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이버성범죄・디지털성범죄 실태와 형사정책

        김한균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7 이화젠더법학 Vol.9 No.3

        This essay deals with the issue of sex crime in cyberspace or by the means of digital technology. So called ‘cyber sexual violence’ or ‘digital sexual violence’ are one of the main issue in Korean criminal law and criminal justice policy. Cyber stalking, Cyber pornography and Obscene acts by using Internet and smartphones are crimes of sexual violence under Korean Criminal Act,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Sexual Crimes Of 2016,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Juveniles Against Sexual Abuse Of 2016,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nformation Protection of 2016. Recently, the Government proposes omnibus policy on the digital sex crimes in 2017, ‘Comprehensive Polices on the Prevention of Sex Crimes and Victimization’. The 2017 policy defines ‘digital sex crime’ as taking photos of others body parts without consent, disseminating or selling such illegal images, so-called evenge porno, and internet broadcasting of pornography. Strict investigation and punishments on such crimes will be emphasized, and support of victims and public education will be promoted. The statistics on cyber sex crimes or digital sex crimes are not enough to examine the real problems of crime victims and trends in such crimes in Korean society. This may leads to not very much effective policy and measures against such crimes and specialized policies on the protection of victims by sexual violence in cyberspace. Therefore, any criminal justice policy and criminal legislation must consider the voice of the victims of cyber sex crimes and digital sex crimes first. The tasks of criminal justice is to criminalize managing blogs, websites, webhard for selling and using any sex-criminal information and digital contents, and to systematize policies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victims of such crimes. 사이버성폭력 행위는 현실공간의 물리적 접촉 없이도 피해자에게 성적 수치심을 주어 신체적정신적으로 피해를 가한다. 사이버성폭력 피해자들이 실제 물리적 성폭력에 못지않게 두려움과모욕감을 겪기 때문에 중한 성범죄(성폭력범죄)이면서 여성대상폭력의 성차별적 권력관계 특성이 사이버공간에 반영된 범죄로서 사이버성범죄로 규정할 수 있다. 현행 법제상으로는 통신매체이용 음란행위, 영리목적 도촬물 정보통신망 유포죄와 정보통신망이용 음란물범죄(사이버음란), 정보통신망이용 스토킹범죄(사이버스토킹), 컴퓨터 등 통신매체이용 아동청소년음란물 범죄를 사이버성범죄로 본다. 그러나 사이버성범죄의 사회적 실태는공식통계와 현행법제로써는 충분히 알기 어렵다. 사이버성범죄와 그 피해의 사회적 관심과 심각성을 고려해 볼 때 의미 있는 정책을 이끌어 낼 만큼 실태파악이 어렵다는 사실은 우려스럽다. 기존 형사사법체계와 형사사법기관, 그리고 형법학이 가해행위에 초점을 맞춰 구축한 성범죄 개념과 구조를 그대로 사이버성범죄 문제에 옮겨 적용하는데 그쳤기 때문이다. 근본적으로는 사이버성범죄 그 자체 범죄와 피해문제로 규정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형사사법자원을 투입할만한 정책적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반면 사이버성범죄 피해자의 경험과 목소리로부터는 실태와 문제를 지적하는 다양한 개념들이 등장하고 있다. 디지털성폭력이 그 하나다. 형사정책은 가해행위의 내용과 특성에 초점을맞추어 법제를 정비함으로써 범죄와 재범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야 할 뿐만 아니라 범죄피해의내용과 특성에 대한 충분하고도 적절한 이해를 통해 범죄피해자 보호와 피해방지에 유효한 정책을 개선해야 할 과제를 담당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성폭력 피해경험의 다양한 측면이 담긴 다양한 개념의 등장은 주목할 만하다. 현재 논의되는 디지털성폭력은 디지털 기기나 디지털이미지를 악용하여 성적 착취 내지 성적 학대를 비롯한 성폭력을 행사하는 경우를 뜻한다. 사이버공간 성범죄피해자 보호지원 법제와 정책 설계와 실행, 평가에서는 피해자 경험과 의사를공감하는 방향으로 반영해야 마땅하다. 형사정책적으로는 사이버성범죄 내지 디지털성범죄와 관련하여 신종범죄화, 형사책임범위확대 및 형량조정 문제, 그리고 양형기준상 권고형량범위 및 양형인자 제시 문제를 검토해야한다. 둘째, 사이버공간에 유통되는 불법음란물에 접속하여 이용하고 보관하는 행위의 범죄화를 검토해야 한다.

