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향토문화 콘텐츠를 위한 XML 기반의 아카이브 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수영(Kim Su-Young),임준근(Lim Jun-Keun)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5

        아카이브(Archive)란 정부나 관공서, 기타 조직체의 공문서와 사문서를 소장, 보관하는 문서국 또는 기록보관소를 의미하는 말이다. 다시 말해, 디지털 아카이브는 시간의 경과에 의해 질이 떨어지거나 흩어져 일부가 없어질 우려가 있는 정보들을 디지털화함으로써 항구적인 기록과 보존, 이용 등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소장품이나 자료 등을 디지털 정보로 바꾸어 보관하며, 자료 간의 관련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의 일종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편찬과정에서 산출된 텍스트자료를 포함한 많은 디지털 콘텐츠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기록, 보존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XML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는 공공의 지적 자산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아카이브의 구축은 단순한 연구 자료의 집성에 대한 목적에서뿐만이 아니라 향토문화 진흥의 목적에서도 필요하다. 또한 한국의 유수한 문화유산을 기록한 디지털 콘텐츠들을 아카이브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향토 문화 사업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이 논문에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한국향토 문화전자대전』의 과정에서 수집되고 생산되는 기초자료들을 활성화할 도구인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으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들을 수집, 정리, 재사용 및 서비스에 이용하는 표준적인 구조의 제시와 발전방안 모색을 목표로 한다. An archive is a collection of historical records, and the location in which the collection is kept. Archives contain records (primary source documents) which have been accumulated over the course of an individual or organization's lifetime. In other words, digital archive in compliance with the lapse of time the quality falls, or, scatters, with digitalizing causes concerns on the possibility of losing the system which records, preserves, uses, and etc. Digital archive keep the digital information in which data and possession were chan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ethods for enhancing the XML-based digital archive system used for 'The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The study investigates issues on the XML based archive system for digital contents currently underway, on the basic case study,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ways of improving the process. As intellectual asset, "these building up archives" is necessary for collecting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 and advancing local cultur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enrich local culture served with excellent Archives. Archives are composed with excellent Korean digital record. For this reason, it aims that implementing and building up the standard structure of Digital Archive System is consisted of researching material on 'The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Additionally, a digital archive system in based xml technologies proposed in this paper would be a new direction of future archive system.

      • KCI등재

        독립운동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서소리(Seo, Sori),조우제(Jo, U-Je)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2

        이 연구의 목적은 독립운동 정보 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독립기념관에서 운영 중인 <한국독립운동 정보시스템>, <국내 독립운동•국가수호 사적지>,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시스템은 독립운동에 관한 ‘실물자료’ 및 ‘연구 성과’, ‘독립운동 장소’, ‘독립운동 인물’등 각 분야별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독립운동에 관한 지식의 탐구는 각 분야별 정보를 종합하고 조직하여, 그 역사적 맥락(context)을 찾아 나가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독립운동에 관한 정보 시스템은 각 분야별 지식요소를 매개로 관련 정보로 확장해나갈 수 있는 상호 연계가 구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독립운동에 관한 지식을 탐구할 수 있는 디지털 공간으로서 ‘독립운동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을 제안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구현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운동 디지털 아카이브는 복합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시스템을 ‘다층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독립운동 디지털 아카이브의 상세 시스템을 시스템의 목적과 기능에 따라 Archive Layer, Semantic Data Layer, Curation Layer의 논리적 레이어로 구조화하였다. 둘째, 독립운동에 관한 지식의 상호 연계를 구현하기 위해 온톨로지 기반의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독립운동 지식의 관계망’을 구축하였다. 일례로서 이동휘가 안창호에게 보낸 편지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지식의 관계망은 전통적으로 ‘읽고’ 이해하는 대상이었던 독립운동 관련 지식을, ‘보고’ 느끼는 대상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셋째, 독립운동 자료의 스토리텔링을 위해 ‘데이터 큐레이션 콘텐츠’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정보 이용자는 큐레이션 콘텐츠를 통해 각자의 관심사를 좇아 다양한 주제로 정보를 탐색해나갈 수 있으며, 나아가 자료의 맥락을 직접 설계해 나가는 주체자로서 각자의 큐레이션을 할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한 독립운동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현은, 현재 독립기념관에서 운영 중인 개별 시스템에 대한 기능 수정이나 보완 차원에서는 구현되기 어렵다. 이보다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목적과 역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공유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독립운동 정보 시스템의 역할과 방향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independence movement information system. Specifically, in this article,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formation System,” “Domestic Independence Movement and National Protection Historic Site,” “Foreig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ic Site,” and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ictionary” operated by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were studied. Each system provides users with information in each field, such as ‘real data’ and ‘research results’, ‘place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figures’. However, the search for knowledge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can be made through the process of synthesizing and organizing information in each field and finding its historical context. Currently, the information system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does not implement an interconnection that can be expanded to related information through knowledge elements in each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ce movement digital archive” as a digital space where knowledge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can be explored, and specific implementation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ce movement digital archive needs to be configured ‘multi-layered’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Accordingly, the detailed system of the independent movement digital archive was structured into a logical layer of Archive Layer, Semantic Data Layer, and Curation Layer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system. Second, in order to realize the interconnection of knowledge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an ontology-based semantic database was us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network of independence movement knowledge’. As an example, Lee Dong-hwi presented the letter data sent to Ahn Chang-ho. This network of knowledge is an attempt to convert knowledge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an object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into an object of “seeing” and feeling.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ata curation content’ for storytelling of independence movement data. Through curation content, information users can explore information on various topics in accordance with their interests, and furthermore, they can curate themselves as subjects who design the context of the data.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digital archive presented above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terms of function modification or supplementation for individual systems currently operated by the Independence Hall. Rather, the sharing of new perceptions of the purpose and role of digital archives should precede. This study was designed to newly establish a perception of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independent movement information system in this sense of problem.

