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연합법원과 유럽인권법원과의 관계

        박진완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법학논고 Vol.0 No.64

        According to the Lisbon Treaty, the protec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European Union is based on two foundations: The new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ropean Union (Article 6, Paragraph 1 of the European Union Treaty), which has legally equivalent effect with other treaties and which has legal binding force through these legal equivalents (Article 6, Paragraph 1 of the Treaty on European Union) and apart from it the basic right of the European Union, which has been in force continuously as a general rule of law of the European Union (Article 6, Paragraph 1 of the European Union Treaty). These two bases for the protec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European Union are complemented by Article 6 (2) of the European Union Treaty in accordance with the Lisbon Treaty, which authorizes accession of the European Union to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which is referred to as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in its opinion of accession to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of the European Union on 18 December 2014, was decided that the European Union's accession to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violated European Union law as an explicit set of limits on the development of the European Union’s international legal action. The European Court concluded that the accession of the European Union to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is in violation of Article 6 (2) of the Treaty on European Union and Protocol (No 8) relating to Article 6(2) of the Treaty on European Union on the accession of the Union to the European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judged that the European Union's entry into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violated the Treaty of the European Union. The Court of the European Union, through this decision, has prevented the European Union from joining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lthough the continuation of a new phase in the history of European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guarantees was hindered by the European Court's check, the basic framework of the close linkage between the European Union