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청소년 석고 모형 분석에 에 의한 하악절치 형태와 치아밀집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서정은,백형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5 No.5

        하악 전치의 밀집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부정교합의 특징중의 하나이며 교정치료후의 안정성과 재발 측면에서도 중요 관심의 대상이다. 이를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 그동안 많은 요소가 연구되어 왔으며 치아의 크기도 그 중의 하나이다. 현재 교정치료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치아 크기 측정에서는 순설측 폭경의 의미가 간과되어 왔는데 Peck과 Peck이 이상적인 하악 전치부 배열을 가진 경우 절치의 근원심 폭경은 평균보다 작고 순설측 폭경은 평균보다 크다는 통계학적 수치를 발표하고 MD/FL index가 하악 전치부 밀집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에 있어서 하악 절치의 형태 및 크기와 하악 전치부 밀집간의 상관관계, 그들과 전악궁의 치아 밀집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11세에서 17세에 이르는 154명의 석고 모형을 채득하여 Irregularity index 1 미만인 35명의 정상군과 Irregularity index 1 이상인 119명의 밀집군으로 분류하고 석고모형상에서 연관성 있다고 추정되는 계측항목을 특정한 후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은 밀집군에서 큰 값을 보였으나 중절치에서만 유의성을 보였고, 순설측 폭경과 MD/FL index는 유의차가 없게 나타났다. 2. Irregularity index는 밀집군의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 MD/FL index와 유의성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순설측 폭경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상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 치관 근원심 폭경 총화와는 순상한 관계를, 하악 견치간 폭경과 제 1 소구치간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3. 상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 overbite과 유의성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순설측 폭경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하악 절치의 MD/FL index와, 상악의 arch length discreapncy는 측절치의 MD/FL index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정상군과 밀집군의 각 계측항목의 t-검정 결과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 overbite에서만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Mandibular incisor crowd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features of malocclusion and is interesting characteristic in view of relapse and stability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here are many potential factors in the etiology of lower anterior crowding. The tooth size variation is one of them, but biologic significance for the faciolingual width of the teeth has been overlooked. Peck and Peck reported that persons with ideal mandibular incisor alignment were shown to have incisor with smaller mesiodistal and larger faciolingual dimensions than persons with incisor crowding.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y suggested MD/FL index as a clinical guideline for the assessment for lower incisor crowding.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dibular incisor crowding and mandibular incisor dimension, and determine their correlation with arch length discrepancy. 154 dental casts of people from 11 to 17 years of age were made, and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with irregularity index less than of 1, and crowding group with irregularity index greater than 1. The cas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mesiodistal width for mandibular incisor was larger in crowding group, and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entral inciosr measuremen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iolingul width and MD/FL index. 2. Irregularity index has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mesiodistal width and MD/FL index for mandibular incisor in crowding group, but no correlation with faciolingual width. It also has correlation with maxillary and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total tooth material, mandibular intercanine width, and mandibular inter first premolar width. 3. Upper and lower arch length discrepancy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esiodistal width of mandibular incisor and overbite, but have no correlation with faciolingual width. Lower arch lenth discrepancy h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D/FL index for mandibular incisor and upper arch length discrepancy has correlation with MD/FL index form mandibular lateral incisor. 4.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normal and crowding group for the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and overbite.

      • KCI등재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손상구역 운용이 응급실 과밀화 지표에 미치는 영향

        강진욱 ( Jin Wook Kang ),신상도 ( Sang Do Shin ),서길준 ( Gil Joon Suh ),유은영 ( Eun Young You ),송경준 ( Kyoung Jun Song ) 대한외상학회 2007 大韓外傷學會誌 Vol.20 No.2

