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의 질 관리 개념 및 개선 방향 탐색

        황규호,김경자,온정덕,천윤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4

        The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a has focused strictly on determining if and how schools have implemented national or local curricula as specified in curriculum documents. This approach reflects the perspective of quality control or inspection, which rarely provides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practices and how to achieve academic excellence for all stu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ceptualized the meaning of quality curriculum and developed a model for total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a. Results show that, first, quality curriculum means academic excellence for all students, and total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a refers to a continuous effort for improvement. Second, a model was developed to show what total quality management looks like by revealing relationships among quality management elements and curriculum elements with the objective of realizing academic excellence for all. Third, the national curriculum was also evaluated as a part of total quality management. Lastly, the CIPP evaluation model appears to be aligned with this one, but it should be adjusted to reflect the cultural component. 우리나라에서 교육과정의 질 관리는 주로 국가 또는 지역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지침을 학교가 지키는가에 중점을 두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는 질 관리의 초기개념인 검사(inspection) 혹은 질 통제에 가까우며 어떻게 개선하여야 모든 학생의 학습의 수월성을 성취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육 부문에서 질과 질 관리를 연구해 온 Sallis의 이론에 비추어 교육과정 질과 교육과정의 질 관리의 의미를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찾고 이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교육과정의 질 관리 모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질은 모든 학생의 학습의 수월성을 의미하며, 질 관리란 교육과정의 질을 강조하고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둘째, 이러한 개념에 비추어 학생의 학습의 수월성 성취를 중심에 두고 관련된 교육과정 요소와 교육과정의 질 관리 요소의 관계를 보여주는 교육과정의 질 관리 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또한 질 관리 모형에서 제시하는 요소들에 대한 지속적 개선이 필요한 질 관리 대상이라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개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관리지향의 CIPP 평가모형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s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 Nuri Curriculum based on the OECD’s key issues in quality curriculum

        나정,박창현 한국교육개발원 2013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0 No.1

        Korea began the Nuri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ged 3-5, integrating education and care from March, 2013. A curriculum can be a powerful instrument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system designed for human potential development. Recently, the issu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curriculum have become focused on quality. The OECD selected five high quality early childhood curricula and analyzed the key issues in quality curriculum development. This article presents an analysis of Korea’s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 Nuri Curriculum, in terms of five important issues in quality curriculum. In the results, the 3rd key issue on the types of thinking and learning that work best for young children was satisfied in the OECD’s key issues. The 1st key issue on the individual child and the societal goals, the 2nd key issue on what children in the next generation need to learn, and the 4th key issue on the staff issue were all partially satisfied. However, the 5th key issue on the quality issue was not yet satisfied in those issu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article indicates why such a phenomenon occurred based on the Korean history, culture, and social context in ECEC sectors, and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curricula in Korea.

      • KCI등재

        교육과정의 질 개념화 방향 탐색

        황규호 ( Gyu Ho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3

        Korean national school curriculum has been revised and reformed occasionally since it was first introduced in 1945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but it is not quite clear whether the national school curriculum is indeed improved through these processes, and if so in what senses it i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view such questions: what are the criteria against to which we can judge that some curricula are better in their qualities than others. How can we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the ``quality`` of school curriculum? I reviewed several areas of arguments that can be regarded as related to the concepts of the quality of school curriculum: general theories of curriculum, theories and researches on curriculum evaluation, arguments about school curriculum reform,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on school curriculum, etc. On the basis of these review, I argue and suggest some guidelines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quality of school curriculum: we need to admit diverse views on and approaches to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quality of school curriculum as a cluster of features of the concept rather than to insist a single feature as the absolute and the essential; we need to focus on the curriculum documents themselves as the concrete products, as well as the processes of r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the depth and the rigor of subjects contents need to be considered as the utmost important features of curriculum quality; and we need to emphasize the intrinsic values of education over the instrumental ones, whatever they may mean. In the revision or reform of school curriculum, it must be clearly stated and justified what are the main points of revision and how they will improve which aspects of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 KCI우수등재

        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실태 및 개선 방향

        이승미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2

        To realize the bottom-up curriculum design,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for subject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has to be implemented systematically. It is time that the results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give the import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ubject curriculum with the 20-years experience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improve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for subject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to do th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gulations and the status-quo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in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And this study argued about the regulations and the status-quo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ree questions; Are the regulations and the status-quo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appropriate for th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each level? Are the subject curriculum reflected in the valuation criteria? Can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contribute to the subject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As a result, this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for subject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of the each level. 교육 현장의 실태와 요구를 바탕으로 한 교과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 특히 학교 교육과정 평가에 기반을 둔 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가 체계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군다나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이 교육 현장에 도입된 지 20년이 흘렀다. 따라서 이제 학교 교육과정 평가가 학교의 여러 가지 행사나 업무 편성 뿐 아니라 학교 교육의 핵심에 해당하는 교과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의 개선과 관련하여 영향을 미쳐야 할 시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국가, 시·도, 학교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첫째, 국가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와 관련된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와 관련 규정을 분석하고, 둘째, 분석한 규정에 따라 국가, 시·도, 학교 수준의 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학교 교육과정 평가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분석한 규정과 실태에 따라 각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 평가가 각 수준의 자율성을 발휘하기에 적합한지, 학교 교육과정 평가 내용에 교과 교육과정이 충실히 반영되어 있는지, 학교 교육과정 평가 결과가 교과 교육과정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의 세 가지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 현황 및 개선 방안