and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s a system of human rights protection throughout Europe has not been woken up. Notwithstanding Opinion 2/13 of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if the European Union is to be admitted to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the judicial coope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urts of European countries and the European courts, namely the European Constitutional Court, More complexity will increase. 리스본 조약에 의하면 유럽연합의 기본권 보호는 다음의 두 가지 토대에 근거하고 있다: 조약들과 법적으로 동등한 효력이 부여되고, 이를 통하여 법적인 구속력(Rechtsverbindlichkeit)을 가지고 있는 2007년 12월 12일 새롭게 개정된 유럽연합의 기본권 헌장(Charta der Grundrechte der Europäischen Union) (유럽연합조약(EUV) 제6조 제1항) 그리고 그와 별도로 유럽연합법의 일반적 법원칙으로서 계속적으로 효력을 발생하고 있는 불문의 유럽연합의 기본권(ungeschriebene Unionsgrundrechte) (유럽연합조약 제6조 제3항). 이러한 유럽연합의 기본권 보호를 위한 이러한 두개의 기초는 유럽연합이 1950년 11월 4일의 인권과 기본자유의 보호를 위한 유럽협약(Europäische Konvention zum Schutz der Menschenrechte und Grundfreiheiten), 즉 유럽인권협약에 가입할 권한과 의무를 부여하고 있는 리스본 조약에 따른 유럽연합조약 제6조 제2항에 의하여 보충되어진다. 유럽연합법원, 유럽인권법원 그리고 독일연방헌법재판소와 같은 구성국가의 헌법재판소 사이의 권력관계의 균형적 확립의 문제는 유럽의 다면적 인권보장체계에서의 기본권 보호의 핵심적 논의대상이 된다. 이에 대한 평가는 버뮤다 삼각지대라는 비관적 평가로부터 시작하여, 평화로운 공존이라는 중립적 입장 그리고 유럽의 헌법재판소 결합(Europäischer Verfassungsgerichtsverbund)이라는 낙관적 평가로 이어 진다. 유럽법원, 유럽인권법원(E 그리고 유럽의 각 국가들의 헌법재판소 (독일과 같은 연방국가인 경우에는 연방헌법재판소와 각 주의 헌법재판소도 포함된다)가 유럽의 시민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에는 4개의 기본권 문서들(Grundrechtstexte)이 존재한다: 유럽인권협약, 유럽연합의 기본권 헌장, 각 국가들의 연방헌법과 주의 헌법. 이러한 유럽에서의 시민들의 기본권 보호를 위한 기본권 문서들의 중복적 적용은 시민들의 권리보호의 최적화 실현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는가 2014년 12월 18일의 유럽연합(EU)의 유럽인권협약 가입에 대한 자신의 평가서(Gutachten)에서 유럽법원으로 불리는 현재의 유럽연합법원(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은 유럽연합의 국제법적인 활동전개에 대한 명백한 한계설정으로서 유럽연합의 유럽인권협약 가입이 유럽연합법 위반이라고 결정하였다. 유럽법원은 유럽연합의 유럽인권협약가입이 유럽연합조약 제6조 제2항 그리고 유럽연합의 유럽인권협약의 가입에 대한 유럽연합조약 제6조 제2항에 대한 의정서(Protokol)(제8호)에 합치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만일 유럽연합의 유럽인권협약에 가입 후에 유럽연합이 유럽인권협약에 구속된다면, 예를 들면 유럽인권협약 제8조 제1항의 의미 속의 주거개념(Wohnungsbegriff)의 해석과 같이 동일한 기본권 개념에 대한 유럽법원과 유럽인권법원의 판례내용의 차이가 존재한다면, 유럽법원의 유럽연합법에 대한 독점적 해석권이 어느 정도까지 잘 보장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유럽연합의 유럽인권협약 가입이 유럽연합조약 위반으로 본 유럽법원의 견제로 인하여 유럽 및 국제적 인권보장의 역사에서의 새로운 국면전개의 진행이 저지되었지만, 유럽전체의 인권보장체계로서 유럽연합과 유럽인권협약의 긴밀한 연계의 기본적 틀은 깨워졌다고 볼 수 없다. 유럽연합법원(CJEU)의 의견서(Opinion) 2/13에도 불구하고, 유럽연합이 유럽인권협약에 가입하게 된다면, 유럽의 각국가들의 헌법재판...