        Purposes: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improve the service of emergency centers. In spite of these, no evidence is showing any landmark advancement of emergency services, especially in the hospital stage, exists. We need some efficient standard criteria to evaluate emergency service in the hospital stage, and a useful method might utilize the overcrowding index. We want to know the change in the overcrowding index at a regional emergency center after injury area administration. Injury area means an area in which only an assigned duty physician manages patients with injuries such as those from traffic accidents, falls, assualts, collisions, lacerations, amputations, burns, intoxication, asphyxia, drowning, animal bites, sexual assualts, etc. Methods: We started to operate an injury area in our emergency department from late 2004, and from January to June in 2004 and in 2005, we collected patients` data, age, sex, assigned department, and result from hospital order communication system to figure out overcrowding indices and result indices. We found the daily number of patients, the turnover rate, the admission rate, the ICU admission rate, the emergency operation rate, the ED stay duration, and the ED patient volume to be overcrowding indices. Also we found the withdrawal rate, the transfer rate, and mortality to be result indices. We compared these indices between 2004 to 2005 by using a t-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aily number of visiting patients in 2005, overcrowding indices, such as the turnover rate, the admission rate, the ICU admission rate, and the emergency operation rate,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2005 (P<0.001). As for the result indices, there was a noticeable decrease in the number of withdrawals (11.77/day in 2004 to 4.53/day in 2005). Conclusion: Operating an injury area in a mildly overcrowded local emergency center is beneficial. Evaluating the effect of operating an injury area and it`s impact on hospital finances by conducting a similar study analyziing patients for a longer duration would be valuable. (J Korean Soc Traumatol 2007;20:77-82)

      • KCI등재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and Population Structure of Doellingeria scabra at Mt. Maebong in Korea

        Byeong Ryong Lee(이병룡),Man Kyu Huh(허만규)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7

        참취, Doellingeria scabra Thunb. (이전의 학명: Aster scaber Thunb.)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의 야생산지에서 흔히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 매봉산에 분포하는 참취의 국지적 집단에 대해 패치 특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 종의 공간적 분포를 평가하기 위해 분산의 지수, Lloyd 평균 군집도, Morisita 지수 등을 통해 자료를 분석했다. 참취 집단의 평균 밀도는 2.94이었다. 참취는 작은 규모의 플롯에서는 일정한 분포 또는 임의 분포를 하였고, 두 개의 큰 규모 플롯(16×32 m²와 32×32 m²)에서는 응집 형태로 분포했다. 평균 밀집도(M*)는 0.916이었다. 평균 patchiness index (PAI)는 0.796이었다. Morisita의 계수는 플롯 크기가 커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집단에서 Eberhardt 지수(IE)의 예상 값은 2.623이었다. 참취의 Moran"s I 값에서 처음 5개 구간은 양의 값이었다. 그 중 4개는 유의성을 나타내어 개체간 유사성은 8 m 이내에서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매봉의 참취군락뿐만 아니라 다른 산의 산림 생태계 내 참취 군락의 지속 가능한 유지 및 복원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Doellingeria scabra Thunb. (syn. Aster scaber Thunb.), a perennial herb in the family Asteraceae, is frequently found in the wild mountain regions of Korea. This aim of this work was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patchiness of D. scabra in a local population on Mt. Maebong in Taeback-ci, Gangwon-do.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is species was estimated by analyzing ecological data by methods including the index of dispersion, Lloyd’s mean crowding, and Morisita’s index. The mean population density of the D. scabra population was 2.94. The D. scabra individuals were uniformly or randomly distributed in small-scale plots and were aggregately distributed in two large-scale plots (16×32 m² and 32×32 m²). The mean crowding (M*) was 0.916. The mean patchiness index (PAI) was 0.796. Morisita’s coefficient tended to decrease the density of the population as the plot size increased. The expected value of Eberhardt’s index (IE) in the local population was 2.623. Moran"s I of D. scabra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 expected value in 6 of 8 cases (75.0%). The first five classes were positive, with four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indicating similarity among individuals in the first four distance classes (I-IV, 8 m), The results presented here could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conservation of D. scabra (Korean: chamchwi) and for the rehabilit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forest ecosystems on Mt. Maebong, as well as on other mountains.

      • 응급의료센터의 특성을 반영한 과밀화 지표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이영훈(Young Hoon Lee),김정우(Jeong Woo Kim),이윤호(Yoon Ho Lee),김승호(Seung Ho Kim),박유석(Yoo Seok Park),박인철(Incheol Park)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지 Vol.36 No.1

        The medical emergency departments are suffering from the crowdness of patients, henc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the patients are receiving are getting poorer. Overcrowding of medical emergency departments may incur the waiting time for the treatment, and the improper treatment in time. For the operational control of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crowding index is commonly used to identify the crowding intensity, with which the operation process is managed, and future process can be expected. In this study the composite crowding index is suggested, in which the trend of inpatients rate, the age and acuity of patients, and resource of ED are considered.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crowding index is discuss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index and the actual number of inpatients, and by the simulation study using the process model and the real data.

