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문화심리학의 연구방법 정교화를 위한 제언

        박혜경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지역과 세계 Vol.43 No.2

        Cross-cultural psychology has empirically shown the impact of culture on human mind and behavior. Despite such an achievement, however, some have pointed out problems of research methods in cross-cultural psychology and called for a higher level of sophistication in research methods of cross-cultural psychology. In this paper, three problems in research methods of contemporary cross-cultural psychology are addressed. These problems include: (1) an over-reliance on comparisons between two cultural groups, (2) an over-reliance on student samples, and (3) an excessive focus on finding differences (vs. similarities) across cultures, and cyclic explanations for the observed cross-cultural differences. Next, this paper shows what challenges these problems pose to the efforts to understand the human mind in the cultural context, and suggests ways to go beyond these challenges. 비교문화심리학은 문화가 인간의 마음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혀왔다. 그러나 이러한 학문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비교문화심리학 연구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더 높은 수준의 연구방법 정교화를 촉구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현 시점의 비교문화심리학이 안고 있는 세 가지 연구방법 상의 문제를 다루었다. 이러한 문제들에는 (1) 두 개의 문화 집단 간 비교가 주를 이루는 점, (2) 학생 표본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점, 그리고 (3) 차이의 발견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며, 관찰된 차이에 대한 설명이 순환적이라는 점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이 문화 속의 인간을 이해하려는 노력에 어떠한 도전을 제기하는지 밝히고, 이러한 도전을 넘어설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본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문화심리적 현상

        서양임,한재희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psychology of Japanese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and are rearing their children in Korea and to collect data for counseling with them and parental education. A total of 7 Japanese women who fit the above criteria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Each participant took part in two rounds of interviews an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s was conducted via Colaizzi's method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Accordingly, 115formulated meanings, 34themes and 14 theme clusters were dedu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atego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ultur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clude disillusionment and disappointment with married life, cultural alienation as an outsider, establishment of a cultural identity, perspectives on parenting methods through self-understanding and a desire for autonomy. Secondly, the participants' cultural psychological experiences during parenting derived from the differences they felt in Korea's family system, concerns about the overly competitive educational system, parenting conflict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and hostility towards Japan. Lastly, the cultural psychological adaptation phenomenon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during parenting encompasses their children’s acceptance of the Japanese culture, establishment of a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system, acceptance of the positive mother figure, co-parenting with their husbands and acceptance of the Korean culture. This study analyzed and presented the cultural psychology of married immigrant Japanese women during parenting from a counseling perspectiv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women with school-aged children were also presented. Lastly, this study highlighted the conflicts of adapting their parenting methods on an awareness of the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on a cultural psychological level. Consequently, another significant achievement of this study was preparing the basic data needed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intervention counseling which can contribute to easing the psychological pain of married immigrant Japanese women and helping them live better lives as a member of the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일본 결혼이주여성이 자녀양육에서 경험하는 문화심리적 현상의 본질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상담 및 부모교육의 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한국남성과 결혼하고 한국으로 이주하여 자녀양육을 경험하고 있는 총 7명의 일본여성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그 자료를 Colaizzi(2002)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15개의 구성의미, 34개의 주제, 14개의 주제군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심리적 특성’, ‘자녀양육의 문화심리적 경험’, ‘자녀양육 경험의 문화심리적 적응’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의 문화심리적 특성은 좌절된 결혼생활의 꿈, 이방인으로서의 문화적 소외감,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 확립, 자기이해를 통한 양육방식의 조망, 자율적인 삶에 대한 소망 등으로 드러났다. 둘째, 참여자들의 자녀양육을 통한 문화심리적 경험은 한국가족문화에 대한 이질감, 치열한 교육열에 대한 불안, 문화차이로 인한 자녀양육 갈등, 일본에 대한 배타적인 분위기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이 자녀양육에서 경험하는 문화심리적 적응현상은 자녀의 일본문화 수용, 심리사회적 지지체계 형성, 적극적 엄마역할 수용, 남편과 함께 하는 자녀양육, 한국문화 수용을 통한 소속감 등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첫째, 일본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자녀양육방식의 문화심리적 현상을 상담학적인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분석 기술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심리적 특성을 드러냈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이 한․일간의 역사인식 속에서 나타나는 자녀양육의 적응갈등을 문화심리적 차원에서 밝혀낸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이 심리적 고통을 극복하고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 점이 본 연구의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 있