      • KCI등재

        ‘잊혀질 권리’와 관련한 EU사법재판소의 판결에 대한 검토

        함인선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1

        In January 2012, the European Commission proposed a comprehensive reform of the EU's 1995 data protection rules to strengthen online privacy rights. One of the key changes in the reform included the ‘right to be forgotten’. But, while attitudes over this new right in Europe may border on the positive, the responses in the United States verge on the negative. In the meantime, May last year, the Court of Justice of European Union(‘CJEU’), the European Union's highest court ruled that it recognizes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its ruling of 13 May 2014(‘Google case’), CJEU ruled that search engines must take down certain results shown under a search of a person's name if the information was "inadequate, irrelevant or no longer relevant". That is to say, the Court ordered Google to provide people with the so-called ‘right to be forgotten’. Although the "right to be forgotten" existed as a concept in European law, the Google case marked the first time companies like Google have been asked to field such requests from the public. By the way, the Google case has generated fiercely divergent responses in the US and Europe. On the one hand, the ruling is being celebrated as a victory in Europe -- a victory over the omnipotence of American Internet companies and a victory of the value placed by the people of the Old Europe. On the other hand, reactions to the ruling in the United States seem close to unanimous. The incomprehension, rejection and anger of the verdict could be felt not only in the Silicon Valley, but also in the media and among politicians and intellectuals. In an editorial, the New York Times warned that the ruling "could undermine press freedoms and free speech." As regards the Google case representing contradictory views, I would like to present facts of the case and overview of the ruling as well as some implications of the CJEU’s judgment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as follows. 2014년 5월 13일에 EU사법재판소(CJEU)는 현행 EU법에 근거하여 ‘잊혀질 권리’를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다. 동 판결은 스페인 국가법원이 EU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일반법이라고 할 수 있는 1995년 정보보호지침의 해석과 관련하여, CJEU에 선결적 판결을 구하여 제청한 사건과 관련된 것이다. 즉, 구글검색에 의해 자신의 이름을 입력하여 검색하면 잊혀지고 싶은 자신의 과거의 사실 등이 표시되는 바, 1995년 정보보호지침상의 규정을 근거로 하여, 검색결과로부터 자신의 개인정보에로의 링크의 삭제 또는 차단을 청구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CJEU에 선결적 판결을 구하여 제청한 것이다. 이는 특히 인터넷상에서 검색엔진에 의한 검색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검색기술도 크게 발전하고 있는 바, 현행 정보보호지침이 제정되었던 1995년 당시에는 예견하지 못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는 것과도 관련하여, 동 지침상의 관련규정의 해석이 문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판결이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된 이유는 과거의 어떤 사실(본 판결의 경우에는 사회보장채무의 연체로 인한 압류부동산의 경매)이 신문에 게재된 것이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 인터넷 검색에 의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는 바, 현재 당사자의 프라이버시 또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하는가의 문제와 그 경우에 표현의 자유나 알 권리와의 긴장관계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그리고 인터넷 검색엔진운영자의 책임문제 등 현대 정보사회의 첨예한 문제들이 응축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본 판결의 영향은 미국과 EU간에만 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EU와 무역 등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들에게도 현실적인 문제로 등장할 것이 예상된다. 왜냐하면, 현재 입법이 진행중인 일반정보보호규칙이 성립되면, 잊혀질 권리와 정보이동권 등 정보주체의 강화된 기본권과 규칙위반에 대한 강력한 제재규정이 맞물려 EU에서 활동하는 우리나라 기업들에게도 크게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본 판결의 사실관계와 관련법령 및 판결의 주요내용 등을 충실히 소개하고, 본 판결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 KCI등재

