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지 자회사와 현지 기업 간의 기업문화 비교연구 - 중국소재 LG 자회사와 Haier 현지기업을 중심으로 -

        유산산 ( Shan-shan Liu ),위오기 ( Oh-gie We ) KNU기업경영연구소 2010 기업경영리뷰 Vol.1 No.2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conomic globalization, the original competition basic has changed to be information, knowledge and culture. The culture factor has been the vital factor. The competitive strategy of a company can be duplicated, and under the environment that information spread rapidly, technological advantage can also be easily pursued, while, a company's culture are hardly to be copied. Corporate Culture refers to the core values, behavior traditions, management modes, enterprise spirit, moral criterions etc., in a enterprise, which are formed in the longtime management process, and are identified by the whole managers and employees. There are close relations between enterprise management mode and its mother traditional culture. just for this reason, enterprise cultures in different countries represent difference. On the aspect of traditional culture, Korea and China are both in the culture circle which is affected much by the Confucianism, so there are many same characters between the two. At the same time, because of Korea and China experienced different management system, it also has some differences. The paper uses comparison example, compare and analyze the Corporate Culture model of the Korea's LG and the China's Haier. Giving prospects and proposal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 and China enterprise. At last,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 two countries’ corporate culture should study each other. And for the development of both, these two points should be paid attention: absorbing esse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adjusting oneself with the change of time and environment.

      • KCI등재

        미국과 한국의 문화적 갈등의 근원 - 문화코드의 비교연구

        김형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8 국제지역연구 Vol.12 No.1

        In my previous study, I threaded out ten most typical American cultural codes and analyzed them. They are individualism, equalitarianism, love of freedom, reverence of the law, multiculturalism, Puritanism, pragmatism, Frontier spirit, respec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belief in the future. These elements prescribed American traits of tolerance, dynamism, and optimism and their way of direct expression in verbal communication In this article, I tried to find ten cultural codes for Korean side matching with those Americans'. They appear as group orientation, hierarchy, order, people above the law, monoculturalism, Confucianism, face saving moralism, home town love, respect of the nature, and the past oriented. By juxtaposing each of these ten elements on each side, I compare the basic differences lying in the texture of the two cultures. By this comparison I tried to analyze the fundamental causes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U.S. and Korea. This effort will offer some clue to reach the solution for the problems rising between them. On the Literary examination of the existing works, relies mainly this paper. In addition to it, the qualitative analysis of a small number of interviews with Koreans and Korean Americans living in the U.S. is reflected. 이전의 연구에서 필자는 미국문화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열 개의 문화코드로 분석 정리하였다. 개인주의, 평등주의, 자유의 예찬, 법치주의, 다문화주의, 퓨리턴 전통, 실용주의, 개척정신, 과학·기술의 신뢰, 미래지향성이 그들이다. 이 문화코드야말로 진취적, 관용적, 낙천적으로 대표되는 미국인의 국민성을 조성하고, 그들의 직설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일구었다. 이 논문은 미국의 문화코드에 상응해서 한국 측에서도 열 개의 문화코드를 가려내어 대칭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것들은 집단주의, 계층의 중시, 질서의 존중, 인본주의, 단문화주의, 유교적 전통, 명분주의, 고향 사랑, 자연에 대한 경외심, 과거지향성으로 나타났다. 이 문화코드의 비교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문화가 서로 갈등을 일으키는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차 후 한·미간의 문화적 갈등 해결의 모색에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려는 실용적 목적을 갖고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적 연구를 주축으로 하면서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한국계 미국인 약간 명과 각 문화코드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면담한 결과를 반영한다.