      • KCI등재

        사이버 범죄에 대한 연구 : 대학생들의 사회유대가 사이버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영식 한국경찰학회 2014 한국경찰학회보 Vol.16 No.6

        As the internet has propagated, cyber space is extened rapidly. And as smartphones become common, anyone can access to cyber space via internet whenever & wherever. It is a fact that while it is convenient, it is also exposed to cyber crimes such as phising, internet bullying, and hackings by viruses at any time. The bottom line is we need other approach to such cyber crimes being different with crime control in real world. In particular, as the use at cyber space extremely emphasizes individual space, it is needed to prevent/intervene to crimes focusing on the individual. This study made a trial to the analysis through social bond theory to control the effect on crime subjects connecting the world of cyber space with real world. In addition to this, we have conducted the study to verify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ple advanced researches focusing on the belief for the differentiation of study. As a summary, it is indicated that as the communication with parents is high, cyber crime is reduced (t=-3.335, p=.000). It is also indicated that the belief has t=-5.607, p=.000 and impact a negative effect on cyber crimes. As a result, hypothesis I which social bond will impact a negative effect on cyber crimes is adopted by revealing that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belief impac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yber crimes.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사이버 공간은 급속도로 확장되었고 스마트폰이 일반화되면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을 통해 사이버공간에 수시로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편리함이라는 단면에는 피싱, 악플, 바이러스에 의한 해킹 등 사이버 범죄에 언제 어디서든 수시로 노출된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이러한 사이버 범죄의 행위가 현실세계에 범죄통제와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사이버 공간에서의 활용은 지극히 개인적 공간을 중요시함에 따라 개인에 초점을 맞춘 범죄예방과 개입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이에 따라 현실세계에서 가상공간의 세계를 연결시키는 범죄주체에 대한 영향을 통제하는 사회유대이론을 통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더불어 연구의 차별성을 위해 다수의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신념에 초점을 두어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요약하면, 부모님과의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사이버 범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3.335, p=.000) 그리고 신념은 t=-5.607, p=.000으로 사이버 범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사회적 유대가 사이버 범죄에 부(-)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Ⅰ은 부모님과의 의사소통과 신념이 사이버 범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 KCI등재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제적 대응방안

        정정일 한국보안관리학회(구 한국경호경비학회) 2005 시큐리티연구 Vol.- No.10

        As with the vast array of computer technology and its rapid development, along with the entry of the internet as one of the necessities of life, the so-called cyber space has become a vital component of our modern day living. While such cyber space has provided the society with much convenience and utility as to the gathering and acquiring of information, crimes involving cyber space has accordingly increased in both number and form, Nevertheless, the conventional law as existed before the development of the cyber space were unable to meet the demands of this new breed of crime, which inevitably led to the gap in the government ability to punish such criminals, Thus, in response to the rising number of cyber crimes, a large number of nations have either created or is in the process of committing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to strengthen the investigative powers relating to cyber crimes and creating a new area of prohibiting such crimes. As a overview of cyber crime, (1)defines the terms, describes features of cyber crime, (2)explains the international prevention necessity of cyber crime, and (3)the necessity of legislating the cyber crime Fundamental Act (4)the recognition of the evidential values on the confiscated electronic records and reviews types of cyber crime including cyberterror. Lastly, emphasizes necessity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prevention of cyber crime as usual.

      • KCI등재

        사이버 범죄 억제인식에 대한 연구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인식이 범죄신고 의향에 미치는 영향-