      • KCI등재후보

        전자소송시스템의 도입이 소송당사자로서 기업에 미치는 법적 영향

        김종호(Kim, Jong-Ho)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1

        우리나라에 근대 사법제도가 도입된 이래 가장 큰 변혁은 전자소송시스템의 도입이다. 전자소송제도는 정부는 물론이고 사기업에도 직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혹자는 전자소송시스템과 기업의 경영 사이에 무슨 함수관계가 있겠는가? 라는 물음을 던질 수 있을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현상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미국의 예에서 보듯이 전자소송제도의 도입은 기업들로 하여금 엄청난 경영환경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아직 미국의 증거개시제도와 같은 소송법적 제도가 우리 소송법에 도입되어 있지 않아서 전자소송시스템이 도입된다 하더라도 당장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겠지만 머지않아 시스템사용이 일반화 된다면 전자증거개시제도가 자연스럽게 도입될 것이라고 믿어 의심하지 않는다. 그때 가서 기업들이 경영시스템의 변경을 하고자 한다면 이는 변화에 적응을 하지 못한 낙오자가 될 것이다. 필자는 본고를 통하여 미국의 예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우리 기업들이 신속하게 전자소송시스템의 적응을 위한 자세교정을 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특히 전자증거개시제도의 도입과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한 기업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고, 법무담당 부서와 경영진의 관심 고양 및 준법감시팀 주도의 정보기술부서 통합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나아가 자료관리 구축시스템의 확대가 필요한 이유도 제시한다. Since the modern judicial system was brought in Korea, one century and a decade have gone by, and then the electronic filing system (EFS) was introduced, which is probably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the judicial environment. Some say there is no significant symbiosis between the EFS and a firm’s management. However, such a naïve comment is an easygoing way of thinking and mishandling the case. If you are a person who have same point of view, I sincerely advise you to correct your view. Like shown in the U.S. case, the adoption of EFS requires enterprises to keep up with the rapid change of their management system. Long and short term agendas also keep following the shifted managerial environment under the revision of the Rule. Any effort to chronicle all of the ramifications and impacts of the adoption of EFS to replace the paper filing systems is considerably beyond the scope of this study and would require foresight not possessed by the authors. However, there are some important specific implications that do not require inordinate speculation. This article attempts to briefly describe the more obvious impacts that firms, lawyers, and the managements can expect through the migration to EFS. Courts have created paper-based systems, which attempt to organize and store those billions of documents, as well as the huge number of documents generated by the courts themselves. In addition to creating paper-based filing systems to store documents, court staffs also manually extract and enter certain information from these filings for use in the court’s internal Case Management Systems (CMS). When EFS is fully implemented, as a matter of course, there will be no paper-based record systems. Information in electronic record systems will be collected, recorded, searched, and distributed electronically. Assuming parties of those records are authorized to have access, a nearly unlimited number of people and firms, if they have some interest with pending case and only after they got court allowance, can have simultaneous access to the electronic records. Because such records will not be moved from place to place, or person to person, it is less likely to be misfiled. They can be available at all hours of the day, regardless of whether the court is open or closed. Since the information from those records will be automatically served and distributed electronically to litigants and receiving courts, the potential for errors is also greatly reduced. Moreover, no longer do information seekers (i.e., litigant, eyewitness, attorney, government agents, and researchers) need to manually search through file drawers or racks for binders to locate information in paper records. Instead, the searching can be done electronically and remotely through viewer in any place. To give some idea of the potential differences in efficiency, consider the speed of the modern electronic search engines used on the Internet. For court-related documents alone, the efficiency of immediately linking to, excerpting, or quoting from pleadings and court materials could more than streamline the practice of law. A nearly unlimited number of searchers could simultaneously retrieve such information around the clock. There is no need to re-file because the file is never moved. Those thoughts, and the logical next steps, begin to provide some idea of why universally mandated EFS is probably inevitable. I am sure of the smooth planting of the electronic discovery into Korean law in a short time after adopting the EFS. Even if it seems that currently the usage of EFS has a repercussion on the individual business association, the practice using EFS will make a soft landing in the legal field. However, the corporation would be dropped in the march of the age of limitless global competition, if the entities start to cross the bridge when the epochal changes come to it.