      • KCI등재후보

        중국내 한류의 유형별 문화 후광효과에 관한 실증적 접근

        윤성준(Yoon, Sung-joon),양뤼(Yang, Rui),한희은(Han, Hee-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한국의 국가 이미지 및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의향의 관계를 연관시켜 접근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주요 목적은 한국문화를 세가지 유형(드라마,음식, K-pop)으로 분류하여 이들 문화별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한국의 제품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문화 후광효과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크게 세 개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문화적 거리감과 심리적 거리감)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직접적인 문화후광효과를 규명한다. 셋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를 통해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간접적 방식으로 문화후광효과를 야기하는지를 규명한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감과 문화적 거리감이 문화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심리적 거리감은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에 비해 문화적 거리감에서는 자국중심주의가 드라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하게 나타났고, 세계시민주의는 음식에 대한 태도와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음식에 대한 태도와 K-pop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드라마에 대한 태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는 문화태도와 제품 구매의향간의 매개역할을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중에서 음식에 대한 태도와 제품구매 의향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 구매의향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국가의 문화적 매력을 통한 문화후광효과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문화의 유형에 따라서 문화후광효과가 제품의 구매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국가이미지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주는 경로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Korean national image, and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s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concept of cultural halo eff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classified into drama, food, and K-Pop on national image of Korea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Korean products. Specifically, the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seeks to substantiate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ultur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nd Korean national image. Second, it verifie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has direct impact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us creating 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ird, it confirm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ffects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rough Korea’s national image, thus creating in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e result suggests that Chinese consumers’ cultural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ance had different impact on attitude toward culture and national image. Psychologic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s Korean food, K-pop, and drama and national image, whereas ethnocentricism, which operationally defined cultur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drama, while cosmopolitanism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food and national image. Also, attitudes toward Korean food and K-pop were found to affect product purchase intention, but not Korean drama. Finally, the national image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Korean food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result confirmed the presence of halo effects based on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impact of culture, national image,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differences due to the kind of national culture in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culture-specific halo effect.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한국의 국가 이미지 및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의향의 관계를 연관시켜 접근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주요 목적은 한국문화를 세가지 유형(드라마,음식, K-pop)으로 분류하여 이들 문화별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한국의 제품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문화 후광효과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크게 세 개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문화적 거리감과 심리적 거리감)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직접적인 문화후광효과를 규명한다. 셋째,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를 통해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간접적 방식으로 문화후광효과를 야기하는지를 규명한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감과 문화적 거리감이 문화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심리적 거리감은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에 비해 문화적 거리감에서는 자국중심주의가 드라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하게 나타났고, 세계시민주의는 음식에 대한 태도와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음식에 대한 태도와 K-pop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드라마에 대한 태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는 문화태도와 제품 구매의향간의 매개역할을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중에서 음식에 대한 태도와 제품구매 의향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 구매의향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국가의 문화적 매력을 통한 문화후광효과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문화의 유형에 따라서 문화후광효과가 제품의 구매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국가이미지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주는 경로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Korean national image, and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s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concept of cultural halo eff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classified into drama, food, and K-Pop on national image of Korea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Korean products. Specifically, the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seeks to substantiate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ultur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nd Korean national image. Second, it verifie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has direct impact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us creating 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ird, it confirm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ffects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rough Korea’s national image, thus creating in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e result suggests that Chinese consumers’ cultural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ance had different impact on attitude toward culture and national image. Psychologic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s Korean food, K-pop, and drama and national image, whereas ethnocentricism, which operationally defined cultur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drama, while cosmopolitanism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food and national image. Also, attitudes toward Korean food and K-pop were found to affect product purchase intention, but not Korean drama. Finally, the national image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Korean food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result confirmed the presence of halo effects based on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impact of culture, national image,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differences due to the kind of national culture in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culture-specific halo effect.

