), 시장의 경향, 높은 과학 기술, 지역에 따른 차별화 전략 등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자동차 생산 기업은자동차라는 특수성에 따라 자동차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업 특성에 적합한 디자인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디자인 전략을수립하는 방법으로 중요한 것이 기업의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자동차 산업의기업들이 사업의 성공을 위하여 기업 제품에 대한 통일된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것을통하여, 본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본적인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전략을 수립한다. 이를 기반으로 신개념의 자동차 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이다. 소비자층의 신개념 경향 변화에 따른 자동차 디자인 연구에서, 독신자층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동차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자동차 기업의 CPI 전략을 활용하여 신개념을 위한 혁신적인 디자인 요소를 수집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자동차 디자인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업의 융합형 디자인전략 체계(CDSS) 및 구조 모형 연구

        조은환,이해묵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Design management so far has been implemented in system-oriented manner, focusing mainly on government policy and internalization of large corporations. However, this policy and direction lacks the vision which considers the speciality of domestic small & medium enterprises and venture business. Hence it is difficult to prepare relevant policy on them. Design management as policy alternative for them shall be implemented centered on strategy rather than on system, Also, design strateg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small & medium enterprise and in supplement of design policy process by CEOs. The concept of convergence is the subject of social interest, and is identical with object of design in the aspect that various related contents are accepted in harmony. This study extracted and analyzed convergence related contents in design field and studies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design, and as the result tried to present Convergence style design strategy. Convergence type design strategy is purposed on providing advice to corporate CEOs and decision makers, and also to establish the long term vision through mutually horizontal cooperation between management, brand, consumer and technological experts centered on desig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he system through detailed study on consistency of management ideology, brand identity establishment, establishment of client(consumer) opinion collection system, presentation of design vision, and securing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etc. For this study, this paper presented structural model for convergence type design strategy by classifying into composite, entrepreneur, specialist and business-starting types according to CDSS analysis table. By this CDSS structural model this paper proposed the convergence type design strategy model comprising both process ad system altogether. 지금까지의 디자인경영은 대부분 정부 정책과 대기업의 세계화전략에 초점이 맞추어져 체계 중심으로 실행되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과 방향은 국내 중소기업과 벤처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비전 마련에 대한 정책을 마련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책의 대안으로 디자인경영은 체계 중심에서 전략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중소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최고경영자의 디자인 정책과정을 보완 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다. 융합의 개념은 오늘날 사회적으로 관심의 대상이며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조화롭게 수용한다는 측면에서 디자인의 근본적인 목표와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분야에 융합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고 분석하여 그 융합디자인의 가능성을 연구하고 기업에서의 융합형 디자인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융합형 디자인전략은 기업의 최고경영자 및 의사결정권자를 조언하고 디자인 을 중심으로 경영, 브랜드, 소비자 및 기술 전문가와 상호(相互) 수평적협력을 통해 장기적인 비전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영이념과의 일관성, 브랜드 정체성 확립, 고객(소비자) 의견 수렴의 체계 확립, 디자인 비전제시, 기술 경쟁력확보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그 체계를 개발 하였다. 본 연구의 중심내용으로 경영이념의 체계, 브랜드의 독립성, 소비자(고객) 요구의 수렴, 디자인의 비전 및 기술기획력으로 나누어서 세부적으로 정리하였으며, 디자인 혁신 중소기업의 성공 요소를 구분하여 종합형, 사업형, 전문형 및 창업형으로 나누어서 융합형 디자인전략 체계의 구조모형을 제시 하였다. 이러한 CDSS 구조 모형을 통해 과정과 체계를 담는 융합디자인전략 모델을 제안 하였다.

      • KCI등재

        주거 공간 내 제품의 유니버설디자인 전략 제안

        원지희,박지윤,우은제,김지해 한국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학연구 Vol.34 No.4