      • 개방형 미술품 데이터 아카이빙 필요성에 관한 연구와 대안: 국내외 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이길하(Lee, Gilha),이현정(Lee, Hyunjung),하예라(Ha, Yera)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23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13 No.-

        과거 몇 년간 이어져 왔던 국내 미술시장에 일어난 지각변동은 2021년과 2022년에 거쳐 대한민국의 미술계-시장-현장(Art world-market-scene)에 양적, 질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물을 만들어 냈다. 대한민국 미술시장 규모는 3천억 원대에서 1조 원대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그 태동에는 소위 ‘메가(Mega)’ 갤러리, 3대 경매사, 프리즈(Frieze) 아트페어의 국내 진출을 비롯해서 현금 유동량 증가로 인한 MZ세대 컬렉터의 진입, 홍콩 정세의 불안정과 대한민국 미술 인프라에 대한 재평가 등이 포함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확장이 미술시장에만국한되지 않고, 미술계 전체의 발전으로 이어지기 위해 몇 가지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첫 번째로 현재의 시장 상황에 있어 양적, 물적 증가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얻으려면, 실질적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구성원의 자정 성격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는 이에 따른 현장에서의 시스템화일 것이다. 특히 현장에서의 시스템화 부재에 따른 데이터 신뢰도의 저하와 전반적인 경쟁력 저하는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온 문제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런 전환에 있어 구성원들이 처한 현실로 인해 산업현장에 직접적으로 자리 잡는 데에는 다소 많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미술가의 경우는 창작, 영업(갤러리-미술관-언론사 등과의 인적 협력), 세무, 법무, 작품의 운송 및 보관 작품 관리를 혼자 수행해야 하며, 개인 생계까지 신경 써야 하는 직업의 특성상 데이터 관리에 지속적인 시간을 투여하기 어렵다. 박물관·미술관·갤러리·대안공간을 비롯한 전시공간에서도 한정적인 예산과 높은 업무 강도로 인한 이직율은 데이터 관리의 연속성과 전문성의 측면에서 한계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 국내 상황을 살펴보면, 상업-비상업 공간(갤러리-미술관으로 대표되는)에서는 비용과 보안 문제의 측면에서 소프트웨어 사용을 꺼려하는 측면이 있다. 다만 해외, 특히 미술시장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유럽과 북미에서는 이런 방식의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의 공급이 보편화되어가는 추세라고 할 수 있고, 일부 업체의 경우 30년 이상의 사업경력을 보유하고 있을 정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도 디지털전환(Digital-Transformation, DX)이라는 대전환이 미술계에만 국한되지 않고 정부-산업계를 망라하며 일어나고 있으며, 미술진흥법 제정을 통해 데이터 관리에 대한 의무 조항을 신설하면서, 먼 이야기만 같던 미술계-현장 내의 디지털 전환에도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기반으로 개방형 미술품 데이터 아카이빙에 대한 수요와 인식이 개선되길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shift in the domestic art market in South Korea, spanning the years 2021 and 2022. This transformation has yield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ults within the Korean art world, market, and scene. The scale of the Korean art market grew from KRW 300 billion to a remarkable KRW 1 trillion, driven by factors including the emergence of so-called “mega” galleries(Pace, Perrotin, Lehmann Mauphin, Thaddaeus Ropac, White Cube, etc.) and three major auction houses(Sotheby’s, Christie’s, Phillips) the entry of Korean collectors from the MZ generation, and a reassessment of South Korea’s Art Infrastructure, expanding the presence of the Frieze Art Fair in the domestic market, among other initiative. This paper argues that for this expansion to lead to overall development in the art world, several long-term transitions are necessary. Firstly, in order to achieve synergistic effects through quantitative and material growth in the current market situation, there is a need for concerted efforts from members in establishing substantial infrastructure. Secondly, this should be followed by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The absence of such systematization and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has led to issues related to data reliability and a general decline in competitiveness,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pointed out.