      • KCI등재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역사적 전개과정

        이용식(Lee Yong-shik)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7

        비교음악학(comparative musicology)은 비서구 음악문화에 대한 관심의 결과로 시작되었다. 현재에는 이 학문분야를 민족인류학(ethnomusicology) 또는 음악인류학(musical anthropology)이라고 하지만, 음악학자들이 자국의 음악문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웃 음악문화와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자국 음악문화의 특징을 설명하는 연구방법론이 성행하면서 비서구권에서는 비교음악학적 방법론이 여전히 유효한 실정이다. 이글은 주요 방법론을 살펴보고,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교음악학적 연구의 방법론의 성과와 한계를 규명하고 그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교음악학은 19세기 이후 태동한 이래 과학기술의 발명을 이용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이 대두되면서 본격적인 학문의 길을 걷는다. 유성기의 발명과 센트(cents) 측정법의 발명으로 소리의 녹음이 가능해지고 이를 토대로 정확한 채보와 분석이 가능해졌고 비서구음악의 음정 및 음계 체계에 대한 과학적 특정을 통해 문화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 시각이 정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비교음악학은 음악을 ‘비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지역의 음악을 비교하여 음악의 권역을 나누는 ‘음악권’ 이론이 비교음악학의 방법론으로 대두되었다. 또한 음악을 둘러싼 제반 현상에 대한 관계에서 음악을 ‘측정’ 하는 소리지표(cantometrics)와 같은 다양한 방법론의 발전으로 이어진다. 20세기 후반에는 ‘비교’ 자체가 음악학의 궁극적인 목적이 될 수 없다는 반성론이 대두된다. 이 결과로 장기간 현지조사에 근거한 음악문화의 심층구조(deep structure)를 파악해야 한다는 방법론적 전환이 이루어진다. 충실한 음악민족지(musical ethnography)를 작성해야 하고 이를 토대로 이론을 정립해야 한다는 인류학적 방법론이 적극 도입된다. 또한 타국의 음악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음악을 배워서 음악어법을 습득해야 한다는 이중음악성(bi-musicality) 개념이 강조된다. 그리고 외부인의 관찰자적 시각과 내부인의 시각이 변증법적으로 통일된 종합적인 시각을 강조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비교음악학은 방법론적 발전을 거듭하면서 단순히 음악이 아닌 음악을 둘러싼 문화맥락(cultural context)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음악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해야 한다는 방법론으로 성장했다. 음악은 그 음악을 만들고 향유하고 전승하는 공동체(community)의 사회문화적 산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음악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음악을 둘러싼 문화맥락 내에서의 음악문화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 음악의 ‘독특한’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이웃 음악문화와의 비교를 통한 우리 음악만이 가진 음악적 특징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비교음악학은 여전히 유효한 것이고, 비교음악학의 방법론은 한국음악학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The comparative musicology has begun due to the interest of the musical culture of ‘oth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a culture, the scholar has to analyze the music and to compare it with the music of the neighboring culture.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important methods of the comparative musicology, and will discuss the development of the comparative musicology in Korea. The comparative musicology became a ‘scientific disciplin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invention of the recording machine by Thomas Edis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ents system by Alexander Eliis made it possible to record the musical sound in field and the transcription and analysis. It was also possible to draw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of the musical system and to develop the cultural relativism. The musicologists kept to compare various musics and the developed methods of ‘musical area’ and ‘camtometrics’. They also tried to make a ‘thick discription’ of musical culture based on the long and exclusive field resear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sic of other people, the musicologists had to develop ‘bi-musicality’. They had to had both outsider’s and insider’s views in order to fullly understand the musical context and culture. Music is a cultural product of a community which makes, enjoys, and transmits the music.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sic, we have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ontext. When the distinguishable traits of music of a culture is explore, we can compare them with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other cultures. In this way, we will finally find the precious traits of a musical culture. For this reason, the comparative musicology is still useful in Korean musicology.