      • KCI등재후보

        문화콘텐츠 개발에 있어서의 문화심리학적 제언

        한민(Han Min),장수현(Jang Soo-hyeon)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10

        본 연구는 한류 지속을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있어서 상대 문화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까지 한류는 주로 일부 한류스타들에 초점을 맞춘 스타마케팅에 힘입어 지속되어온 경향이 크다. 그러나 각국의 자문화 보호 정책으로 좁아진 콘텐츠 시장과 콘텐츠의 품질보다는 스타의 지명도에 의존하는 저품질 콘텐츠의 양산으로 한류의 입지는 점차 좁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개발은 이전과는 다른 입장을 취할 필요가 있다. 즉 일부 한류 스타들의 영향력에 근거한 전략보다는 한류를 소비할 대상국들의 문화와 심리적 특성들을 이해하고 그들이 선호하는 바에 근접하는 문화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드라마 분석을 통해 그러한 문화콘텐츠의 개발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문화이해의 예를 제시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드라마 10편에서 일상적인 언어표현(칭찬에 대한 반응)을 추출하여 비교한 결과, 뚜렷한 패턴의 차이가 나타났고 그것을 문화심리학적인 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문화의 차이는 언어의 표현 및 감정의 질을 결정하며 문화콘텐츠에는 그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나라의 문화가 반영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드라마 분석의 예는 특정한 국가에서 특정 드라마가 더 인기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으며, 역으로 어떠한 나라 사람들의 특수한 심리를 잘 이해한다면 그들이 보다 선호하는 문화콘텐츠의 제작이 가능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mphasize understand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ther countries' people. People who consume cultural contents made by the other countries such as dramas tend to understand those contents by the criteria of their own culture. Every country has their own culture, and the diversity of cultures induce the differences of cultural values and emotions. The preferable cultural values or the particular way of experience emotions could be variable in many cultures. Researchers introduce a study conducted by content analyses with Korean and Japanese dramas to show such differences of culture bound psychology. 10 volumes of Korean and Japanese dramas televised in 2006, 2007 were selected and 150 pairs of verbal/nonverbal expressions such as responses to praise were extracted from dramas. Comparing analyses with the data were carried out by the cultural psychological theories. In summary, Koreans tend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for praises than Japanese because of difference of self construal. According to cultural psychological theories, Koreans have subjective selves and Japanese have objective selves. Needless to say, it might be true that the originalities of a country is very important to make cultural contents. But, if it possible to underst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certain country, we could make cultural contents for the people of that country easily.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he strategies of making cultural contents, and be an aid for lasting "Korean Wave" in the world.

      • KCI등재

        예술을 통한 심리정서의 지원으로서 문화교차학적 심리프로그램 개발 연구

        주미경,김동철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57

        This study is about the need to support psychology through art, and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psychology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spacial perceptive intelligence psychological program from the view of cross-culture. Ultimately, it studies why we need to support psychology, and what art can do help psychology and what support it needs to receive, through the relationships of other cultures. Since psychology from art is manifested by converging expressional psychological base and brain engineering in the psychological science, this study is including the clinical results of a space-perception psychological program regarding of whether a spacial perception intelligence help psychology in practice. As the minds of human-beings can sometimes be stable by different expressions,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ntexts of psychology of art in terms of cross-culture, and develop and apply in practical clinic a spacial perception intelligence psychological program for supporting psychology through art. From the results of the clinical tes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ross cultural psychology program has a superior value to the previous ones. This study focuses on why artistic expressions affect much psychology of human-beings and why it should be art what is for psychology. As clinical tools, the polygons, pictures, and colors are converged. It is found that by subjects continuously participating in this spacial perception intelligence psychology program, ultimately the artistic tools play affirmative role for human-beings feeing happiness. Through these substantial materials, it can be proved that either artistic tools or artistic activities affect psychology of a human-being, and also it is possible to propose a new model for a psychological stability program that can support artistic psychology.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pport of psychology through arts is necessary, and art can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psychological therapy as well as psychological stability. 본 연구는 예술을 통한 심리정서 지원의 필요성을 목적으로 하고 그에 따른 심리정서와 예술의 관계성을 문화교차학적 관점에서 공간지각지능 심리프로그램과 Dr.ssen ARTDADA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 분석한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예술을 통한 심리정서 지원이 왜 필요한지? 또한 예술이 타 문화와의 관계를 통해 심리적 정서에 어떤 도움을 주고 심리정서 지원을 받아야 하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예술의 심리정서는 표현심리학적 바탕과 정신과학적 뇌 공학이 융합하여 발현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공간지각지능이 심리정서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지 공간지각적 심리프로그램의 임상 결과를 포함시켰다. 즉 인간의 심리 정서는 다양한 표현에 의해서 안정되기도 하기 때문에 예술의 심리정서를 문화교차학적 관점에서 그 맥락을 짚어보고, 예술을 통한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공간지각지능 심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 과정에서 적용한 것이다. 임상 실험 결과 기존의 심리프로그램에 비해 문화교차학적 심리프로그램이 심리정서에 탁월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특징은 왜? 예술표현이 인간의 정서적 심리에 많은 영향을 주는지, 왜? 심리정서를 위한 것이 예술이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임상 도구로 그림과 도형, 색 등을 접목하였으며, 이러한 공간지각지능 심리프로그램을 내담자가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결국 예술적 도구가 인간의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긍정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증적 자료를 통해 예술적 도구든, 예술 활동이든 심리정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으며, 예술적 심리정서 지원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심리안정 프로그램의 모델도 제안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예술을 통한 심리정서 지원은 꼭 필요하며, 예술은 다양한 심리프로그램을 통해서 심리치료는 물론 심리정서 안정에도 상당한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에드워드 윌슨의 ‘지식의 대통합, 통섭’의 꿈