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due to the circumstances faced by members of the industry, it may take some time for them to directly establish themselves in the industrial landscape during such a transition. For artists, the nature of their profession, which includes creative work, business operations (collaborations with galleries, museums, and media), taxation, legal matters, artwork transportation and storage, artwork management, and even personal life,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dedicate continuous time and effort to data management. Similarly, museums, galleries, and alternative spaces, face limitations in terms of data management continuity and specialization due to limited budgets and high workloads, leading to high turnover rates. Looking at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there is reluctance to use software in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spaces (such as galleries and museums) due to cost and security concerns. However, in Europe and North America, which can be considered the epicenter of the art, the supply of such software and solutions is becoming increasingly widespread, with some companies having a track record over 30 years. Despite this, digital transformation(DX) is occurring in South Korea as an undeniable upheaval that encompasses not only the art sector but also government and industry. With the enactment of the Art Promotion Act, which introduces mandatory provisions regarding data management, it appears that digital transformation within the art world, which once seemed distant, is becoming a reality. With this as a foundation, we hope to see improvements in demand and awareness for open artwork data archiving system.

      •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ERP시스템의 성능개선(튜닝) 사례;(주)대교

        서병민,김승일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ERP system is a good one because it provides required data to the Board of Directors at the right time, but needs to collect many data in this system. Nevertheless, increase in data leads to the system's quality deterioration which makes companies to carry out quality improvement. In order to solve quality deterioration problem, a company's quality improvement director must execute under acknowledgemen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ectors to be improved, which are DBMS, Application, System, Data Management, Archiving, and Reorganization. But in many cases, these relationships are ignored due to massive size of each of the sectors, resulting fragmental quality improvement operation. This case paper proposes a solution to effectively solve quality deterioration problem created by the massive data produced while operating ERP System(constructed by SAP package and web). First, it defines the sectors where quality improvements are vital, and lists out things to be considered. Then, by analysing the working process of these sectors, proposes the most efficient order of the improvement process. This case will eventually help the company's quality improvement director to execute quality improvement most effectively without trials and errors, which is this paper's ultimate goal.