        브렉시트 이후 해상책임보험의 보험자에 대한 제3자 직접청구권의 행사에 관한 고찰 : 로마Ⅱ 및 Retained EU-Law를 중심으로

        남기정 한국해사법학회 2022 해사법연구 Vol.34 No.2

        Article 18 of REGULATION (EC) No. 864/2007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1 July 2007 on the law applicable to non-contractual obligation (Rome Ⅱ) stipulates that the court chooses a law that is advantageous to the victim ex officio by selectively linking direct claims to the governing law of non-contractual obligation and the governing law of insurance contract.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above provision,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CJEU) ruled that victims can directly claim against insurers as long as the governing law of non-contractual obligation permits, regardless of the provisions of the governing law chosen by the parties to the insurance contract. In addition, after Brexit, Rome II is Retained EU-law, and CJEU's ruling on Article 18 of Rome II is Retained EU case-law, which remains effective in the UK, respectively. Meanwhile, the Supreme Court of the UK declared the basic principle that victims cannot stand in a better position than policyholders in the Fanti and Padre Island cases, revealing the validity of the pay to be paid rule. Subsequently, the lower court rulings in the UK also did not allow the victim to exercise the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er in other countries on the grounds that the victim also was bound by the jurisdiction agreement stipulated in the insurance contract between the insurer and the insured. However, the Fanti and Padre Island cases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K were not only before the enforcement of Rome II, but CJEU clearly ruled on the nature of Article 18 after the enforcement of Rome II, and its effect is still maintained in the UK. In addi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CJEU's ruling applying the Brussels I regulations and the above regulations is no longer effective for the UK, the exclusive jurisdiction clause(e.g., the English Court) stipulated in the insurance contract is likely to take precedence. However, if the UK joins the 2007 Lugano Convention in the future,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russels I Regulations, the purpose of CJEU's ruling, which was based on the Brussels I Regulations, can be considered important again. In the end, even if a lawsuit is filed in a Korean court to exercise the victim's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er, and insurance contracts between the insurer and the insured stipulate English laws and customs as governing law, relevant interpreta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Article 18 of the Roman II(Retained EU-law) and the purpose of CJEU's ruling(Retained EU case-law), so that victims can be protected heavily by allowing selective connections to the governing laws of the country in which the damage occurs. 계약외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유럽연합 규정(로마Ⅱ) 제18조는 직접청구권을 계약외채무의 준거법과 보험계약의 준거법에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법원이 직권으로 피해자에게 유리한 법을 선택하도록 정하고 있고, 유럽사법재판소는 위 조항의 해석에 관하여 피해자는 보험계약 당사자들이 보험계약에 적용될 법으로 선택한 준거법의 조항과는 상관없이, 계약외채무의 준거법이 허용하는 한 보험자를 상대로 직접청구를 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브렉시트 이후 로마Ⅱ는 Retained EU-law로서, 로마Ⅱ 제18조에 관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는 Retained EU case-law로서 각각 영국에서 그 효력이 유지된다. 한편 영국 대법원은 Fanti 및 Padre Island 사건에서 피해자가 보험계약자보다 더 나은 지위에 설 수는 없다는 기본적인 원칙을 선언하면서 선지급 원칙의 유효성을 밝힌 바 있고, 이후 영국의 하급심 판결들 또한 로마Ⅱ 제18조의 규정 취지 및 그에 관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와는 달리 피해자 또한 보험자와 피보험자가 보험계약에서 정한 관할합의 조항에 구속된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피해자가 다른 국가에서 보험자를 상대로 직접청구권을 행사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았다. 그러나 영국 대법원의 Fanti 및 Padre Island 사건은 로마Ⅱ 시행 이전의 것일 뿐만 아니라 유럽사법재판소는 로마Ⅱ 시행 이후 제18조의 성격에 관하여 명확하게 판시하였고 그 효력이 여전히 영국에 대하여도 유지되고 있다. 아울러 소위 Brussels I 규정, 위 규정을 적용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가 더 이상 영국에 대하여 효력이 없는 현재 상황에서는 보험계약에서 정한 배타적 관할합의 조항(가령 영국 법원)이 우선시될 가능성이 높지만, 영국이 추후 Brussels I 규정과 실질적으로 내용이 동일한 2007 Lugano Convention에 가입한다면 Brussels I 규정에 근거하였던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 취지는 다시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 결국 대한민국 법원에 피해자가 보험자를 상대로 직접청구권을 행사하는 소가 제기되고, 보험자와 피보험자 사이의 해상책임보험계약에서 영국의 법률과 관습을 준거법으로 정하고 있는 경우에도, 로마Ⅱ(Retained EU-law) 제18조의 규정 및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Retained EU case-law) 취지대로 불법행위지의 준거법에도 선택적 연결을 허용함으로써 피해자가 두텁게 보호될 수 있도록 관련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The Regulatory Standards of Extraordinary Circumstances in Carriage of Passengers by Air: An Analysis of EU law and Implications for Korea

