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문화콘텐츠학(學)의 도입타당성에 관한 연구 -대림대학을 중심으로

        정수연 ( Soo Yun Ch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21세기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시대이다. 무형의 아이디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산업이 매우 중요해졌다. 문화콘텐츠 산업은 원소스 멀티유즈 특성 때문에 하나의 제대로 된 소스만 있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막대한 부가가치와 이윤을 창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인간의 감성, 상상력, 창의력을 新 성장 동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고 세계 각국은 막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시대에서 대림대학은 현행 교양 과정에 편성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관련 교과목을 발판으로 새로운 발전 방안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시급히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문화콘텐츠學의 도입 타당성에 대해를 고민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의 문화콘텐츠學은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매체의 지속적 출현으로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면서 빠른 속도로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들을 중심으로 발전해나가고 있고 기존 학문의 활용론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물질적인 가치를 최우선적으로 하며 문화콘텐츠의 전 분야를 폭넓게 이해하고 기획, 개발, 제작, 판매 등 전문지식 습득과 현장 경험으로 실무적인 능력까지 갖추도록 방향을 잡고 있고 이러한 것들이 가능한 한국문화콘텐츠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림대학은 현행의 문화콘텐츠 과정을 전반적으로 사회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확대 및 개편해야 하는 필요성이 매우 크다. 대림대학의 발전과 이미지 고양을 위한 과정으로 내부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데 문화콘텐츠를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해야 하며 다양한 분야의 문화콘텐츠를 對人과 對社會의 네트워크 창구의 역할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미 대림대학에는 문화콘텐츠 과정의 설립 인프라가 상당한 규모로 구축되어 있고 문화콘텐츠 분야가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미래의 희망직업으로 선호도가 매우 높으므로 국제적인 경쟁력 강화에 문화콘텐츠는 상당히 효과적이다. 특히, 안양을 중심으로 서울 및 수도권의 문화콘텐츠 관련 기업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교류할 수 있으므로 문화적인 기회 제공과 취업 연결에 유리하며 충분한 부가가치 형성과 학교 內 전공 교과 과정 각각의 융합과 통합을 위한 중핵(重核)의 역할도 가능하다. 즉, 문화콘텐츠 과정은 다양한 학제 간 통합으로 실무교육 성과를 100%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분야에 관련해 정부의 특성화 대학 선정 등의 기회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대림대학은 국가 핵심 산업인 문화콘텐츠 산업이 주는 이익과 혜택을 제공받고 공유하면서 나름대로의 이익과 고용을 창출해야 한다. 따라서 대림대학이 문화콘텐츠學을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밑바탕을 잘 마련해야 하고 직업 전문 교육의 메카로 최근의 트렌드 변화를 무리 없이 소화하는 여력이 매우 중요하다. 대림대학의 문화콘텐츠學의 도입은 타당한 의무이자 사명이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산업에 적응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시급히 양성해야 하는 것이 무한한 책임이다. 그러므로 대림대학은 문화콘텐츠 활성화를 통해 고부가가치와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최상의 조건에서 문화콘텐츠 학과 개설 또는 교양과정 內 문화콘텐츠 과정의 활성화 추진 그리고 기존 학과와의 상호 협력 연계 전공 설치라는 3가지 현실적인 대안에서 가장 현명한 선택을 반드시 해야 한다. 한국은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이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21세기 한국 경제를 이끌어 나갈 주력산업으로 급성장하면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수요와 시장의 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반면에 전문 인력과 교육기관도 미비하고 부족한 실정이다. 대림대학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3가지 대안 중 우선적으로 학과 개설을 선택하여 본격적으로 제대로 된 문화콘텐츠學을 교육하고 제대로 된 교육기관으로서 확고한 비전으로 교수진을 확보해서 문화콘텐츠의 각 분야별로 전문 인력을 양성해서 국가 핵심 산업인 문화콘텐츠 산업을 주도해 나가야 한다. 학과 개설이 불가피한 경우 2가지 대안에서 현명한 차선의 선택을 해서 적극적으로 추진해내가야 한다. 그것이 대림대학의 방향성이자 목표의식이다.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idea of intangible cultural content and knowledge-based industry has become very important. One Source Multi Use cultural content industry because of the nature of a source only if the right value and enormous wealth in different areas are not profitable. And human emotion, imagination, creativity and firmly established itself as a new 新 growth and around the world without a huge investment and is willing to support. DAELIM University College in an era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current general education courses are organized in a culture of content-related course as a springboard to establish a new development plan to respond proactively has become an urgent necessity. In this regard, the int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feasibility studies have to worry about the need to see you. Latest in the Digital Age of Culture Content continual emergence of new media