      • KCI등재후보

        차량검지기 자료 관련 연구동향 분석 및 발전방향

        김한수,박동주,남궁성,백승걸,신승진 한국ITS학회 2007 한국ITS학회논문지 Vol.6 No.1

        A VDS data in the domestic has been used within limits to real time information such as congestion management, incident management, and route guidance service. On the other hand, a VDS data in the foreign countries had been used to various objectives such as transportation policy assessment, transportation construction evaluation, traffic safety improvement, and etc.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is the VDS data which was installed in the uninterrupted flow such as the freeway and the interrupted flow in a diversion route of the freeway. It h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VDS as our subject to study, study objective and study methodology for each study generally classified as 1) data collection 2) data processing 3) data store and 4) data quality section.This study h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various literatur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regarding the VDS data. And It drew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tudy which is about VDS data in domestic from now. 최근 국내․외에서는 고속도로 및 여러 도시에 ITS를 도입하여 차량검지기 자료를 수집,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들 자료를 주로 반복/비반복 정체관리, 돌발상황관리, 경로안내 서비스 등 실시간 정보에 국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국외에서는 이들 분야 외에 교통정책 평가, 교통사업 평가, 교통안전 증진 등의 다양한 목적에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차량검지기 자료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 차량검지기 자료 관련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범위는 고속도로 등의 연속류 구간과 고속국도 우회도로의 단속류 구간에 설치된 루프검지기와 영상검지기 같은 차량검지기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 다만 자료가공 부문의 자료융합에 대한 연구는 루프검지기의 지점검지자료와 GPS Probe, AVI(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의 구간검지자료를 융합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이 연구에 한하여 구간검지자료를 대상으로 한 것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차량검지기 자료와 관련된 최근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논문, 학술지 논문, 연구보고서를 1) 자료수집, 2) 자료가공, 3) 자료저장, 4) 자료품질 부문으로 구분하고 각 연구에 대한 연구대상 차량검지기, 연구목적, 연구방법론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 부문별 국내외 연구동향 비교와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국내 차량검지기 자료 관련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무용가 개인컬렉션의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위한 춤자료 분류체계 연구 : 김천흥컬렉션을 중심으로

        유시현,권혜경,김현주,최해리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7 No.-

        무용가 개인컬렉션의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위한 춤자료의 분류체계 개발은 자료를 분류하고 정리하는 기존의 목록화(cataloging) 작업에서 더 나아가 이용자의 자료 검색 환경을 최적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김천흥컬렉션을 대상으로 춤자료의 DB구축 및 일반이용자들이 춤자료를 검색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검색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국내외 춤 자료관들을 대상으로 춤자료의 보유 현황 및 분류 현황을 살펴보고 춤자료 분류방식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는 자료의 저장 방식이나 저장 형식, 자료의 형식과 양식 등 매체가 갖고 있는 특징에 따라 자료의 형태(format)를 중심으로 한 분류이다. 둘째는 자료가 가진 내용을 토대로 자료가 생성된 특정 맥락에 중점을 두고 분류하는 자료의 맥락적(context) 분류이다. 셋째는 특별한 체계 없이 자료가 가진 공통적 속성을 바탕으로 동일한 분류항목으로 묶어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이다. 이 중 자료를 분류하고 검색하는데 상대적으로 용이한 "형태 중심 분류법"을 김천흥컬렉션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의 기본 틀로 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김천흥의 춤자료를 총 11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또한 자료의 형태 중심 분류법이 놓치기 쉬운 자료의 생성 맥락과 타자료와의 연관성에 관한 정보는 상세정보들을 제시할 수 있는 필드(fields)를 구성하여 보충하였다. 이는 자료의 형태적 분류가 갖는 자료의 비맥락화에 대한 단점을 부분적으로 보충하고자 한 결과이다. 일단 데이터화 된 정보들은 검색엔진을 통해 주제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자료 형태를 아우르는 통합검색 또한 가능하게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카테고리별 상세검색"과 "통합검색"의 두 가지 방식으로 자료에 대한 횡적, 종적 접근을 모두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김천흥이라는 특정 인물의 자료를 바탕으로 설계된, 즉 김천흥컬렉션에 최적화 된 시스템이며, 이후 타 예술인의 컬렉션을 형성하면서 끊임없는 수정과 보완을 거쳐 한국춤 전반에 관한 자료들을 통합적으로 분류, 검색할 수 있는 DB 시스템으로 발전해 가야 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archiving dance materials to build a DB of individual dancer's collection is to optimize users' search environment, developed from the old cataloging work, or classifying and arranging materials. Therefore, this article intends to build a DB and develop a search engine for Kim Cheon-heung Collection.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s dance materials and classifying systems of Dance Centers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summarized the system as three categories. The first system is the "format classification" in which materials are categorized by their format such as data storage method, storage format and forms and patterns of materials. The second one is "contextual classification" focusing on specific context based on the context of materials. The third one is the method to classify materials by same categories based on common characteristics without applying specific systematic method. Among these, "format classification system" was taken as a basic structure for Kim Cheon-heung Collection, which is relatively easy to classify and search materials, and Kim Cheon-heung Collection was classified by 11 categories. Also, the information of the history of the materials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materials, which is easily missed in format classification system, was supplemented by fields, which could present detailed information. This is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incoherence of the materials in format classification system. Data is accessible by general search engine with subject words, consequently it was made possible to access material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y "category search," and "general search." This study is optimized for Kim Cheon-heung Collection designed for the materials related to Kim Cheon-heung, and it should be developed into the DB system that could classify and search general Korean dance materials through incessant modification and complement in the process of building other collections.