        서지민 한국무역연구원 2023 무역연구 Vol.19 No.5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tatutory framework and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CJEU) case law concerning th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under EC 261/2004 Regulation (the Regulation). This paper also conducts an examination of the compensation liability system of air carriers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aviation transportation law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paper studies the scopes, application, and requirements of th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in EC 261/2004 Regulation by analyzing cases of CJEU. It seeks to conduct a detailed analysis of extraordinary circumstances in the Korean Aviation Business Act, and contain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Regulation and the stance of Korean law. Findings – This paper confirms that previous CJEU cases have taken a stringent and passive stance in recognizing extraordinary circumstances that exempt carriers from compensation liability. Also, it presents some critical views against CJEU perspectives and offers several implications for Korean law in its conclusion. Research Implications – This paper sheds light on legal issues surrounding applications of th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in EC 261/2004 Regulation via case law review. In conclusion, it emphasizes the need for amending the Regulation by explicitly specifying the criteria for the application of extraordinary circumstances to better ensure the appropriate fulfillment of air passenger rights protection. This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uniform legal standards for procedures related to compensation for air passengers in cases of denied boarding, flight cancellation, or flight delays, rather than solely relying on the flight compensation terms and condition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Insurance Contract Laws in Europe and Korea

        김은경 한국유럽학회 2011 유럽연구 Vol.29 No.3

        The foundational efforts for harmonization of European contract law created the CFR, thereby establishing the PECL and the PEICL. One of the unique features in the PEICL is to avoid choosing professional languages that can be problematic in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it adopted the words in the PECL not to give any impression that the PEICL systemizes the English common law concepts; thus, it accepts the expressions that are internationally recognized, such as those of the international transport convention. The PEICL includes the general principles with regards to insurance contract, which can be applicable in the Member State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its implementation in legislative perspective since it is not an enforceable regulation but merely a princip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ne can suggest a system that can give an opportunity for the contracting parties to decide whether they choose the PEICL as the governing law in the contract. The aim of this argument is to help the parties choose the European law as the governing law rather than domestic law, thereby solving the problem in the legal disputes between the parties, which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completion of the internal market. Accordingly, when the contracting parties agree to decide the PEICL as the governing law, it shall be legally binding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on selecting a certain law under international private law. Furthermore, the PEICL stipulates the disclosure duty of the insured. The insurer has the right to obtain information from the precise and accurate a questionnaires-form in order to measure the reasonable insurance premium and to decide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which the policyholder needs to provide, should include everything important he knew or should have known. The fulfilment of this duty is the passive notification duty of the insurance contracting party. Moreover the insurer has a duty to deliver the materials and documents and to explain the terms of the contract to the policyholder. The European scholars’ research and efforts for harmonization of European insurance contract law and the prominent scholars’ academic ability in the EU will be the great models to the Korean scholars when they discuss the amendment to the Korean insurance act. Furthermore, it can be an important guidepost for designing a harmonized form of insurance law of two Koreas in the future. Therefore, it will be worthy learning from the comments by the leading European scholars.

      • KCI등재

        영국법의 동향 -브렉시트의 영향을 중심으로-

        오성근 한국상사법학회 2020 商事法硏究 Vol.39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the UKʼs Brexit on UK law, especially corporate law.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take such study, an analysis was made of the business activities of the European Union (UE) and European Economic Area (EEA) and related basic rights of the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TFEU), EU directives, and the overall UK legal system. In the case that there is a hard Brexit, it appears that there will be many restrictions on the operations of UK companies in the EU and EEA. For this reason, the establishment and transfer of companies that want to acquire legal status in the EU as well as cross-border mergers will be much more difficult than now. With regard to tender offers for companies, little impact is expected in the short term because of the history of UK and EU legislation; however, in the medium to long term, the gap between the laws of the UK and those of the member states of the EU may widen.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Korean companies to prepare for this situation. An alternative is a soft Brexit. That is, if the UK participates in the 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EFTA) after Brexit and becomes a member of the EEA, there should be no significant impact on corporate activities such as freedom of movement. Therefore,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agreement between the UK and the EU will be important. To describe these contents, this study is developed in the order of: Ⅱ EU legal system and the influence of Brexit on UK law, Ⅲ the impact of Brexit on corporate legislation, and Ⅳ concluding remarks. 이 글에서는 영국의 브렉시트가 영국법 특히 회사법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수단으로서 EU 및 유럽경제지역(EEA)의 기업활동과 관련이 있는「EU운영조약」(TFEU)상의 기본권, EU의 지침 및 영국의 법제를 개괄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검토의 결과 하드 브렉시트로 귀결되는 때에는 EU 또는 유럽경제지역에서의 영국의 기업이 EU에서 활동을 하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EU의 법인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기업의 설립이나 기업의 이동, 그리고 국제적 합병이 현재보다 크게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의 공개매수와 관련하여서는 영국과 EU법제의 연혁상 단기적으로는 우려만큼의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영국과 EU회원국 법률 간의 간극이 확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기업으로서는 이러한 상황에 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하여 소프트 브렉시트, 즉 영국이 브렉시트 이후에도 유럽자유무역연합(EFTA)에 참가하고, 유럽경제지역(EEA)의 가입국이 되면, 기업의 이동의 자유 등 기업의 활동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영국과 EU 간의 개별협정의 내용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내용을 기술하기 위하여 이 글의 전개순서는 Ⅱ. EU의 법체계와 브렉시트로 인한 영국법의 영향, Ⅲ. 브렉시트가 회사법제에 미치는 영향, Ⅳ. 맺음말 순서로 하였다.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Insurance Contract Laws in Europe and Korea