        이문웅 한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 2010 소통과 인문학 Vol.10 No.-

        It has been 35 years since the monumental publication of the Sociobiology: the New Synthesis by Edward Wilson. The book has evoked so much heated debates on the biological interpretation of sociocultural phenomenon, that is, nature vs. nurture. Starting from the evolutionary biology, the sociobiology tries to discern the genetic foundation of animal behavior of any kinds. There is no question about the genetic foundation, since the animal behaviors are the results of the evolutionary process, that is, natural selection or the survival of the fittest. Wilson’s sociobiology, however, goes beyond the non-human animal behavior, and claim that it can explain the human behavior, that is, human culture, too.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Wilson’s thesis. By culture Wilson did not identify whether he was talking about human culture in general or a specific culture. We all know that the human culture is the result of the long process of human evolution and constructed on the genetic founda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 human culture has been circumscribed by genetic composition of our species, homo sapiens sapiens. It is true that human being can not go beyond the limitation our genetic foundation permits. In this sense, we are one of the animal species, like any others. But this does not mean that we can explain the human behavior, or culture, in terms of genes. Although human culture is based upon our biological, or genetic, foundation, we see a variety of cultural expressions by ethnic groups, that is, cultural variations. How do we explain the cultural variations? The changes in genetic composition may take tens of thousands years through the human reproductive process, but some cultural elements change in short period of time, even within a generation. Thus cultural variation is one of basic attributes of human culture. There is no scientific evidence on any changes in genetic composition in connection with the culture change of a single ethnic group by time and place. On the other hands, we can find abundant evidences which might have affected to the changes in cultural forms. Both sociobiology and evolutionary psychology do not pay attention to the cultural variations, and yet claim they can explain culture. Edward Wilson has predicted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ould be able to exist as branches of biology, since the former are nothing but sociobiology for the primate of the species homo sapiens sapiens. There is no doubt that Wilson does not divide culture into human culture in general and a specific culture. It seems likely that Wilson think all the disciplines of mankind are concerned with the biological, or genetic, foundation of human behavior. This paper does not speak for all the disciplines, but cultural anthropology only. Cultural variations are of the major subject matters of cultural anthropology. Sociobiology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origin of culture, but little to do with the cultural variations.

      • KCI등재

        카지노 종사자의 조직문화 인식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이영란,장지현 한국유통과학회 2017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8 No.5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as antecedents to influenc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focusing on service workers of casino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question of each clan, adhocracy, market, and hierarchy culture that the workers perceive to influence their psychological empowerment. Thu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by empirical analysi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chose four domestic casino companies that are run only for foreigners. Using an offline survey, it analyzed the questionnaire data of the 249 surveys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in the sales and service sectors.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r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clan, adhocracy, market, and hierarchy. Dependent variables were four subcategorie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meaning,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As research methods, the study applied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 Amo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the clan and adhocracy cultures, which emphasize flexibility and autonomy, were relatively more important for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workers than the hierarchy and market cultures. Clan cultu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meaning and competence, and adhocracy cultu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However, the hierarchy and market cultures that pursue control and stability were also cultural types that posi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the workers. Hierarchy culture showed positive effects on meaning, competence, and impact except self-determination, and market culture had positive effect only on competency. Conclusions - The study foun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the employees in casino companies and that important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may be different for each sub-factor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t suggests that casino companies have to try to recognize and secure diverse organizational culture in order to activat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their employees because they can provide quality service for custom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harmonious and balanced culture between promoting flexible and autonomous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stably controlling and operating the organization.