      • KCI등재

        연구논문 : James G. Frazer의 한국 문화에 관한 비교사적 서술 분석

        노용필 ( Yong Pil Noh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6 No.-

        종전에는 James G. Frazer의 The Golden Bough에 한국 문화와 관련한 인용이 있다는 사실, 그것도 전적으로 고대사 분야 가운데서도 부여(扶餘)의 왕권 행사와 관련하여서만 극히 제한적으로 언급되고 있었을 뿐이었다. 이를 탈피하기 위하여, 1권에 불과한 영문 초역본(抄譯本)은 물론 13권에 달하는 영문 원문본(原文本)을 샅샅이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영문 초역본에는 초역본에 따라 불과 3-5군데에 불과하지만, 영문 원문본에는 무려 24군데서나 한국의 문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고대사뿐만 아니라 근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화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기술하고 있음을 밝히고, 그리고 그 원문을 일일이 번역하여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Frazer의 The Golden Bough 속에서 다루어진 한국 문화에 대한 비교사적 서술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세계사 속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바탕으로 삼고자 하였다. 앞으로 이를 통해 세계인들에게 한국 문화의 특징을 올곧게 이해시키는 데에 보탬이 될 것이라 믿는다. 이러한 견지에서, 비교사학의 전범(典範)이라고까지 평가되기도 하는 James G. Frazer의 The Golden Bough에 기술되어 있는 한국 문화의 여러 양상이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장차 전 세계적인 여러 문화 현상들과 비교하여 조망해내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앞으로 한국 역사학의 발전에 비교사적 연구에서는 물론이고 사학사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는 진전을 이루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xisting studies say on ‘The Golden Bough’ by James G. Frazer that there are only few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limited to the exercise of royal authority in ancient Buyeo Kingdom. In order to examine this, this study did tho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full original English edition of ‘The Golden Bough’ in 13 volumes, in addition to the 1 volume abridged edition of the same book. As the result of analysis, followings were found. First, in the original unabridged edition, there were 24 detail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in addition to 3 to 5 references in the abridged edition. This study clarified that there are references on various themes of Korean culture from ancient history to recent and modern history. This study provided with a foundation for future full scale study on ‘The Golden Bough’ by translating and suggesting all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in the unabridged edition. Second, this study intended to enhance the awareness on Korean culture in world history by analyzing and suggesting the comparative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in ‘The Golden Bough’ by Frazer.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in better understanding of global citizens on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The Golden Bough’ by James G. Frazer is recognized as a classic in comparative study on history. It is believed that the commons and differences of various Korean culture aspects in ‘The Golden Bough’ should be compared with various world cultural phenomena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contribute in the significant advance in comparative study on Korean history and the study on historical studies.

      • KCI등재

        James G. Frazer의 한국 문화에 관한 비교사적 서술 분석

        노용필 호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6 No.-

        The existing studies say on ‘The Golden Bough’ by James G. Frazer that there are only few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limited to the exercise of royal authority in ancient Buyeo Kingdom. In order to examine this, this study did tho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full original English edition of ‘The Golden Bough’ in 13 volumes, in addition to the 1 volume abridged edition of the same book. As the result of analysis, followings were found. First, in the original unabridged edition, there were 24 detail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in addition to 3 to 5 references in the abridged edition. This study clarified that there are references on various themes of Korean culture from ancient history to recent and modern history. This study provided with a foundation for future full scale study on ‘The Golden Bough’ by translating and suggesting all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in the unabridged edition. Second, this study intended to enhance the awareness on Korean culture in world history by analyzing and suggesting the comparative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in ‘The Golden Bough’ by Frazer.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in better understanding of global citizens on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The Golden Bough’ by James G. Frazer is recognized as a classic in comparative study on history. It is believed that the commons and differences of various Korean culture aspects in ‘The Golden Bough’ should be compared with various world cultural phenomena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contribute in the significant advance in comparative study on Korean history and the study on historical studies. 종전에는 James G. Frazer의 The Golden Bough에 한국 문화와 관련한 인용이 있다는 사실, 그것도 전적으로 고대사 분야 가운데서도 부여(扶餘)의 왕권 행사와 관련하여서만 극히 제한적으로 언급되고 있었을 뿐이었다. 이를 탈피하기 위하여, 1권에 불과한 영문 초역본(抄譯本)은 물론 13권에 달하는 영문 원문본(原文本)을 샅샅이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영문 초역본에는 초역본에 따라 불과 3-5군데에 불과하지만, 영문 원문본에는 무려 24군데서나 한국의 문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고대사뿐만 아니라 근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화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기술하고 있음을 밝히고, 그리고 그 원문을 일일이 번역하여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Frazer의 The Golden Bough 속에서 다루어진 한국 문화에 대한 비교사적 서술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세계사 속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바탕으로 삼고자 하였다. 앞으로 이를 통해 세계인들에게 한국 문화의 특징을 올곧게 이해시키는 데에 보탬이 될 것이라 믿는다. 이러한 견지에서, 비교사학의 전범(典範)이라고까지 평가되기도 하는 James G. Frazer의 The Golden Bough에 기술되어 있는 한국 문화의 여러 양상이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장차 전 세계적인 여러 문화 현상들과 비교하여 조망해내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앞으로 한국 역사학의 발전에 비교사적 연구에서는 물론이고 사학사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는 진전을 이루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문화헌법에 관한 비교헌법적 연구와 헌법개정안