        박한호 한국범죄심리학회 202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6 No.4

        In general, the definition of crime is important to victims. In cyber crime, the definition of crime is more and more important. This is because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life or body, but rather related to property, honor, or efforts to overcome damage. It is also because specialized knowledge is sometimes required to recognize cyber crime. Therefore, cyber crime victims are redefined for crime damage. In this process, victims generally consider the size of the damage, whether or not to recover, the degree of recovery, and the degree of support from a cost-benefit perspective to recover the damage. Even if they have specialized knowledge about cyber crime, they are not only limited in economic and time to recover damage, but also have limited powers for investigation, so they intend to recover the damage as well as the progress and spread of the crime through reports from criminal justice agenc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two major questions. First, does the procedure and trust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affect the intention to report? Second, it is whether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perception of suppression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s affects their intention to report. As cyber crime detection technology develops day by day, the technology to avoid it also intelligently evolves,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victim. For all crimes, elaborate countermeasures are made when the overall reality of the crime is accurately identified. Given this, the increase in reports of cyber crime will reduce the male and female rates. As a result, rapid interven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yber crime will contribute to suppressing crime and preventing crime in the long term. Therefore, this study was surveyed centering o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tive in cyber activities,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intentions of reporting cyber crimes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ertainty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 is a very important determinant of reporting.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willingness to report to criminal justice agencies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rust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is important among the factors to consider for recovering damage through redefinition of cybercrime damage. 일반적으로 피해자에게 범죄라는 정의는 중요하다. 사이버 범죄에서는 더욱 더 범죄에 대한 정의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직접적으로 생명·신체와 관련되기 보다는 재산과 명예 또는 피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이버 범죄의 인식을 위해 전문지식이 요구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이버 범죄 피해자는 범죄피해에 대한 재정의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는 피해를 회복하고자 하는 행동에 일반적으로 비용 편익적 관점에서 피해규모, 회복여부, 회복정도, 지원정도 등을 고려하게 된다. 사이버 범죄에 대하여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피해회복을 위한 경제적·시간적 한계뿐 아니라 수사에 대한 권한이 한계로 형사사법기관의 신고를 통해 범죄의 진행과 확산은 물론 피해를 회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질문에 대하여 해결을 시도한다. 첫째, 형사사법기관의 절차와 신뢰가 신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형사사법기관이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억제인식이 신고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가 바로 그것이다. 사이버 범죄에 대한 탐지기술은 날로 발전됨과 동시에 이를 회피하는 기술 또한 지능적으로 진화하여 피해자가 피해인지를 어렵게 만든다. 모든 범죄는 범죄의 전체적 실태가 정확히 파악될 때 정교한 대책이 만들어진다. 이 점을 감안한다면 사이버 범죄에 대한 신고의 증가는 암수율을 감소시킬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이버 범죄의 인지에 따른 신속한 개입은 범죄를 진압하고 장기적으로 범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 활동이 활발한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되었으며, 사이버 범죄에 대한 인식과 신고 의향에 대해 분석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확실성이 매우 중요한 신고의 결정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기대가능성이 존재할 때 형사사법기관에 신고할 의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이버 범죄 피해의 재정의를 통한 피해회복의 고려요인 중 형사사법기관의 신뢰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민간경비를 활용한 사이버범죄 예방 방안

        김상운(Sang-Woon Kim),조현빈(Hyun-Bin J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3

        200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한 사이버 공간에 대한 활용으로 인해 인간의 삶은 과거와 다르게 큰 발전에 발전을 거듭함과 동시에 사이버 범죄라는 신종 범죄가 증가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사이버 범죄는 과거의 물리적 형태의 범죄와 달리 사이버 공간이라는 특징을 바탕으로 일어나는 범죄로서, 비대면성ㆍ익명성ㆍ전문성ㆍ기술성ㆍ반복성ㆍ계속성 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사이버 범죄 발생추이를 살펴보면, 2003년에 비해 2010년에는 거의 두 배에 가까운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주로 일반 피싱ㆍ음란물 유포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 범죄가 대부분이었으며, 사이버 범죄를 저지르는 범죄자들의 연령대가 다른 범죄들에 비해 낮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최근 사이버 범죄에 대해서 경찰에서는 ‘사이버테러 대응 센터’를 설치하여 대응하고 있으나, 예방 및 수사조직의 분산, 수사상의 문제점, 제도상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경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민간경비를 통해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물리적 경비를 통해 서버룸과 같은 주요시설에 접근을 통제하며 우수한 사이버 전문요원을 육성하는 기본적인 형태의 범죄예방을 비롯하여, 사이버 범죄 컨설팅 및 관련 법령 개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With the spread of Personal Computers(PC) in the 1980’s, many people started to deal businesses with PC. From late 1990’s, the Internet age with PC have started and many people have showed keen interest in cyber-space and now they are utilizing it. Since 2000’s the use of cyber-space have skyrocketed and it caused significant changes to humans’ life. There was a huge prosperity to us but the new kind of crime, cyber-crime, was raised. Unlike past physical type of crimes, those cyber-crimes take place in the cyber-space and they have special features of non-facing, anonymity, specialty, technologic, repetition, continuation. Those cyber-crimes are continually growing since 2003 and in 2010 it almost doubled compared to 2003. General cyber-crimes like phishing-scam · pornography circulation was most of them and notably perpetrators of them are younger generation. Recently cyber-crimes are showing the trend of advancing more and more and cyber-bullying, fraud like phishing scam are on the rise. The police are responding by making ‘Cyber Terror Response Center’, but it does not work effectively with the problems of breakup of prevention and investigation unit, procedure of investigation and the system itself. So, I suggest practical use of private security to remedy our police’s weakness and to prevent cyber-crimes. Preventing solutions of cyber-crime with private security are physical defense of large-scale servers and vital computers, building of Back-up system to prevent vital data loss, and building of cyber-crime preventing system combining software and hardware.