      • KCI등재

        마음의 연구와 심리학: 마음의 문화심리적 분석에 바탕한 심리의 작용 틀

        한규석,최상진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2

        마음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분석은 일상생활에서 마음이 지닌 의미가 한국과 서양에서 큰 차이가 남을 보이고 있다. 영어에서 마음은 인지, 생각의 의미이며, 마음을 정신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적 갖춤 새로 보고 그 요소들을 분석하는 현대심리학을 발전시켰다. 우리 말에서 마음은 지정의를 통섭하는 주재(主宰)적 성격이 강하며, 이 탓에 마음을 다스리는 수양학문으로서 심학이 발전되었다. 인간이면 누구에게나 마음의 두 가지 성격이 공통으로 작용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사건을 접한 마음의 작용을 분석하는 틀로서 마음의 방과 사물의 방의 은유를 제시하였다. 사물의 방에서 사람들은 사건을 탈개인화(사물화)시켜 분석적, 논리적, 객관적, 결정론적, 기계론적으로 접근하지만, 마음의 방에서는 사건을 개인화시켜, 총체적, 주관적, 생성론적, 관계적, 현상학적으로 접근한다. 현대심리학은 사물의 방에서 작동하는 방식으로 심리를 연구해 왔으나, 마음의 방에서 작동하는 심리는 분석의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본고에서는 왜 마음의 방에 대한 이해가 심리학의 영역으로 들어와야 하며, 어떻게 가능한지를 설명하고, 그 분석의 과제로 마음경험과 문화적 정서를 제시하였다. 마음의 방에 대한 탐구는 문화특수적인 심리현상의 연구가 마음의 이해에 대한 보편적 지평을 넓히는 기여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Analysis of cultural psychology of mind reveals significant cultural differences in the folk meaning of mind. In English, mind is viewed as various mental faculties enabling thinking and perception. This view justifies the development of modern psychology which investigates those faculties as such. In Korean, mind (maum) is viewed as the master of all the mental faculties. This latter view justifies the development of Shimhag which emphasizes the control of mind. Based on the cultural psychology of mind, we propose a model of two mental chambers which operate in every individual across cultures. In the chamber of thing, people approach the experience as if they are handling things. They view things and events as logical, objective, analytical, mechanistic and deterministic; they act like an impartial observer, On the other hand, in the chamber of maum, people become the first person experiencer; they take holistic, subjective, generative, relational,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Modern psychology takes mental phenomena largely from the thing perspective and set aside the maum perspective as unscientific. We present why the understanding of maum chamber is necessary for modern psychology and how it can be approached in psychology. This view presents a whole new area of research in the narrow field of cultural emotion and in the broader area of psychology. The study of maum chamber indicates how the local mind is inextricably linked to the global mind.

      • 심리학의 영역에서 바라본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모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cultural competencies from 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to indentify psychological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ies.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used following procedures. The study narrowly defined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as a specific system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to create, appreciate, and enjoy arts and culture. Then the study explored presumably related factors such as motivational factors, factors from personality-traits, cognitive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The study compared these psychological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ies with the ones described in existing studies like the BKJ Project on the key competencies classification. Consequently, many elements were found similar to the ones of existing studiesbut several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Such differences are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gap between the concept of culture and that of cultural competencies. Therefore, the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ies need to be discussed in consideration of the broad spectrum between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ies. In this regard,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would provide deeper insight into cultural competencies by offering descriptions about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ies from the diverse viewpoints of various domains and analyses of key competencies of cultural competencie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본 논문은 문화적 역량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해보고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적 역량의 개념을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고, 감상하고, 향유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전문화된 체계로 규정하고, 문화적 역량과 관련된 것으로 가정되는 동기적 차원, 성격특성적 차원, 인지적 차원 그리고 심리사회적 차원들을 분석하여, 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분석된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BKJ 프로젝트 핵심역량 분류와 같은 기존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많은 부분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한 구성요소들이 추출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서로 다른 차이점들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점들은 문화와 문화적 역량의 개념에 의한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에 대한 논의는 문화와 문화적 역량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다양한 영역에서 문화와 문화적 역량을 기술하고 이를 근거로 문화적 역량의 핵심역량을 분석하는 학제적인 연구 프로젝트는 문화적 역량에 대한 유익한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개대된다.