        고문현(Koh, Moon Hyun)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論叢 Vol.43 No.-

        본 논문은 헌법상 문화에 관한 규정, 즉 문화헌법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하여 비교헌법적으로 살펴보고 문화헌법개정안을 제시한 것이다. 문화헌법은 국가목표규정, 기본권 규정, 종합 내지 기타 규정 등의 형태로 분류되고 있다. 경제적 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문화기본권에 대한 관심이 과거보다 점증하면서 문화헌법의 개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국가목표규정은 전통문화 또는 민족문화를 강조하는 경우, 문화적 다양성의 보장을 강조하는 경우 등의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그 내용은 국가마다 전통문화의 진흥과 문화적 다양성의 진흥이라는 측면에서 각 국가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문화에 대하여 기본권의 형태로 규정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것은 근대 입헌주의 헌법에서 등장한 기본권 체계의 영향으로 문화에 관한 규정이 보편적인 헌법사항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것은 문화의 속성상 국가의 문제로 보기보다는 사회의 자율성문제로 보는 시각이 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국민의 경제적 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향후 문화가 인간다운 삶의 핵심적 내용으로 포함되게 되면 국가의 문제로 대두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시각을 지양하고 이에 대비하여 바람직한 문화헌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문화헌법개정방안으로 헌법 전문이나 총강규정에 문화국가원리를 신설하는 방안과 기본권장에 문화권을 별도로 규정하는 방안을 각각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on the cultural articles of the Constitution, namely the Cultural Constitution, and it has been examined in a comparative constitution and proposed a revised cultural constitution. The Cultural Constitution is classified into national objectives, basic rights, and general regulations. As economic standards rise and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increases, interest in basic cultural rights is reflected more actively in the revision of the Cultural Constitution. The state goal articles are divided into types such as emphasizing traditional culture or ethnic culture, and emphasizing cultural diversity. The content seems to reflect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in terms of promoting traditional culture and promoting cultural diversity. There were relatively few cases where basic rights were prescribed for culture. This is because, under the influence of the basic rights system that emerged from the Constitution of modern constitutionalism, the articles on culture are not considered universal. Also, this may be because the nature of culture makes people see it as a social issue rather than a national one. As the people`s economic level increases and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increases, in near future, culture can become a national issue if it is included as a core part of the right to live a human life. It is high time that we should avoid the traditional view on culture and prepare for a desirable revision proposal of cultural constitution. As a way to revise the Korean Cultural Constitution, the writer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cultural constitutional principle in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or the general provision of the Constitution, and an independent provision for the basic rights of culture.