content,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emphasized dramatically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mainly related subjects through them and study in the application of existing capitalist society, the highest value of the material shipped As the culture content in all areas of broad understanding and planning, development, production, sal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field with practical skills to equip the direction of holding, and these things are possible Korea Culture and Content industries to lead core workforce is focused on. Cultural content related subjects in school a total of 28 departments and 27 colleges gyeongmin College, Shingu College, Chang`an College, Hallym Mary College, etc. In this respect, the current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urse content reflects the general trend in society towards the need for expansion and reform is very high. DAELIM University College for the development and image enhancement process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internal cultural content and the ways and means to utilize the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society towards people with a network to enable the role of office shall be. The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ntent courses already established a substantial infrastructure is built to scale, and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the future hope of favor as a profession is very high, so tha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s quite effective on the cultural content. In particular, by Anyang and Seoul and the metropolitan center of culture-related businesses can interact and work closely with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cultural connections, and sufficient added value to the formation of glass and majors in school for each core of th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role is also available. In other words, a variety of interdisciplinary courses integrating cultural content in 100% hands-on training can improve performance. And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zation of the government the opportunity to obtain college selection and the core industries of the country, so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provide benefits under a profit sharing and creating their own interests and employment should be. Therefore, two Culture Content DAELIM University College effectively implemented by introducing a systematic basis in order to prepare well and vocational education as a mecca of the latest trends that have the ability to digest a smooth change is very important.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e Content of the introduction of the duty and mission is a valid. And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can adapt to the urgent need to train professional staff is responsible for that space. Therefore, the cultural content through the activation DAELIM University College profit to enable value-added and in excellent condition and cultural content, open or liberal arts subjects in the active promotion of cultural content, process and cooperation with existing Department of linking the three kinds of major installation at a realistic alternative should be the wisest choice. Korea recently developed cultural content industry with digital technology will lead the 21st century economy, major industries in Korea, while fast-growing demand for cultural content and have greatly increased the size of the market. In contrast, the lack of professional staff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re insufficient. DAELIM University College Given these realities, the three kinds of alternatives to select the first department to open in earnest with the right training Culture Content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a clear vision to make the cultural content of professors specializing in each field staff positive and led the country to get out of the core industries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Open University in the inevitable alternative to the two kinds of wise and actively pursue the next best option is to go done. DAELIM University College It is the sense of the direction and goal.