      • KCI등재

        유럽평의회 사이버범죄조약의 가입・비준을 위한 국내 이행법률의 마련과 준비 비교

        이경열,하건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8 비교형사법연구 Vol.19 No.4

        Although ICT policy-makers are persistently making efforts to eradicate illegal and harmful information on the cyber environment, there exist various limitations in investigations and law enforcement due to restrictions in human resources and legal and technical aspects. Investigating cyber crimes which cross an international border is especially troublesome. That is because cyber criminals who are aware that criminal justice institutes, in enforcing the laws, cannot cross the online international borders as readily as themselves due to restrictions in national sovereignty and jurisdiction laws are increasingly taking advantage of this fact to commit illegal acts in cyber spaces where borders do not exist or are cut across. This phenomenon is a kind of issue that would have been unimaginable in terms of the conventional criminal justice laws, and is a reason why cooperation and mutual assistance at the international level have become urgently necessary in criminal justice responses toward cyber crimes. For this reason, the significance of the Council of Europe's Convention on Cyber Crime, which came into effect on July 1st, 2004, is increasing day by day. Taking comprehensive measures toward cyber crimes became possible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s at least within the EU. However, it is not enough to stay at this level. Occurrences of cyber crimes are not limited to within the European regions. The experts who were involved in the enactment of the Convention already knew this fact, and thus did not restrict the eligibility for registration to the countries that are EU members. Also, although a regional convention, it has content which does not suffer by comparison with other global and international conventions for the purpose of international use. That is because there needs to be no difference in criminal justice reponses to a certain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due to the occurrence regions of the crimes. If the Council of Europe's Convention on Cyber Crime is expanded to become an international convention and does not stay in its current form, its effectiveness (in its role as criminal justice law toward crimes) will increase accordingly. This is why registering in this Convention is essential. With the above awareness, "Domestic implementation legislation and preparations for Korea's registration in the Council of Europe's Convention on Cyber Crime and its ratification" announced in [The 15th Korea-China International Criminal Law Conference: Prevention and penalties for cyber crimes in Korea and China] was modified to include an overview of the main content of the Convention, an analysis of the duties of the contracting parties set on the Convention including legislative actions, and a comparison with the current states of related legislations in Korea, in an attempt to contribute a part to the preparation for Korea's registration in the Convention and its ratification. 사이버공간상의 불법・유해정보를 근절하기 위하여 ICT 정책입안자들이부단하게 노력하고 있지만, 다양한 사이버범죄에 대한 수사나 법집행에는 그인력 및 법제도적・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갖가지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 특히 국경을 초월하는 사이버범죄를 수사하는 데에는 더욱 많은 곤란함이 따른다. 법을 집행하면서도 국가의 주권과 관할의 제약으로 인해 형사사법기관이 자기들처럼 쉽게 국경을 넘나들 수 없다는 점을 아는 사이버범죄자들은이를 이용하여 더욱 더 국경이 없거나 국경을 초월하는 사이버공간에서 불법을 자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종래의 전통적 형사사법에서는 생각지도 못했던 새로운 문제이며, 사이버범죄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에 국제적 협력공조가 긴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이유에서 2004년 7월 1일 발효된 유럽평의회 사이버범죄조약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적어도 EU 차원에서는 국제적인 협력을 통한 사이버범죄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에 머물러서는 충분하지 않다. 사이버범죄의 발생은 그 지역적한계가 유럽에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조약의 제정에 관여한 전문가들도 이미 이를 알고 있었다. 그래서 조약의 가입 국가를 유럽연합의 회원국만으로 제한하지 않았다. 또 조약의 내용도 지역간조약인데도 불구하고 전지구적 국제조약으로서의 성격과 비견하더라도 손색이 없다. 사이버범죄의발생지역에 관계없이 그 범죄의 특성상 형사사법기관의 대응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간조약에 머물지 않고 그 가입국의 증가를 통해 국제조약으로 확대되는 경우 유럽평의회 사이버범죄조약의 (범죄에 대한 형사사법적인) 실효성은 그만큼 증대할 것이다. 이 조약에의 가입이 필수적인 이유이다. 위와 같은 인식에서 제15회 한중국제형법학술대회: 한중 사이버범죄의예방과 처벌 에서 발표한 “유럽평의회 사이버범죄조약에의 가입・비준을 위한 국내 이행입법의 마련과 준비”를 수정하여, 여기서는 유럽평의회 사이버범죄조약의 주요내용을 개관하고, 이 조약에서 정하고 있는 체약국의 입법조치를 수반하는 의무사항을 분석하며 나아가 한국에서의 관련 입법적 현황과비교함으로써, 이에 가입 및 비준을 위한 준비에 一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사회유대의 신념요인이 사이버 불링 가해 현상에 미치는 영향