        민용성(Min, Yong 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 현장의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 및 실태 분석을 통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 문서, 현장의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문서에서는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학교 및 시․도교육청 평가,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평가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교과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주로 학생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교과에서 관련 지침이 매우 개괄적이고 선언적 수준이어서 교육과정 질 관리의 실제적 기제로 작용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교육과정 주체별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 및 실태 분석에서도 실질적인 교육과정 개선에는 미흡하였고 평가를 통한 교육과정 질 관리 도 대체로 형식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육과정 구성 요소, 주체(수준), 개발 및 적용 단계(절차) 3가지 차원에서 교육과정 질 관리를 개념화하고, 이에 따른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안)으로 교육과정 주체별(국가, 지역, 학교 수준) 역할을 중심으로 제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천 전략을 구체화하는 작업 이 요청된다는 점을 명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some meaningful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pla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curriculum document and its present practice, and actual condition. The curriculum pantography and the subject curriculum were subjected to scrutiny by the management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curriculum pantography included various evalua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testing, school and loc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evaluation an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d the subject curriculum included evaluation that focuses on students. The practical conditio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focused upon the role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and actual condition analyses of national, loc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school levels. Based on the result yielded by analysis of the curriculum document and actual conditio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there are needs to revitalize positive functions of existing methods and systematize the quality-management plan and clarify the role of curriculum subjects. There is a need to research on the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system and devise a specific plan focusing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hase, and the role of curriculum subjects through this systematic approach.

      • KCI등재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과 인식에 관한 연구

        김소영,김두정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tandard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analyze the perceptions about the standards among curriculum specialists, teachers, principal, vice principal, and parent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o do this, we conducted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500 curriculum specialists, education practitioners, and parents. Findings/ Results: Firstly we established 6 standards for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based on major accountable school curriculum implemente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n, we administered a survey on perceptions about the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we determined four factors (standards) and several sub-indicators respectively. Secondly, the perceptions about the two standards (factors) related to “students” and “school environment” were different among groups while those related to “school focused support or cooperation” and “parental involvement”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Values: We mainly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parents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when we implement school curriculum. Parents' perceptions about school implementation were quite different from other groups. Secon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was different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There should be opportunities to talk each o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close the gap. Third, all groups including curriculum specialists, teachers, principal, vice principal, and parents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one way or another. They all have different things to say about curriculum implementation standards.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을 설정한 후 그것에 대하여 총 500명의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부・교육청 담당자, 교장・교감, 교사,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 결과, 학교, 교사, 교육부, 교육청, 지역사회, 학부모 등 6개의 실행 주체를 중심으로 6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을 도출하였다. 둘째, 설문지 조사 후 응답을 요인 분석하여 “학생”, “학교 집중 협력과 지원”, “학교 여건”, “학부모 참여” 등 4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요인)과 하위 지표를 도출했다. 셋째, 4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요인)의 집단별 인식과 집단 간 차이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주요한 논의와 제언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다른 집단과 크게 다르다. 이처럼 매우 다른 학부모의 요구는 학교 교육과정 기준 설정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 기준의 하위 지표인 “교사 전문성 개발”에 인식은 교사와 학교장 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이 기준에 대한 학교장과 교사 간 대화의 장이 자주 만들어져 인식의 차이가 메워져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부・교육청 담당자, 교장・교감, 교사, 학부모 등의 모든 집단은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에 대하여 어떤 식으로든 다른 인식을 갖고 있다. 이들 모든 집단이 학교 교육과정 실행 기준의 설정에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육과정 매핑 시스템 기반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질 관리 방안