      • KCI우수등재

        문화콘텐츠연구의 방법론 설정을 위한 시론

        임대근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4

        For the past 20 years, cultural contents studies have dealt with cultural contents as Langue and Parole. This article argues that cultural contents as Langue or Parole should be viewed as a ‘whole’ and a series of flows. Cultural contents studies lie on the historical flow of science since modern times. It is a concept that follows cultural anthropology that liberates the concept of culture geographically and transversely and the cultural studies that liberates class and longitudinally. The term of ‘contents’ emerged after work-text-media and became a concept representing the 21st century. Cultural contents studies began by encompassing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order to discuss the methodology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teraction of the object, purpose, and the subject of studies. The objects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are cultural contents as Langue and Parole. Cultural contents is a broad concept encompassing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Narrowly, it refers to specific individual or plural products presented as a result of planning and production. Cultural contents studies are not a discipline, but should be conducted as inter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studies. The setting purpose of studies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ject of studies. Academia should set the final task for the cultural contents studies. First, it should be no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of cultural contents as Langue and Parole of various forms and genres. Second, cultural contents should constitute the context of production and reception within the contemporary category. Third, cultural contents should explore how to reproduce cultural resources contemporary. Fourth,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as Parole produc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ultural contents. Fifth, cultural contents studies should utilize the experiences of various disciplines in the 20th century that existed in the form of divisions in a transdisciplinary way. 지난 20년간 문화콘텐츠연구는 랑그로서의 문화콘텐츠, 파롤로서의 문화콘텐츠를 다루어왔다. 이 글은 랑그 또는 파롤로서의 문화콘텐츠를 ‘전체’이자 일련의 흐름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런 바탕 위에서 문화콘텐츠연구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문화콘텐츠연구는 근대 이후 학문의 역사적 흐름 위에 놓여 있다. 그것은 문화 개념을 지리-횡단적으로 해방한 문화인류학과 계급-종단적으로 해방한 문화연구를 이어 나타난 개념이다. 또한 ‘콘텐츠’는 작품-텍스트-미디어에 뒤이어 출현하여 21세기를 대표하는 개념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문화콘텐츠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과를 포괄하는 학제적 연구의 형식으로 시작되었다. 문화콘텐츠연구의 방법론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 연구목적, 연구주체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아야한다. 문화콘텐츠연구의 대상은 랑그와 파롤로서의 문화콘텐츠다. 문화콘텐츠는 광의적으로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수용을 아우른다. 협의로는 기획과 제작의 결과로서의 제시된 특정한 개별적 혹은 복수적 생산물을 일컫는다. 문화콘텐츠연구는 분과학문이 아니며, 학제적 연구, 초학제적 연구(transdisciplinary studies)로서 수행되어야 한다. 연구목적의 설정은 연구과제와 긴밀히 관련된다. 학계는 문화콘텐츠연구의 최종 과제를 설정해야 한다. 첫째, 문화콘텐츠[langue]의 원리와 다양한 형태 및 장르의 문화콘텐츠들[parole]의 관계에 주목해야 한다. 둘째, 문화콘텐츠를 동시대적 범주 안에서 생산과 수용의 맥락으로 구성해야 한다. 셋째, 문화콘텐츠가 문화자원을 어떻게 동시대적으로 재생산할 것인지에 관해 탐구해야 한다. 넷째, 문화콘텐츠의 원리에 따라 생산된 파롤로서의 문화콘텐츠가 갖는 구조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다섯째, 문화콘텐츠연구는 분과의 형식으로 존재했던 20세기의 다양한 학문의 경험을 초학제적으로 원용해야 한다.

      • KCI등재

        지역문화콘텐츠의 장기 지속을 위한 인력 양성 방안

        김광욱 ( Kwang Wook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0 어문론총 Vol.53 No.-

        Although the term of ``cultural contents`` has been used over 10 years in human studies including Korean literature, there are still many people who ask back what ``cultural contents`` are. Looking back on the point when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s began to be combined, we can find that there was mutual cooperation between academic and industrial circles having expectation that it would help solve each other`s difficulties. In the beginning, academic discussion was mostly the type of reporting cases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however, since there was no proper methodology then, it was just basic-step discussion to grope for better methodology by sharing their trial and error through case report. Yet, this was just mere basic-step discussion, but the ultimate goal is to generalize or theorize individual problems found in each case or draw a structural system from it. Now is about the time for us to move our focus of discussion to more macroscopic and structural problems in order to find out ways to produce high-quality cultural contents. If literature does not include cultural contents as its study area temporarily, it is needed to grope for measures to continue the cases to make literature as cultural contents longer. This article has examined what university should do in order to foster an environment that can develop local cultural contents consistently in the industry of cultural contents. Largely, it can be summed up as education, research, and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social entry. This paper suggests several measures such as educational processes to cultivate expert manpower, research to excavate materials to produce high-quality local cultural contents, and cooperative networks between industrial and academic circles to supply export manpower favorably. However, the measured suggested in this paper are based on limited experiences of some universities, so this discussion exhibits a clear limitation. There could be difficulties in applying those measures to other universities as they are for expansion, and sometimes, such consideration itself may not be impossible. This needs to be regarded as trial an error and continue to be modified and complemented for improvement. It is thought that such process itself is the course to establish sustainable infrastructure for local cultural contents. To point out problems in universities, this study chose as the subject of criticism ``the storytelling contest``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a little distant. It is quite a safe method for a university to maintain some distance from a local autonomous entity or a company and shoot an arrow of criticism in the name of commercialism or administrative opportunism. However, to do so, the situation is not very favorable in the inside or outside of universities. The field that can provide substantial support from theoretical perspectives should be aided aggressively. ``Culture`` is not something that can change with an individual or a field but an area requiring far stronger mutual cooperation since ``cultural contents`` ranging over the area of industry. Even though businesse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to revive their local culture seem bureaucratic and ineffective or companies related with cultural contents look tinged with commercialism, it may be the time to regard them considerately as partners generating culture that can give impression and happiness to the public living in this era.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문화컨텐츠 소비에 대한 촉진 및 저해요인의 분석