      • KCI등재

        「불함문화론」을 통해 본 한국문화론 읽기의 시각과 방법

        이선이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4 비교문화연구 Vol.71 No.-

        This article aimed to explore the perspectives and methods of reading the discourse of the Korean culture. It points out that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a product of modern society, has not been the subject of full-scale research and raises the need for further study. It also explores the perspectives and the methods of reading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focusing on the "Bulham cultural theory", which is considered the origin of modern discourses of Korean culture. The main points of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by which "Bulham cultural theory" is displaced in the process of discursive practice. It emphasizes that reading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must capture the nature of the discourse itself,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discursive terrain, as well as critically reconceptualize the readings imposed by the nation-state regime. Reflective reading, which closely traces the practices and effects of the discourse, refers to a perspective and method that encompasses such multilayered reading. Second, this study discusses how to recognize the desire for cultural universality and singularity projected in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and the comparative cultural methodology that embodies it.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fact that singularity and universality are desires generated by the nation-state regime and problematizes the concept of mediative universalism or universal universalism. The ethics of comparative culture is to distance oneself from nationalism and imperialism. Furthermore, reading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requires a dialogic perspective and methodology with other cultures, whilst paying attention to the historical changes in culture. Finally, I suggest that a postmodern perspective, free from the shackles of nation and ethnicity, is necessary for reading the discourse of Korean culture to have a creative freshness and socio-cultural value. 이 글은 한국문화론 읽기의 시각과 방법을 모색하는 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먼저, 여기서는 근대의 산물인 한국문화론이 본격적인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음을 지적하고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다음으로, 근대적 한국문화론의기원으로 평가되는 「불함문화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론 읽기의 시각과 방법을 모색하였다. 주된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함문화론」이 담론의실천 과정에서 변위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문화론 읽기는 담론자체가 갖는 성격을 포착하고 담론의 지형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동시에 국민국가체제가 강요하는 독법을 문제적으로 재인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담론의 실천과 효과를 면밀하게 추적하는 성찰적 읽기는 이러한 다층적 읽기를 포괄하는 시각과 방법을 지칭한다. 둘째, 한국문화론에 투영된 문화적 보편성과 고유성에 대한 욕망과 이를 구체화하는 비교문화 방법론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고유성과 보편성은 국민국가체제가 야기한 욕망이라는 점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매개적 보편이나 보편적 보편주의라는 개념에 담긴 문제의식을 환기하였다. 또한 비교문화의 윤리가 민족주의나 제국주의로부터의 거리두기라는 점을 강조하고, 한국문화론 읽기에는 문화의 역사적 변화에 주목하면서 타문화와 대화적인 시각과 방법이 요구된다는 점을 초점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문화론 읽기가 창조적 신선미와 사회문화적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국가와 민족이라는 족쇄로부터 자유로운 탈근대적 시각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본 김동리 문학: 「까치소리」와 <쉘부르의 우산(Les Parapluies De Cherbourg)>을 중심으로