        Background Social distancing has been observed because of the COVID-19 quarantine guidelines. Hence, there was a care defici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elderly, and children, causing physical accidents owing to difficulties in performing daily life activities independently in living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universal design strategy for products used in residential spaces to help solve these social problems. Method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we investigated cases of universal design of products used in residential spaces and organized their features. Since then, based on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s, the overall design of the products and their influence on universal design were evaluated. The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to devise a universal design strategy. Strategies were derived by categorizing the characteristics with similar transition in the elements of the product.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strategy.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ducts used in residential spaces based on space, strategies that should be applied preferentially to each space were derived differently. 'Add Safety Devices', 'Add Movement', and 'Physical Interaction Reduction' strategies in bedrooms/living rooms, kitchen, and bathrooms, respectively, were widely used. It will be helpful for universal design if the strategies, which should be used preferentially, present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first. Conclusions Designers and developers will be able to fulfill universal design guidelines by preferentially considering the universal design strategies that should be prioritized, as presented in this study. Additionally, the strategy presented in this study is a universal design strategy derived by categorizing the strategies implemented in products that are well-realized universal design.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universal design research methods that can increase utilization in actual universal design. 연구배경 코로나 19 방역지침의 일환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진행되며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의 돌봄 공백이 발생하였고 이는 주거 공간 내에서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 발생하는 물리적인 사고를 일으켰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주거 공간에서 사용하는 제품을 대상으로 한 유니버설디자인전략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된 주거 공간 내 제품의 사례를 조사하고,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후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및 제품별 특징의 유니버설디자인 영향력을평가받았다.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전략을 고안하고, 전략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제품의 특징에서 변화 방식이 유사한 특징끼리 범주화하여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주거 공간 내 제품을 공간별로 분석한 결과, 각 공간별로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전략이 다르게도출되었다. 침실/거실에서는 ‘안전장치 추가’, 부엌에서는 ‘움직임 추가’, 욕실과 기타에서는 ‘물리적 상호작용의 축소’ 전략이 많이 사용되고 가장 영향력을 많이 끼친 전략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우선전략을 먼저고려한다면 유니버설디자인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결론 디자이너 및 개발자는 연구에서 제시한 우선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전략을 먼저고려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략은 유니버설디자인이 잘 실현된 제품이 실제로 사용한 전략을 범주화하여 도출한 유니버설디자인 전략이므로 실제 유니버설디자인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 연구 방법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으로써 기술 활용에 관한 연구

        김지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Background and Purpose) In commercial spaces, it has become important to provide technology-based enhanced experiences to consumers who have grown accustomed to using digital technology to fulfill their needs. Fully leveraging digital technology is an important strategy for gaining a competitive edge, and it requires a systematic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use as a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y. (Method) A review of the literature examined the current trends in spatial design marketing and technology utilization. Once the current flow of marketing in spatial design was analyzed, the representative technologies and characteristics used in space were reviewed. Subsequently, the direction of technology utilization as a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y was considered, and a technology utilization strategy was established for each value type. Finally, various domestic cases were analyzed for each value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utilization strategies were presented.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echnology-based spatial differentiation strategy maximizes convenience in terms of access and use. This contributes to a positive spatial experience by delivering timely information,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increasing time efficiency, and creating a pleasant environment. Second, a technology-based spatial communication strategy expands spatial experience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play. It enriches spatial experience by providing interactive high-engagement services, flexible space production, and out-of-the-ordinary event effects. Third, a technology-based corporate image branding strategy uses technology to suppor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echnology is us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social issues or the results thereof to form consensus with customers and contribute to a positive spatial experience. (Conclusions) Technology is not a factor that puts offline space into crisis, but a strategic means that can lead to consumer satisfaction depending on how it is used. In terms of the goal and method of using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set a human-centered, value-oriented direction, and it is possible to approach a spatial design marketing value system. The use of technology in commercial spaces can be characterized as a “spatial differentiation strategy” centered on practical and functional values, a “spatial communication strategy” centered on hedonic and emotional values, and a “corporate image strategy” centered on social and altruistic values. Such digital-based spatial experiences will provide new levels of retail service, and will be strengthened into an important strategy that can result in customer value creation.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using technology while establishing a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y. (연구배경 및 목적) 상업공간에서는 디지털에 익숙한 소비자와 그들의 욕구에 의해 기술 기반의 확장된 경험 제공이 중요해졌다. 기술의 적절한 활용은 경쟁우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으로써 기술 활용의 특성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 단계로 공간디자인 마케팅 흐름과 기술 활용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공간디자인 영역에서의 마케팅적 흐름의 현시점을 파악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공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대표 기술과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후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으로써 기술 활용에 대한 방향성을 고찰하고 가치 유형별로 기술 활용의 전략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치 유형별로 다양한 국내 사례를 분석하여 기술 활용 전략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첫째, 기술 기반 공간 차별화 전략은 접근과 이용 측면에서 편리성을 극대화한다. 적시적소의 정보전달,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 시간단축의 효율성, 쾌적한 환경의 구현을 통해 긍정적 공간 경험에 기여한다. 둘째, 기술 기반 공간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소통적, 유희적 측면에서 공간경험을 확장한다. 상호작용적 고관여 서비스의 제공, 유연적 공간 연출, 비일상적인 이벤트 효과로 공간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셋째, 기술 기반 기업 이미지 전략은 사회공헌적 활동의 지원으로 기술을 활용한다. 사회 문제 참여의 과정이나 결과에 기술이 활용되어 고객과의 공감대를 형성시켜 긍정적 공간 경험에 이바지한다. (결론) 기술은 오프라인 공간을 위기로 만드는 요소가 아니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소비자의 만족을 이끌 수 있는 전략적 수단이 된다. 기술 이용의 목표와 방법적 측면에서 인간 중심의 가치 지향적인 방향 설정이 중요하며, 이에 공간디자인 마케팅 가치 체계로 접근할 수 있다. 상업공간에서의 기술 활용은 실용적·기능적 가치 중심의‘공간차별화 전략’, 쾌락적·정서적 가치 중심의‘공간 커뮤니케이션 전략’, 사회적·이타적 가치 중심의‘기업 이미지 전략’으로 그 특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기술 기반의 공간 경험은 새로운 차원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가치 창출로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 강화될 것이다. 앞으로 본 연구가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 수립 시 기술을 활용하는 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의 경영 전략과 디자인경영에 관한 연구