        윤성준(Yoon, Sung-joon),목옥한(Mu, Yuha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및 국제화자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문화/국제화 자본이 문화컨텐츠 소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와 심리적 거리감과 자국중심주의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3국의 경쟁우위전략을 발굴하려고 목적하였다. 국가별로 대표적인 문화컨텐츠로 한국의 드라마, 중국의 영화,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자본, 사회자본, 국제화자본,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에 일본>한국>중국의 순서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국제화 자본과 심리적 거리감은 3국의 문화컨텐츠 소비에 일관적으로 유의한 긍정과 부정적 영향력을 각각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중일 문화컨텐츠 공통적으로 국제화자본이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행사하였고, 심리적 거리감이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l. For this purpose, through a survey of respondents from Korea, Japan, and China, we verified whether the three capitals positively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and ethnocentrism negatively impact the consumption. And then we sought to deriv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of the three countries. As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by country, we chose Korean drama, Chinese movie, and Japanese anima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Japan led Korea and China in terms of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Next, we found that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enty had a significant psotive and negative impacts, respectively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Finally, we found that globaliz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mpact, while psychological distance exerted themost negative impact on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across the three countries.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및 국제화자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문화/국제화 자본이 문화컨텐츠 소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와 심리적 거리감과 자국중심주의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3국의 경쟁우위전략을 발굴하려고 목적하였다. 국가별로 대표적인 문화컨텐츠로 한국의 드라마, 중국의 영화,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자본, 사회자본, 국제화자본,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에 일본>한국>중국의 순서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국제화 자본과 심리적 거리감은 3국의 문화컨텐츠 소비에 일관적으로 유의한 긍정과 부정적 영향력을 각각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중일 문화컨텐츠 공통적으로 국제화자본이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행사하였고, 심리적 거리감이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l. For this purpose, through a survey of respondents from Korea, Japan, and China, we verified whether the three capitals positively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and ethnocentrism negatively impact the consumption. And then we sought to deriv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of the three countries. As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by country, we chose Korean drama, Chinese movie, and Japanese anima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Japan led Korea and China in terms of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Next, we found that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enty had a significant psotive and negative impacts, respectively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Finally, we found that globaliz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mpact, while psychological distance exerted themost negative impact on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across the three countries.

      • KCI우수등재

        문화콘텐츠 필수 요건으로서 3중 구조(의미·재미·심미) 연구

        이종현(Lee, Jong-Hyun)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7

        이 연구는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하나의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을 담는다. 문화콘텐츠학의 연구에 변별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문화콘텐츠가 지닌 특성과 가치에 기반 한 연구 방법론 정립을 시도한다. 문화콘텐츠의 여러 특성 가운데 체험의 세 가지 가치인 의미, 재미, 심미에 집중하여, 각각의 요소를 개념화하고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을 재고하였다. 먼저 의미 요소는 콘텐츠가 발생하게 된 의도와 그 안에 담긴 의미로서, 창작자 그리고 이야기와 관련하여 형성된다. 더불어 현 시대의 향유자들에 의해 해석되고, 시대에 따라서 변형이 가능하기에 동시대성을 지닌다. 재미 요소는 콘텐츠화의 단계에서 구축되는 것으로서 창작자의 구성력, 즉 스토리텔링과 표현 양식을 통해 구축된다. 심미 요소는 아름다움을 통해 정서적 울림과 사고의 확장을 발현하는 감성적 차원의 요소로서, 콘텐츠 내의 감각적인 이미지로 정의된다. 이상의 3중 구조의 각 요소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모형으로 도식화하였다. 문화콘텐츠 체험의 3중 구조는 문화콘텐츠를 향유하며 발생하 는 가치이자, 동시에 문화콘텐츠의 내적 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로 환원된다. 따라서 문화콘텐츠 3중 구조 모형을 통해 특정 문화콘텐츠의 내적 체계를 밝힐 수 있고, 창작 혹은 비평의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이는 이론과 실천의 영역을 관통하는 문화콘텐츠 분석과 창작의 방법론이 되는 것이다. 이처럼 문화콘텐츠 고유의 특성에 주목하여 연구하는 방식이 축적된다면, 문화콘텐츠학만의 학문적 정체성은 확고해질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contains the process of seeking one way to establish the academic identity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With the aim of securing discrimination in the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it attempt to establish a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cultural contents. Amo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 it focused on the three values of experience (significance, interest, aesthetic), conceptualized each element and reconsidered the possibility as a study methodology. First of all, the significance element is formed in relation to the creator and the story, which is the intention of the content to occur and the meaning contained in it. In addition, it is contemporary characteristic because it is interpreted by the enjoyment of the present period and can be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times. The interest element is built in the stage of contentization, through the constructiveness of creators, storytelling and expression forms. The aesthetic element is an emotional dimension that expresses emotional ringing and expansion of thinking through beauty, which is defined as a sensuous image within the contents. The factors that make up each element of the above triple structure are synthesized and schematized into a single model. The triple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experience is the value generated by enjoying cultural contents, and at the same time, it is returned as an elements that constitutes the internal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pecific cultural contents through a triple structure model of cultural contents and to use it as a means of creation or criticism. This becomes a methodology of cultural contents analysis and creation that penetrates the domain of theory and practice. If the method of studying cultural contents by paying attention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is accumulated, it is expected that the academic identity of cultural contents alone will be solidified.

