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개정논의에 대한 검토 및 제언 - 구성요건상 행위유형과 피해자 범위 설정, 반의사불벌죄 적용여부 문제를 중심으로 -

        沈英周 ( Shim Youngjoo ),李相翰 ( Lee Sang-han )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2

        스토킹을 처벌하기 위한 논의가 20여 년간 지속된 끝에 드디어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는 것으로 마무리 되었다. 그런데, 법이 제정되자마자 미비점이 지적되고,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법 제정과 시행은 분명 의미가 있는 일이고, 첫술부터 배부를 수는 없겠으나 시작부터 개정의 목소리가 높다는 점은 의견과 관점의 다양성에 기인했다고 보기에는 부족한, 분명 개선할 사항이 있다는 방증이라 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 의식 하에, 개정 논의에 대한 주요 쟁점들 중 처벌과 직접 연관되는 구성요건상 행위 유형과 피해자 범위 설정, 반의사불벌죄 적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보완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비정형성을 지니는 스토킹의 특성을 감안하면, 처벌의 사각지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타 유형'으로 포괄하거나 보충하는 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정한 피해자 보호를 위해 반의사불벌 적용은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피해자 범위 설정에 관한 지나친 범위 확대는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직접피해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현행법이 직접피해자만을 대상으로 하지만 스토킹범죄 전단계인 스토킹행위의 보호 대상으로 간접피해자를 규정하고 있어 간접피해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보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경범죄 처벌법」상 지속적 괴롭힘죄와의 관계설정을 위한 개정이 필요하다는 점도 짚어 보았다. After debate for over two decades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it was finally decided to enact the Act on Punishment, etc. of Stalking Crimes (hereinafter the Stalking Punishment Act). However, as soon as the Stalking Punishment Act was enacted, imperfections were pointed out, and many people expressed the need for legislative improvements.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Stalking Punishment Act is clearly meaningful, but it was not perfect from the outset. However, the fact that many people believe revisions are required cannot be attributed to the diversity of opinions and viewpoints; it is evident that there is clearly room for improvement. Therefore, with an awareness of these concerns, this paper explores the setting of the type of action, the victims’ scope, and the application of no punishment against will as component requirements directly related to punishment as major issues in the debate on revisions; it also examines improvement measures. Considering the atypical nature of stalking, it is desirable to have regulations encompassing or supplementing other types to prevent blind spots in punishment, and to delete no punishment against will for true protection of victims. However, it is advisable to target only direct victims because it is undesirable to excessively expand the scope of the victim. Although the current law targets only direct victims,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parts that do not target indirect victims because the Stalking Punishment Act stipulates that indirect victims are subjects of protection for the stalking act, which is the pre-stage of stalking crimes. In addition, the need for revision in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consistent harassment crimes under the Punishment of Minor Offenses Act is discussed.