        이채원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works by Kim, Dong-Lee, in the respect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The texts of analysis are The Chirrupper Of A Magpie and The Umbrellas Of Cherbourg. The Chirrupper Of A Magpie by Kim Dong-Lee has many archetypes, symbols and motives, so there are many aspects to see in the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First of all, the two texts share with the motives that are war, love, parting and meeting again, the force of destinies and so on. Also the two text share with the sympathy of a tragedy. But the feelings of tragedy of the two texts are fairly different. The Chirrupper Of A Magpie is related to the thought of shamanism which relates the chirrupper of a magpie with the drive of death. As a result, at the end of the text, actually a murder which is related to the chirrupper of a magpie had done by Bong-Soo, the main character. The murder is explained not by the logical cause and effect but by the thought of shamanism and character-narrator's narration. Otherwise, The Umbrellas Of Cherbourg doesn't pursue the zenith of a tragedy. It is ruled by real principle, also it pursues the esthetics of moderated grief. The Chirrupper Of A Magpie is a fiction which is narrated by a first person narrator, otherwise The Umbrellas Of Cherbourg is a musical film. So the differences of media make the difference of the esthetics and the heartstrings' horizon of readers and audiences. The external images have a large territory of uncertainty, so the analogical inference of the images' meanings are due to audiences. But every character of The Chirrupper Of A Magpie is represented by the narration of Bong-Soo, the first person narrator. It is not a real but a figure which is existed in a each notion. Kim Dong-Lee has known for not only Korean's features but also universality of the archetypal thoughts. But there are few studies to see the works by Kim Dong-Lee in the respect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So this thesis is the first step to see the works by Kim Dong-Lee in the respect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hat to see the literature as it is in the boundary of culture including history, philosophy, society and so on. Knowing the cultural differences of between the Korean War and The Battle Of Algeria enriches the meanings of the two texts. 김동리의 작품세계에서는 현실세계에 대한 절망적 인식과 초월적 힘 앞에서 패배하는 인간의 왜소함이 많이 드러난다. 김동리는, 인간의 힘을 과신하고 진보를 낙관한 근대적 사유의 반대편에 섰으며 또한 한국적 사유와 문화에 천착했다. 그리고 한국적 사유와 문화에 대한 천착은 세계문학 속에 한국 문학을 위치 짓고자 하는 열망으로 연결되었다. 김동리가 세계문학 속의 한국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증명해보고 싶어 했다면 여기서 필요한 것이 비교문학 그리고 비교문화 관점에서의 연구이다. 그리고 그의 작품들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신화적 상징과 원형들은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연구할 때 이전까지의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의미들을 풍부하게 드러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지금까지의 연구와는 다른 시각에서 김동리의 작품 세계를 분석하고자 하며, 분석 대상 텍스트는 김동리의 대표작 중 하나인 「까치소리」(1966)와 자크 드미 감독의 프랑스 영화 <쉘부르의 우산>(1964)이다. 두 텍스트는 동시대 다른 문화에서 배태된 작품들로서 유사한 모티프와 상징들을 공유한다. 또한 두 텍스트 모두 유사한 소재들을 통한 비극적인 정서를 담고 있으면서도 비극의 질감과 밀도가 매우 다르며 전혀 다른 결말을 향해 갔다. 본 논문에서는 소재와 모티프와 주제적 유사함 그리고 동시대라는 배경으로부터 이러한 차이를 만드는 텍스트 내적 요인들과 더불어 그 기반이 되는 문화적 차이를 고찰하려 했다.「까치소리」에서 주술적 속신으로 상징되는 초자연적 힘 앞에 패배하는 인간의 모습이 형상화 되어 신화적인 세계관을 구축했다면, <쉘부르의 우산>에서는 합리성에 근거한 타협이라는 현실적인 세계관을 형상화 했다. 그리고 이런 차이의 기반에 작가와 감독의 세계관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 세계관은 동시대 한국과 프랑스의 다른 문화적 맥락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본론의 2장에서는 모티프와 주제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했으며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점이 형성하는 각각의 텍스트의 세계관을 고찰했다. 또한 3장에서는 매체와 장르의 다름에 따른 서술기법의 차이와 그로 인해 파생되는 미학의 스펙트럼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텍스트의 내재적 차이뿐만 아니라 텍스트와 상호영향 관계에 있는 문화적 맥락을 보다 정치하게 드러낼 수 있었고, 김동리 문학을 비교문학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었다. 「까치소리」에서는 거대한 운명의 힘 앞에 처절하게 패배하는 인간상이 형상화 되었고 그 비극적인 결말을 이끌어낸 가장 시초의 근원은 한국적 속신에 있었다. 따라서 그것은 근대적 의미에서의 인과관계 논리와는 상관이 없다. 한국의 60년대는 근대화와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였으나 지나치게 빠른 근대화와 산업화는 문화지체현상을 가져왔으며, 사람들의 의식은 전근대와 근대의 과도기에 머물러 있었다. 작가 김동리는 의도적으로 근대성에 저항했으며 그것은 한국의 신화적 상상력을 찾아 고대로 회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반면 60년대 프랑스의 지성들은 자유주의의 물결 속에서 진보에 대한 낙관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표출하고 있었다. <쉘부르의 우산> 역시 전쟁이라는 시대적 배경에 의해 희생되는 인간 개인의 슬픔과 고통이 스며들듯이 형상화 되었지만 전반적인 분위기...