      • KCI등재

        종교문화콘텐츠에 대한 또 다른 ‘종교학적’ 접근 -진각종의 문화사업을 사례로-

        우혜란 ( Hai-ran Woo ) 한국신종교학회 2018 신종교연구 Vol.38 No.-

        ‘문화콘텐츠’라는 용어는 한국에서 만들어진 신조어로 산업/경제 분야와 인문학분야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관련 사업이 확장된 한국사회의 특수한 모습을 보여준다. 필자는 현 시점에서 문화콘텐츠 개발사업에 인문학자들의 적극적 참여가 인문학 전체는 물론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신)종교연구에 어떤 학문적/방법론적 기여를 하였는지 되짚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종교문화콘텐츠’를 ‘공공재(公共財)’로 접근하는 기존의 시각은 종교연구의 방법론적 차원에서 적지 않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고 보인다. 그 결과 ‘종교문화콘텐츠’ 개발이나 연구는 해당 종교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외부자인 종교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어 왔으며, 그 활용방안 역시 이들에 의해서 제시되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종단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어떠한 구체적인 내·외적 조건에서 어떠한 종류의 문화콘텐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는 학계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의 신생 불교종단인 대한불교진각종(大韓佛敎眞覺宗)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문화사업을 살펴보고 그 연장선상에서 이들의 ‘진각문화콘텐츠’ 개발사업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종교문화콘텐츠 관련 선행 연구를 재고찰하였으며, 특히 기존 연구에서 사용되는 ‘(종교)문화콘텐츠’, ‘(종교)문화원형’, ‘민족종교 문화원형’의 개념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어서 진각종의 문화콘텐츠 사업을 포함한 문화사업의 현황을 기술하고, 이러한 사업을 추진하게 된 종단의 내·외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정부의 종교지원 정책을 다룬 것은 진각종이 문화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정부의 출자금은 결정적 역할을 하였으며, 이로서 국가가 경제논리를 앞세워 종교가 포진된 문화영역에 깊숙이 개입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The term ‘cultural contents’ (in the plural) is coined in South Korea and it is said that Korea Culture & Contents Agency used the term first in 2001. The word refers to cultural products with the concept of creating culture as ‘(media/digital) contents’. With the significant support of Korean government the related research projects have increased, in large part based on the common interests between economic policy of the state, and humanities which attempted to expand their research area in the face of ‘crisis of humanities’. Maybe it is time to reconsider what active participation of humanities scholars in those government projects brought about for the sake of humanities in general, and more specifically, religious studies. One major problem seems to be the common premise that religious cultural contents are public goods. As a result, the related researches were dominated by ‘outsiders’, i.e. religious studies scholars, while the latter suggested proposal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the usage of the contents. Even though Korean religions are more active these days in creating their own cultural contents, there is no academic debate on the issue yet, namely whic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moved Korean religions to pursue their own cultural contents. This paper starts with critical review of preceding research on the subject of religious cultural contents, focused on those concepts, ‘(religious) cultural contents’ and ‘(religious) cultural archtype’ which play key roles in the research. Next, taking Jingak-jong (f. 1947), a new Buddhist order, as an example, various cultural projects of the order (including creating ‘Jingak cultural contents’) are delineated. Furthermor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re explored which have driven the order to start a new cultural work/policy. Lastly, a collusive ties between Korean government and religious organizations is pointed out, while the former provides the latter enormous financial support in the matter of producing cultural (tourist) contents. It will show how deeply the state is involved in the field of culture/religion under the economic logics.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기능과 ‘사회콘텐츠’