        Eun Kyung Kim 한국유럽학회 2011 유럽연구 Vol.29 No.3

        유럽보험계약법을 통일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우선 계약법에 관한 공통 기준틀(CFR)의 완성되었다. 유럽보험계약법 통일화 과정에서 사법적 기초가 된 것은 유럽계약법의 원칙(PECL)이고 계약법적 원리가 일정한 부분 영향을 미쳐 유럽보험계약법의 원칙(PEICL)이 만들어지고 있다. EU회원국의 대부분의 국가가 대륙법체계를 견지하고 있지만, PEICL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유럽형 보험계약 법을 도출하고 법체계의 통합하는 차원에서 영국의 법체계나 법률용어를 상당부분 차용한 바 있다. 그러나 이 명칭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법률이 아닌 원칙으로서 만들어짐으로써 입법적 한계가 있다. 이 입법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계약당사자로 하여금 그 법규의 적용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선택적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선택적 제도라 함은 그 법규의 적용이 계약 당사자들에게 달려있는 제도로서, 국내계약법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당사자들에게 적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보험계약당사자가 국내법이 아닌 유럽법을 계약의 근거법으로 선택하게 하여 다수 당사자간의 계약에서 생기는 법적용의 문제를 해결하고 EU가 추구하는 단일시장의 완성하자는 취지의 것이다. 또한 유럽보험계약법 원칙에 담고 있는 가장 특징적인 것은 보험소비자를 보호하려는 법규범을 정비한 것이다. 그 중의한 예가 정보제공의무나 고지의무의 수동화 등이다. 지금까지의 유럽보험계약법 통일을 위한 유럽경제사회위원회의 조력 하에서 EU 차원의 조직적인 노력과 더불어 이를 구체화시키기 위한 EU 회원국의 저명학자들의 학문적 교류는 가까이는 보험법 개정과정에서의 한국학자들에게 모범례가 될 것이며, 통일에 따라 향후 남북한이 함께 쓸 통일 보험계약법을 완성하는 데에 있어서도 특정한 방법을 엿볼 수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유럽보험계약법 통일화 작업을 통하여 유럽의 지도적인 위치에 있는 보험학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얻고 그에 대하여 진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The foundational efforts for harmonization of European contract law created the CFR, thereby establishing the PECL and the PEICL. One of the unique features in the PEICL is to avoid choosing professional languages that can be problematic in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it adopted the words in the PECL not to give any impression that the PEICL systemizes the English common law concepts; thus, it accepts the expressions that are internationally recognized, such as those of the international transport convention. The PEICL includes the general principles with regards to insurance contract, which can be applicable in the Member State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its implementation in legislative perspective since it is not an enforceable regulation but merely a princip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ne can suggest a system that can give an opportunity for the contracting parties to decide whether they choose the PEICL as the governing law in the contract. The aim of this argument is to help the parties choose the European law as the governing law rather than domestic law, thereby solving the problem in the legal disputes between the parties, which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completion of the internal market. Accordingly, when the contracting parties agree to decide the PEICL as the governing law, it shall be legally binding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on selecting a certain law under international private law. Furthermore, the PEICL stipulates the disclosure duty of the insured. The insurer has the right to obtain information from the precise and accurate a questionnaires-form in order to measure the reasonable insurance premium and to decide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which the policyholder needs to provide, should include everything important he knew or should have known. The fulfilment of this duty is the passive notification duty of the insurance contracting party. Moreover the insurer has a duty to deliver the materials and documents and to explain the terms of the contract to the policyholder. The European scholars` research and efforts for harmonization of European insurance contract law and the prominent scholars` academic ability in the EU will be the great models to the Korean scholars when they discuss the amendment to the Korean insurance act. Furthermore, it can be an important guidepost for designing a harmonized form of insurance law of two Koreas in the future. Therefore, it will be worthy learning from the comments by the leading European scholars.