        전영옥,오은정,김효선,이정민,홍세령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2

        One of the problems frequently attested to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s the absence or lack of articulation within the curriculum. Such an oversight is a consequence of adding or closing courses in a haphazard and groundless way. In order to remedy this problem, S University has established a Curriculum Mapping System. The system has divided the curriculum into sub disciplines, to each of which a curriculum mapping supervisor was assigned. The role of such supervisors is to examine the sequence, articulation, and scope of the courses within each discipline. S University has made use of the findings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mapping system in order to further refine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uch refinement comes in four types; development of new courses, improvement of the current courses, relocation of the courses, and changes of course titles. These modifications were also well reflec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questions for the survey of students’ needs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ir satisfaction of the courses offered. Furthermore, S University has developed curriculum maps corresponding to the disciplines, utilizing the outcomes of the mapping system. These maps clearly show (1) the whole batch of the courses, (2) the articulation among the courses (from basic to more advanced courses), (3) division of each discipline into sub fields, and (4) a brief description of each course within the discipline. In such a way, the maps enable students to self-guide when signing up for classes. Lastly, another set of maps linking the curriculum maps to extracurriculum was created, with an Abstract 466 (제13권 제2호) aim of invigorating the extracurriculum. S University will continue running the mapping system in order to further boost its strengths and remedy its weaknesses regarding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y doing so, it is hoped that it will set a new standard in quality monitoring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ver time, an academic advising system will also be established that can serve a unique, self-guided course registration system. 현행 대학 교양 교육과정은 시의성에 따른 교과목의 신설 및 폐지로 인한 교육과정의 편중과 누락, 백화점식 교과목 개발로 초래된 교과목 간 연계성 및 통합성 약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 를 개선하기 위해 S대학교 계당교양교육원에서는 교육과정 매핑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영역별 매 핑 슈퍼바이저를 구성하였고, 담당 영역에서 교과목들 간의 계열성, 연계성, 횡적 범위 등을 검 토하였다. S대학교에서는 이러한 교양 교육과정 매핑 결과를 교양 교육과정의 질 관리에 활용하였다. 우 선 영역별 교과목 매핑 분석 결과를 신규 교과목 개발, 교과목 개선, 영역 이동, 교과목명 변경 등에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개선하였다. 그리고 학생 만족도 및 요구조사 문항 개선에도 반영하 여 교육과정 개선에 교육 수요자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였다. 또한 매핑 결과를 영역별 교양 교과 목 지도로 구현하여 학생들이 수강신청 과정에서 영역별 교과목 현황, 기초와 심화의 단계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고,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도 지도로 구현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의 활성화 를 도모하였다. 앞으로도 S대학교에서는 교양 교육과정 매핑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교육과정의 취약 분야를 보완하고 강점을 특화할 것이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교양 교육의 학사 지도 체계를 확 립하고, 교양 교육과정 이수체계 연구로 확대하여 교양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지속적으로 수행 할 것이다.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개정과 학교 교육의 질

        황규호 ( Gyu Ho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in Korean context. First, I review four approaches to the concepts of the quality in education―the output model, input model, process model, and absence of problems model―, and then examine how each model conceptualizes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I argue that we require a systemic approach, which views and explains the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of diverse curricular elements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the classroom changes as a whole system, i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is to ensure improvement in educational quality. We also need to systematize research agenda for monito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results of curriculum revision, and to establish a governance system to control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TQM 적용가능성 논의

        권동택(Kwon, Dongtaik),이주영(Yi, Juyeong),이정표(Lee, Ju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TQM(Total Quality Management)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중심교육과정은 목적, 내용, 방법, 평가, 운영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으로, 교육 대상인 학습자의 결과 향상과 과정 만족을 통해 의미를 부여받는다. 따라서 학교중심교육과정은 그 개발부터 실행과 산출까지 모든 과정에 대한 ‘질 관리(quality management) 를 요구한다. 그러나 지금의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는 결과 차원에서 다루어진 경향이 있다. 학교교육에서의 ‘질 은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성취와 만족을 통해 드러나는데, 이때 TQM은 공급자와 수요자 각각의 ‘질 향상과 만족’이라는 조직 목적 달성을 위한 것으로, 조직 구성원 모두의 헌신적인 노력을 통한 계속적인 개선 과정의 의미를 담고 있다. 물론 TQM을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에 적용하는 문제는 그 가능성뿐만 아니라 한계를 동시에 갖고 있으나,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 문제에 있어서 다양한 시사를 줄 수 있다. TQM의 교육과정 이행의 ‘맥락성’, ‘지속적인 개선’,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지향성’ 등은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철학적 토대로 서 작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y availability of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for the quality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The school-based curriculum is a comprehensive plan on objective, content, method, evaluation, and management. It s meaning is given in terms of process satisfaction and result improvement of the learner. Thus,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mands the quality management on the entire process from it s development to implementation and output. But, until now,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tends to treat aspect of result. The quality in school education reveals learner s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hat want to be educated. Thus, The TQM in school organization first must consider student as educative recipient. And this demands the leadership, organizational dedication, total involvemen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mong members and the effort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etc. An application of TQM to the school-based curriculum has the limits and the possibility. Nevertheless, It offers a various implications about the quality of school-based curriculum. TQM can operate as a philosophical base for context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continuous improvement , orientation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etc.

      • KCI등재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및 지표개발 연구

        오방실,권영애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미래교육학연구 Vol.35 No.3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ndicator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major programs in 4-year universities.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ndicators were derived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and two times Delphi tests with experts.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s includes four areas: curriculum organiz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curriculum support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and improvement. A total of four areas and 25 indicators were derived, and all indicators showed an average score of 4.0(appropriate) or higher, and the minimum CVR value of .64 or higher to ensure content validity. This study shows factors to consider when designing for university officials who consider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major program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many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opera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에서 역량기반으로 개편한 전공 교육과정의 질 관리 체제 및 지표를 개발·도출하고 내용의 타당도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Systematic Approach 기법을 기반으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및 지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는 교육과정 편성,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지원, 교육과정 성과 및 개선까지 4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11개의 세부항목, 총 25개의 지표를 도출하였다. 모든 지표는 CVR 최솟값(.59)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많은 국내외 학과 및 전공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질 관리 체제를 구축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