      • KCI등재

        한국사 문헌자료 디지털화의 현황과 과제

        이남희(Lee, Nam-he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2

        한국사 분야의 대표적인 디지털화사업이라 할 수 있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와 ‘한국역사종합정보시스템’을 살펴보고 그 성과와 의미를 검토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서 한국사 문헌자료를 디지털화하는 작업이 어떤 단계에 있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작업이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이미 한국사 분야에서도 각종 문헌 자료를 디지털화 하고자 하는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방대한 자료를 수집, 가공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뒤 검색 시스템을 활용하면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며 연구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고종·순종실록』등의 대표적인 역사서가 DB로 구축되어 온라인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연대기뿐 아니라 방목, 문집, 호적, 족보 등도 디지털화 되어 한국학 연구기관의 웹사이트를 통해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앞으로 보완해나가야 할 측면도 있다고 하겠다.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료의 오류를 수정하는 방안 역시 강구되어야 한다. 인터페이스(Interface)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이 요청된다. 나아가서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e digitalization of Korean historical literature from the ‘Korean History Database’ and ‘Korean History Information Unification System’, the representative work of digitalization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the digitalization of Korean historical literature and the specific details of what has been accomplished. There have been multiple efforts to digitalize resources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By collecting and processing massive amounts of artifacts, these digital resources provide an easy way to find the information required by scholars and increase research productivity. Classic history texts, such as Samguk sagi, Samguk yusa, Goryeosa an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ave been digitalized and the database made available online. Not only the chronicles themselves, but also the examination rosters, anthologies, census registers, clan genealogies, etc. have been digitized. The database can be found on Korean Studies Research Institute website. However, the level of the digitalization of Korean historical literature is still lacking in some regards and requires further efforts.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latest research. In addition, the method of correcting errors and developing the system interface should be addressed. Furthermore, the database should become available on mobile devices.

      • KCI등재
      • KCI등재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이승억,설문원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2

        In consideration of the drastic transformation of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redesigning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at a national level. First, it clarifies the four implicit objectives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since the 2006 amendment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such as comprehensiveness for ensuring the appropriate management of any type of digital records, digital-friendly processes for records management, proper management for guaranteeing the evidential value of digital records, and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records. Second, it examines the challenging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areas since 2006. Third, it reviews the achievement of the policies as well as failures based on analyzing the policy documents and data from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urth and finally, it suggests core areas and directions for redesigning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emphasizing the inclusiveness for data-type electronic records. 이 연구는 기록관리의 내외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전자기록관리정책이 전면 재설계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재설계 영역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 그간의 전자기록관리정책조사를 통해 전자기록관리대상의 포괄성, 프로세스의 기술 친화성, 전자기록의증거력 보장,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이 주요 추진목표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그러한 정책목표 추구과정에서 새롭게 조성되고 있는 환경 변화를 검토하였다. 셋째, 앞에서 정리한 정책목표와 기록관리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현행 전자기록관리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국가기록원의관련 문서와 보고서, 데이터를 토대로 검토하였다. 넷째, 정책 현황과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재설계되어야할 정책 영역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특히 ‘데이터형 전자기록’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전자기록을 핵심 관리대상으로 설정할 것을 강조하면서 정책 재설계 영역을 관리 패러다임의 전환, 절차적 관점에서의 신뢰 보장, 지속가능한 관리체계의 조성으로 잡고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