      • KCI등재

        비교문학 관점에서 본 설화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의의와 가치 연구 - 한국, 베트남, 우즈베키스탄의 흥부놀부형 설화를 중심으로

        이가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2

        Folktale is an important literary genre that contains cultural elements such as common values ​​and lifestyles of a nation. In particular, the comparative literary approach to folktales common to many countries is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folktales, as well as the literary origin and homogeneity of folktales in each country, Do. Recently,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foreigners staying in Korea.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and understand the culture of a country in order to acquire the language of a country well, because language and culture are inseparable. Therefore, interest in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literary sanctions is increasing, and studies about it are accumulat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s a task that should be preceded for cultivation of Korean ability and adaptation to life in Korea not only for Koreans but also for foreigners. The folktale is a universal archetype and universality of the human race. It is a story that the masses co-created and enjoyed,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tory is simpl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n 'Heungbu and Nolbu'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lktales of other countries similar to 'Korea's representative tale' Heungbu and Nolbu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Heungbu and Nolbu' in Korean culture education.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the number of Korean residents in Vietnam and Uzbekistan have increased recently. Therefo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lktales of Vietnam and Uzbekistan with Korean folktales, we tried to grasp the tales of folk tales such as tradition and creative literature through the spoken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t is aimed to clar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literatures of various countrie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folktales an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Korean folktale education. The stories that are common in many Asian countri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central themes are common, universal objectivity, so they can easily relate to each other, but they also reflect different values ​​and specific cultures in different countries. The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of folktale is advantageous in that it promote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accepts it more easily based on commonality with its own culture. It is meaningful that differences provide cultural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이 연구는 문학의 모태가 되는 설화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설화는 한 민족의 공통적인 가치관과 생활양식 등의 문화적 요소가 담겨 있는 중요한 문학 장르이다. 특히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광포설 화에 대한 비교문학적 접근은 각 나라의 설화가 가진 문학적 원형성 및 동질성과 아울러 한국 설화에 나타난 문화적 특징과 독자성을 파악하게 하여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게 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최근 한국어 학습자와 국내 체류 외국인의 증가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 나라의 언어를 잘 습득하기 위해서 그 나라의 문화를 알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언어와 문화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에 문학을 제재로 하는 한국어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그에 관한 연구들도 누적되고 있다. ‘지구촌’이라는 말처럼 현대 세계는 문화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활발한 교류 양상으로 보이며, 단일민족으로 구성되었던 대한민국도 더 이상 단일민족 국가가 아닌 현실에서 다문화적 이해는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한국어 능력 배양과 한국 생활 적응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설화는 인류보편적인 원형성과 보편성을 지니며 대중이 공동 창작하고 향유한 이야기로서 이야기의 서사구조가 단순하므로 외국인 학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설화인 ‘흥부와 놀부’와 비슷한 이야기 체계를 보이는 다른 나라의 흥부놀부 유형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흥부와 놀부’에 나타난 한국문화의 특징과 아울러 이를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에서 ‘흥부와 놀부’의 설화적 의의 및 가치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학습자 수와 체류지 수가 증가한 두 나라, 베트남과 우즈베키스탄의 설화를 한국 설화와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음성언어를 통한 전승과 창작 문학이라는 설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나라 문학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관련성을 밝히며, 한국 설화의 특성과 독자성을 확인하여 설화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의의와 가치에 대해 밝히고자 한 것이다.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광포설화들은 중심 주제가 공통적으로 드러나 보편성 객관성을 지니므로 쉽게 공감할 수 있으면서도 나라별로 가치관과 구체적인 문화가 반영되어 변별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설화가 가진 이러한 보편성과 특수성은 자문 화와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증진시키고 보다 쉽게 수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장점을 지니며, 아울러 차이점들을 통해 문화적 상대성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문화에 대한 각성과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옥조 제품 차이점에 대한 비교 연구 : 춘천옥조와 남양옥조를 중심으로