        장석인 ( Sug-in Chang ) K·기업경영연구원 2021 KBM Journal(K Business Management Journal) Vol.5 No.2

        1990년대 초반 이후 중소기업의 경영전략의 관점은 산업과 같은 기업의 외부환경 분석에서 기업 내부의 핵심역량과 경영자원을 분석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졌다. 중소기업의 최신 경영전략의 경향은 기업을 경영자원의 결집체로 보는 경영자원론(resource-based theory of the firm)과 핵심역량(core competence)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디자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디자인을 경영전략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는 기업이 많다. 하지만 좋은 디자인 전략은 제품과 기업의 경영 여건, 소통과 기업 이미지를 높이는 데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디자인 경영은 먼저 디자인에 기존 경영학을 도입한 방법론을 고려할 수 있고, 기업 경영 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하기 쉽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디자인 경영은 경영 디자인의 효능을 도입하며 기획활동을 창조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과 디자인경영, 그리고 기업 경영전략 간의 관계와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디자인 산업의 문제점을 재검토를 통해 기업 디자인경영 전략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Since the early 1990s, the perspective of the management strategy of SMEs has been focused on analyzing the core competencies and management resources within the company in the analysi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company such as industry. The trend of the latest management strategies of SMEs is focusing on the resource-based theory of the firm and core competence, which sees the company as an aggregate of management resources. In particular, many companies overlook the fact that design can be used as a means of business strategy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f design. However, a good design strategy can be an important means for enhancing product and corporate management conditions, communication, and corporate image. Design management can first consider the methodology that introduced the existing business administration to design, and makes it easy to use as part of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On the other hand, design management introduces the efficacy of management design and can creatively activate planning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corporate design management strategy by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design management,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and problems in the design industr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Korea.

      • KCI등재

        Post-COVID19 시대의 내재적 인지부하 이론을 기반한 디자인 전략 연구 -학습 콘텐츠의 학습 효율성 중심으로-

        장초학(Zhang, Qiao He),양재범(Yang, Jae Bu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COVID-19의 영향으로 인해, 현재 학교에서는 “대면” 수업을 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생과 교사 간,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줄어들고, 학습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학생들의 수업 형태는 전통적인 수동적 학습에서 온라인 수업의 능동적 학습으로 변화되었다. 능동적인 학습 형태에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수업 내용을 배우고 이해해야만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POST-COVID-19 시대에는 “학습 콘텐츠”의 인지 및 기억에 대한 연구가 특히 중요해졌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내재적 인지부하 이론에 시각디자인 방식을 결합하여, 인지부하 디자인의 방법을 도출해 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 있는 중국유학생과 중국현지에 있는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58개 실험 데이트를 수집하였다. 또한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0.0을 통해서 데이트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인지도와 기억의 정도를 통해 내부인지 부하 디자인 전략이 학습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한 것으로 내재적 인지 부하 디자인 전략은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향후 학습 콘텐츠 디자인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내재적 인지부하 디자인 전략은 텍스트 디자인과 레이아웃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학습 콘텐트에 대해 디자인은 전략내용에 따라 디자인하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학습 콘텐츠의 디자인에 있어서는 “교사 귀납”의 관점에서 디자인하는 것이다. 셋째, 내재적 인지 부하 디자인 전략은 고난이도 유형 학습 콘텐츠에 적합하고 디자인 관점에서 보는 내부적 인지 부하 디자인 전략은 학습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currently schools are unable to teach “face-to-face”, and are generally taught as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students and students is reduced, and communication efficiency is reduced. Students’ teaching style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passive learning to active learning in online classes. In the active form of learning, the efficiency of learning can be enhanced only when the student actively learns and understands the content of the class. Therefore, in the era of POST-COVID-19, research on cognition and memory of “learning content” has become particularly import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method of cognitive load design by combining the visual design method with the implicit cognitive load theory. In this study, a total of 58 experimental dates were collected by selecting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as subjects. In addition,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20.0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internal cognitive load design strategy was evaluated through the degree of cognition and memor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design strategy can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Therefore, the following is suggested as a way to design future learning contents. First, since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design strategy is composed of text design and layout desig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 for the learning content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strategy content. Second, when it comes to designing learning contents, it is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indu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design strategy is suitable for difficult learning contents, and the internal cognitive load design strategy from a design perspective is a design method that can improve learning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