        이영식(Young-Si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모든 범죄가 그러하듯 사이버 범죄도 진화되고 있다. 단순히 가상현실 상에서의 경제적 범죄와 같은 물리적 손해를 넘어 사이버 왕따, 사이버 괴롭힘과 같은 심리적 영향을 주는 형태로 발전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범죄가 가시적 범죄를 넘어 범죄 두려움까지 고려되고 있다는 것은 범죄로 인한 심리적 영향을 고려한 대책을 중요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리적 손상을 야기하는 사이버 불링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사이버 범죄의 특성이 현실범죄와 다른 특성에 기인하고 있기 때문에 대책 또한 다른 측면에서 접근되어야 하며, 전통적 사이버 범죄의 유형인 물리적 손상을 넘어 심리적 손상을 준다는 점에서 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특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해 언제어디서든 가상현실에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 상황에서 일반적 사이버 범죄의 원인을 모두 고려하여 대책을 세우기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이버 범죄를 통제할 수 있다는 사회유대 이론 중 개인화된 신념에 초점을 맞춰 사이버 불링 가해행동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측정함으로써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자기 통제적 신념은 사이버 불링 가해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어 개인화된 환경에서 신념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개인적 신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이버 특성과 인성교육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점을 정책적으로 제언하였다. A cyber crime has been evolving, as other crimes have. Beyond physical damages such as financial crimes in the cyber world, it has evolved into psychological forms like cyber-bullying. In today’s crimes, measures that consider psychological effects of crimes are highly regarded in that fear of crime is considered as well as visible crimes. Accordingly, cyber bullying, which causes psychological damages, needs to be treated very importantly.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crime is caused by different circumstances from the real world, measures should be taken in different aspects. Rather than physical damages, which can be found in the conventional crimes, cyber crimes cause psychological damages, so the effect that has on inflicting should be specified. Especially, in the environment that virtual reality is ubiquitous through smart phones, it is very difficult to establish measures by considering all the causes of general cyber crimes.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d what affects cyber bullying by focusing on personalized faith factor among social bond theory, which can control cyber crimes. As a result, self-controling faith was verifi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yber bullying, so faith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personalized environment.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space and education of humanism, which can affect individuals’ faith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후보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이성식(Lee, Seong-Sik) 한국피해자학회 2004 被害者學硏究 Vol.12 No.2