      • 응급의료센터의 특성을 반영한 과밀화 지표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김정우,이윤호,심동현,이영훈,김승호,박유석 대한산업공학회 2009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현대사회에 있어서 인구의 급증과 생활 패턴의 복잡성으로 인해 응급진료센터 (Emergency department)를 찾는 내원환자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응급진료센터에 내원한 대규모의 환자들이 진료 및 입원대기로 인해 응급진료 프로세스의 적체현상을 보이고 있다. 각 응급진료센터에서는 기존에 연구되었던 과밀화 지표(Crowding Index)를 이용하여 응급 진료 프로세스에 적용하고 있지만 외국의 응급진료센터의 특성만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한국적인 응급진료센터의 운영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진료센터의 특성을 반영한 한국형 과밀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한국형 과밀화 지표란 응급진료센터의 고유의 특성(환자의 내원율 추이, 환자의 연령, 응급진료센터의 자원 등)을 반영하여 개발된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한국형 과밀화 지표는 통계적 분석(회귀분석)을 통해 신뢰성 과 응급진료센터에의 적용 여부를 검증하고자 한다.

      • KCI등재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Chloranthus japonicus Population at Mt. Ahop

        Man Kyu Huh(허만규)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2

        지역 미세 환경의 패치는 식물의 공간적 분포에 일차적 요인이다. 식물의 공간적 양상을 결정한다는 귀무가설을 임의화 과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홀아비꽃대는 초본으로 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 홀아비꽃대속(Chloranthus)에 속한다. 홀아비꽃대의 공간적 양상을 여러 패치 지표로 분석하였고, 분산 지수에 따른 플롯 크기별 운집 분포, 균일분포,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홀아비꽃대의 집단 밀도(D)는 0.356에서 2.270으로 평균은 1.527이었다. 아홉산 홀아비꽃대의 분산지표(C)는 작은 플롯(2 m × 2 m, 2 m × 4 m, 4 m × 4 m, 4 m × 8 m, 8 m× 8 m, and 8 m × 16 m)은 1보다 작았으며 큰 플롯(16 m × 16 m and 16 m × 32 m)은 1보다 상회하였다. 따라서 홀아비꽃대의 운집지표(CI)는 작은 플롯에서 음의 값으로 균일한 분포를 이룬다. 큰 플롯의 운집지표는 양의 값으로 나타났으나 그 값은 높지 않았다. 평균 클라운딩(M*)과 패치지수(PAI)는 모든 플롯에서 양의 값을 보였다. The patchiness of local environments within a habitat is assumed to be a primary factor affecting the spatial patterns of plants, and a randomization procedure is developed for testing the null hypothesis that only spatial association with patches determined the spatial patterns of plants. Chloranthus japonicus (Chloranthaceae) is an herbaceous perennial and a member of the genus Chloranthus in the family Chloranthaceae. The spatial pattern of C. japonicus was analyzed according to several patchiness indices, population uniformity or aggregation under different sizes of plots by dispersion indices, and spatial autocorrelation. Population densities (D) varied from 0.356 to 2.270, with a mean of 1.527. The values of dispersion indices ( at Mt. Ahop were lower than 1 at six plots (2 m × 2 m, 2 m × 4 m, 4 m × 4 m, 4 m × 8 m, 8 m × 8 m, and 8 m × 16 m), but the two large plots (16 m × 16 m and 16 m × 32 m) were higher than 1. Thus, the aggregation indices ( were negative at Mt. Ahop, which indicates a uniform distribution. The two large plots (16 m × 16 m and 16 m × 32 m) had positive CIs. However, the values were not large (0.009 for the 16 m × 16 m plot and 0.038 for the 16 m × 32 m plot). The mean crowding (M*) and patchiness index (PAI) showed positive values for all plo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