      • KCI등재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상 성년후견인의처벌불원 의사표시 허용 여부 - 대법원 2023. 7. 17. 선고 2021도11126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김민경 한국법정책학회 2023 법과 정책연구 Vol.23 No.3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은 자동차 등의 운행이 국민 생활의 기본적 요소로 되어가는 현실에 부응하고자 교통사고를 일으킨 자에 대한 형사처벌의 특례를 정함으로써,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의 신속한 회복을 촉진하고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법 제1조, 제정이유 참조). 즉, 교통사고를 과실(12대 중과실 제외)로 일으킨 자에 대하여 엄벌주의를 피하고 보험에 가입한 경우 혹은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서는 공소를 제기할 수 없도록 규정한 것이다. 대법원은, 피고인이 자전거를 운행하던 중 과실로 피해자를 충돌하여 피해자가 중상해를 입은 사안에서 피해자의 성년후견인이 피해자의 의사를 대리하여 처벌불원의 의사표시를 할 수 있는가의 쟁점에 관하여 전원합의체로 판결하였다. 다수의견의 경우, ① 법해석상 문언적, 합리적 해석면에서 절차적 안정성과 명확성, ② 피해자 의사의 우선성, ③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의 준별, ④ 성년후견인에 의한 처벌불원의사 대리의 한계 등을 논거로 하여 성년후견인이 위와 같은 의사표시를 대리할 수 없다고 하였으며, 반대의견은 ① 법률의 흠결을 해결하기 위해서 해석의 보충이 필요하다는 점, ② 피해자의 복리·보호를 위한 형사절차규정의 유추, ③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으로 인한 유추적용의 정당성, ④ 유추적용 범위의 명확한 한정 등을 근거로 하여 성년후견인이 처벌불원의 의사표시를 대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본 평석은 위 쟁점을 형사법 해석의 큰 틀 안에서, 1) 우선적으로는 법률의 해석 방법으로 문언적 해석뿐 아니라 목적론적·체계적 해석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2) 형사소송법상 소송능력의 의미와 반의사불벌죄에서의 처벌불원 의사표시의 성격 및 대리 가능성을 살펴봄과 동시에, 3) 법률 흠결의 상태에 대한 종래 대법원과 대상판결의 해석을 비교 후, 4) 죄형법정주의와 유추 적용의 문제를 검토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제3조 제2항의 적용에 있어 피해자의 성년후견인이 피해자의 의사를 대리하여 처벌불원의 의사표시를 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e Special Act on Traffic Accident Settlement establishes special provisions for the criminal punishment of those causing traffic accidents, with the aim of promoting swift damage recovery resulting from traffic accidents and enhancing the well-being of citizens' lives. Specifically, this law applies to individuals who have caused traffic accidents due to negligence (excluding serious accidents out of 12 categories). In cases where they are covered by insurance or when the victim's explicit intention is contrary, charges cannot be brought against them. The Supreme Court rendered a verdict on a case where the defendant collided with the victim while riding a bicycle, causing the victim serious injuries due to negligence. The key issue was whether the legal representative of the victim, who is under adult guardianship, can express the victim's intention of not wishing to pursue punishment on behalf of the victim. In the majority opinion, the court based its reasoning on ① linguistic and rational interpretations for procedural stability and clarity, ② priority of the victim's intention, ③ differentiation between familial and non-intentional crimes, ④ limitations of representation by an adult guardian. Therefore, in this case where the victim was rendered unconscious, the majority opinion concluded that the adult guardian cannot represent such an intention. However, the dissenting opinion relied on ① the need for interpretive supplementation to resolve legal defects, ② inference interpretation for victim welfare and protection, ③ justifiability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④ clear limitations of inference application. Thus, the dissenting opinion argued that an adult guardian can represent the intention of not wishing to pursue punishment. This commentary,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criminal law interpretation, comprehensively considers not only linguistic interpretation but also teleological and systematic elements. It examines the meaning of legal capacity in criminal procedure law, the nature of expressing an intention not to pursue punishment in non-intentional crimes, and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By comparing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Supreme Court with the current decision, and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principles of legality and inference application, this commentary ultimately reaches the conclusion that, in the application of Article 3, Paragraph 2 of the Special Act on Traffic Accident Settlement, the legal representative of the victim's adult guardian can express the intention of not wishing to pursue punishment on behalf of the victim. Despite the prevalent use of bicycles, unlike the common understanding that insurance is essential before driving a car, few people opt for comprehensive insurance when riding bicycles. However, in situations where accidents occur while riding bicycles without comprehensive insurance and the victim unexpectedly falls into an unconscious state, as per the majority opinion of the decision, the perpetrator, under any circumstances, is ineligible for exemption and must face criminal punishment.

      • KCI등재

        피해자 보호를 위한 합리적인 데이트폭력 규제 방향 : 범위 설정과 반의사불벌죄 적용 문제를 중심으로

        심영주(Shim,YoungJoo) 한국피해자학회 2021 被害者學硏究 Vol.29 No.3

        범죄를 예방하고 피해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사전예방과 사후조치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사전예방은 형벌을 예정하여 위하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을 통해 범죄를 방지하여 피해자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하며, 범죄가 발생한 후에는 사후조치를 통해 추가범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한편으로는 피해자에 대한 보호조치 등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트폭력에 대한 규율은 사안의 유사성 등에 기인하여 가정폭력이나 스토킹과 함께 논의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차이점이 분명 존재한다. 그런데 가정폭력과 스토킹은 별도 입법을 통해 규율되고 있지만 데이트폭력은 그렇지 않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데이트폭력과 가정폭력, 스토킹 그리고 일반 폭력범죄와의 유사점과 차이점 비교를 통해 현행체제에서는 피해자 보호를 위해 별도 입법에 의한 규제가 필요함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관련 쟁점들 중 데이트폭력 개념에 대한 정의의 문제와 반의사불벌 적용 여부에 대한 부분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한편, 폭력전과공개제도 도입 문제와 피해자보호를 위해 기타 고려해야 할 부분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Ex-ante prevention and ex-post measures can be considered as ways to prevent crimes and stop the generation of victims. The former entails preventing the creation of victims by stopping crimes through a deterrent effect, which works through the expectation of punishment. Once a crime has occurred, it is important to take protective measures for the victim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urther crimes. Regulation of dating violence is usually discussed together with domestic violence or stalking because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However, there are some definite differences. Although domestic violence and stalking are regulated by separate lawmaking, there is no such regulation for dating violence. Considering this point, this study examined the need for separate legislation for victim protection in the current system by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dating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stalking, and general violent crimes. Among the various issues, the study focused on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dating violence and the application of the no-punishment-against-will rule.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introduction of the violence disclosure system and other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for victim prot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