        임대근(Daegeun L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8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term, cultural contents have given rise to the discourse of ‘humanities contents,’ addressing the need to articulate their own concepts. This term has become a pivotal aspect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fostering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such as humanities informatics, cultural industry and humanities, cultural technology and humanities, cultural archetypes and digital contents, humanistic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Wave, humanities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training, humanistic storytelling, urban regeneration and humanities contents, and digital humanities. These discourses serve as crucial core concepts for planning, explaining, and forecasting cultural contents. However, in the process of aligning cultural contents with humanities contents, the accomplishments of modern scholarship on culture have not been fully embraced. Cultural contents should inherit concepts and categories from art, culture in the social sciences, and popular art/popular culture in the interdisciplinary field, while also generating original categories. To achieve this, cultural contents should establish a discourse on ‘social content.’ To accomplish this, it is essential to first identify the functions of cultural contents, which encompass responsibilities for entertainment and play, information and knowledge, community maintenance, and the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 Social content leads us to perceive cultural con?tent as relationship-centered. This perception is possible because cultural content, unlike popular culture, is characterized by multiple productions mediated through platforms, simultaneous mediation, two-way distribution, and reversible enjoyment. Social contents constitute a subject-other discourse, with one of its vital functions being ‘care.’ Examples like Mr. Trot and Baby Shark highlight the potential of ‘caring content.’ This concept can be instrumental in expanding the role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ethics and sociality of ‘care’ acts. 문화콘텐츠는 용어의 태동과 더불어 자신의 개념을 충족해야 할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인문콘텐츠’ 담론을 만들어왔다. ‘인문콘텐츠’는 문화콘텐츠연구의 핵심 담론이 되었다. 인문정보학, 문화산업과 인문학, 문화기술과 인문학, 문화원형과 디지털콘텐츠, 한류의 인문학적 해석, 인문콘텐츠 교육과 인력 양성, 인문학적 스토리텔링, 도시재생과 인문콘텐츠, 디지털인문학 등 방계 담론을 형성했다. 이들은 문화콘텐츠를 설명⋅기획⋅전망하는 중요한 핵심 개념으로 작동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를 인문콘텐츠로 등치하는 과정에서 문화에 대한 근대 학문의 성과가 온전히 계승되지 못한 측면도 있다. 문화콘텐츠는 예술의 층위, 사회과학 층위의 문화, 학제적 층위의 대중예술/대중문화라는 개념과 범주를 계승하면서 또한 독창적 범주를 만들어 가야 한다. 이를 위해 문화콘텐츠는 ‘사회콘텐츠’ 담론을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문화콘텐츠의 기능을 확인해야 한다. 문화콘텐츠는 오락-유희 기능, 정보-지식 기능, 공동체 유지 기능, 문화유산 전승 기능 등을 담당한다. 사회콘텐츠는 문화콘텐츠를 관계 중심으로 사고하게 한다. 이는 문화콘텐츠가 대중문화와 달리 복수의 생산물이 플랫폼을 통한 매개, 동시적 매개, 양방향 유통, 가역적 향유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가능하다. 사회콘텐츠는 주체-타자 담론을 형성한다. 그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돌봄’이다. <내일은 미스터트롯>, <아기상어>는 ‘돌봄콘텐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 돌봄콘텐츠는 ‘돌봄’ 행위가 갖는 윤리성, 사회성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역할을 확장하는 중요한 개념이 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미디어 복잡성 시대의 문화콘텐츠학과 문화콘텐츠비평에 대하여