        구연(Kou, Yan),김동욱(Kim, Dong Wook)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3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two countries have close relations in political, economic, historical and cultural fields. Although the relationship has become close, each has developed its own unique ide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social contexts. Jade culture is the essence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the precious treasure of human civilization. Nanyang jade carving i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jade carving culture, and it is the materialized form and image carrier of Nanyang culture. It is not only the product of Nanyang culture, but also the contents and components of Nanyang culture. Korea is also influenced by the special period culture of the Han Dynasty and has a jade culture of 2,000 years. In this paper, the jade carving products of Nanyang and Chunchuan are studied, and the related data are analyzed by document analysis, comparative analysis and product empirical analysis. First, this paper describes the cultural development and current theory of jade carvings in Hanzhong, then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jade carvings market and probes into the background of their creative phenomena. Secondly, from the point of view of system, culture, thinking and aesthetics, we organize the concept of jade modeling. The third chapter of this paper analyzes the expression, shape, color, pattern and sculpting techniques of jade carvings in Chunchuan jade and Nanyang jade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nd to draw a conclusion. In the design of jade carvings, we should give up the traditional design and design products that can enhance the value added of jade carving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Combining the frequency analysis data of jade carving pattern, shape, color, etc., we should design the creative products of tourism culture that consumers like.Take the road of marketization, commercialization and fashion of jade carving tourism and creative products, and promote cultural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China. 한·중 수교 이래로 두 나라 간의 정치, 경제, 역사, 문화 등 방면에서 모두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비록관계는 밀접해졌지만 다른 사회배경 아래에 각자 독특한 의식형태(意识形态)와 문화특징을 형성하였다. 본 논문은 남양(南阳) 옥조제품과 춘천(春川) 옥조제품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문헌분석법, 비교분석법과 제품 실증분석법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옥조제품 조형(造型)예술표현의 형식과 조각기법 등 방면에 분석을 진행하고 관련 데이터 정보를 통계 및 정리한다. 창작소재, 문화표현, 장식문양(装饰纹样), 등을 통해 양국의 옥조문화 및 조형예술 표현방식의 동질성과 차이점(差异性)을 분석한다. 우선, 본 논문은 한·중 옥조의 문화발전 및 현황에 대한 이론에 대해 기술한다. 그리고 옥조시장의 현황을 분석 연구하여 그 창작현상의 배경을 탐구한다. 다음으로 체제별, 문화별, 사유별, 심미적으로 옥 조형성에 대한 조형 관념을 정리한다. 춘천옥과 남양옥은 옥석이 다른 클래스에 속하며 옥석이 성분, 색깔, 재질에 차이가 있음을 밝힌다. 논문의 3장은 춘천옥과 남양옥의 옥조제품의 표현내용, 조형적 특성, 색채, 문양, 조각기법을 분석하여 양자의 동일성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분석하여 결론을 낸다. 옥조각 디자인에서는 단순한 전통 디자인을 버리고 시대의 특색을 반영한 옥조각의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문화적인 요소를 반영한 제품을 고안해야 한다. 옥 조각품 문양, 형태, 색채 등의 빈도 분석 데이터를 결합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관광문화 아이디어 상품을 고안하여야 한다. 옥조각 관광문화 아이디어 상품을시장화와 상품화, 그리고 패션화의 길을 가며, 한국과 중국 양국 간의 문화 발전을 촉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