      • KCI등재

        애니메이션 캐릭터와사회 환경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메이의 새빨간 비밀>을 중심으로-

        왕역구,김홍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4

        서로 다른 문화 집단 사이에서 영상 미디어는 문화 전파의 주요한 방식 중하나이다. 그중에서도 애니메이션은 화면을 통해 표현되는 특유의 희극성으로 인해 각 민족의 언어적 장벽을 허물어 문화 전파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 디즈니를 선두로 하는 미국 애니메이션 작품들이 특히 뛰어난데,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작품은 각 문화 집단 사이의 문화 충돌의 문제를 매우 잘 다루고 있어 각 문화 집단 관객의 사랑을 받아왔다. <메이의 새빨간 비밀>은 아시아계 가족을 배경으로 한 장편 애니메이션으로, 동서양의 사회, 문화 환경이 성장한 이민자 가족의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주며 또한 어떻게 살아갈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한 작품이다. 영화에서 메이가 직면한 어려움은 가정환경과 사회환경의 차이인데, 이 차이는 두 환경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 있어서 서로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관계로 나타내고 있다. 디즈니는서구중심의 캐릭터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문화권의 이야기도 다루었는데 그중에는 중국적인 요소를 사용한 애니메이션 작품들도 적지 않다. 그중 메이는이문화 환경 하에서 성장한 청소년 캐릭터로 주변의 복잡한 환경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사회와 개인의 상호작용의 영향’을 충분히 구현해 내었다. 미국의 심리학자 데이비드 마이어스는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에서사회 환경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문화 그리고 성의 영향, 동조와 복종의영향, 설득의 영향, 집단의 영향 등 네 가지로 나눴다. 이러한 영향은 결국 사회와 개인의 상호작용 영향으로 변하며 유전자와 인격은 개인에게 서로 다른문화적 바탕을 부여했다. 즉 개인이 함께 모일 때 결정하는 것이 어려운 일부사람들은 대중의 행위 속으로 빠져들 수 있다. 또한 설득 행위가 개인의 판단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사람들은 집단 이익에 부합하는 판단을 할것이다. 동시에 집단은 다른 소리들에 휩쓸리고 이러한 것들은 사람들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와 개인의 상호작용 영향을 형성한다. 본 논문은 마이어스의 네 가지 영향을 중심으로 <메이의 새빨간 비밀>의 분석을 중점적으로연구하고자 한다. Image media is one of the main ways of cultural disseminationamong different cultural groups. Among them, animated films breakdown language barriers among ethnic groups and make culturaldissemination easier due to their unique comedic portrayal throughvisuals. In this regard, American anime works led by Disney areparticularly outstanding. Disney’s anime works effectively address theissue of cultural conflicts between different cultural groups and havealways been loved by audiences from various cultural groups “TurningRed” is a full-length animated film set against the backdrop of Asianfamilies, exploring how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of theEast and the West influence the growth of young immigrants and howthey can continue to live. The difficulty Mei faces in the movie is thedifference between her family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which is manifested in the difficult relationship between people livingin two environments. Disney not only tells characters centered aroundthe West, but also tells stories from other cultural circles, includinganime works that use Chinese elements. Among them, Mei is a teenagecharacter who grew up in this cultural environment, interacting withthe complex surrounding environment, fully reflecting the influence ofsocial and personal interaction. American psychologist David Myers divided the impact of socialenvironment on individuals into four aspects in Social Psychology: cultural and sexual influence, empathy and obedience influence,persuasive influence, and collective influence. This influence ultimatelyevolves into an interactive influence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with genes and personality endowing individuals with different culturalfoundations. That is to say, some people who find it difficult to makedecisions when individuals gather together may fall into the behaviorof the public. In addition, persuasive behavior can affect individualjudgment, and ultimately people will make judgments that are inthe collective interest. At the same time, the group is influenced byother voices, which affect people’s judgment and form an interactiveinfluence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 This paper will focus on thefour influences of Miles and focus on the analysis of “Turning 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