        김세익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6

        This article summarizes the reasons for the perspective that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cultural contents criticism should pursue in today's environment of the 2020s, where various media form a huge net and surround the daily life of the entertainer. While the areas of education, research, and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have been divided into humanities and practical perspectives, considerations on methodology and perspectives have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in the areas of criticism. Of course, there is a visible movement to respond to the need for "cultural contents criticism," such as the launch of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Criticism Association in February 2019, but it is true that there is still no agreed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is cultural content criticism." What should be the differentiation of cultural content criticism? In this era of media complexity, where narratives cross and link between multiple media, certain video contents exists on a huge field where only one cannot exist separately. Thanks to the complex contextual structure, single contents is gradually becoming hypercontextual in front of experienced audiences, revealing a fundamental distinction from previous generations of film critical thinking that looked at specific video contents as single contents and single media and attempted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at the level of messages. Considering the meaning of cultural contents and the differential research scope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that researchers have established from the beginning to the present, cultural contents studies in our era should strengthen its significance from this point, which is a critical and researcher perspective suitable for today's contents. 이 글은 다양한 미디어들이 거대한 그물망을 형성하며 향유자의 일상을 둘러싸고 있는 2020년대의 오늘날 환경에서 문화콘텐츠학과 문화콘텐츠비평이 추구해야 할 관점에 대한 사유를 정리한 논고다. 문화콘텐츠학의 교육·연구·창작 영역이 이처럼 인문학적 관점과 실용적 관점으로 나뉘어 연구되는 동안, 비평의 영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방법론과 관점에 대한 고민이 충분히 논의되지 않아 왔다. 물론 지난 2019년 2월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가 출범하는 등 ‘문화콘텐츠비평’의 필요성에 응답하는 가시적 움직임이 이뤄지고는 있으나, ‘문화콘텐츠비평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해서는 여전히 합의된 답안이 부재한 것이 사실이다. 문화콘텐츠비평의 변별성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미디어 복잡성 시대를 맞아 서사가 다중의 미디어 사이를 넘나들고 연계되는 작금의 이 시대에 특정 영상 콘텐츠는 그것 하나만이 별도로 존재할 수 없는 거대한 필드 위에 존재한다. 복잡다단한 맥락구조 덕에 미디어 이용 경험이 풍부한 수용자들 앞에서 점차 단일 콘텐츠들은 고맥락화하고 있으며 이것은 특정 영상콘텐츠를 단일 콘텐츠, 단일 미디어로 바라보며 그 안에서의 기승전결이나 그 안에서의 메세지 층위에서 해석과 비평을 시도하던 이전 세대의 영화 비평적 사유와는 근원적인 변별성을 드러내고 있는 지점이다. 문화콘텐츠의 의미, 그리고 문화콘텐츠학을 정립해온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연구자들이 정립해온 문화콘텐츠학의 변별적 연구범위를 고려할 때 우리 시대 문화콘텐츠학은 이 지점으로부터 존재 의의를 강화해야 하며 그것이 오늘날 콘텐츠에 맞는 비평적 시각이자 연구자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문화원형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화에 관한 연구

        임경호 ( Kyungho Lim ),김민경 ( Minkyung Kim ),윤준성 ( Joonsung Y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19 No.-

        문화원형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지 채 10년도 되지 않았다. 정부 주도의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 정책하에 문화원형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했으며, 특히 2002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우리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보면 전통문화를 소재로 하여 문화콘텐츠를 기획, 생산, 유통하여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나아가 우리나라의 장래를 이끌어갈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우리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시작한 지 6년이 지난 지금, 사업성과를 살펴보았을 때 그 평가는 긍정과 부정으로 엇갈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엇갈린 평가와는 별도로 그리고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과는 다른 방법으로 문화원형을 문화콘텐츠화 하여 대중 앞에 내어 놓는 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당장 소비되고 유통되는 형태가 아니더라도 전통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로 인해 문화체험의 기회가 확대됨에 따라 문화의 향유가 자연스럽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문화와 문화원형 및 문화콘텐츠에 대하여 개념적으로 살펴보고, 조선시대 회화, 근대 사진, 전통무용, 민속놀이 등의 전통문화를 소재로 제작된 미디어아트 작품 사례를 분석하여 문화원형의 문화콘텐츠화의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The Korea Culture and Content Agency`s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 Project` was initiated in 2002. This project is to provide digital content that is based on Korea`s unique cultural archetypal data. In other words, its goal is to produce digital content using various cultural archetypes such as the Korean history, tradition, folk, scenery, etc., which are usable for culture content industry. In the business field, however, the negative evaluation is compatible with affirmative evaluation.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digital content and the cultural archetype should be discussed, because cultural archetype is changed in the form of culture content, and digital content is prepared for the public. In this paper, I take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cultural archetype and cultural content, and discuss about methodology that the cultural archetype can be cultural content. As the methodology of making cultural content of cultural archetype, analyzing media art which used material of the painting and korea traditional dance in the Joseon Dynasty, the photograph in the era from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o modern age, and a folk play, etc. And the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method of making cultural content of the cultural archetype using new media.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민중의식과 변혁적 가치로의 실천방향