      • KCI등재

        유럽연합 내에서 기본권보장 체계 변화 : 독일연방헌법재판소 잊힐 권리 I·II 결정 내용을 중심으로

        정문식(JEONG, Mun Sik) 유럽헌법학회 2021 유럽헌법연구 Vol.- No.36

        독일연방헌법재판소는 2019년 11월 잊힐 권리 I, II 결정을 통해서 EU법 집행 시 기본권보장에 관한 구조적인 변화를 시도하였다. 연방헌법재판소는 먼저 기존에 독일 기본권과 EU 기본권을 엄격하게 구별하고 EU 기보권 보장에 소극적이던 자세를 전환하여, EU법 집행 시 발생하는 기본권 침해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연방헌법재판소가 EU법 집행 시 발생하는 기본권 침해에 개입할 수 있는 근거는, EU 체제에서 법원과 연합재판소를 통한 기본권보장의 구조적 흠결 때문이다. 다른 한편 연방헌법재판소는 연방헌법 제23조의 통합책임에 따라 EU 통합에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하는데, EU 기본권보장에 협력하는 것이 연방헌법재판소가 통합책임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연방헌법재판소는 EU법 집행 시 기본권 침해가 문제 된 경우, 절차적으로 헌법소원심판제도를 통해 적극적으로 기본권보장 사무를 수행할 수 있다. 헌법소원심판제도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는 기본권에는 독일 기본권뿐만 아니라 EU 기본권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연방헌법재판소가 헌법소원심판을 통해 기본권보장을 수행할 때, EU법의 성격에 따라서 심사기준을 달리 적용한다. 첫째, EU법이 회원국에게 형성재량을 인정한 규범에 대해서는 연방헌법재판소가 독일 기본권을 심사기준으로 적용한다. EU법이 회원국에게 형성재량을 인정한 것은 기본권 측면에서 보면 회원국의 다양한 기본권보장을 인정한 것이기 때문이다. 독일 기본권을 적용하는 것은 EU 기본권을 공동으로 보장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다만 독일 기본권을 심사기준으로 적용하더라도 EU 기본권보장수준에 미치지 않는다면, EU 기본권을 추가적으로 적용한다. 둘째, EU법이 완전히 통일된 영역에 대해서는 연방헌법재판소가 EU 기본권을 심사기준으로 적용하여 기본권 침해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EU 기본권은 연합재판소의 판례를 통해 확인된 명확한 내용에 한정하여 적용한다. 만일 EU법의 통일성 여부나, EU 기본권의 내용이 불명확한 경우에는 연방헌법재판소가 연합재판소에 사전판단을 제청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EU법으로 완전히 통일된 영역에서는 EU 기본권을 심사기준으로, 회원국에게 어느 정도 형성재량이 인정되는 영역에서는 독일 기본권을 심사기준으로 판단한다는 점에서, 연방헌재는 앞으로 EU법 적용과 집행 시 기본권보장과 관련하여 연합재판소에게 판단을 맡기지 않고, 적극적으로 기본권보장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방헌법재판소의 입장 변화는, EU법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연방헌법재판소가 EU법에 대한 소극적인 대응을 통해서는 EU 내에서 기본권보장의 보루나 수호자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인식과 현실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이러한 연방헌법재판소의 입장 변화는 연합재판소와 기본권보장에 협력을 증진할 가능성도 담고 있다.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FCC) tried to make structural changes to the guarantee of fundamental rights in the enforcement of EU law through the decision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I and II in November 2019. FCC argued that it was possible to control the violation of fundamental rights that occurred during the enforcement of EU law. The basis for the FCC to control to the violation of fundamental rights is the lack of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through the domestic courts and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CJEU). On the other hand, the FCC must actively cooperate in EU integ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ponsibilities of integration under Article 23 of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GG). The FCC can proactively guarantee basic rights through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djudication system procedurally when there is a problem of violation of fundamental rights in the enforcement of EU law. This is because the basic rights that can be remedied through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system include not only German basic rights but also EU fundamental rights. The FCC applies Germany s basic rights as a standard for examination to norms that EU law grants to member states margin of appreciation. The reason that EU law allowed member states to have discretion is because it recognized the guarantee of various basic rights of member states. The application of German basic rights is premised on the common guarantee of EU fundamental rights. Second, in the area where EU law is completely unified, the FCC applies EU fundamental rights as a criterion to judge whether fundamental rights are infringed. In this case, EU fundamental rights are limited to cases where sufficiently clear content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recedents of the CJEU or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ECtHR). If the uniformity of EU law or the content of EU fundamental rights is unclear, the FCC proposes a preliminary ruling to the CJEU to resolve the issue. This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CC reflects the situation in which, due to the development of EU law, the FCC cannot play the vital role of a bastion or protector of fundamental rights in the EU through a passive response to EU law. On the other hand, such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CC also includes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cooperation with CJEU in the guarantee of the fundamental rights in E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