        There are few studies to find a factor for explaining cyber crim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duces social presence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on cyber space, which leads to less attention paid to the other participant and victims of crime. This article examines the effect of the perceived degree of victim or harmfulness on cyber crime. I hypothesize that those who perceive the higher harmfulness of cyber crime are less likely to commit cyber crime. This study also hypothesizes that the harmfulness of cyber crime may be bases for judging the seriousness of crime and the perceived harmfulness of victim has an indirect important effect on cyber crime through the attitudes of cyber crime. Using data from 1113 middle/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2003, this study tests the effect of the perceived harmfulness of victim on cyber crime. Results reveal that the effect of the perceived degree of harmfulness on cyber crime is strong and its effect is partially mediated by attitudes toward cyber crime.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os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사이버 범죄 예방을 위한 Cyber CPTED 모델 제시에 관한 연구

        이정민 ( Lee Jung Min ),문준섭 ( Moon Jun Seob ) 한국경찰학회 2017 한국경찰학회보 Vol.19 No.4

        World in this time of enormous 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many challenges in fight against phenomenon of cyber threats, especially cyber crime as a new form of asymmetric threats in 21st century. Cyber crime includes two types of criminal activities such as a classical type of crime(i.e., cyber sex offense) and new types of crime(i.e., hacking, DDos attack). Cyber world are wide open and it is very easy to be targeted to access data or financial information from any individual,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etc. It is one of the most serious threats worldwide. Therefore, it is critical to prevent cyber crime. In order to prevent cyber crime, the cyber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first. Cyber CPTED(CCPTED) is Cyber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hey are Surveillance, access control, activity support, maintenance, territorial reinforcement, building design, interior designs, site design, lighting, and social interaction. These create a defensible spa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o prevent the cyber crime with the principal strategic of Cyber CPTED(CCPTED).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However, it is a meaningful effort to prevent cyber crime systematizing on the basis of criminology theory with engineering aspect.

      • KCI등재

        사이버범죄의 현황과 대책

        권오걸(Kwon Oh-Geol) 한국법학회 2010 법학연구 Vol.39 No.-

        인류는 현실이 곧 가상이고 가상이 곧 현실인 시대에 살고 있다. 과거 우리가 상상하였던 가상은 이제 우리의 현실이 되었다. 오히려 상상 이상의 가상이 우리 앞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디지털 혁명과 결합된 가상현실은 그 끝이 보이지 않는다. 다만 그 이용의 편리함에 아주 정확히 정비례하는 일탈행위의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라는 예상이 있을 뿐이다. 동시에 디지털 혁명의 시대에서는 현실범죄와 사이버범죄의 경계도 무너지고 있다. 오프라인상에서 다른 사람에 의해서 사기를 당한 피해자나 인터넷을 통하여 온라인상의 사기를 당한 피해자가 느끼는 불법의 정도는 거의 동일하다. 수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공간에서 오프라인의 삶과 온라인상의 삶을 동시에 영위하고 있다. 현실적인 것이 이성적이라는 헤겔의 주장을 인용한다면 가상현실이 현재의 현실이므로, 현실세계가 곧 가상세계라는 定義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의 사이버범죄의 현황과 대책에 대하여 사이버범죄의 발생건수를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다. 물론 이 연구의 서두에서 설정하였던 사이버범죄가 지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그에 대한 지역적인 대책의 마련이 중요하다는 가정은 통계를 통한 분석결과 아직은 사이버범죄의 큰 특징으로 확인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사이버범죄는 일상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범죄로서 오프라인상의 범죄와의 구별은 장래에는 큰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고 보며, 사이버범죄의 경우에도 특정한 지역에서의 특정한 사이버범죄가 존재하는 것을 통계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시점이 올 것으로 생각한다. 이에 따라 사이버범죄에 대한 지역적 대책도 사이버범죄에 대한 또 하나의 실효성 있는 대책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We live on cyber world. But We can not distinguish the Cyber world from the real world. Virtual Reality is already becoming a part of our life. And Revolution of Digital combine work with interest, and combine cyberspace with the Crime. Therefore boundary between Off line Crime and On line Crime is collapse in the Digital Revolution.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alysis the status and countermeasures of the Cyber crime in the Daegu reg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yber crime in Daegu Region, We found that rate of cyber crime by 20s i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age group and rate of cyber crime by students is higher than other job group. Originally We have a assumption that Cyber crime has a district keynote, therefor we can prepare district countermeasures. But unfortunately we could not confirm the assumption. But in future there will be a point of time when we are able to confirm that specific district has a specific cyber crime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Consequently a district countermeasures to the Cyber crime will be more important to prevent Cyber cr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