        김진형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1

        In traditional society, there are three major fruits of the culture in which people's consciousness is manifested: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and fruits based on people's revolution. As people's cultural contents in traditional society worked to increase the deficiency of actions based on people's consciousness when people's consciousness stayed in people's literature, th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regulated people's actions based on people's consciousness between the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and those based on people's revolution. It also reduced the excessive actions based on people's consciousness during people's revolution. Like traditional society, the culture in which people's consciousness is manifested or is in the process of coming to fruition in modern society has come to fruition in three major aspects. There are, however, differences in terms of mutual relations among the three fruits between modern and traditional societ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immediately led to the fruits based on people's revolution during Rhee Syngman's dictatorial regime. During Park Chung-hee's dictatorial regime, however, there were no fruits based on people's revolution. However, the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laid a foundation for th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During Chun Doo-hwan's dictatorial regime, the independent actions of college students led to th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between those based on people's literature and those based on people's revolution. Here, the functions of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worked to serve as a cultural movement for fruition based on people's revolution beyond those of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in traditional society. The Gwanghwamun Candlelight Culture Festival, which demanded Park Geun-hye's resignation, went beyond the patterns of mutual relations found in the three types of people's consciousness discussed so far since it solved massive social conflicts with the power of cultural contents by performing people's cultural contents faithfully while bearing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and people's cultural content freel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poses two basic directions to realize people's consciousness in cultural contents as transformative values: one is orientation toward cultural contents to keep human dignity alive rather than cultural contents to kill human dignity; the other is to push forward a cultural contents revolution to reorganize the three core bases of cultural contents, which are legal, management, and business based. When they are realized, the Ministry of Culture will certainly be able to implement a cultural contents policy based on its original duty of creating culture. 전통사회에서 민중의식이 발현된 문화가 맺은 결실은 크게 ‘민중문학적 결실’,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 ‘민중혁명적 결실’ 등 세 가지였다. 여기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은 민중문학적 결실과 민중혁명적 결실 사이에서 민중의 ‘민중의식적 행동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전통사회의 민중문화콘텐츠는 민중의 민중의식이 민중문학에 머물렀을 때 나타나는 민중의식적 행동성의 결핍을 상승시키고, 한편 민중혁명에 나타나는 민중의식적 행동성의 과잉을 하강시키는 기능도 했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에서 민중의식이 발현된 문화는 전통사회처럼 세 결실을 맺었거나 맺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세 결실의 상호관계를 보면, 전통사회와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먼저, 이승만 독재정권 때는 민중문학적 결실을 통해 바로 민중혁명적 결실을 맺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달리, 박정희 독재정권 때는 민중혁명적 결실을 맺지는 못했지만, 민중문학적 결실을 바탕으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을 맺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 작업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에 비해, 전두환 독재정권 때는 민중문학적 결실과 민중혁명적 결실 사이에 대학생들의 주체적인 행동으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을 맺었는데, 여기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의 기능은 전통사회의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의 기능을 넘어서는 ‘민중혁명적 결실맺음을 향한 문화운동’의 기능을 했던 것이다. 박근혜 퇴진 광화문 촛불문화제는 지금까지 논의한 민중의식의 세 결실의 상호관계 양상을 넘어선 것이다. 왜냐하면 민중문학적 결실과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을 자유롭게 맺어가는 가운데 민중문화콘텐츠의 충실한 연행을 통해, ‘문화콘텐츠의 힘’으로 거대한 사회갈등을 해결하는 기능을 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문화콘텐츠에 나타난 민중의식을 변혁적 가치로 실천하기 위한 두 가지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인간의 존엄성을 ‘죽이는 문화콘텐츠’가 아닌, 그것을 ‘살리는 문화콘텐츠’를 지향하는 것이다. 둘째로 문화콘텐츠의 3대 핵심기반 즉, 법률기반, 관리기반, 사업기반을 재편하는 ‘문화콘텐츠혁명’을 추진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문화창달이라는 문화부 본연의 임무로 문화콘텐츠정책이 운영될 수 있을 것이 자명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